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5799B1 - 상하수도 매설관 위치확인장치의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상하수도 매설관 위치확인장치의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5799B1
KR101625799B1 KR1020150068308A KR20150068308A KR101625799B1 KR 101625799 B1 KR101625799 B1 KR 101625799B1 KR 1020150068308 A KR1020150068308 A KR 1020150068308A KR 20150068308 A KR20150068308 A KR 20150068308A KR 101625799 B1 KR101625799 B1 KR 1016257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installation space
buried pipe
housing body
plat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8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표범열
신희정
Original Assignee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50068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57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5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57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0Tunnels or galleries specially adapted to house conduits, e.g. oil pipe-lines, sewer pipes ; Making conduits in situ, e.g. of concrete ; Casings, i.e. manhole shafts, access or inspection chambers or coverings of boreholes or narrow we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02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6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corrosion by soil or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수도 매설관 위치확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위치확인장치 제작단계, 굴착단계, 매설관의 일측 하단부에 고정시키는 제1측단와이어 고정단계, 매설관의 타측 하단부에 고정시키는 제2측단와이어 고정단계, 매설관의 상단부에 고정시키는 상단와이어 고정단계, 제1매설단계, 고정하우징몸체를 매설관의 상측 지표면상에 설치하는 제2매설단계, 고정하우징몸체의 설치공간부에 위치시키는 유동하우징 설치단계, 상단설치공간부에 상단확인부의 상단승강대를 위치시키는 상단확인부 설치단계, 제1측단설치공간부에 제1측단확인부의 제1측단승강대를 위치시키는 제1측단확인부 설치단계, 제2측단설치공간부에 제2측단확인부의 제2측단승강대를 위치시키는 제2측단확인부 설치단계, 및 상기 고정하우징몸체의 설치공간부를 개폐시키기 위한 고정하우징커버를 설치하는 고정하우징커버 설치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상하수도 매설관 위치확인장치의 설치방법{Laying method of underground pipe locating devices}
본 발명은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매설관의 3차원 변위를 확인할 수 있는 위치확인장치를 설치하여 확인을 위한 굴착과정 없이 해당 매설관의 변위를 더욱 명확한 확인에 따른 신속하고, 정확한 대처를 할 수 있어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상하수도 매설관 위치확인장치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하수도관은 상수를 공급하거나 하수를 집수정 또는 하수처리장으로 안내하는 용도로 사용되며, 콘크리트로 제조된 수도관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수도관은 지하에 매설되며, 원거리에 상하수를 공급 또는 처리하기 위하여 일정한 길이로 제작된 다수 개의 수도관을 길이방향으로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다.
상하수도관과 콘크리트기초 사이에 상하수도관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가 설치되는데, 상기 상하수도관이 외부의 하중에 의하거나 연약지반에 설치되어 침하가 발생하는 경우 상하수도관과 지지대가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경우 지지대가 상하수도관을 지탱할 수 없게 되어 상하수도관이 부분적으로 파손되어 단수가 발생됨은 물론, 추후 원인확인작업과 보수작업 등에 의해 더욱 지연되어 주민들에게 불편을 끼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종래 등록특허 제10-0747622호에서 개진된 바와 같이, 매설된 관과의 거리를 확인하기 위한 스케일과 LED에 의해 침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지층에 설치된 매설관은 단순한 침하뿐 아니라, 진동이나 지각변동 등에 의해 상하변위뿐 아니라 전후, 좌우방향으로도 이동되는 것으로, 종래 침하표시장치에 의하면, 단순한 스케일의 수치로 3차원적인 변위를 정밀하게 확인할 수 없으며, 정밀 조사를 위해 다시 확인작업이 필요하여 보수작업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매설관의 위치를 3차원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하여 보수작업시간을 단축시켜 비용을 절감하고, 불편함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기술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위치확인장치 제작단계, 굴착단계, 매설관의 일측 하단부에 고정시키는 제1측단와이어 고정단계, 매설관의 타측 하단부에 고정시키는 제2측단와이어 고정단계, 매설관의 상단부에 고정시키는 상단와이어 고정단계, 제1매설단계, 고정하우징몸체를 매설관의 상측 지표면상에 설치하는 제2매설단계, 고정하우징몸체의 설치공간부에 위치시키는 유동하우징 설치단계, 상단설치공간부에 상단확인부의 상단승강대를 위치시키는 상단확인부 설치단계, 제1측단설치공간부에 제1측단확인부의 제1측단승강대를 위치시키는 제1측단확인부 설치단계, 제2측단설치공간부에 제2측단확인부의 제2측단승강대를 위치시키는 제2측단확인부 설치단계, 및 상기 고정하우징몸체의 설치공간부를 개폐시키기 위한 고정하우징커버를 설치하는 고정하우징커버 설치단계,를 포함하여 매설관의 변위확인을 위한 별도의 굴착 확인과정 없이 더욱 명확하게 변위를 확인할 수 있어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고,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상하수도 매설관 위치확인장치의 설치방법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상측으로 개방된 설치공간부를 갖고, 매설관의 상측 지표면에 설치되는 고정하우징몸체, 상기 고정하우징몸체의 설치공간부를 개폐시키기 위한 고정하우징커버, 상기 고정하우징몸체의 설치공간부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매설관의 상단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상단확인부, 상기 고정하우징몸체의 설치공간부 가장자리 중 일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매설관의 일측 하단부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제1측단확인부, 상기 고정하우징몸체의 설치공간부 가장자리 중 다른 일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매설관의 타측 하단부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제2측단확인부, 상기 상단확인부와 제1측단확인부, 제2측단확인부를 변위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하우징몸체에 설치하기 위한 유동하우징, 및 상기 상단확인부와 제1측단확인부, 제2측단확인부의 각 측정치를 수신받아 상기 매설관의 위치를 확인하는 제어부,를 갖고, 상기 상단확인부는 상단승강대와 상단와이어가 포함되며, 상기 제1측단확인부는 제1측단승강대와 제1측단와이어가 포함되고, 상기 제2측단확인부는 제2측단승강대와 제2측단와이어가 포함된 위치확인장치 제작단계, 매설관 주변 지층을 굴착하는 굴착단계, 상기 제1측단와이어의 타단을 노출된 상기 매설관의 일측 하단부에 고정시키는 제1측단와이어 고정단계, 상기 제2측단와이어의 타단을 노출된 상기 매설관의 타측 하단부에 고정시키는 제2측단와이어 고정단계, 상기 상단와이어의 타단을 노출된 상기 매설관의 상단부에 고정시키는 상단와이어 고정단계, 상기 각 와이어의 유동가능한 공간부를 확보하며, 상기 매설관 주변에 흙을 채우는 제1매설단계, 상기 각 와이어의 일단이 내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고정하우징몸체를 매설관의 상측 지표면상에 설치하는 제2매설단계, 내부에 상단설치공간부와 제1측단설치공간부, 제2측단설치공간부를 갖는 상기 유동하우징을 상기 고정하우징몸체의 설치공간부에 위치시키는 유동하우징 설치단계, 상기 상단설치공간부에 상기 상단확인부의 상단승강대를 위치시켜 상단와이어의 일단부를 고정시키되, 상단와이어는 텐션을 유지하도록 설치하는 상단확인부 설치단계, 상기 제1측단설치공간부에 상기 제1측단확인부의 제1측단승강대를 위치시켜 제1측단와이어의 일단부를 고정시키되, 제1측단와이어는 텐션을 유지하도록 설치하는 제1측단확인부 설치단계, 상기 제2측단설치공간부에 상기 제2측단확인부의 제2측단승강대를 위치시켜 제2측단와이어의 일단부를 고정시키되, 제2측단와이어는 텐션을 유지하도록 설치하는 제2측단확인부 설치단계, 및 상기 고정하우징몸체의 설치공간부를 개폐시키기 위한 고정하우징커버를 설치하는 고정하우징커버 설치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단확인부 설치단계는, 상기 상단확인부는 상단승강대를 상측으로 가압하는 상단스프링을 갖고, 상기 상단스프링을 상기 상단설치공간부에 위치시키는 상단스프링 설치단계, 설치된 상단스프링의 상측으로 상단승강대를 위치시키는 상단승강대 거치단계, 및 상기 상단와이어의 일단을 상기 상단승강대에 고정시키되, 상단승강대가 상단스프링을 압축시킨 상태로 상기 상단설치공간부의 중간부에 위치되도록 상단와이어의 일단을 당겨 고정시키는 상단승강대 설치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측단확인부 설치단계는, 상기 제1측단확인부는 제1측단승강대를 상측으로 가압하는 제1측단스프링을 갖고, 상기 제1측단스프링을 상기 제1측단설치공간부에 위치시키는 제1측단스프링 설치단계, 설치된 제1측단스프링의 상측으로 제1측단승강대를 위치시키는 제1측단승강대 거치단계, 및 상기 제1측단와이어의 일단을 상기 제1측단승강대에 고정시키되, 제1측단승강대가 제1측단스프링을 압축시킨 상태로 상기 제1측단설치공간부의 중간부에 위치되도록 제1측단와이어의 일단을 당겨 고정시키는 제1측단승강대 설치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측단확인부 설치단계는, 상기 제2측단확인부는 제2측단승강대를 상측으로 가압하는 제2측단스프링을 갖고, 상기 제2측단스프링을 상기 제2측단설치공간부에 위치시키는 제2측단스프링 설치단계, 설치된 제2측단스프링의 상측으로 제2측단승강대를 위치시키는 제2측단승강대 거치단계, 및 상기 제2측단와이어의 일단을 상기 제2측단승강대에 고정시키되, 제2측단승강대가 제2측단스프링을 압축시킨 상태로 상기 제2측단설치공간부의 중간부에 위치되도록 제2측단와이어의 일단을 당겨 고정시키는 제2측단승강대 설치단계,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매설관 위치확인장치에 의하면, 지하에 설치된 매설관의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위치확인장치를 설치할 수 있어 신속하게 대처함은 물론, 종래 방치에 의해 발생되는 손실을 절감 및 방지할 수 있어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확인장치의 설치방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확인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단확인부 설치단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측단확인부 설치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측단확인부 설치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확인장치의 설치방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확인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단확인부 설치단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측단확인부 설치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측단확인부 설치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매설관 위치확인장치의 설치방법은 위치확인장치 제작단계(S10)와 굴착단계(S20), 제1측단와이어 고정단계(S30), 제2측단와이어 고정단계(S40), 상단와이어 고정단계(S50), 제1매설단계(S60), 제2매설단계(S70), 유동하우징 설치단계(S80), 상단확인부 설치단계(S90), 제1측단확인부 설치단계(S100), 제2측단확인부 설치단계(S110) 및 고정하우징커버 설치단계(S120)를 포함한다.
위치확인장치 제작단계(S10)는 위치확인장치를 제작하는 것으로, 이 매설관 위치확인장치(10)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하우징몸체(100)와 고정하우징커버(200), 상단확인부(300), 제1측단확인부(400), 제2측단확인부(500), 유동하우징(600) 및 제어부(700)로 구성된다.
고정하우징몸체(100)는 내부에 상측으로 개방된 설치공간부(110)를 갖고, 매설관(20)의 상측 지표면에 설치된다.
그리고 고정하우징커버(200)는 고정하우징몸체(100)의 설치공간부(110)를 개폐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고정하우징커버(200)는 투명창(210)이 구비되어 고정하우징몸체(100)의 설치공간부(110)에 위치된 상단확인부(300)와 제1측단확인부(400), 제2측단확인부(500)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상단확인부(300)는 고정하우징몸체(100)의 설치공간부(110) 중앙에 설치되어 매설관(20)의 상단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제1측단확인부(400)는 고정하우징몸체(100)의 설치공간부(110) 가장자리 중 일부분에 설치되어 매설관(20)의 일측 하단부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구비된다.
제2측단확인부(500)는 고정하우징몸체(100)의 설치공간부(110) 가장자리 중 다른 일부분에 설치되어 매설관(20)의 타측 하단부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유동하우징(600)은 상단확인부(300)와 제1측단확인부(400), 제2측단확인부(500)를 변위 가능하도록 고정하우징몸체(100)에 설치하기 위해 구비된다.
제어부(700)는 상단확인부(300)와 제1측단확인부(400), 제2측단확인부(500)의 각 측정치를 수신받아 매설관(20)의 위치를 확인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상단확인부(300)는 매설관(20)의 중심점을 지나는 수직선상(A1)에 위치되며, 제1측단확인부(400)와 제2측단확인부(500)는 상단확인부(300)를 기준으로 상호 각 120°로 위치되어 매설관(20)의 해당 위치의 변위를 확인한다.
이를 위한, 유동하우징(600)은 유동하우징몸체(610)와 상단설치공간부(620), 제1측단설치공간부(630) 및 제2측단설치공간부(640)로 구성된다.
유동하우징몸체(610)는 고정하우징몸체(100)의 설치공간부(110)에 위치되고, 상단설치공간부(620)는 상단확인부(300)가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유동하우징몸체(610)의 중앙부에 상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1측단설치공간부(630)는 제1측단확인부(400)가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상단설치공간부(620)와 이격되게 유동하우징몸체(610)의 가장자리 일부에 상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제2측단설치공간부(640)는 제2측단확인부(500)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상단설치공간부(620)와 이격되게 유동하우징몸체(610)의 가장자리 다른 일부에 상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이 유동하우징몸체(610)를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단설치공간부(620)를 수직으로 지나는 연장선(A2)을 기준으로, 제1측단설치공간부(630)는 좌측 일부에 형성되고, 제2측단설치공간부(640)는 우측 일부에 형성된다.
이때, 제2측단설치공간부(640)는 상단설치공간부(620)를 수직으로 지나는 연장선(A2)을 기준으로, 제1측단설치공간부(630)와 대칭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단확인부(300)는 상단승강대(310)와 상단스프링(320), 상단설치공(330), 상단연결공(340), 상단와이어(350) 및 상단측정부(360)로 구성된다.
상단승강대(310)는 상단설치공간부(620)에서 유동가능하게 위치되고, 상단스프링(320)은 상단승강대(310)를 상측으로 가압하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상단설치공(330)은 상단설치공간부(620)의 하측으로 연통되도록 유동하우징몸체(610)에 형성되고, 상단연결공(340)은 상단설치공(330)과 연통되도록 고정하우징몸체(100)에 형성된다.
상단와이어(350)는 일단이 상단승강대(310)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단설치공(330)과 상단연결공(340)을 거쳐 매설관(20)의 상단부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단측정부(360)는 상단와이어(350)에 의해 매설관(20)이 연결된 상단승강대(310)의 변위를 측정하게 된다.
여기서, 상단와이어(350)는 텐션이 유지된 상태로 설치되되, 상단승강대(310)가 상단스프링(320)을 압축시킨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치된다.
다시 말해, 매설관(20)과 연결된 상단와이어(350)에 의해 상단승강대(310)가 상단설치공간부(620)의 중간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상단승강대(310)는 매설관(20)의 변위에 따라 동일하게 이동되고, 상단측정부(360)에 의해 상단승강대(310)의 변위상태를 확인하게 된다.
또한 제1측단확인부(400)는 제1측단승강대(410)와 제1측단스프링(420), 제1측단설치공(430), 제1측단연결공(440), 제1도르래부(450), 제1측단와이어(460) 및 제1측단측정부(470)로 구성된다.
제1측단승강대(410)는 제1측단설치공간부(630)에서 유동가능하게 위치되고, 제1측단스프링(420)은 제1측단승강대(410)를 상측으로 가압하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제1측단설치공(430)은 제1측단설치공간부(630)의 하측으로 연통되도록 유동하우징몸체(610)에 형성된다.
제1측단연결공(440)은 제1측단설치공(430)과 연통되도록 고정하우징몸체(100)에 형성되고, 제1도르래부(450)는 매설관(20)의 일측 하단부와 이격된 지층에 고정된다.
또한 제1측단와이어(460)는 일단이 제1측단승강대(410)에 고정되고, 타단은 제1측단설치공(430)과 제1측단연결공(440), 제1도르래부(450)를 거쳐 매설관(20)의 일측 하단부에 고정된다.
제1측단측정부(470)는 제1측단와이어(460)에 의해 매설관(20)이 연결된 제1측단승강대(410)의 변위를 측정하게 된다.
여기서, 제1측단와이어(460)는 텐션이 유지된 상태로 설치되되, 제1측단승강대(410)가 제1측단스프링(420)을 압축시킨 상태를 유지한다.
다시 말해, 매설관(20)과 연결된 제1측단와이어(460)에 의해 제1측단승강대(410)가 제1측단설치공간부(630)에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제1측단승강대(410)는 매설관(20)의 변위에 따라 동일하게 이동되고, 제1측단측정부(470)에 의해 제1측단승강대(410)의 변위상태를 확인하게 된다.
그리고 제2측단확인부(500)는 제2측단승강대(510)와 제2측단스프링(520), 제2측단설치공(530), 제2측단연결공(540), 제2도르래부(550), 제2측단와이어(560) 및 제2측단측정부(570)로 구성된다.
제2측단승강대(510)는 제2측단설치공간부(640)에서 유동가능하게 위치되고, 제2측단스프링(520)은 제2측단승강대(510)를 상측으로 가압하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제2측단설치공(530)은 제2측단설치공간부(640)의 하측으로 연통되도록 유동하우징몸체(610)에 형성되고, 제2측단연결공(540)은 제2측단설치공(530)과 연통되도록 고정하우징몸체(100)에 형성된다.
제2도르래부(550)는 매설관(20)의 타측 하단부와 이격된 지층에 고정되고, 제2측단와이어(560)는 일단이 제2측단승강대(510)에 고정되고, 타단은 제2측단설치공(530)과 제2측단연결공(540), 제2도르래부(550)를 거쳐 매설관(20)의 타측 하단부에 고정된다.
그리고 제2측단측정부(570)는 제2측단와이어(560)에 의해 매설관(20)이 연결된 제2측단승강대(510)의 변위를 측정하게 된다.
여기서, 제2측단와이어(560)는 텐션이 유지된 상태로 설치되되, 제2측단승강대(510)가 제2측단스프링(520)을 압축시킨 상태를 유지한다.
다시 말해, 매설관(20)과 연결된 제2측단와이어(560)에 의해 제2측단승강대(510)가 제2측단설치공간부(640)에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제2측단승강대(510)는 매설관(20)의 변위에 따라 동일하게 이동되고, 제2측단측정부(570)에 의해 제2측단승강대(510)의 변위상태를 확인하게 된다.
이때, 상단설치공(330)과 제1측단설치공(430), 제2측정설치공(530)은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증가되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 상단설치공(330)과 제1측단설치공(430), 제2측정설치공(530)은 고깔형상으로,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확장되도록 형성됨에 따라, 각 와이어(350, 460, 560)의 타단이 다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 상단설치공(330)과 제1측단설치공(430), 제2측정설치공(530)과 연통된 상단연결공(340)과 제1측단연결공(440), 제2측단연결공(440) 역시, 하측으로 갈수록 확장되게 형성된다.
이에, 매설관(20)이 평면상이 아닌 3차원상에서 이동되어도 텐션을 유지하면 함께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각 측정부(360, 470, 570)는 해당 승강대(310, 410, 510)의 X축과 Y축, Z축 이동거리에 대한 측정치를 제어부(700)로 전송하게 되고, 제어부(700)는 각 측정부(360, 470, 570)에서 전송된 측정치를 연산하여 매설관(20)의 변위값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매설관(20)이 관통설치되고, 매설관 위치확인장치(10)를 감싸기 위한 케이스(8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800)는 각 와이어(350, 460, 560)가 이동될 수 있는 이동공간부(810)가 형성되고, 제1도르래부(450)와 제2도르래부(550)가 내부에 설치됨에 따라, 외부충격이나 이물질 등으로부터 보호하게 된다.
매설관(20)이 관통되는 케이스(800) 중간부는 매설관(20) 외주면과 밀폐되어 이물질이나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매설관(20)이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도록 유연성을 갖는 재질의 연결부(82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굴착단계(S20)는 매설관(20) 주변 지층을 굴착하게 된다.
제1측단와이어 고정단계(S30)는 제1측단와이어(460)의 타단을 노출된 매설관(20)의 일측 하단부에 고정시킨다.
또한 제2측단와이어 고정단계(S40)는 제2측단와이어(560)의 타단을 노출된 매설관(20)의 타측 하단부에 고정시킨다.
상단와이어 고정단계(S50)는 상단와이어(350)의 타단을 노출된 매설관(20)의 상단부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제1매설단계(S60)는 각 와이어(350, 460, 560)의 유동가능한 공간부를 확보하며, 매설관 주변에 흙을 채우게 된다.
제2매설단계(S70)는 각 와이어(350, 460, 560)의 일단이 내부에 위치되도록 고정하우징몸체(100)를 매설관(20)의 상측 지표면상에 설치하여 남은 지층을 충진시켜 매설하게 된다.
또한 유동하우징 설치단계(S80)는 내부에 상단설치공간부(620)와 제1측단설치공간부(630) 및 제2측단설치공간부(640)를 갖는 유동하우징(600)을 고정하우징몸체(100)의 설치공간부(110)에 위치시키게 된다.
상단확인부 설치단계(S90)는 상단설치공간부(620)에 상단확인부(300)의 상단승강대(310)를 위치시켜 상단와이어(350)의 일단부를 고정시키되, 상단와이어(350)는 텐션을 유지하도록 설치하게 된다.
그리고 제1측단확인부 설치단계(S100)는 제1측단설치공간부(630)에 제1측단확인부(400)의 제1측단승강대(410)를 위치시켜 제1측단와이어(460)의 일단부를 고정시키되, 제1측단와이어(460)는 텐션을 유지하도록 설치하게 된다.
제2측단확인부 설치단계(S110)는 제2측단설치공간부(640)에 제2측단확인부(500)의 제2측단승강대(510)를 위치시켜 제2측단와이어(560)의 일단부를 고정시키되, 제2측단와이어(560)는 텐션을 유지하도록 설치하게 된다.
또한 고정하우징커버 설치단계(S120)는 고정하우징몸체(100)의 설치공간부(110)를 개폐시키기 위한 고정하우징커버(200)를 설치함에 따라, 매설관 위치확인장치의 설치가 마무리된다.
여기서,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확인부 설치단계(S90)는 상단스프링 설치단계(S91)와 상단승강대 거치단계(S92) 및 상단승강대 설치단계(S93)로 구성된다.
상단스프링 설치단계(S91)는 상단스프링(320)을 상단설치공간부(620)에 위치시키고, 상단승강대 거치단계(S92)는 설치된 상단스프링(320)의 상측으로 상단승강대(310)를 위치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단승강대 설치단계(S93)는 상단와이어(350)의 일단을 상단승강대(310)에 고정시키되, 상단승강대(310)가 상단스프링(320)을 압축시킨 상태로 상단설치공간부(620)의 중간부에 위치되도록 상단와이어(350)의 일단을 당겨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측단확인부 설치단계(S100)는 제1측단스프링 설치단계(S101)와 제1측단승강대 거치단계(S102) 및 제1측단승강대 설치단계(S103)로 구성된다.
제1측단스프링 설치단계(S101)는 제1측단스프링(420)을 제1측단설치공간부(630)에 위치시키고, 제1측단승강대 거치단계(S102)는 설치된 제1측단스프링(420)의 상측으로 제1측단승강대(410)를 위치시키게 된다.
그리고 제1측단승강대 설치단계(S103)는 제1측단와이어(460)의 일단을 제1측단승강대(410)에 고정시키되, 제1측단승강대(410)가 제1측단스프링(420)을 압축시킨 상태로 제1측단설치공간부(630)의 중간부에 위치되도록 제1측단와이어(460)의 일단을 당겨 고정시킨다.
또한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측단확인부 설치단계(S110)는 제2측단스프링 설치단계(S111)와 제2측단승강대 거치단계(S112) 및 제2측단승강대 설치단계(S113)로 구성된다.
제2측단스프링 설치단계(S111)는 제2측단스프링(520)을 제2측단설치공간부(640)에 위치시키고, 제2측단승강대 거치단계(S112)는 설치된 제2측단스프링(520)의 상측으로 제2측단승강대(510)를 위치시키게 된다.
그리고 제2측단승강대 설치단계(S113)는 제2측단와이어(560)의 일단을 제2측단승강대(510)에 고정시키되, 제2측단승강대(510)가 제2측단스프링(520)을 압축시킨 상태로 제2측단설치공간부(640)의 중간부에 위치되도록 제2측단와이어(560)의 일단을 당겨 고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매설관 위치확인장치(10)는 각 확인부(300, 400, 500)의 측정치를 제어부(700)에서 연산함에 따라, 3차원적인 이동까지 확인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10 : 위치확인장치 20 : 매설관
100 : 고정하우징몸체 200 : 고정하우징커버
300 : 상단확인부 310 : 상단승강대
320 : 상단스프링 330 : 상단설치공
340 : 상단연결공 350 : 상단와이어
360 : 상단측정부 400 : 제1측단확인부
410 : 제1측단승강대 420 : 제1측단스프링
430 : 제1측단설치공 440 : 제1측단연결공
450 : 제1도르래부 460 : 제1측단와이어
470 : 제1측단측정부 500 : 제2측단확인부
510 : 제2측단승강대 520 : 제2측단스프링
530 : 제2측단설치공 540 : 제2측단연결공
550 : 제2도르래부 560 : 제2측단와이어
570 : 제2측단측정부 600 : 유동하우징
610 : 유동하우징몸체 620 : 상단설치공간부
630 : 제1측단설치공간부 640 : 제2측단설치공간부
700 : 제어부 800 : 케이스

Claims (4)

  1. 내부에 상측으로 개방된 설치공간부를 갖고, 매설관의 상측 지표면에 설치되는 고정하우징몸체(100), 상기 고정하우징몸체의 설치공간부를 개폐시키기 위한 고정하우징커버(200), 상기 고정하우징몸체의 설치공간부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매설관의 상단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상단확인부(300), 상기 고정하우징몸체의 설치공간부 가장자리 중 일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매설관의 일측 하단부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제1측단확인부(400), 상기 고정하우징몸체의 설치공간부 가장자리 중 다른 일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매설관의 타측 하단부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제2측단확인부(500), 상기 상단확인부와 제1측단확인부, 제2측단확인부를 변위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하우징몸체에 설치하기 위한 유동하우징(600), 및 상기 상단확인부와 제1측단확인부, 제2측단확인부의 각 측정치를 수신받아 상기 매설관의 위치를 확인하는 제어부(700),를 갖고, 상기 상단확인부(300)는 상단승강대(310)와 상단와이어(350)가 포함되며, 상기 제1측단확인부(400)는 제1측단승강대(410)와 제1측단와이어(460)가 포함되고, 상기 제2측단확인부(500)는 제2측단승강대(510)와 제2측단와이어(560)가 포함된 위치확인장치 제작단계;
    매설관 주변 지층을 굴착하는 굴착단계;
    상기 제1측단와이어의 타단을 노출된 상기 매설관의 일측 하단부에 고정시키는 제1측단와이어 고정단계;
    상기 제2측단와이어의 타단을 노출된 상기 매설관의 타측 하단부에 고정시키는 제2측단와이어 고정단계;
    상기 상단와이어의 타단을 노출된 상기 매설관의 상단부에 고정시키는 상단와이어 고정단계;
    상기 각 와이어의 유동가능한 공간부를 확보하며, 상기 매설관 주변에 흙을 채우는 제1매설단계;
    상기 각 와이어의 일단이 내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고정하우징몸체를 매설관의 상측 지표면상에 설치하는 제2매설단계;
    내부에 상단설치공간부와 제1측단설치공간부, 제2측단설치공간부를 갖는 상기 유동하우징을 상기 고정하우징몸체의 설치공간부에 위치시키는 유동하우징 설치단계;
    상기 상단설치공간부에 상기 상단확인부의 상단승강대를 위치시켜 상단와이어의 일단부를 고정시키되, 상단와이어는 텐션을 유지하도록 설치하는 상단확인부 설치단계;
    상기 제1측단설치공간부에 상기 제1측단확인부의 제1측단승강대를 위치시켜 제1측단와이어의 일단부를 고정시키되, 제1측단와이어는 텐션을 유지하도록 설치하는 제1측단확인부 설치단계;
    상기 제2측단설치공간부에 상기 제2측단확인부의 제2측단승강대를 위치시켜 제2측단와이어의 일단부를 고정시키되, 제2측단와이어는 텐션을 유지하도록 설치하는 제2측단확인부 설치단계; 및
    상기 고정하우징몸체의 설치공간부를 개폐시키기 위한 고정하우징커버를 설치하는 고정하우징커버 설치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유동하우징(600)은,
    상기 고정하우징몸체(100)의 설치공간부(110)에 위치되는 유동하우징몸체(610);
    상기 상단확인부(300)가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유동하우징몸체(610)의 중앙부에 상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상단설치공간부(620);
    상기 제1측단확인부(400)가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상단설치공간부(620)와 이격되게 유동하우징몸체(610)의 가장자리 일부에 상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제1측단설치공간부(630); 및
    상기 제2측단확인부(500)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상단설치공간부(620)와 이격되게 유동하우징몸체(610)의 가장자리 다른 일부에 상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제2측단설치공간부(640)를 포함하고,
    상기 상단확인부(300)는,
    상기 상단설치공간부(620)에서 유동가능하게 위치되는 상단승강대(310);
    상기 상단승강대(310)를 상측으로 가압하기 위해 구비되는 상단스프링(320);
    상기 상단설치공간부(620)의 하측으로 연통되도록 유동하우징몸체(610)에 형성되는 상단설치공(330);
    상기 상단설치공(330)과 연통되도록 고정하우징몸체(100)에 형성되는 상단연결공(340);
    일단이 상단승강대(310)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단설치공(330)과 상단연결공(340)을 거쳐 매설관(20)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상단와이어(350); 및
    상단와이어(350)에 의해 매설관(20)이 연결된 상단승강대(310)의 변위를 측정하기 위한 상단측정부(360);를 포함하고,
    상기 제1측단확인부(400)는,
    상기 제1측단설치공간부(630)에서 유동가능하게 위치되는 제1측단승강대(410);
    상기 제1측단승강대(410)를 상측으로 가압하기 위해 구비되는 제1측단스프링(420);
    상기 제1측단설치공간부(630)의 하측으로 연통되도록 유동하우징몸체(610)에 형성되는 제1측단설치공(430);
    상기 제1측단설치공(430)과 연통되도록 고정하우징몸체(100)에 형성되는 제1측단연결공(440);
    상기 매설관(20)의 일측 하단부와 이격된 지층에 고정되는 제1도르래부(450);
    일단이 제1측단승강대(410)에 고정되고, 타단은 제1측단설치공(430)과 제1측단연결공(440), 제1도르래부(450)를 거쳐 매설관(20)의 일측 하단부에 고정되는 제1측단와이어(460); 및
    상기 제1측단와이어(460)에 의해 매설관(20)이 연결된 제1측단승강대(410)의 변위를 측정하기 위한 제1측단측정부(470);를 포함하고,
    상기 제2측단확인부(500)는,
    상기 제2측단설치공간부(640)에서 유동가능하게 위치되는 제2측단승강대(510);
    상기 제2측단승강대(510)를 상측으로 가압하기 위해 구비되는 제2측단스프링(520);
    상기 제2측단설치공간부(640)의 하측으로 연통되도록 유동하우징몸체(610)에 형성되는 제2측단설치공(530);
    상기 제2측단설치공(530)과 연통되도록 고정하우징몸체(100)에 형성되는 제2측단연결공(540);
    상기 매설관(20)의 타측 하단부와 이격된 지층에 고정되는 제2도르래부(550);
    일단이 제2측단승강대(510)에 고정되고, 타단은 제2측단설치공(530)과 제2측단연결공(540), 제2도르래부(550)를 거쳐 매설관(20)의 타측 하단부에 고정되는 제2측단와이어(560); 및
    상기 제2측단와이어(560)에 의해 매설관(20)이 연결된 제2측단승강대(510)의 변위를 측정하기 위한 제2측단측정부(570);를 포함하고,
    상기 상단확인부 설치단계는,
    상기 상단확인부는 상단승강대를 상측으로 가압하는 상단스프링을 갖고, 상기 상단스프링을 상기 상단설치공간부에 위치시키는 상단스프링 설치단계;
    설치된 상단스프링의 상측으로 상단승강대를 위치시키는 상단승강대 거치단계; 및
    상기 상단와이어의 일단을 상기 상단승강대에 고정시키되, 상단승강대가 상단스프링을 압축시킨 상태로 상기 상단설치공간부의 중간부에 위치되도록 상단와이어의 일단을 당겨 고정시키는 상단승강대 설치단계;를 포함되고,
    상기 제1측단확인부 설치단계는,
    상기 제1측단확인부는 제1측단승강대를 상측으로 가압하는 제1측단스프링을 갖고, 상기 제1측단스프링을 상기 제1측단설치공간부에 위치시키는 제1측단스프링 설치단계;
    설치된 제1측단스프링의 상측으로 제1측단승강대를 위치시키는 제1측단승강대 거치단계; 및
    상기 제1측단와이어의 일단을 상기 제1측단승강대에 고정시키되, 제1측단승강대가 제1측단스프링을 압축시킨 상태로 상기 제1측단설치공간부의 중간부에 위치되도록 제1측단와이어의 일단을 당겨 고정시키는 제1측단승강대 설치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측단확인부 설치단계는,
    상기 제2측단확인부는 제2측단승강대를 상측으로 가압하는 제2측단스프링을 갖고, 상기 제2측단스프링을 상기 제2측단설치공간부에 위치시키는 제2측단스프링 설치단계;
    설치된 제2측단스프링의 상측으로 제2측단승강대를 위치시키는 제2측단승강대 거치단계; 및
    상기 제2측단와이어의 일단을 상기 제2측단승강대에 고정시키되, 제2측단승강대가 제2측단스프링을 압축시킨 상태로 상기 제2측단설치공간부의 중간부에 위치되도록 제2측단와이어의 일단을 당겨 고정시키는 제2측단승강대 설치단계;를 포함하는 상하수도 매설관 위치확인장치의 설치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50068308A 2015-05-15 2015-05-15 상하수도 매설관 위치확인장치의 설치방법 KR1016257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8308A KR101625799B1 (ko) 2015-05-15 2015-05-15 상하수도 매설관 위치확인장치의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8308A KR101625799B1 (ko) 2015-05-15 2015-05-15 상하수도 매설관 위치확인장치의 설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5799B1 true KR101625799B1 (ko) 2016-05-31

Family

ID=56099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8308A KR101625799B1 (ko) 2015-05-15 2015-05-15 상하수도 매설관 위치확인장치의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579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4298B1 (ko) * 2005-08-30 2006-03-29 주식회사 이지건축 지중선로관 보호장치
KR100747622B1 (ko) * 2007-05-18 2007-08-08 (주)창민기술단 매설된 상하수도관의 침하표시장치
KR100772138B1 (ko) * 2007-07-27 2007-11-06 (주)혜광전기감리 지중매설형 배전선 연결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4298B1 (ko) * 2005-08-30 2006-03-29 주식회사 이지건축 지중선로관 보호장치
KR100747622B1 (ko) * 2007-05-18 2007-08-08 (주)창민기술단 매설된 상하수도관의 침하표시장치
KR100772138B1 (ko) * 2007-07-27 2007-11-06 (주)혜광전기감리 지중매설형 배전선 연결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1848B1 (ko) 공동주택 지중전력 케이블 방호장치
KR101367749B1 (ko) 배전용 지중전선 접속 브래킷
CN106052916B (zh) 一种用于填方工程的土压力盒埋设装置及方法
KR100667581B1 (ko) 연약지반에 매설되는 상하수도관 침하 계측장치
US10227222B2 (en) Precast concrete pit
CN108592830B (zh) 长输管道安装过程检测装置及使用方法
KR101625799B1 (ko) 상하수도 매설관 위치확인장치의 설치방법
KR101063326B1 (ko) 건축물의 지중 매설 고압케이블 보호용 블록 구조물
KR101645879B1 (ko) 상하수도 매설관 위치확인장치를 이용한 실시간 매설관 관리시스템
KR101698206B1 (ko) 상하수도 매설관 위치확인장치
CA2895732C (en) Prefab lift station
KR101645885B1 (ko) 매설관 위치확인장치의 위치제어시스템
KR100772138B1 (ko) 지중매설형 배전선 연결구조
KR101645884B1 (ko) 위치유지가 가능한 매설관 위치확인장치
KR100772200B1 (ko) 지중배선 및 공동기반설비 보호용 매설배관
CN214994477U (zh) 一种基坑内管道改迁结构
CN102797260A (zh) 降水井流量调节器
CN102587654A (zh) Pvc排水直埋管件施工工法
KR200270061Y1 (ko) 매설관 지지구
CN204962607U (zh) 用于逆作法地下施工的导光系统
KR100961212B1 (ko) 시공이 용이한 배관재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배관재
KR100991451B1 (ko) 상수도관의 침하상태 안전진단장치
CN116857432B (zh) 一种顶管装置及其顶管施工方法
KR100772147B1 (ko) 지하에 매설되는 지중배전선 연결관
CN212645689U (zh) 拉线式分层沉降监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