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4298B1 - 지중선로관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지중선로관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4298B1
KR100564298B1 KR1020050079845A KR20050079845A KR100564298B1 KR 100564298 B1 KR100564298 B1 KR 100564298B1 KR 1020050079845 A KR1020050079845 A KR 1020050079845A KR 20050079845 A KR20050079845 A KR 20050079845A KR 100564298 B1 KR100564298 B1 KR 1005642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qual intervals
underground line
underground
vertical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9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지건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지건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지건축
Priority to KR1020050079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42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4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42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2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laid directly in or on the ground, river-bed or sea-bottom; Coverings therefor, e.g. tile
    • H02G9/025Coverings therefor, e.g. ti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024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 F16L1/028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in the grou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024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 F16L1/06Accessories therefor, e.g. anchors
    • F16L1/11Accessories therefor, e.g. anchors for the detection or protection of pipes in the groun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tection Of Pipes Against Damage, Friction, And Corro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착시에 굴착기의 버킷에 의해 지중선로관의 위치를 표시 및 경고하여 파손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다양한 지름의 지중 선로관에 연결 사용할 수 있으며, 지반의 부등침하 현상에 의해 지중선로관이 유동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고, 우천시 지반으로 침투하는 침투수가 지중선로관으로 근접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하여 지반 침투수에 의한 누수에 의해 발생하는 지중선로관의 오염 및 부식 현상을 지연시킬 수 있으며, 누수에 의한 누전 현상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특히 마주하는 상부 끝단에는 볼트와 너트를 이용한 접합이 가능한 접합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고, 일정간격을 두고 마주할 수 있게 내측으로 향하도록 절곡 형성되어 있는 하단은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횡방향 신축 조절이 가능한 횡방향 이송축이 연결 설치되어 있으며, 수직부 외측에는 수직 나사공을 일체로 형성하고 있는 수개의 고정대가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경사부에는 수개의 고정공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2조 한쌍의 설치대와; 상부에는 마주하는 설치대의 접합 플랜지의 사이에 위치되어 연결을 이룰 수 있는 연결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고, 이 연결 플랜지의 하부에는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종방향 신축 조절이 가능한 종방향 이송축을 구비하고 있는 이송축 케이스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축 케이스의 양측에는 상기 2조 한 쌍으로 이루어진 설치대의 수직부에 연결되어 가이드 이동을 이룰 수 있는 연결 지지바가 구비되어 있는 승,하강 신축대와; 상기 2조 한 쌍으로 이루어진 설치대의 수직부와 경사부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대의 수직 나사공과 고정공에 원심을 일치시켜 나사 고정을 이룰 수 있는 관통공 수개가 등간격에 걸쳐 수개 형성되어 있는 플레이트 패널과; 길이방향 전,후방 하단에 설치대의 경사부 특정부위를 삽입 위치시킬 수 있는 걸림홈이 등간격에 걸쳐 수개 형성되어 있고, 좌,우가 관통된 내측면 전,후방에는 굴신편이 설치 형성되어 있는 상부 마감바를 일체로 포함하여 구성된 지중선로관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설치대,승,하강 신축대,플레이트 패널,플레이트 패널,상부 마감바

Description

지중선로관 보호장치{Protect apparatus for subterranean line pip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선로관 보호장치의 구성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선로관 보호장치의 구성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선로관 보호장치의 요부 상태를 발췌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선로관 보호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볼트 2 : 너트
3 : 나사 4 : 지중선로관
10 : 설치대 11a,11b : 접합 플랜지
12 : 스프링 13 : 횡방향 이송축
14 : 수직부 15 : 수직 나사공
16 : 고정대 17 : 경사부
18 : 고정공
20 : 승,하강 신축대 21 : 연결 플랜지
22 : 스프링 23 : 종방향 이송축
24 : 이송축 케이스 25 : 연결 지지바
30 : 플레이트 패널 31 : 관통공
40 : 상부 마감바 41 : 걸림홈
42 : 굴신편 43 : 연결공
50 : 매설 표시구 51 : 와이어
본 발명은 지중선로관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굴착시에 굴착기의 버킷에 의해 지중선로관의 위치를 표시 및 경고하여 파손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다양한 직경의 지중선로관에 연결 사용할 수 있으며, 지반의 부등침하 현상에 의해 지중선로관이 유동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고, 우천시 지반으로 침투하는 침투수가 지중선로관으로 근접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하여 지반 침투수에 의한 누수에 의해 발생하는 지중선로관의 오염 및 부식 현상을 지연시킬 수 있으며, 누수에 의한 누전 현상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지중선로관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 상업 및 공업단지의 지중에는 지중선로로서, 송배전 전선이 수용된 전선관, 가스배관, 상하수도관 등이 매설되어 있다.
이런 지중선로를 지중에 매설하는 이유는 안전성 및 단열성 때문이며, 지중에 장시간 동안 매설된 지중선로관은 자체 노후에 의한 파손 및 침투수에 의해 부식되어 일정 시간이 지나면 보수하여야 한다.
또한, 이런 노후 및 부식 등의 원인 외에도 증설 등의 이유에서 보수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이, 지중선로를 보수 및 교체하기 위해서는 지중선로관이 매설된 지면을 굴착하여 지중선로관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 후에 보수 및 교체작업을 수행한다.
일반적인 굴착작업은 굴착기를 이용하여 빠르고 쉽게 수행하는데, 굴착기에 설치된 버킷으로 지면을 굴착한다.
이와 같이, 굴착작업이 수행되는 과정에서 굴착기의 운전자는 지중에 매설된 지중선로를 볼 수 없기 때문에 운전자의 감각으로 굴착 작업을 수행한다.
운전자는 버킷이 지중선로에 닿는 충격을 감지하면 버킷을 이동시켜 버킷이 지중선로에 닿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굴착작업을 진행한다.
그러나, 운전자가 지중선로관의 위치를 알지 못한 상태에서 굴착작업을 수행하다 보면 굴착기의 버킷이 과도하게 지중선로를 가압하여 지중선로를 파괴시키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며, 또한 운전자는 지중선로의 매설위치를 알지 못하기 때문에 지중선로관을 따라 정확한 굴착 위치를 설정하기 어려워 수시로 굴착 진행 방향을 수정하면서 굴착 작업을 수행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안 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굴착시에 굴착기의 버킷에 의해 지중선로관의 위치를 표시 및 경고하여 파손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다양한 직경의 지중 선로관에 연결 사용할 수 있으며, 지반의 부등침하 현상에 의해 지중선로관이 유동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고, 우천시 지반으로 침투하는 침투수가 지중선로관으로 근접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하여 지반 침투수에 의한 누수에 의해 발생하는 지중선로관의 오염 및 부식 현상을 지연시킬 수 있으며, 누수에 의한 누전 현상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지중선로관 보호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수단은,
마주하는 상부 끝단에는 볼트와 너트를 이용한 접합이 가능한 접합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고, 일정간격을 두고 마주할 수 있게 내측으로 향하도록 절곡 형성되어 있는 하단은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횡방향 신축 조절이 가능한 횡방향 이송축이 연결 설치되어 있으며, 수직부 외측에는 수직 나사공을 일체로 형성하고 있는 수개의 고정대가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경사부에는 수개의 고정공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2조 한쌍의 설치대와;
상부에는 마주하는 설치대의 접합 플랜지의 사이에 위치되어 연결을 이룰 수 있는 연결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고, 이 연결 플랜지의 하부에는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종방향 신축 조절이 가능한 종방향 이송축을 구비하고 있는 이송축 케이스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축 케이스의 양측에는 상기 2조 한쌍으로 이루어진 설치대의 수직부에 연결되어 가이드 이동을 이룰 수 있는 연결 지지바가 구비되어 있는 승,하강 신축대와;
상기 2조 한쌍으로 이루어진 설치대의 수직부와 경사부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대의 수직 나사공과 고정공에 원심을 일치시켜 나사 고정을 이룰 수 있는 관통공 수개가 등간격에 걸쳐 수개 형성되어 있는 플레이트 패널과;
길이방향 전,후방 하단에 설치대의 경사부 특정 부위를 삽입 위치시킬 수 있는 걸림홈이 등간격에 걸쳐 수개 형성되어 있고, 좌,우가 관통된 내측면 전,후방에는 굴신편이 설치 형성되어 있는 상부 마감바를 일체로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선로관 보호장치의 구성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선로관 보호장치의 구성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선로관 보호장치의 요부 상태를 발췌 도시한 사시도이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작용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와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마주하는 상부 끝단에는 볼트(1)와 너트(2)를 이용한 접합이 가능한 접합 플랜지(11a),(11b)가 형성되어 있고, 일정간격을 두고 마주할 수 있게 내측으로 향하도록 절곡 형성되어 있는 하단은 스프링(2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횡방향 신축 조절이 가능한 횡방향 이송축(13)이 연결 설치되어 있으며, 수직부(14) 외측에는 수직 나사공(15)을 일체로 형성하고 있는 수개의 고정대(16)가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경사부(17)에는 수개의 고정공(18)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2조 한쌍의 설치대(1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마주하는 설치대(10)의 접합 플랜지(11a),(11b)의 사이에는 이 접합 플랜지(11a),(11b)와 동시에 연결을 이룰 수 있는 연결 플랜지(21)가 상부에 형성되어 있고, 이 연결 플랜지(21)의 하부에는 스프링(1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종방향 신축 조절이 가능한 종방향 이송축(23)을 구비하고 있는 이송축 케이스(24)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축 케이스(24)의 양측에는 상기 2조 한쌍으로 이루어진 설치대(10)의 수직부(14)에 연결되어 가이드 이동을 이룰 수 있는 연결 지지바(25)가 구비되어 있는 승,하강 신축대(20)가 연결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2조 한쌍의 설치대(10) 수직부(14)와 경사부(17) 및 최상부에는 이 수직부(14)와 경사부(17)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대(16)의 수직 나사공(15)과 고정공(18)에 원심을 일치시켜 나사(3) 고정을 이룰 수 있는 관통공(31) 수개가 등간격에 걸쳐 수개 형성되어 있는 플레이트 패널(30)과, 길이방향 전,후방 하단에 설치대(10)의 경사부(17) 특정부위를 삽입 위치시킬 수 있는 걸림홈(41)이 등간격에 걸쳐 수개 형성되어 있고, 좌,우가 관통된 내측면 전,후방에는 굴신편(42)이 설치 형성되어 있는 상부 마감바(40)가 설치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마감바(40)의 상부에는 파낸 흙을 되메움하는 과정에서 매설된 지중선로관(4)의 깊이를 알려 줄 수 있도록 하는 깊이 매설 표시구(50)의 와이어(51)를 연결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공(43)이 등간격으로 수개 형성되어 있다.
다음은 상술한 기술적 구성 요소를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이해를 돕기 위해 조립 설치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선로관 보호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즉, 터파기된 지반 내에 안치되어 있는 지중선로관(4)에 2조 한쌍의 설치대(10)를 길이방향에 걸쳐 등간격으로 연결 고정하고, 상기 등간격으로 연결 고정되어 있는 설치대(10)의 상부와 측면에 플레이트 패널(30)과 마감바(40)를 연결 설치한 후 상기 마감바(40)의 상부에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연결공(43)에 매설 표시구(50)를 연결하면 모든 설치가 완료된다.
이와 같은 설치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터파기된 지반 내에 안치되어 있는 지중선로관(4)의 길이방향에 걸쳐 등간격으로 연결 고정되어 있는 설치대(10)는 위치시키고자 하는 지중선로관(4)의 외경 일정 지점 상부 중앙에 승,하강 신축대(20)를 수직 기립된 상태로 위치시키고 이렇게 수직 기립된 상태로 위치된 승,하강 신축대(20)의 최상부에 위치한 연결 플랜지(21)의 전,후면에 2조 한쌍으로 이루어진 설치대(10)의 접합 플랜지(11a),(11b)를 위치시킨 후 볼트(1)와 너트(2)를 이용하여 상호간을 견고히 결속하면 된다.
이때, 이렇게 결속시켜 지중선로관(4)의 외경 일정 지점에 위치하게 되는 2조 한쌍의 설치대(10)와 승,하강 신축대(20)는 각자 구비하고 있는 횡방향 이송축(13)과 종방향 이송축(14)의 탄지력을 통해 정중앙에 지중선로관(4)을 위치시킨 상태로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설치대(10)의 상부와 측면에 연결 설치되는 플레이트 패널(30)과 상부 마감바(40)는 설치대(10)의 측면에 위치한 수직부(14)에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는 고정대(16)상에 플레이트 패널(30)을 거치한 후 플레이트 패널(30)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공(31)으로 부터 고정대(16)에 형성되어 있는 수직 나사공(15)으로 나사(3)를 삽입하면 상호간의 연결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부에 위치한 경사부(17)에 플레이트 패널(30)을 하단부가 겹쳐지는 형태로 연결 위치시킨 후 플레이트 패널(30)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공(31)으로 부터 고정대(16)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공(18)으로 나사(3)를 삽입하면 상호간의 연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설치대(10)의 최상부에 연결 마감되는 상부 마감바(40)는 등간격으로 위치된 설치대(10)의 접합 플랜지(11a),(11b)에 삽입을 이루어 내측면 전,후방에 설치 형성된 굴신편(42)에 의해 협지 고정되게 된다.
이와 같이 조립 설치되는 본 발명은 파낸 흙을 되메움하는 과정에서 상기 마감바(40)의 연결공(43)에 와이어(51)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매설 표시구(50)를 마 감바(40)의 상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위치될 수 있도록 하여 매설을 이루면 된다.
이렇게 지중선로관(4)을 따라 조립 설치되어 연결되는 본 발명은 실사용시 본 지중선로관(4)의 직경보다 넓은 폭을 이루는 플레이트 패널(30)을 갖고 있기 때문에 상부로부터 침투하는 침투수가 지중선로관(4) 쪽으로 유동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지중선로관(4)의 수명을 대폭 연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중선로관의 누수에 의한 누전 현상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침투수를 지중선로(1)의 외부로 유도하는 플레이트 패널(30)은 침투수에 의해 부식되지 않도록 합성수지의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양호하며, 특히, 외부 충격에 견디기 위해 연성보다는 경도가 높은 재질인 PE(Polyethylene)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매설된 지중선로관(4) 내에 위치한 지중선로 및 관이 노후하여 파손되거나 증설하기 위한 굴착 작업시에는 굴착 과정에서 운전자가 지중선로관(4)의 위치를 잘 알지 못하는 상태에서 굴착작업을 수행하여도 지중선로관(4)의 매설 지점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어 굴착 진행 방향을 손쉽게 식별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부 주위에 의한 지중선로관(4)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굴착 작업시 굴착기의 버킷이 지중선로관(4) 인근에 위치하기도 전에 상기 매설 표시구(50)가 버킷에 걸려 외부로 노출되게 되고 이렇게 노출된 매설 표시구(50)에 표시된 지중선로관(4)의 지점과 진행방향을 예측하여 작업을 진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더불어 지중선로관(4)의 외측에 경도가 높은 플레이트 패널(30)이 외곽에 마감설치되어 있고, 이 플레이트 패널(30)을 연결 설치하고 있는 2조 한쌍의 설치대(10) 내에는 이러한 설치대(10)의 지중선로관(4)과의 연결 고정을 가능하게 하는 횡방향 이송축(13)과 종방향 이송축(14)이 외부 충격에 의해 완충 조절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운전자의 부주의에 의해 버킷이 지중선로관(4)측으로 인접할 경우 상호간의 마찰이 빚어지지 않도록 저지함과 동시에 저지되는 과정에서 밀리게 되는 플레이트 패널(30)과 연동하는 횡방향 이송축(13)과 종방향 이송축(14)에 의해 지중선로관(4)의 국부가 파손 및 변형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고, 여러 가지의 형태를 취할 수 있으나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인정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굴착시에 굴착기의 버킷에 의해 지중선로관의 위치를 표시 및 경고하여 파손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다양한 직경의 지중 선로관에 연결 사용할 수 있으며, 지반의 부등침하 현상에 의해 지중선로관이 유동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고, 우천시 지반으로 침투하는 침투수가 지중선로관으로 근접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하여 지반 침투수에 의한 누수에 의해 발생하는 지중선로관의 오염 및 부식 현상을 지연시킬 수 있으며, 누수에 의한 누전 현상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마주하는 상부 끝단에는 볼트(1)와 너트(2)를 이용한 접합이 가능한 접합 플랜지(11a),(11b)가 형성되어 있고, 일정간격을 두고 마주할 수 있게 내측으로 향하도록 절곡 형성되어 있는 하단은 스프링(1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횡방향 신축 조절이 가능한 횡방향 이송축(13)이 연결 설치되어 있으며, 수직부(14) 외측에는 수직 나사공(15)을 일체로 형성하고 있는 수개의 고정대(16)가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경사부(17)에는 수개의 고정공(18)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2조 한쌍의 설치대(10)와;
    상부에는 마주하는 설치대(10)의 접합 플랜지(11a),(11b)의 사이에 위치되어 연결을 이룰 수 있는 연결 플랜지(21)가 형성되어 있고, 이 연결 플랜지(21)의 하부에는 스프링(2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종방향 신축 조절이 가능한 종방향 이송축(23)을 구비하고 있는 이송축 케이스(24)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축 케이스(24)의 양측에는 상기 2조 한쌍으로 이루어진 설치대(10)의 수직부(14)에 연결되어 가이드 이동을 이룰 수 있는 연결 지지바(25)가 구비되어 있는 승,하강 신축대(20)와;
    상기 2조 한쌍으로 이루어진 설치대(10)의 수직부(14)와 경사부(17)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대(16)의 수직 나사공(15)과 고정공(18)에 원심을 일치시켜 나사 고정을 이룰 수 있는 관통공(31) 수개가 등간격에 걸쳐 수개 형성되어 있는 플레이트 패널(30)과;
    길이방향 전,후방 하단에 설치대(10)의 경사부(17) 특정부위를 삽입 위치시킬 수 있는 걸림홈(41)이 등간격에 걸쳐 수개 형성되어 있고, 좌,우가 관통된 내측면 전,후방에는 굴신편(42)이 설치 형성되어 있는 상부 마감바(40)를 일체로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선로관 보호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마감바(40)의 상부에는 파낸 흙을 되메움하는 과정에서 매설된 지중선로관(4)의 깊이를 알려주기 위한 깊이 매설 표시구(50)의 와이어(51)를 연결 고정할 수 있도록 연결공(43)이 등간격으로 수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선로관 보호장치.
KR1020050079845A 2005-08-30 2005-08-30 지중선로관 보호장치 KR1005642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9845A KR100564298B1 (ko) 2005-08-30 2005-08-30 지중선로관 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9845A KR100564298B1 (ko) 2005-08-30 2005-08-30 지중선로관 보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4298B1 true KR100564298B1 (ko) 2006-03-29

Family

ID=37179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9845A KR100564298B1 (ko) 2005-08-30 2005-08-30 지중선로관 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4298B1 (ko)

Cited B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6459B1 (ko) 2006-03-14 2006-07-05 (주)서광전기컨설팅 공동주택용 지중선로 보호구
KR100614917B1 (ko) 2006-05-22 2006-08-25 주식회사 대명전기기술단 공동주택용 지하 매설 전선보호관
KR100733783B1 (ko) 2007-02-14 2007-07-04 제일엔지니어링 (주) 지중배전선로관용 보호장치
KR100747622B1 (ko) * 2007-05-18 2007-08-08 (주)창민기술단 매설된 상하수도관의 침하표시장치
KR100772147B1 (ko) 2007-07-27 2007-10-31 상진기술엔지니어링(주) 지하에 매설되는 지중배전선 연결관
KR100772200B1 (ko) 2007-07-27 2007-11-01 율삼엔지니어링(주) 지중배선 및 공동기반설비 보호용 매설배관
KR100772171B1 (ko) 2007-07-27 2007-11-01 (주)새롬전기 지중배전용 케이블의 배선구조
KR100772138B1 (ko) 2007-07-27 2007-11-06 (주)혜광전기감리 지중매설형 배전선 연결구조
KR100786761B1 (ko) 2007-07-27 2007-12-18 (주)새롬전기 매설형 배전선의 배관연결구조
KR100786787B1 (ko) 2007-07-27 2007-12-18 (주)혜광전기감리 지중배치를 위한 지중전선 배선용 고정관
KR100788437B1 (ko) 2007-07-27 2007-12-24 상진기술엔지니어링(주) 지중배전선의 고정용 지지관
KR100849172B1 (ko) 2008-04-24 2008-07-30 주식회사 하나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 장치
KR100853672B1 (ko) 2008-03-05 2008-08-25 (주)영종합기술단 지중선로 보호구
KR100882779B1 (ko) * 2008-07-22 2009-02-09 주식회사 동보 지중 전력 케이블 받침대
KR100909597B1 (ko) 2009-01-30 2009-07-24 (주)서전종합전기 지중 전력선 설치 장치
KR200446219Y1 (ko) 2009-07-09 2009-10-09 주식회사 세홍이엔씨 직선지중선로용 피이티 투명보호구
KR100922491B1 (ko) 2009-07-14 2009-10-20 주식회사 엠피코씨엠 지중배전용 케이블 방호장치
KR100943190B1 (ko) 2009-09-21 2010-02-19 박혜숙 지중 배전의 배전선 보호장치
KR101030350B1 (ko) 2009-10-26 2011-04-20 세연전력기술단주식회사 매설된 배전 지중 케이블에 의한 감전방지를 위한 보안장치
KR101625799B1 (ko) * 2015-05-15 2016-05-31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상하수도 매설관 위치확인장치의 설치방법
KR20160135076A (ko) * 2015-05-15 2016-11-24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상하수도 매설관 위치확인장치
KR102628706B1 (ko) * 2023-02-10 2024-01-24 (주)엠에스제이텍 통신구 관리시스템

Cited B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6459B1 (ko) 2006-03-14 2006-07-05 (주)서광전기컨설팅 공동주택용 지중선로 보호구
KR100614917B1 (ko) 2006-05-22 2006-08-25 주식회사 대명전기기술단 공동주택용 지하 매설 전선보호관
KR100733783B1 (ko) 2007-02-14 2007-07-04 제일엔지니어링 (주) 지중배전선로관용 보호장치
KR100747622B1 (ko) * 2007-05-18 2007-08-08 (주)창민기술단 매설된 상하수도관의 침하표시장치
KR100788437B1 (ko) 2007-07-27 2007-12-24 상진기술엔지니어링(주) 지중배전선의 고정용 지지관
KR100772200B1 (ko) 2007-07-27 2007-11-01 율삼엔지니어링(주) 지중배선 및 공동기반설비 보호용 매설배관
KR100772171B1 (ko) 2007-07-27 2007-11-01 (주)새롬전기 지중배전용 케이블의 배선구조
KR100772138B1 (ko) 2007-07-27 2007-11-06 (주)혜광전기감리 지중매설형 배전선 연결구조
KR100786761B1 (ko) 2007-07-27 2007-12-18 (주)새롬전기 매설형 배전선의 배관연결구조
KR100786787B1 (ko) 2007-07-27 2007-12-18 (주)혜광전기감리 지중배치를 위한 지중전선 배선용 고정관
KR100772147B1 (ko) 2007-07-27 2007-10-31 상진기술엔지니어링(주) 지하에 매설되는 지중배전선 연결관
KR100853672B1 (ko) 2008-03-05 2008-08-25 (주)영종합기술단 지중선로 보호구
KR100849172B1 (ko) 2008-04-24 2008-07-30 주식회사 하나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 장치
KR100882779B1 (ko) * 2008-07-22 2009-02-09 주식회사 동보 지중 전력 케이블 받침대
KR100909597B1 (ko) 2009-01-30 2009-07-24 (주)서전종합전기 지중 전력선 설치 장치
KR200446219Y1 (ko) 2009-07-09 2009-10-09 주식회사 세홍이엔씨 직선지중선로용 피이티 투명보호구
KR100922491B1 (ko) 2009-07-14 2009-10-20 주식회사 엠피코씨엠 지중배전용 케이블 방호장치
KR100943190B1 (ko) 2009-09-21 2010-02-19 박혜숙 지중 배전의 배전선 보호장치
KR101030350B1 (ko) 2009-10-26 2011-04-20 세연전력기술단주식회사 매설된 배전 지중 케이블에 의한 감전방지를 위한 보안장치
KR101625799B1 (ko) * 2015-05-15 2016-05-31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상하수도 매설관 위치확인장치의 설치방법
KR20160135076A (ko) * 2015-05-15 2016-11-24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상하수도 매설관 위치확인장치
KR101698206B1 (ko) * 2015-05-15 2017-01-20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상하수도 매설관 위치확인장치
KR102628706B1 (ko) * 2023-02-10 2024-01-24 (주)엠에스제이텍 통신구 관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4298B1 (ko) 지중선로관 보호장치
KR100733783B1 (ko) 지중배전선로관용 보호장치
KR101565933B1 (ko) 건축단지 지하 매설용 전기 및 통신 케이블 지중관로 보호구
KR100942724B1 (ko) 송배전 지중 케이블 보호관
KR100957234B1 (ko) 지중케이블 보호관
KR101064623B1 (ko) 지중선로 보호구
KR101082905B1 (ko) 지중배전선 보호용 절연관
KR100830883B1 (ko) 지중 케이블 보호관
KR100596459B1 (ko) 공동주택용 지중선로 보호구
KR101034653B1 (ko) 관로 보호대
KR101264909B1 (ko) 배전 케이블 지중 설치장치
KR100835931B1 (ko) 배전 지중 케이블 보호관
KR100592663B1 (ko) 지중 케이블 보호관
US9225156B2 (en) Conduit spacer assembly
KR100805072B1 (ko) 공동주택용 지중선로 보호구
KR100736833B1 (ko) 지중 송전케이블 보호시설구조
KR102085579B1 (ko) 건축용 배전 지중 케이블 보호관
KR101454015B1 (ko) 지중 케이블관 보호시설
KR100853672B1 (ko) 지중선로 보호구
JP6018963B2 (ja) 勾配補正管路の構築方法およびこれに用いられる支持具
KR100889385B1 (ko) 건축단지내의 지중케이블 보호장치
KR100941030B1 (ko) 배전용 지중 전력 케이블 관로 보호구
CN212691076U (zh) 滑动式管道绝缘支架
KR100654219B1 (ko) 공동주택단지 지중에 매설되는 다용도 하수관
KR200314493Y1 (ko) 매설 관로 표시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