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1451B1 - 상수도관의 침하상태 안전진단장치 - Google Patents

상수도관의 침하상태 안전진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1451B1
KR100991451B1 KR1020100032579A KR20100032579A KR100991451B1 KR 100991451 B1 KR100991451 B1 KR 100991451B1 KR 1020100032579 A KR1020100032579 A KR 1020100032579A KR 20100032579 A KR20100032579 A KR 20100032579A KR 100991451 B1 KR100991451 B1 KR 1009914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supply pipe
opening
frame body
diagnosis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2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덕진
Original Assignee
(주)한맥도시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맥도시개발 filed Critical (주)한맥도시개발
Priority to KR1020100032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14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1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14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06Arrangements or methods for cleaning or refurbishing water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valves, in the pipe systems
    • E03B7/071Arrangement of safety devices in domestic pipe systems, e.g. devices for automatic shut-off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024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 F16L1/06Accessories therefor, e.g. anchors
    • F16L1/11Accessories therefor, e.g. anchors for the detection or protection of pipes in the groun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mechanical strain gaug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E03F2003/065Refurbishing of sewer pipes, e.g. by coating, lining

Abstract

본 발명은 상수도관의 침하상태 안전진단장치를 제공한다. 제공된 상수도관의 침하상태 안전진단장치는 상부가 개구된 함체의 형상으로 지면에 소정깊이 매설하되, 바닥면에 개구부가 마련되고, 상기 개구부의 모서리 인접한 일측에 개구홀이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의 내면에 다수개의 걸림돌기가 돌출형성된 매립틀체; 상기 매립틀체가 침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걸림돌기에 연결고정되며, 내측에 빗물이 투수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투수공이 마련되고, 외측에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되는 연결홈이 형성되며, 모서리부에 상기 개구홀과 연통을 이루는 연통공이 마련된 침하방지판; 사각틀 형상으로 상기 매립틀체의 바닥면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매립틀체에 삽입연결되며, 테두리부 내측에 하방으로 개구된 동작공간이 마련되고, 상부에 상기 동작공간과 연통을 이루는 복수개의 개방부가 마련되며, 상기 각 개방부에 투명소재의 투과창이 걸림연결된 덮개; 상기 투과창을 통해 상수도관의 침하정도를 표시할 수 있도록 상기 동작공간내에 체결홈을 갖는 표시구가 위치되며, 상기 표시구의 일측에는 표시구를 탄성력에 의해 미는 탄성스프링이 구비되고, 상기 체결홈에 2조1쌍으로 이루어져 내측에 수용홈을 갖는 가압고정구가 볼트체결방식으로 체결되며, 상기 수용홈에 와이어의 일단을 연결하되, 상기 와이어의 타단은 상기 개구홀과 연통공을 통해 상기 매립틀체의 하방으로 위치된 계측부 및상기 상수도관과 동작을 함께할 수 있도록 상기 상수도관의 하부 외면에 감싸도록 설치되며, 한 쌍의 반구형상의 링체 사이에는 연결바가 마련되고, 상기 링체의 양단에는 상기 와이어의 타단을 묶음연결할 수 있도록 연결공이 마련된 지지구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수도관의 수직승강 및 쏠림변화를 용이하게 계측하여 신속하게 대응할 있도록 함은 물론, 상수도관의 침하상태 안전진단장치의 구조개선을 통해 그 구조를 단순화시킴은 물론, 별도의 전기공급 없이도 침하상태를 계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작비용과 유지보수비용의 절감 및 시공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상수도관의 침하상태 안전진단장치{Measurement apparatus for underground water supply pipe of ground}
본 발명은 침하상태 안전진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수도관에 설치되어 상수도관의 수직승강 및 쏠림변화를 용이하게 계측하여 관리자가 신속하게 대응할 있도록 함은 물론, 상수도관의 침하상태 안전진단장치의 설치과정에서 이들의 지면노출을 최소화 함으로써, 안전진단장치의 설치 후에도 사람들이 용이하게 통행하며 생활할 수 있도록 하고, 상수도관의 침하상태 안전진단장치의 구조개선을 통해 그 구조를 단순화시키며, 별도의 전기공급 없이도 침하상태를 계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작비용과 유지보수비용의 절감 및 시공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상수도관의 침하상태 안전진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 주택 및 각종 시설에 상수를 공급하는 상수도관과 상기 시설들에서 배수되는 하수 처리용 하수도관은 각각 일정한 직경과 길이를 갖는 다수개가 서로 연통되게 연결한 구조물로서, 지상의 공간확보 및 생활환경미화를 위해 지면에 충분한 공간으로 만들어 이곳에 매설된 후 토사로 되메우기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상수도관의 매설을 보면 단순히 땅을 파서 그곳에 상수도관을 넣은 후 다시 땅을 덮는 방식이므로, 시공이 간편하여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특히, 도심지의 경우에는 상수도관의 주변부에 위치되는 토사를 다져 토사들 간의 조밀도를 높이는 한편, 상수도관이 매설된 지면 상에 콘크리트나 아스팔트 등을 도포함으로서, 지반의 침하 및 붕괴로 인한 상수도관의 파손위험이 최소화되었다.
하지만, 하천유역 또는 강수량이 많은 산간지역 등 지반의 붕괴와 부분적인 침하가 빈번한 곳과 같은 연약지반에서는 상기한 시공법만으로는 상수도관을 매설하는데 한계가 있다. 즉, 상기한 시공법은 상수도관이 일방향으로 길게 연결되어 횡압력에 대한 지지력이 극히 미약하므로, 상수도관 매설지의 경미한 지반침하로도 상수도관이 쉽게 휘거나 뒤틀리면서 그 일부의 파손 및 틈이 발생될 수 있고, 이러한 틈을 통해 누수 및 외부 이물질의 유입이 발생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근래 들어 토지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해 지하의 활용이 빈번한 도심지에서도, 상수도관의 매설지와 지하공사현장이 상호 간섭되어, 공사중의 실수로 인해 지반이 붕괴되는 사고가 잦아졌다.
이와 같이, 상수도관을 지지하는 지반이 붕괴되거나 약화되어 상수도관의 일부분이 침하되게 되면, 상수도관의 연결부가 뒤틀리거나 휨이 일어나면서 상수도관의 일부에 파손 및 크랙 등이 발생 될 수 있었고 더불어, 파손 및 크랙이 발생 된 부분으로 누수 및 오염물질의 유입이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수도관의 침하 정도를 미리 예측하기 위한 안전진단장치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종래 상수도관 침하상태 안전진단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종래 상수도관 침하상태 안전진단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상수도관 침하상태 안전진단장치는 상부를 향해 개방되며 내부에 한 쌍의 볼트가 세워짐과 아울러 한 쌍의 통공이 구비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를 개폐하는 뚜껑으로 이루어진 계측박스(10)와;
반원형 단면으로 형성되어 연약지반에 매설되는 상수도관의 저면에서 지지하는 받침판과;
양측에 상기 계측박스(10)의 볼트가 관통되어 너트로 체결되는 체결공이 구비된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에 수직으로 형성되며 표면에 눈금이 기록된 눈금판으로 이루어진 계측판(20)과;
반원형 단면의 상수도관 받침봉, 상기 상수도관 받침부의 양측에 나사 결합되어 일렬로 연결되는 다수의 길이조절봉, 상기 길이조절봉 중 최상단의 길이조절봉에 나사 결합되며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계측침 고정봉에 의해 전체적으로"U"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계측박스(10)의 통공에 승강 가능하게 관통되어 상기 상수도관의 침하시 함께 침하되는 관지지봉(30)과;
관형상이면서 상단부가 케이스에 고정되며 그 내부에는 상기 관지지봉(30)이 승강 가능하도록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관지지봉(30)의 승강을 안내함과 아울러 보호하는 보호관(60)과;
상기 관지지봉(30)의 계측침(40) 고정봉에 너트로 체결되며 상기 계측판(20)의 눈금을 지시하는 계측침(40)과;
상기 계측박스(10)의 뚜껑에 형성되는 투명의 표시부(12a)와;
수직부 및 수평부를 갖도록 절곡 성형되며 상기 계측침의 승강경로 상에 배치되는 센서브래킷(71)과;
상기 센서브래킷(71)의 수평부에 장착되며 상기 상수도관의 침하에 의한 상기 계측침(40)의 하강시 상기 계측침(40)의 접촉에 의해온 작동되는 리미트 센서(72)와;
상기 리미트 센서(72)의 온 접점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되어 상기 뚜껑의 표시부(12a)를 통해 외부로 빛을 조사하는 다수의엘이디(7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 상수도관 침하상태 안전진단장치는 설치후 사람의 통행에 불편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안전진단장치가 설치되면 상기 계측박스가 지면위로 돌출되어 사람들 통행에 장애물이 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종래 상수도관 침하상태 안전진단장치는 높은 제작비용 소요 및 설치시 많은 시간을 허비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 안전진단장치는 그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설치조립이 어려웠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상수도관의 침하상태 안전진단장치에서 발생하는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수도관의 침하상태 안전진단장치에 마련된 침하방지판을 통해 상수도관의 침하를 최소화하며, 상수도관의 수직승강 및 쏠림변화를 용이하게 계측하여 신속하게 대응할 있음은 물론, 상수도관의 침하상태 안전진단장치의 설치과정에서 이들의 지면노출을 최소화 함으로써, 안전진단장치의 설치 후에도 사람들이 용이하게 통행하며 생활할 수 있도록 한 상수도관의 침하상태 안전진단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수도관의 침하상태 안전진단장치의 구조개선을 통해 그 구조를 단순화시킴은 물론, 별도의 전기공급 없이도 침하상태를 계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작비용과 유지보수비용의 절감 및 시공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상수도관의 침하상태 안전진단장치를 제공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시키기 위한 본 발명은
지면에 매립된 상수도관의 침하상태를 계측하기 위한 상수도관의 침하상태 안전진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수도관의 침하상태 안전진단장치는
상부가 개구된 함체의 형상으로 지면에 소정깊이 매설하되, 바닥면에 개구부가 마련되고, 상기 개구부의 모서리 인접한 일측에 개구홀이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의 내면에 다수개의 걸림돌기가 돌출형성된 매립틀체;
상기 매립틀체가 침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걸림돌기에 연결고정되며, 내측에 빗물이 투수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투수공이 마련되고, 외측에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되는 연결홈이 형성되며, 모서리부에 상기 개구홀과 연통을 이루는 연통공이 마련된 침하방지판;
사각틀 형상으로 상기 매립틀체의 바닥면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매립틀체에 삽입연결되며, 테두리부 내측에 하방으로 개구된 동작공간이 마련되고, 상부에 상기 동작공간과 연통을 이루는 복수개의 개방부가 마련되며, 상기 각 개방부에 투명소재의 투과창이 걸림연결된 덮개;
상기 투과창을 통해 상수도관의 침하정도를 표시할 수 있도록 상기 동작공간내에 체결홈을 갖는 표시구가 위치되며, 상기 표시구의 일측에는 표시구를 탄성력에 의해 미는 탄성스프링이 구비되고, 상기 체결홈에 2조1쌍으로 이루어져 내측에 수용홈을 갖는 가압고정구가 볼트체결방식으로 체결되며, 상기 수용홈에 와이어의 일단을 연결하되, 상기 와이어의 타단은 상기 개구홀과 연통공을 통해 상기 매립틀체의 하방으로 위치된 계측부 및
상기 상수도관과 동작을 함께할 수 있도록 상기 상수도관의 하부 외면에 감싸도록 설치되며, 한 쌍의 반구형상의 링체 사이에는 연결바가 마련되고, 상기 링체의 양단에는 상기 와이어의 타단을 묶음연결할 수 있도록 연결공이 마련된 지지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수도관의 침하상태 안전진단장치에 마련된 침하방지판을 통해 상수도관의 침하를 최소화하며, 상수도관의 수직승강 및 쏠림변화를 용이하게 계측하여 신속하게 대응할 있음은 물론, 상수도관의 침하상태 안전진단장치의 설치과정에서 이들의 지면노출을 최소화 함으로써, 안전진단장치의 설치 후에도 사람들이 용이하게 통행하며 생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수도관의 침하상태 안전진단장치의 구조개선을 통해 그 구조를 단순화시킴은 물론, 별도의 전기공급 없이도 침하상태를 계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작비용과 유지보수비용의 절감 및 시공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종래 상수도관 침하상태 안전진단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관의 침하상태 안전진단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관의 침하상태 안전진단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요부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관의 침하상태 안전진단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관의 침하상태 안전진단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관의 침하상태 안전진단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관의 침하상태 안전진단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상수도관의 침하상태 안전진단장치(100)는 지면에 소정깊이 매설되는 매립틀체(110)와, 상기 매립틀체(110)의 침하를 방지하는 침하방지판(120)과, 상기 매립틀체(110)를 개폐하기 위한 덮개(130)와, 상수도관(2)의 침하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한 계측부(140) 및 상기 상수도관(2)과 함께 동작하도록 설치되는 지지구(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매립틀체(110)는 상부가 개구된 사각의 함체 형상으로 지면에 소정깊이 매설되어 상기 상수도관의 침하상태 안전진단장치(100)의 몸체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수단이다.
이때, 상기 매립틀체(110)는 그 바닥면에 개구부(111)가 마련되고, 상기 개구부(111)의 모서리 인접한 일측에 개구홀(113)이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111)의 내면에 다수개의 걸림돌기(115)가 돌출형성된다.
한편, 상기 침하방지판(120)은 상기 걸림돌기에 연결고정되어 상기 개구부(111)의 소정공간을 폐쇄하여 매립틀체(110)가 침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수단이다.
이때, 상기 침하방지판(120)은 그 내측에 빗물이 투수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투수공(121)이 마련되고, 외측에 상기 걸림돌기(115)가 삽입되는 연결홈(123)이 형성되며, 모서리부에 상기 개구홀(113)과 연통을 이루는 연통공(125)이 마련된다.
한편, 상기 덮개(130)는 상기 매립틀체(110)의 바닥면을 개폐할 수 있도록 사각틀 형상으로 상기 매립틀체(110)에 삽입연결된다. 이때, 상기 매립틀체(110)와 덮개(130)는 볼트체결방식에 의해 결속된다.
또한, 상기 덮개(130)는 테두리부 내측에 하방으로 개구된 동작공간(131)이 마련되고, 상부에 상기 동작공간(131)과 연통을 이루는 복수개의 개방부(133)가 마련되며, 상기 각 개방부(133)에 투명소재의 투과창(135)이 걸림연결된다. 이때, 상기 투과창(135)은 상기 개방부(133)의 내면과 접착제를 통해 부착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계측부(140)는 상기 동작공간(131) 내에 설치되어 상기 투과창(135)을 통해 상수도관(2)의 침하정도를 표시하기 위한 구성수단이다.
상기 계측부(140)는 상기 동작공간(131)내에 체결홈(141)을 갖는 표시구(143)가 위치되며, 상기 표시구(143)의 일측에는 표시구(143)를 탄성력에 의해 미는 탄성스프링(145)이 구비되고, 상기 체결홈(141)에 2조1쌍으로 이루어져 내측에 수용홈(146)을 갖는 가압고정구(147)가 볼트체결방식으로 체결되며, 상기 수용홈(146)에 와이어(149)의 일단을 연결하되, 상기 와이어(149)의 타단은 상기 개구홀(113)과 연통공(125)을 통해 상기 매립틀체(110)의 하방으로 위치된다.
한편, 상기 지지구(150)는 상기 상수도관(2)이 침하 또는 쏠림현상 발생시 이와 함께 동작할 수 있도록 상기 상수도관(2)의 하부 외면에 이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구성수단이다.
이때, 상기 지지구(150)는 한 쌍의 반구형상의 링체(151) 사이에 연결바(153)가 마련되어 반구형상의 링체(151)를 연결하고, 상기 상기 링체(151)의 양단에는 상기 와이어(149)의 타단을 묶음연결할 수 있도록 연결공(155)이 마련다.
이에, 상기와 같은 결합수단으로 이루어진 상수도관의 침하상태 안전진단장치는 그 내측에 설치된 침하방지판을 통해 빗물과 같은 물은 투수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수도관의 침하를 최소화하며, 상수도관의 수직승강 및 쏠림변화를 용이하게 계측하여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에 대한 시공관계 및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2의 요부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관의 침하상태 안전진단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본 발명의 상하수도관의 침하상태 안전진단장치(100)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수도관(2)을 설치할 방향으로 지면을 소정깊이 굴착한 다음 상기 상수도관(2)을 설치한다.
이때, 상기 상수도관(2)의 하부 외면에는 지지구(150)의 링체(151)를 설치한다.
이후, 상기 링체(151)의 연결공(155)에는 와이어(149)의 타단을 묶음연결한다.
이후, 굴착작업이 이루어진 부위에 토사를 매워 복토작업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와이어(149)는 그 일단이 외부로 나오도록 한다.
이후, 복토작업이 이루어진 지면(1)에 매립틀체(110)를 소정깊이 매설하고, 상기 매립틀체(110)의 내측에 침하방지판(120)을 설치한다. 이때, 상기 침하방지판(120)의 연결홈(123)에는 매립틀체(110)의 걸림돌기(115)를 삽입연결한다.
이후, 상기 매립틀체(110)의 내측에 덮개(130)를 연결설치한다. 이때, 상기 덮개(130)의 동작공간(131)에는 표시구(143)와 탄성스프링(145)를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탄성스프링(145)은 그 자체탄성력에 의해 표시구(143)를 동작공간(131)의 일측벽으로 가압하는 상태가 된다.
이후, 상기 표시구(143)의 체결홈(141)에 가압고정구(147)를 볼트체결방식으로 체결하고, 상기 가압고정구(147)의 수용홈(146)에는 와이어(149)의 일단을 연결한다. 이때, 상기 와이어(149)는 상기 탄성스프링(145)의 내측으로 유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수도관(2)의 침하 또는 쏠림현상이 발생하면, 상기 지지구(150)는 상수도관(2)과 함께 침하 또는 쏠림이 이루어지며, 그 과정에서 와이어(149)를 당겨 표시구(143)를 탄성스프링(145)의 탄성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관리자는 그 표시구(143)의 이동 정도에 따라 상수도관(2)의 침하상태를 확인함으로써, 상수도관의 수직승강 및 쏠림변화를 용이하게 계측하여 신속하게 대응할 있도록 한다. 또한, 상수도관의 침하상태 안전진단장치의 설치과정에서 이들의 지면노출을 최소화 함으로써, 안전진단장치의 설치 후에도 사람들이 용이하게 통행하며 생활할 수 있도록 하며, 상수도관의 침하상태 안전진단장치의 구조개선을 통해 그 구조를 단순화시킴은 물론, 별도의 전기공급 없이도 침하상태를 계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작비용과 유지보수비용의 절감 및 시공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1 : 지면 2 : 상수도관
110 : 매립틀체 111 : 개구부
113 : 개구홀 115 : 걸림돌기
120 : 침하방지판 121 : 투수공
125 : 연통공 130 : 덮개
131 : 동작공간 135 : 투과창
140 : 계측부 143 : 표시구
145 : 탄성스프링 147 : 가압고정구
149 : 와이어 150 : 지지구
151 : 링체 153 : 연결바
155 : 연결공

Claims (1)

  1. 지면에 매립된 상수도관의 침하상태를 계측하기 위한 상수도관의 침하상태 안전진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수도관의 침하상태 안전진단장치(100)는
    상부가 개구된 함체의 형상으로 지면(1)에 소정깊이 매설하되, 바닥면에 개구부(111)가 마련되고, 상기 개구부(111)의 모서리 인접한 일측에 개구홀(113)이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111)의 내면에 다수개의 걸림돌기(115)가 돌출형성된 매립틀체(110);
    상기 매립틀체(110)가 침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걸림돌기(115)에 연결고정되며, 내측에 빗물이 투수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투수공(121)이 마련되고, 외측에 상기 걸림돌기(115)가 삽입되는 연결홈(123)이 형성되며, 모서리부에 상기 개구홀(113)과 연통을 이루는 연통공(125)이 마련된 침하방지판(120);
    사각틀 형상으로 상기 매립틀체(110)의 바닥면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매립틀체(110)에 삽입연결되며, 테두리부 내측에 하방으로 개구된 동작공간(131)이 마련되고, 상부에 상기 동작공간(131)과 연통을 이루는 복수개의 개방부(133)가 마련되며, 상기 각 개방부(133)에 투명소재의 투과창(135)이 걸림연결된 덮개(130);
    상기 투과창(135)을 통해 상수도관(2)의 침하정도를 표시할 수 있도록 상기 동작공간(131)내에 체결홈(141)을 갖는 표시구(143)가 위치되며, 상기 표시구(143)의 일측에는 표시구(143)를 탄성력에 의해 미는 탄성스프링(145)이 구비되고, 상기 체결홈(141)에 2조1쌍으로 이루어져 내측에 수용홈(146)을 갖는 가압고정구(147)가 볼트체결방식으로 체결되며, 상기 수용홈(146)에 와이어(149)의 일단을 연결하되, 상기 와이어(149)의 타단은 상기 개구홀(113)과 연통공(125)을 통해 상기 매립틀체(110)의 하방으로 위치된 계측부(140) 및
    상기 상수도관(2)과 동작을 함께할 수 있도록 상기 상수도관(2)의 하부 외면에 감싸도록 설치되며, 한 쌍의 반구형상의 링체(151) 사이에는 연결바(153)가 마련되고, 상기 링체(151)의 양단에는 상기 와이어(149)의 타단을 묶음연결할 수 있도록 연결공(155)이 마련된 지지구(15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관의 침하상태 안전진단장치.
KR1020100032579A 2010-04-09 2010-04-09 상수도관의 침하상태 안전진단장치 KR1009914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2579A KR100991451B1 (ko) 2010-04-09 2010-04-09 상수도관의 침하상태 안전진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2579A KR100991451B1 (ko) 2010-04-09 2010-04-09 상수도관의 침하상태 안전진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1451B1 true KR100991451B1 (ko) 2010-11-04

Family

ID=43409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2579A KR100991451B1 (ko) 2010-04-09 2010-04-09 상수도관의 침하상태 안전진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145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622B1 (ko) * 2007-05-18 2007-08-08 (주)창민기술단 매설된 상하수도관의 침하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622B1 (ko) * 2007-05-18 2007-08-08 (주)창민기술단 매설된 상하수도관의 침하표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7581B1 (ko) 연약지반에 매설되는 상하수도관 침하 계측장치
KR101219468B1 (ko) 지중경사계 및 지하수위계 겸용 계측장비
KR20060114664A (ko) 지하수 배수장치
CN202208931U (zh) 一种单体组合式检查井
CN104596405A (zh) 地下雨污管道变形接触式实时监测装置与方法
KR101356757B1 (ko) 지하매설용 상하수도관의 침하계측장치
KR100991451B1 (ko) 상수도관의 침하상태 안전진단장치
CN101319894A (zh) 地下空间开挖引起的地面沉降测试方法
KR100484519B1 (ko) 공동주택 단지 지중매설물 안전진단 시스템
KR100751573B1 (ko) 연약지반 기초보강용 상수도 관거 받침장치
JP2784335B2 (ja) 液体貯槽
KR100686954B1 (ko) 교량 교각의 수직도 진단 구조물
CN215930831U (zh) 一种深层位移监测装置
WO2019092423A1 (en) Kerb drainage system and method of installing a kerb drainage system
CN111509650B (zh) 一种可视化电缆沟及电缆沟检修方法
KR100334841B1 (ko) 지하 구조물 시공에 이용되는 지하수위 변동 측정기
KR200459236Y1 (ko) 소형 맨홀용 받침 구조물
KR200206706Y1 (ko) 지하 구조물 시공에 이용되는 지하수위 변동 측정기
KR102460306B1 (ko) 지하 매설 점검구 뚜껑의 높이조절장치
CN215598515U (zh) 一种水利基坑水位监测装置
CN211121224U (zh) 一种建筑工程监理用检测装置
CN216898868U (zh) 一种沉降自动化监测装置
CN214940847U (zh) 一种能观察结构表面渗漏水的预埋地漏
JP5079748B2 (ja) 集合住宅において共用設備のメンテナンス及び更新が容易な地下トレンチ構造及びそれを用いる集合住宅
KR101185887B1 (ko) 함체형 맨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