KR100855303B1 -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 배관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 배관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5303B1
KR100855303B1 KR1020080011387A KR20080011387A KR100855303B1 KR 100855303 B1 KR100855303 B1 KR 100855303B1 KR 1020080011387 A KR1020080011387 A KR 1020080011387A KR 20080011387 A KR20080011387 A KR 20080011387A KR 100855303 B1 KR100855303 B1 KR 1008553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late
metal plate
pipe
fix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1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철영
Original Assignee
(주)청우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청우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청우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80011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53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5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53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8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 H02G3/38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in 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32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arrangements for indicating defects, e.g. breaks or lea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8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 H02G3/4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using separate protective tubing in the conduits or 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벽체에 해머드릴 등으로 구멍을 뚫거나 못을 박을 때, 전기배관내의 전선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전기배관이 손상될 상황을 알려주는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 배관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며, 도전성 금속 판체(21)의 일측 단부에 단자부(22)가 형성되고, 단자부(22)는 연결전선(65)으로 경고박스(60)와 연결되는 상부철판(20); 목재로 이루어진 사각바(31)의 상면 양측으로 각각 자석 고정홈(32)이 형성되고, 자석고정홈(32)에 자석(33)이 삽입되어 접착제로 고정되어 상부철판(20)을 고정하며, 사각바(31)의 저면 중앙에 전체적으로 고정홈(34)이 형성되는 목재바(30); 도전성 금속 판체(41)의 일측 단부에 단자부(42)가 형성되고, 단자부(42)는 연결전선(65)으로 경고박스(60)와 연결되며, 판체(41)의 상면 중앙에 전체적으로 고정돌기부(43)가 돌출 형성되어 목재바(30)의 고정홈(34)에 삽입된 채 고정장치(50)로 고정되는 하부철판(40); 사각 박스 형상의 몸체(51) 저면에 배관고정홈(52)이 형성되고, 몸체(51)의 상면 일측에 편심되도록 고정밴드(54)의 일단이 일체로 고정되도록 형성되며, 몸체(51)의 상면에 고정밴드(54)와 반대편으로 편심되도록 몸체(51) 상면과 저면을 관통하는 밴드홀(53)이 형성되고, 고정밴드(54)의 단부가 상부철판(20) 목재바(30) 하부철판(40)을 감싼뒤에 밴드홀(53)을 통과하여 배관고정홈(52)에 삽입된 전기배관(3)을 감싼 상태에서 고정나사로(56)로 몸체(51)에 고정되는 고정장치(50); 박스체(61)의 내부에 전원이 내장되고, 전원과 연결된 제어부가 박스체 내부에 형성되어 연결전선(65)으로 상부철판(20)과 하부철판(40) 에 연결되며, 제어부는 스피커(63)와 연결되어 못(5)에 의해 상부철판(20)과 하부철판(40)의 전원이 연결될때 스피커(63)가 작동하게 되는 경고박스(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80011387
전기배관, 전선, 보호장치, 경고박스, 목재바, 상부철판, 하부철판

Description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 배관 보호장치{A protecting device for on electric pipe in a wall}
본 발명은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 배관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동주택의 벽체에 해머드릴 등으로 구멍을 뚫거나 못을 박을 때, 전기배관내의 전선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전기배관이 손상될 상황을 알려주는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 배관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건축물의 수도, 전기공사에 있어서, 수도의 경우 연결부재, 전기의 경우 전기박스끼리 상호 연결되면서 벽체 등에 매입되고, 미장등에 의해 마감된 후, 벽지나 타일등의 최종마감재로 마감되어 있기 때문에 매입된 관로 위치를 쉽게 알지 못하였다.
배관 매입시 일반적으로 수평 또는 수직으로 매입하지만, 상황이 여의치 못하여 수평 또는 수직으로 설치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있을 수 있다. 특히, 철근 콘크리트조의 경우에는 콘크리트 타설시 파이프의 유동으로 인해 위치가 쉽게 이동될 수 있기 때문에 매입된 배관선로 위치를 정확하게 알기가 쉽지 않았다.
때문에, 욕실의 세면대 설치시 벽체 내부에 매입된 온·냉수 배관을 파손시 킨다던지, 벽체에 벽걸이 시계 등 생활용품을 설치하기 위해 못을 박거나, 천정에 전등을 설치하기 위해 해머드릴 등으로 천공을 하다가 파이프 내측 전선의 절단 또는 피복의 벗겨짐으로 인한 누전우려가 있었다.
도 1에는 종래의 벽체에 못이 박히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못(5)은 벽체(1)의 표면에 부착된 마감벽지(2)를 통과하여 벽체(1)의 콘크리트에 박히게 되는데, 벽체(1)에 박히는 못(5)이 전기배관(3)을 파손시키면서 전선(4)에 손상을 입히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배관탐지기를 동원하여 배관을 찾기도 하였으나,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금속이 아닌 배관재로 시공된 경우 쉽게 찾지 못하였으며, 특히 워낙 고가의 장비여서 가정에서 구입하기에는 무리가 있었다.
이렇게 전선을 보호하기 위하여 배관보호구가 출원되었으나, 이러한 배관보호구는 못을 박았을 때 측면으로 미끌어지도록 유도하고 있으나, 해머드릴과 같은 경우는 배관보호구를 통과하여 진행하게 되므로 사실상 보호가 어려운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벽체에 해머드릴 등으로 못을 박을 때, 배관이 있는 곳일 경우 못이나 해머드릴이 벽체로 들어오면 쉽게 알 수 있는 경고를 하여 배관을 완전히 보호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벽체에 못이 박히게 될 때 벽체 내부에 매립되어 있는 전기배관의 전면에 보호장치를 두어 전기배관이 파손되지 않게 하여 생활 중에 벽체를 뜯어내는 큰 공사를 하지 않게 하는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 배관 보호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못이나 헤머드릴이 보호장치에 박히게 되면, 못에 의해 전류가 통전되게 되어 경고음이 발생되게 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못이 전기배관까지 박히지 않게 할 뿐만 아니라 전기배관 전 단계에서 경고음을 발생시켜 더 이상 못을 박지 않게 하여 전기 배관을 보호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건축물의 벽체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전기 배관의 보호장치에 있어서, 도전성 금속 판체의 일측 단부에 단자부가 형성되고, 단자부는 연결전선으로 경고박스와 연결되는 상부철판; 목재로 이루어진 사각바의 상면 양측으로 각각 자석 고정홈이 형성되고, 자석고정홈에 자석이 삽입되어 접착제로 고정되어 상부철판을 고정하며, 사각바의 저면 중앙에 전체적으로 고정홈이 형성되는 목재바; 도전성 금속 판체의 일측 단부에 단자부가 형성되고, 단자부는 연결전선으로 경고박스와 연결되며, 판체의 상면 중앙에 전체적으로 고정돌기부가 돌출 형성되어 목재바의 고정홈에 삽입된 채 고정장치로 고정되는 하부철판; 사각 박스 형상의 몸체 저면에 배관고정홈이 형성되고, 몸체의 상면 일측에 편심되도록 고정밴드의 일단이 일체로 고정되도록 형성되며, 몸체의 상면에 고정밴드와 반대편으로 편심되도록 몸체 상면과 저면을 관통하는 밴드홀이 형성되고, 고정밴드의 단부가 상부철판과 목재바와 하부철판을 감싼뒤에 밴드홀을 통과하여 배관고정홈에 삽입된 전기배관을 감싼 상태에서 고정나사로 몸체에 고정되는 고정장치; 박스체의 내부에 전원이 내장되고, 전원과 연결된 제어부가 박스체 내부에 형성되어 연결전선으로 상부철판과 하부철판이 연결되며, 제어부는 스피커와 연결되어 못에 의해 상부철판과 하부철판의 전원이 연결될때 스피커가 작동하게 되는 경고박스;로 구성되고, 하부철판은 상부철판 두께의 두배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 배관 보호장치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못이 전기배관 있는 곳으로 박히게 되면, 우선 상부철판에 의하여 진입이 방지되고, 더 이상의 힘을 가하면 목재바에 박혀 진입이 저지되며, 못이 더 진행하면 하부철판에 가로막혀 전기배관이 보호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부철판을 관통하여 하부철판에 닿게 되면 전류가 못을 통해 흐르게 되어 경고박스의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을 외부로 보내게 되어 사용자가 전기배관으로 못이 박히는 것을 인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고정장치를 사용하여 전기배관과 몸체의 두께만큼 이격시켜 상부철판과 목재바와 하부철판을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전기배관의 파손을 완전히 막아 거주하고 있는 동안 전기배관 파손으 로 인한 공사를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되지 않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장치(10)는 건축물의 벽체에 매립되어 전기 배관을 보호하는 구성으로, 상부철판(20)과 하부철판(40) 사이에 목재바(30)가 고정장치(50)로 고정되어 전기배관(3)의 전방에 고정되고, 상부철판(20)과 하부철판(40)은 각각 경고박스(60)에 연결전선(65)으로 연결되어 벽체(1)에 박히는 못(5)이나 해머드릴 등에 의하여 전원 연결되어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것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
상부철판(20)은 도전성 금속 판체(21)의 일측 단부에 단자부(22)가 형성되고, 단자부(22)는 연결전선(65)으로 경고박스(60)에 연결된다. 판체(21)는 긴 장방형 금속 판체로 전기배관(3)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부철판(20)의 저면에 고정되는 목재바(30)는 목재로 이루어진 사각바(31)의 상면 양측으로 각각 자석 고정홈(32)이 형성되고, 자석고정홈(32)에 자석(33)이 삽입되어 접착제로 고정된다. 고정된 자석(33)이 상부철판(20)에 부착되어 목재바(30)와 상부철판(20)을 고정한다.
그리고 사각바(31)의 저면 중앙에 전체적으로 고정홈(34)이 형성되어 후술할 하부철판(40)과 맞물리게 된다.
하부철판(40)은 목재바(30)의 저면에 고정되는데, 도전성 금속 판체(41)의 일측 단부에 단자부(42)가 형성되고, 단자부(42)는 연결전선(65)으로 경고박스(60)와 연결된다.
하부철판(40)의 판체(41) 상면 중앙에 전체적으로 고정돌기부(43)가 돌출 형성되어 목재바(30)의 고정홈(34)에 삽입된 채 고정장치(50)로 고정한다. 이러한 고정돌기부(43)는 하부철판(40)의 판체(41) 두께를 더욱 두껍게 하여 못이 통과하지 못하게 한다.
고정장치(50)는 상부철판(20)과 목재바(30)와 하부철판(40)을 동시에 감싸면서 고정하는 것으로서, 사각 박스 형상의 몸체(51) 저면에 배관고정홈(52)이 반원형으로 형성되고, 몸체(51)의 상면 일측에 편심되도록 고정밴드(54)의 일단이 일체로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몸체(51)의 상면에 고정밴드(54)와 반대편으로 편심되록 밴드홀(53)이 몸체(51) 상면과 저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고정밴드(54)의 단부가 상부철판(20)과 목재바(30)와 하부철판(40)을 동시에 감싼 뒤에 밴드홀(53)을 통과하여 배관고정홈(52)에 삽입된 전기배관(3)을 감싼 상태에서 고정나사(56)로 몸체(51)에 고정된다. 이때 고정밴드(54)의 단부에 고정나사홀(55)이 형성되고, 몸체(51)의 일측에 고정나사홀(57)이 형성되어 고정나사(56)로 고정나사홀(55)(57)을 동시에 관통하여 고정한다.
몸체(51)는 전기배관(3)과 하부철판(40) 사이에 간격을 줘 만에 하나 하부철판(40)을 통과하는 못(5)이나 해머드릴이 진행하는 것을 한번 더 차단하면서 경고음이 발생되게 한다.
경고박스(60)는 상부철판(20)과 하부철판(40)이 못(5)에 의해 전류가 흐르게 되면서 경고박스(60)내의 회로가 연결되어 스피커(63)가 작동하게 된다.
경고박스(60)의 박스체(61) 내부에 전원이 내장되고, 전원과 연결된 제어부가 박스체 내부에 형성되어 연결전선(65)으로 상부철판(20)과 하부철판(40)이 연결된다.
제어부는 스피커(63)와 연결되어 못(5)에 의해 상부철판(20)과 하부철판(40)의 전원이 연결될 때, 즉 상부철판(20)과 하부철판(40)에 전류가 서로 통하게 되면, 스피커(63)가 작동하게 된다.
경고박스(60)는 두꺼비집 같은 곳이나 벽체 일측에 고정되고, 경고박스(60)의 내부에는 건전지나 충전기가 내장되어 전원을 공급하게 되며 건전지의 교체를 위해 박스체(61)의 일측에 커버(62)가 개폐가능하게 형성된다. 경고박스(60)의 전원에 연결되도록 전원램프(64)가 박스체(61))에 형성되어 전원이 공급되는지를 체크할 수 있다.
그리고 하부철판(40)은 상부철판(20) 두께의 두배 이상으로 형성하여, 못(5)의 관통이 힘들게 하여 상부철판(20)과 목재바(30)를 통과한 못(5)이 더 이상 진행되지 않게 한다.
도 1은 종래의 벽체에 설치된 전기배관에 못이 박혀 파손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 배관 보호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 배관 보호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 배관 보호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 배관 보호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 배관 보호장치에 사용하는 고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 배관 보호장치에 사용하는 고정장치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 배관 보호장치에 못이 박힌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 : 벽체 2 : 마감벽지
3 : 전기배관 4 : 전선
5 : 못 10 : 보호장치
20 : 상부철판 21 : 판체
22 : 단자부 30 : 목재바
31 : 사각바 32 : 자석고정홈
33 : 자석 34 : 고정홈
40 : 하부철판 41 : 판체
42 : 단자부 43 : 고정돌기부
50 : 고정장치 51 : 몸체
52 : 배관고정홈 53 : 밴드홀
54 : 고정밴드 55, 57 : 고정나사홀
56 : 고정나사 60 : 경고박스
61 : 박스체 62 : 커버
63 : 스피커 64 : 전원램프
65 : 연결전선

Claims (2)

  1. 건축물의 벽체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전기 배관의 보호장치에 있어서,
    도전성 금속 판체(21)의 일측 단부에 단자부(22)가 형성되고, 단자부(22)는 연결전선(65)으로 경고박스(60)에 연결되는 상부철판(20);
    목재로 이루어진 사각바(31)의 상면 양측으로 각각 자석 고정홈(32)이 형성되고, 자석고정홈(32)에 자석(33)이 삽입되어 접착제로 고정되어 상부철판(20)을 고정하며, 사각바(31)의 저면 중앙에 전체적으로 고정홈(34)이 형성되는 목재바(30);
    도전성 금속 판체(41)의 일측 단부에 단자부(42)가 형성되고, 단자부(42)는 연결전선(65)으로 경고박스(60)와 연결되며, 판체(41)의 상면 중앙에 전체적으로 고정돌기부(43)가 돌출 형성되어 목재바(30)의 고정홈(34)에 삽입된 채 고정장치(50)로 고정되는 하부철판(40);
    사각 박스 형상의 몸체(51) 저면에 배관고정홈(52)이 형성되고, 몸체(51)의 상면 일측에 편심되도록 고정밴드(54)의 일단이 일체로 고정되도록 형성되며, 몸체(51)의 상면에 고정밴드(54)와 반대편으로 편심되록 몸체(51) 상면과 저면을 관통하는 밴드홀(53)이 형성되고, 고정밴드(54)의 단부가 상부철판(20)과 목재바(30)와 하부철판(40)을 감싼뒤에 밴드홀(53)을 통과하여 배관고정홈(52)에 삽입된 전기배관(3)을 감싼 상태에서 고정나사(56)로 몸체(51)에 고정되는 고정장치(50);
    박스체(61)의 내부에 전원이 내장되고, 전원과 연결된 제어부가 박스체 내부에 형성되어 연결전선(65)으로 상부철판(20)과 하부철판(40)이 각각 연결되며, 제어부는 스피커(63)와 연결되어 금속의 못(5)이 상부철판(20)과 하부철판(40)에 동시에 닿아 통전될 때 스피커(63)가 작동하게 되는 경고박스(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 배관 보호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하부철판(40)은 상부철판(20) 두께의 두배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 배관 보호장치.
KR1020080011387A 2008-02-04 2008-02-04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 배관 보호장치 KR1008553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1387A KR100855303B1 (ko) 2008-02-04 2008-02-04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 배관 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1387A KR100855303B1 (ko) 2008-02-04 2008-02-04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 배관 보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5303B1 true KR100855303B1 (ko) 2008-09-01

Family

ID=40022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1387A KR100855303B1 (ko) 2008-02-04 2008-02-04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 배관 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530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9196B1 (ko) 2016-12-02 2017-10-23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방송설비 배선 보호장치
KR101974487B1 (ko) 2019-01-24 2019-05-03 (주)하이텍엔지니어링 공동주택과 건축물에 설치하는 전기배선 보호장치
KR102388978B1 (ko) * 2021-12-30 2022-04-22 주식회사 산이앤씨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초고속 인터넷과 연결한 정보통신 배선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5016A (ja) * 2001-07-27 2003-02-14 Fuji Photo Film Co Ltd 磁気記録媒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5016A (ja) * 2001-07-27 2003-02-14 Fuji Photo Film Co Ltd 磁気記録媒体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등록실용신안공보20-0345016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9196B1 (ko) 2016-12-02 2017-10-23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방송설비 배선 보호장치
KR101974487B1 (ko) 2019-01-24 2019-05-03 (주)하이텍엔지니어링 공동주택과 건축물에 설치하는 전기배선 보호장치
KR102388978B1 (ko) * 2021-12-30 2022-04-22 주식회사 산이앤씨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초고속 인터넷과 연결한 정보통신 배선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9172B1 (ko)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 장치
KR100854443B1 (ko) 건축용 내부 벽체의 전선보호관
KR100988248B1 (ko)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 배관 보호장치
KR101964620B1 (ko)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 배관 보호장치
KR100855303B1 (ko)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 배관 보호장치
KR100730477B1 (ko) 공동주택 벽체의 내부배관 보호구
KR102029349B1 (ko) 공동주택과 건축물 벽체의 전기용 트렌치
KR101515921B1 (ko)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장치
KR101485794B1 (ko) 건식벽체용 슬림형 매립 수전함과 그 배관연결구조
KR101688816B1 (ko) 옥내 배전 전선관 보호시스템 시공방법
KR101688819B1 (ko) 옥내 배전 전선관 보호장치
KR101435182B1 (ko) 송전, 배전용 지중 전선로 보호관
KR20080056935A (ko) 건식벽체의 런너 고정방법 및 런너 고정장치
KR101266228B1 (ko) 접지구조를 갖는 옥내용 아웃렛박스
KR100846181B1 (ko) 건축물 벽체의 전기 배관 보호장치
JP2006234073A (ja) 保護層付き配管材及びその施工方法
NO20022267L (no) Fremgangsmåte for katodisk beskyttelse mot armeringskorrosjon på fuktige ogvåte marine betongkonstruksjoner
KR102659393B1 (ko) 공동주택 벽체에 설치되는 전기배관 보호구
KR101362259B1 (ko) 내부결속 구조를 갖는 조립식 벽체블록
JP2011021450A (ja) リフォーム用配線収納巾木造作材
KR101717999B1 (ko)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장치
JP2015137456A (ja) 配管収納ユニット
JP2015137455A (ja) 配管収納ユニットの設置構造
KR20180063486A (ko) 아파트 간선용 전선관 보호시스템 시공방법
ES2806093T3 (es) Una placa de montaje para una unidad interior de un aire acondicionado y un procedimiento para montar una unidad interi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9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