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1877B1 - 누전확인이 가능한 지중배전라인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누전확인이 가능한 지중배전라인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1877B1
KR102131877B1 KR1020190152979A KR20190152979A KR102131877B1 KR 102131877 B1 KR102131877 B1 KR 102131877B1 KR 1020190152979 A KR1020190152979 A KR 1020190152979A KR 20190152979 A KR20190152979 A KR 20190152979A KR 102131877 B1 KR102131877 B1 KR 102131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ion line
wire clamp
underground
circumferential surfac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2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금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청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청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청평
Priority to KR1020190152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18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1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1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5Electrical failure alarms

Abstract

본 발명은 누전확인이 가능한 지중배전라인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력구(T) 내에 설치되는 행거(100): 지중배전선(L)을 고정 및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며 행거(10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배전선연결유닛(200): 행거(100)에 설치되어 누전을 감지해 알려주는 누전감지수단(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누전을 누전감지센서가 감지하여 제어부로 신호를 출력하고, 제어부는 신호를 전달받아 경광부를 동작제어하여 주변으로 불빛을 방출함에 따라 작업자는 직감적으로 누전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감전사고와 같은 위험으로부터 작업자를 안전하게 보호해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속하게 유지보수를 진행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누전확인이 가능한 지중배전라인 지지장치{Underground power distribution line support device}
본 발명은 누전확인이 가능한 지중배전라인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1차 변전소 또는 2차 변전소로부터 배전된 전기는 가공배전선과 지중배전선으로 구성된 송배전계통을 통하여 각 수용가의 수전설비로 송전 또는 배전되며 특고압 수용가, 고압수용가 및 각종 옥외설치 변압기를 통하여 저압수용가에까지 송배전되어 산업용, 가정용 등으로 사용된다.
이 중 지중배전선으로 구성된 송배전계통을 통한 지중을 이용하는 송배전 방식은 지중배전선이 인입되는 지중배전체에 지중 관로 어댑터를 마련하고, 지중배전선로의 끝단에 플러그를 결합하여 이 플러그를 지중 관로 어댑터에 체결하는 방식이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448143호(2014.10.08.)에는‘지중배전라인 설치를 위한 지중배전선 연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지중배전선 연결장치는 누전시 이를 감지할 수 있는 수단이 전혀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누전이 일어나고 있는 상태에서 작업자가 실수로 접촉할 경우 감전사고를 당할 수 있는 심각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긴급하게 전기적인 연결상태의 해제하고자 할 경우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하는 번거로움과 불편함이 있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48143호(2014.10.0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누전의 위험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해줄 수 있고, 지중배전선을 손쉽게 고정할 수 있어 설치작업이 편리하며, 간단한 조작만으로 전기적인 연결상태를 해제할 수 있어 긴급상황에 유리한 누전확인이 가능한 지중배전라인 지지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고정홈을 갖춘 제1·2브라켓으로 분할형성되어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고, 전력구 내에 고정수단을 매개로 설치되는 탄성을 갖춘 금속재질의 행거:
지중배전선이 인입되는 관형의 본체, 본체의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걸이홈을 갖춘 앵글, 본체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지중배전선의 외주면을 감싸며 양단이 하향으로 연장된 체결부를 갖춘 가압밴드, 체결부에 체결되어 가압밴드를 조이는 가압나사, 본체의 타단으로부터 나란하게 연장되며, 외주면에 체결공과 결합공이 일체로 형성된 호판으로 구성된 제1전선클램프와;
지중배전선이 인입되는 관형의 본체, 본체의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걸이홈을 갖춘 앵글, 본체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지중배전선의 외주면을 감싸며 양단이 하향으로 연장된 체결부를 갖춘 가압밴드, 체결부에 체결되어 가압밴드를 조이는 가압나사, 본체의 타단으로부터 나란하게 연장되어 내주면이 제1전선클램프의 호판에 외주면에 맞대어지며, 외주면에 체결공과 상호 연통되는 가이드홈이 일체로 형성된 호판으로 구성된 제2전선클램프와;
제1전선클램프의 호판 사이로 인입되며 양단을 통해 내측으로 지중배전선이 인입되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레일부가 나란하게 돌출형성되고, 레일부 사이에 결합공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레일부 중 어느 하나에는 행거의 고정홈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감착홈을 갖춘 장착부재가 일체로 형성된 절연체, 절연체에 의해 감싸지면 양단을 통해 내측으로 인입된 지중배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봉으로 구성된 커넥터와;
가이드홈을 관통하여 체결공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어 제1전선클램프와 제2전선클램프가 서로 분리되는 것을 제한하는 클램프결속나사와;
앵글의 걸이홈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는 걸이구와, 걸이구를 잡아당기는 스프링으로 구성된 탄성유닛로 이루어진 배전선연결유닛:
행거에 설치되어 누전을 감지하는 누전감지센서와; 누전감지센서로부터 누전감지신호를 전달받아 경광부를 동작제어하는 제어부와; 제어부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주변으로 빛을 발산하는 경광부로 구성된 누전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누전을 누전감지센서가 감지하여 제어부로 신호를 출력하고, 제어부는 신호를 전달받아 경광부를 동작제어하여 주변으로 불빛을 방출함에 따라 작업자는 직감적으로 누전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감전사고와 같은 위험으로부터 작업자를 안전하게 보호해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속하게 유지보수를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중배전선을 손쉽게 고정할 수 있어 설치작업이 편리하고, 지중배전선의 이탈을 방지토록 하여 전기적인 연결에 대한 안정성을 도모하며, 간단한 조작만으로 전기적인 연결상태를 해제할 수 있어 긴급상황에 유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누전확인이 가능한 지중배전라인 지지장치를 전력구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누전확인이 가능한 지중배전라인 지지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누전확인이 가능한 지중배전라인 지지장치에서 배전선연결유닛을 따로 발췌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누전확인이 가능한 지중배전라인 지지장치에서 배전선연결유닛을 따로 발췌하여 보인 결합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누전확인이 가능한 지중배전라인 지지장치에서 누전감지수단을 따로 발췌하여 보인 블록도.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누전확인이 가능한 지중배전라인 지지장치를 이용하여 지중배전선을 상호 연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7a와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누전확인이 가능한 지중배전라인 지지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누전확인이 가능한 지중배전라인 지지장치를 전력구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누전확인이 가능한 지중배전라인 지지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누전확인이 가능한 지중배전라인 지지장치에서 배전선연결유닛을 따로 발췌하여 보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누전확인이 가능한 지중배전라인 지지장치에서 배전선연결유닛을 따로 발췌하여 보인 결합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라인 지지장치는 행거(100)와 배전선연결유닛(200) 및 누전감지수단(300)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이에 의하면 누전시 이를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어 감전의 위험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고, 지중배전선(L)을 손쉽게 고정할 수 있어 설치작업이 편리하며, 간단한 조작만으로 전기적인 연결상태를 해제할 수 있어 긴급상황에 유리하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행거(100)는 탄성을 갖는 금속재질의 부재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전력구(T)의 내면에 고정수단(예:앵커볼트)을 매개로 고정되어 배전선연결유닛(200)을 고정 및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행거(100)는 제1브라켓(110)과 제2브라켓(120)으로 분할형성되어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며, 서로 맞닿는 부분에는 배전선연결유닛(200)을 구성하는 장착부재(231c)의 감착홈(231c-1)이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고정홈(130)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1브라켓(110)과 제2브라켓(120)은 판스프링과 같이 탄성을 갖추고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브라켓(110)과 제2브라켓(120)을 좌우로 각각 이격시킨 상태에서 장착부재(231c)를 고정홈(130) 사이에 인입한 다음, 이격된 상태를 해제시키게 되면, 제1브라켓(110)과 제2브라켓(120)이 복원력에 의해 선단부가 맞닿으면서 고정홈(130)이 감착홈(231c-1)을 감싸게 되며, 이로 인해 배전선연결유닛(200)은 행거(100)에 자연스럽게 고정된다.
한편, 상기 제1브라켓(110) 또는 제2브라켓(120)에는 누전감지수단(300)이 설치되어 누전여부를 감지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배전선연결유닛(200)은 제1전선클램프(210)와 제2전선클램프(220), 커넥터(230), 클램프결속나사(240) 및 탄성유닛(250)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행거(10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내측으로 인입되는 지중배전선(L)을 고정 및 전기적으로 연결해 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전선클램프(210)는 본체(211)와 앵글(212), 가압밴드(213), 가압나사(214) 및 호판(215)으로 구성된 절연재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내측으로 인입된 지중배전선(L)의 외주면을 가압해 고정한다.
상기 본체(211)는 내부가 관통된 원형관이다.
상기 본체(211)의 외주면에는‘ㄴ’자 형상의 앵글(212)이 본체(211)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이 앵글(212)에는 탄성유닛(250)의 걸이구(251)가 착탈가능하게 걸릴 수 있도록 걸이홈(212a)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211)의 일단에는 가압밴드(213)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가압밴드(213)의 일부는 본체(211)와 일체를 이루고 있고, 나머지부분은 절개되어 본체(211)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며, 절개된 가압밴드(213)의 양단에는 하향으로 연장된 체결부(213a)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체결부(213a)에는 가압나사(214)가 체결된다.
일 예로, 상기 체결부(213a)에 체결된 가압나사(214)를 작업자가 조이거나 푸는 작용에 의해 탄성을 갖는 가압밴드(213)는 오므려지거나 벌어지면서 지중배전선(L)의 외주면을 강하게 압박(가압)해 고정하거나 외부로 지중배전선(L)을 이탈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211)의 타단에는 나란하게 연장되며 호형의 단면을 갖는 호판(215)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호판(215)에는 내측으로 인입되는 커넥터(230)가 결합돌기(231b)를 매개로 착탈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결합돌기(231b)에 대응되는 결합공(215b)이 일체로 형성되고, 결합공(215b)에 인접되게 배치되며 클램프결속나사(240)가 착탈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내주면에 나사탭이 형성된 체결공(215a)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계속해서, 상기 제2전선클램프(220)는 본체(221)와 앵글(222), 가압밴드(223), 가압나사(224) 및 호판(225)으로 구성된 절연재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내측으로 인입된 지중배전선(L)의 외주면을 가압해 고정하고, 제1전선클램프(210)에 슬라이드방식으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며, 클램프결속나사(240)를 매개로 상호 결합된다.
상기 본체(221)는 내부가 관통된 원형관이다.
상기 본체(221)의 외주면에는‘ㄴ’자 형상의 앵글(222)이 본체(221)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일체로 형성되고, 이 앵글(222)에는 탄성유닛(250)의 걸이구(251)가 착탈가능하게 걸릴 수 있게 걸이홈(222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221)의 일단에는 가압밴드(223)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가압밴드(223)의 일부는 본체(221)와 일체를 이루고 있고, 나머지부분은 절개되어 본체(221)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며, 절개된 가압밴드(223)의 양단에는 하향으로 연장된 체결부(223a)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체결부(223a)에는 가압나사(224)가 체결된다.
일 예로, 상기 체결부(223a)에 체결된 가압나사(224)를 조이거나 푸는 작용에 의해 탄성을 갖는 가압밴드(223)가 오므려지거나 벌어지면서 지중배전선(L)의 외주면을 강하게 압박(가압)해 고정하거나 외부로 지중배전선(L)을 이탈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221)의 타단에는 나란하게 연장되며 호형의 단면을 갖는 호판(225)이 일체로 형성되는데, 이 호판(225)의 내경은 제1전선클램프(210)의 호판(215)에 외경과 동일하고, 슬라이드방식으로 끼워넣게 되면 호판(225)의 내주면이 제1전선클램프(210)의 호판(215) 외주면에 맞대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호판(225)에는 체결공(215a)에 체결되는 클램프결속나사(240)가 이동될 수 있는 가이드홈(225a)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225a)은 호판(225)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수평안내홈(225a-1)과, 수평안내홈(225a-1)의 양단으로부터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2수용홈(225a-2,225a-3)으로 구성된다.
일 예로, 상기 제1수용홈(225a-2)에 클램프결속나사(240)를 걸게 되면 제1전선클램프(210)와 제2전선클램프(220)가 서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지중배전선(L) 중 어느 하나는 커넥터(230)로부터 이탈되어 전기적인 연결상태가 해제되고, 제2수용홈(225a-3)에 클램프결속나사(240)를 걸게 되면 제1전선클램프(210)와 제2전선클램프(220)가 가깝게 붙어 있는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지중배전선(L)은 커넥터(230)를 매개로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되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커넥터(230)는 절연체(231)와 도전봉(232)으로 구성된 부재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제1전선클램프(210)의 호판(215) 사이로 삽입되어 고정되고, 양단을 통해 내측으로 인입되는 지중배전선(L)을 전기적으로 연결해주며, 행거(10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절연체(231)는 도전봉(232)을 감싸 절연하며, 내부가 양단으로 관통된 부재이다.
상기 절연체(231)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돌출형성되어 호판(215)의 내측으로 삽입시 가이드하는 레일부(231a)가 일체로 형성되고, 레일부(231a) 사이에는 결합공(215b)에 대응되는 결합돌기(231b)가 일체로 형성되며, 레일부(231a) 중 어느 하나에는 상단부 외주면에 감착홈(231c-1)이 일체로 형성된 장착부재(231c)가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장착부재(231c)는 전기가 통하는 금속재질일 수 있으며, 행거(100)의 고정홈(130)에 감착홈(231c-1)을 매개로 착탈가능하게 끼워진다.
상기 도전봉(232)은 절연체(231)에 내설되어 내측으로 인입되는 지중배전선(L)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커넥터(230)는 결합돌기(231b)를 매개로 제1전선클램프(210)의 결합공(215b)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된다.
계속해서, 상기 클램프결속나사(240)는 가이드홈(225a)을 관통해 체결공(215a)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는 체결수단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상호 결합된 제1전선클램프(210)와 제2전선클램프(220)가 무단으로 분리되는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클램프결속나사(240)는 수평안내홈(225a-1)을 따라 이동되다가 제1수용홈(225a-2) 또는 제2수용홈(225a-3)에 수용되면, 이에 의해 제2전선클램프(220)의 슬라이드 이동은 제한된다.
한편, 상기 체결공(215a)으로부터 클램프결속나사(240)를 분리해주면, 비로소 제1전선클램프(210)와 제2전선클램프(220)가 서로 분리된다.
계속해서, 상기 탄성유닛(250)는 걸이구(251)와 스프링(252)으로 구성된 부재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제1전선클램프(210)와 제2전선클램프(220)의 앵글(212,222)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전선클램프(210)와 제2전선클램프(220)가 서로 벌어지지 않게 당겨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걸이구(251)는‘ㄱ’자 형상을 갖는 부재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앵글(212,222)의 걸이홈(212a,222a)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걸리게 된다.
상기 스프링(252)은 통상의 코일스프링으로, 양단이 걸이구(251)에 각각 고정되어 제1전선클램프(210)와 제2전선클램프(220)을 탄성력을 매개로 잡아 당겨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탄성유닛(250)의 작용에 의해 스프링(252)의 탄성력보다 높이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제1전선클램프(210)와 제2전선클램프(220)는 상호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로 인해 지중배전선(L)은 커넥터(230)를 매개로 전기적인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설령, 상기 스프링(252)의 탄성력보다 높이 외력으로 인해 제1전선클램프(210)와 제2전선클램프(220)가 서로 이격되더라도 외력이 해제되면 스프링(252)의 탄성력에 의해 제1전선클램프(210)와 제2전선클램프(220)를 잡아 당겨주므로 지중배전선(L)은 커넥터(230)를 매개로 전기적인 상호 연결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누전확인이 가능한 지중배전라인 지지장치에서 누전감지수단을 따로 발췌하여 보인 블록도이다.
상기 누전감지수단(300)은 누전감지센서(310)와 제어부(320) 및 경광부(330)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행거(100)에 설치되어 누전시 이를 신속하게 감지하여 주변으로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누전감지센서(310)는 금속재질인 행거(100)의 외면에 설치되어 커넥터(230)에 크랙(crack)이 생기게 되면서 전류가 새어나와 장착부재(231c)를 통해 행거(100)로 전달될 경우 이 누전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제어부(320)로 출력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320)는 누전감지센서(310)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경광부(330)를 동작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경광부(330)는 제어부(32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주변으로 빛을 발산하며, 작업자는 빛을 발산하는 경광부(330)를 통해 누전이 발생하고 있음을 직감적으로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감전의 위험을 피할 수 있으면서 신속하게 유지보수를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누전확인이 가능한 지중배전라인 지지장치를 이용하여 지중배전선을 상호 연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a를 참조하면, 먼저 제1브라켓(110)과 제2브라켓(120)으로 분할형성된 행거(100)를 전력구(T)의 내부 천정에 배치한 다음 체결수단(예:앵커볼트)을 매개로 고정하며, 이때 고정홈(130)이 형성된 일단은 서로 맞닿도록 하여 고정홈(130)이 하나의 원을 이루도록 해준다.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행거(100)의 설치가 완료되면, 제1전선클램프(210)와 제2전선클램프(220)에 지중배전선(L) 각각 인입한 다음 제1전선클램프(210)와 제2전선클램프(220)의 가압나사(214,224)를 조여주게 되면, 가압밴드(213,223)가 오므려지면서 지중배전선(L)의 외주면을 강하게 압박해 고정하게 된다.
도 6c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제1전선클램프(210)와 제2전선클램프(220)에 지중배전선(L)이 각각 고정되면, 커넥터(230)를 레일부(231a)를 매개로 제1전선클램프(210)의 호판(215) 사이로 밀어 넣게 되면, 커넥터(230)가 인입되는 과정에 결합돌기(231b)가 결합공(215b)에 끼워지게 되고, 이로 인해 제1전선클램프(210)와 커넥터(230)는 일체형 구조를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 커넥터(230)의 장착부재(231c)는 호판(215) 사이에 배치되어 상방으로 돌출된다.
상기와 같이 제1전선클램프(210)와 커넥터(230)가 상호 결합되면, 제1전선클램프(210)의 호판(215) 외주면으로 제2전선클램프(220)의 호판(225)를 끼워준다.
상기와 같이 제1전선클램프(210)와 제2전선클램프(220)가 호판(215,225)을 매개로 상호 결합되면, 가이드홈(225a)을 통해 노출되는 체결공(215a)에 클램프결속나사(240)를 체결한다.
한편, 상기 제1전선클램프(210)와 제2전선클램프(220) 및 커넥터(230)를 상호 결합시키는 과정에 제1전선클램프(210)와 제2전선클램프(220)에 고정되어 있는 지중배전선(L)은 커넥터(230)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도전봉(232)을 매개로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된다.
도 6d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제1전선클램프(210)와 제2전선클램프(220) 및 커넥터(230)가 상호 결합되면, 탄성유닛(250)을 구성하는 한 쌍의 걸이구(251) 중 어느 하나를 제1전선클램프(210)를 구성하는 앵글(212)의 걸이홈(212a)에 걸어주고, 나머지 걸이구(251)는 제2전선클램프(220)를 구성하는 앵글(222)의 걸이홈(222a)에 걸어주며, 이와 같이 앵글(212,222)의 걸이홈(212a,222a)에 걸이구(251)를 각각 걸어주게 되면 스프링(252)은 인장된 상태로 걸이구(251)에 고정되어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탄성유닛(250)까지 설치가 완료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전선연결유닛(200)의 장착부재(231c)를 행거(100)의 고정홈(130)에 끼워 행거(100)에 배전선연결유닛(200)이 고정되도록 한다.
도 7a와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누전확인이 가능한 지중배전라인 지지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중배전선(L)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커넥터(231)에 크랙(crack)이 생기게 되면서 전류가 새어나와 장착부재(231c)를 통해 행거(100)로 전달될 경우 이 누전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제어부(320)로 출력하게 되고, 제어부(320)는 누전감지센서(310)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경광부(330)를 동작제어하게 되며, 경광부(330)는 제어부(32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주변으로 빛을 발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경광부(330)를 통해 빛이 발산되면 작업자는 누전이 발생하고 있음을 직감적으로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하게 보수작업을 진행한다.
한편, 선로공사와 같이 긴급하게 전기의 흐름을 차단해야 할 필요성가 있는 경우, 작업자는 제2전선클램프(220)를 제1전선클램프(210)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클램프결속나사(240)를 제2수용홈(225a-3)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클램프결속나사(240)가 제2수용홈(225a-3)으로부터 이탈되면 클램프결속나사(240)가 수평안내홈(225a-1)을 따라 이동될 수 있게 작업자는 제2전선클램프(220)를 길이방향으로 잡아당시켜, 이때 제2전선클램프(220)에 고정되어 있던 지중배전선(L)은 제2전선클램프(220)와 함께 이동되어 커넥터(230)로부터 이탈됨에 따라 지중배전선(L)의 전기적인 연결상태는 자연스럽게 해제된다.
그리고 상기 클램프결속나사(240)가 제1수용홈(225a-2) 부분에 위치되면 작업자는 제2전선클램프(220)를 제1전선클램프(210)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클램프결속나사(240)가 제1수용홈(225a-2)으로 인입되도록 하며, 이때 탄성유닛(250)의 스프링(252)은 늘어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클램프결속나사(240)가 제1수용홈(225a-2)으로 인입되면 스프링(252)의 복원력이 제1전선클램프(210)와 제2전선클램프(220)에 작용하더라도 클램프결속나사(240)가 제1수용홈(225a-2)에 걸려있기 때문에 제2전선클램프(220)의 움직임은 제한된다.
한편, 긴급한 상황이 종료되면, 상기 방법의 역순으로 조작하여 제2전선클램프(220)에 고정되어 있는 지중배전선(L)과 제1전선클램프(210)에 고정되어 있는 지중배전선(L)이 커넥터(230)를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방법의 역순으로 진행될 때 인장되어 있던 스프링(252)의 복원력에 의해 작업자가 별도의 힘을 가하지 않아도 제1전선클램프(210)에 제2전선클램프(220)가 끼워져 결합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누전을 누전감지센서(310)가 감지하여 제어부(320)로 신호를 출력하고, 제어부(320)는 신호를 전달받아 경광부(330)를 동작제어하여 주변으로 불빛을 방출함에 따라 작업자는 직감적으로 누전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감전사고와 같은 위험으로부터 작업자를 안전하게 보호해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속하게 유지보수를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중배전선(L)을 손쉽게 고정할 수 있어 설치작업이 편리하고, 지중배전선(L)의 이탈을 방지토록 하여 전기적인 연결에 대한 안정성을 도모하며, 간단한 조작만으로 전기적인 연결상태를 해제할 수 있어 긴급상황에 유리하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행거 110: 제1브라켓 120: 제2브라켓
130: 고정홈 200: 배전선연결유닛 210: 제1전선클램프
220: 제2전선클램프 211,221: 본체 212,222: 앵글
212a,222a: 걸이홈 213,223: 가압밴드 213a,223a: 체결부
214,224: 가압나사 215,225: 호판 215a: 체결공
215b: 결합공 225a: 가이드홈 230: 커넥터
231: 절연체 231a: 레일부 231b: 결합돌기
231c: 장착부재 232: 도전봉 240: 가압나사
250: 탄성유닛 251: 걸이구 252: 스프링
300: 누전감지수단 310: 누전감지센서 320: 제어부
330: 경광부

Claims (1)

  1. 고정홈(130)을 갖춘 제1·2브라켓(110,120)으로 분할형성되어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고, 전력구(T) 내에 고정수단을 매개로 설치되는 탄성을 갖춘 금속재질의 행거(100):
    지중배전선(L)이 인입되는 관형의 본체(211), 본체(211)의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걸이홈(212a)을 갖춘 앵글(212), 본체(211)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지중배전선(L)의 외주면을 감싸며 양단이 하향으로 연장된 체결부(213a)를 갖춘 가압밴드(213), 체결부(213a)에 체결되어 가압밴드(213)를 조이는 가압나사(214), 본체(211)의 타단으로부터 나란하게 연장되며, 외주면에 체결공(215a)과 결합공(215b)이 일체로 형성된 호판(215)으로 구성된 제1전선클램프(210)와;
    지중배전선(L)이 인입되는 관형의 본체(221), 본체(221)의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걸이홈(222a)을 갖춘 앵글(222), 본체(221)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지중배전선(L)의 외주면을 감싸며 양단이 하향으로 연장된 체결부(223a)를 갖춘 가압밴드(223), 체결부(223a)에 체결되어 가압밴드(223)를 조이는 가압나사(224), 본체(211)의 타단으로부터 나란하게 연장되어 내주면이 제1전선클램프(210)의 호판(215)에 외주면에 맞대어지며, 외주면에 체결공(215a)과 상호 연통되는 가이드홈(225a)이 일체로 형성된 호판(225)으로 구성된 제2전선클램프(220)와;
    제1전선클램프(210)의 호판(215) 사이로 인입되며 양단을 통해 내측으로 지중배전선(L)이 인입되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레일부(231a)가 나란하게 돌출형성되고, 레일부(231a) 사이에 결합공(215b)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결합돌기(231b)가 형성되며, 레일부(231a) 중 어느 하나에는 행거(100)의 고정홈(130)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감착홈(231c-1)을 갖춘 장착부재(231c)가 일체로 형성된 절연체(231), 절연체(231)에 의해 감싸지면 양단을 통해 내측으로 인입된 지중배전선(L)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봉(232)으로 구성된 커넥터(230)와;
    가이드홈(225a)을 관통하여 체결공(215a)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어 제1전선클램프(210)와 제2전선클램프(220)가 서로 분리되는 것을 제한하는 클램프결속나사(240)와;
    앵글(212,222)의 걸이홈(212a,222a)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는 걸이구(251)와, 걸이구(251)를 잡아당기는 스프링(252)으로 구성된 탄성유닛(250)로 이루어진 배전선연결유닛(200):
    행거(100)에 설치되어 누전을 감지하는 누전감지센서(310)와; 누전감지센서(310)로부터 누전감지신호를 전달받아 경광부(330)를 동작제어하는 제어부(320)와; 제어부(32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주변으로 빛을 발산하는 경광부(330)로 구성된 누전감지센서(300):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홈(225a)은, 클램프결속나사(240)가 이동될 수 있게 호판(225)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수평안내홈(225a-1)과, 수평안내홈(225a-1)의 일단으로부터 원주방향으로 형성되어 통전상태가 유지되도록 클램프결속나사(240)가 삽탈가능하게 수용되는 제2수용홈(225a-3)과, 수평안내홈(225a-1)의 타단으로부터 원주방향으로 형성되어 비통전상태가 유지되도록 클램프결속나사(240)가 삽탈가능하게 수용되는 제1수용홈(225a-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확인이 가능한 지중배전라인 지지장치.
KR1020190152979A 2019-11-26 2019-11-26 누전확인이 가능한 지중배전라인 지지장치 KR1021318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2979A KR102131877B1 (ko) 2019-11-26 2019-11-26 누전확인이 가능한 지중배전라인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2979A KR102131877B1 (ko) 2019-11-26 2019-11-26 누전확인이 가능한 지중배전라인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1877B1 true KR102131877B1 (ko) 2020-07-09

Family

ID=71602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2979A KR102131877B1 (ko) 2019-11-26 2019-11-26 누전확인이 가능한 지중배전라인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187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9638B1 (ko) * 2020-11-12 2021-09-08 (주)미래이앤지 전선이음클립
KR102323134B1 (ko) * 2021-05-14 2021-11-08 최규섭 전기케이블 보호가 가능한 건축물용 트레이
KR102323131B1 (ko) * 2021-05-14 2021-11-08 최규섭 누전경고기능을 갖춘 건축물의 배전선 지지장치
KR102324856B1 (ko) * 2021-05-20 2021-11-11 (주)단에이앤씨 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에 구비되는 전선이탈방지용 전선트레이
KR102326004B1 (ko) * 2021-05-14 2021-11-15 주식회사 세광티이씨 전선보호가 가능한 건축물용 전선지지기구
CN115913111A (zh) * 2022-12-20 2023-04-04 江苏中清新型材料有限公司 一种可进行漏电防护的光伏组件检测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8143B1 (ko) 2014-06-05 2014-10-08 미래컨설턴트(주) 지중배전라인 설치를 위한 지중배전선 연결장치
KR101771074B1 (ko) * 2017-04-17 2017-08-24 (주)오성이엠 지중 매설형 배전선 연결 장치
KR101998574B1 (ko) * 2019-03-19 2019-07-10 주식회사 서광이에프 누전감지 기능을 구비한 공동주택의 배전선 보호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8143B1 (ko) 2014-06-05 2014-10-08 미래컨설턴트(주) 지중배전라인 설치를 위한 지중배전선 연결장치
KR101771074B1 (ko) * 2017-04-17 2017-08-24 (주)오성이엠 지중 매설형 배전선 연결 장치
KR101998574B1 (ko) * 2019-03-19 2019-07-10 주식회사 서광이에프 누전감지 기능을 구비한 공동주택의 배전선 보호기구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9638B1 (ko) * 2020-11-12 2021-09-08 (주)미래이앤지 전선이음클립
KR102323134B1 (ko) * 2021-05-14 2021-11-08 최규섭 전기케이블 보호가 가능한 건축물용 트레이
KR102323131B1 (ko) * 2021-05-14 2021-11-08 최규섭 누전경고기능을 갖춘 건축물의 배전선 지지장치
KR102326004B1 (ko) * 2021-05-14 2021-11-15 주식회사 세광티이씨 전선보호가 가능한 건축물용 전선지지기구
KR102324856B1 (ko) * 2021-05-20 2021-11-11 (주)단에이앤씨 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에 구비되는 전선이탈방지용 전선트레이
CN115913111A (zh) * 2022-12-20 2023-04-04 江苏中清新型材料有限公司 一种可进行漏电防护的光伏组件检测器
CN115913111B (zh) * 2022-12-20 2024-02-23 江苏中清新型材料有限公司 一种可进行漏电防护的光伏组件检测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1877B1 (ko) 누전확인이 가능한 지중배전라인 지지장치
KR102246338B1 (ko) 변압기로의 가공배전선 분기가 용이한 가공배전설비
KR102246336B1 (ko) 가공배전선 연결클램프를 갖춘 가공배전선 지지설비
KR101638508B1 (ko) 지중배전케이블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
KR102027872B1 (ko) 공동주택 전기의 고장검출장치
KR101848847B1 (ko) 누전경고기능을 갖춘 건축물의 배전선 지지기구
KR101113815B1 (ko) 지중배전전용 절연케이블
KR102045848B1 (ko) 누전확인이 가능한 지중배전선 이탈방지용 고정장치
KR101116185B1 (ko) 지중배전선 보호용 절연전선관
KR100898150B1 (ko) 가공배전선의 지지완철
KR100933937B1 (ko) 특고압용 가공배전선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배전플레이트
KR100722290B1 (ko) 배전용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 안전장치
CN104967027B (zh) 一种令克绝缘隔板
KR102031113B1 (ko) 지중 배전선로의 지하수 유입 차단장치
KR102101331B1 (ko) 지중 배전선로의 누전 차단장치
KR102047357B1 (ko) 이상확인기능을 갖춘 지중배전라인 지지기구
KR101091116B1 (ko) 지중배전선 절연탑재용 보호파이프
KR101645006B1 (ko)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 배치를 위한 배전반
KR20160046156A (ko) 활선용 점퍼선 설치장치
CN103928814B (zh) 高压设备接地线用的接地枪
KR102098300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지중배전선 이탈방지용 고정장치
KR102290377B1 (ko) 변전소의 누전 감시장치
KR100933936B1 (ko) 가공배전선용 절연형 배전체
KR102098298B1 (ko) 침수확인이 가능한 지중배전선 고정기구
KR100944670B1 (ko) 송전용 특고압 지중전선 접속단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