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5006B1 -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 배치를 위한 배전반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 배치를 위한 배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5006B1
KR101645006B1 KR1020150181970A KR20150181970A KR101645006B1 KR 101645006 B1 KR101645006 B1 KR 101645006B1 KR 1020150181970 A KR1020150181970 A KR 1020150181970A KR 20150181970 A KR20150181970 A KR 20150181970A KR 101645006 B1 KR101645006 B1 KR 1016450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wire
terminal
control unit
fire
bra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1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일
Original Assignee
(주)수양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수양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수양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50181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50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5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50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20Hydrants, e.g. wall-hoses, wall units, plug-in cabine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3/00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1/00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5Electrical failure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 배치를 위한 배전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호케이스의 내부에 화재감지센서와 소화전을 마련하여 인입·인출선의 손상으로 인한 전기화재시 이를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어 인입·인출선을 타고 불길이 확산되어 배선된 인입·인출선이 모두 전소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전원측 인입선의 비틀림 강도를 간접 측정할 때 인입선의 단선없이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측정할 수 있으면서 개폐기의 동작을 원활하게 한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 배치를 위한 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 배치를 위한 배전반{POWER DISTRIBUTING BOARD FOR POWER SUPPLY ARRANGEMENT OF APARTMENT HOUSE}
본 발명은 배전분야 기술 중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 배치를 위한 배전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호케이스의 내부에 화재감지센서와 소화전을 마련하여 인입·인출선의 손상으로 인한 전기화재시 이를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어 인입·인출선을 타고 불길이 확산되어 배선된 인입·인출선이 모두 전소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전원측 인입선의 비틀림 강도를 간접 측정할 때 인입선의 단선없이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측정할 수 있으면서 개폐기의 동작을 원활하게 한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 배치를 위한 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급전원을 분기하여 수용가로 공급하는 배전반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호케이스(1)의 내부에 설치고정되는 절연재질의 베이스패널(2)과; 베이스패널(2)에 설치되며 입력단자(3a)와 출력단자(3b)를 갖는 분기회로(3)와; 분기회로(3)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분기회로(3)를 연결 또는 차단하는 개폐기(4)로 구성되며, 배전분야는 154 KV 급 이상의 전압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기회로(3)의 1차측과 2차측에 형성된 단자(3a,3b)에는 각각 [0003] 인입·인출선(5,6)이 연결되는데, 인입·인출선(5,6)은 1차측에 연결되는 전원측 인입선(5)과 2차측에 연결되는 분기측 인출선(6)으로 나누어지며, 전원측 인입선(5)을 통해 공급된 전기를 분기하여 분기측 인출선(6)을 통해 출력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분전반은 전선에 일부분가 끊어져 전기합선사고를 일어나거나 또는 노후로 인해 보호기능을 상실한 피복선의 내측으로 침투수가 유입되어 전류가 흐르는 도선과 접촉됨으로써, 누전 및 합선에 따른 화재가 발생되어 내부에 배선된 전선이 일시에 전부 전소 되는 등의 문제가 있어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되어 왔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배전반은 인입·인출선(5,6)을 장기간 사용할 경우, 인입·인출선(5,6)이 노화되거나 열화되어 케이블의 강도나 저항 등과 같은 물리적 특성이 달라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사용중에 인입·인출선(5,6)과 단자(3a,3b)의 연결부위가 느슨해지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인입·인출선(5,6)을 지속적으로 점검 및 관리하여야 하지만, 이러한 배전반은 통상 다수 개가 설치되므로, 인입·인출선(5,6)을 지속적으로 점검 및 관리하기가 상당히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화재발생시 이를 신속하게 진압하여 화재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면서도 인입·인출선(5,6)이 노화 또는 열화되거나, 인입·인출선(5,6)과 단자(3a,3b) 간의 연결부위가 느슨해지는 것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034566호(2011.05.04.),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이 개시된 바 있다.
개시된 등록특허에서는 화재감지 기능을 통해 소화전을 연계시켜 화재시 배선들의 소실을 최대한 억제하고, 또한 장력을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안전한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런데, 장력 체크 구성에 있어 일정한 장력이 유지되고 있는 인입선을 강제로 유동시키게 되면 이를 고정하고 있는 클램프와 강도측정기구 사이에서 인입선이 파단(단선)되기 쉽고, 특히 클램프 등은 단순히 인입선을 고정하고 있는 구조이므로 완충성이 떨어져 강제력이 작용할 경우 지지점을 중심으로 파단 가능성이 커져 안전상 주기적인 테스트의 기능에 역효과를 초래하는 단점이 노출되었다.
또한, 전자식 개폐기의 경우, 단순 접점 방식이라 장기간 사용중 접점 불량이 발생되어 유지 보수기간이 짧아짐으로 인해 비용과 시간 손실이 커 이러한 개폐기의 개폐구조를 개선하여 단자간 접촉 불량을 최소화시킬 필요성도 대두되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034566호(2011.05.04.),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보호케이스의 내부에서 화재발생시 이를 신속하게 진압하여 배선된 전선이 모두 전소되는 것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전선의 열화상태 또는 전선과 단자 간의 연결상태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되, 특히 전선의 열화상태 체크시 구조적으로 안정한 상태를 유지하여 단선의 위험을 완전히 배제시키면서 개폐기의 개폐능력을 향상시킨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보호케이스(1)의 내부에 설치고정되는 절연재질의 베이스패널(2)과; 베이스패널(2)에 설치되며 입력단자(3a)와 출력단자(3b)를 갖는 분기회로(3)와; 분기회로(3)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분기회로(3)를 연결 또는 차단하는 개폐기(4)를 포함하며, 분기회로(3)의 1차측과 2차측에 형성된 입력단자(3a)와 출력단자(3b)에는 각각 전원측 인입선(5)과 분기측 인출선(6)이 연결되어 분기회로(3)로 전원측 인입선(5)을 통해 공급된 전기를 분기하여 분기측 인출선(6)을 통해출력할 수 있도록 된 공지의 배전반에 있어서; 상기 개폐기(4)는 제어유닛(70)의 제어신호에 따라 분기회로(3)를 연결 또는 차폐하는 전자식 개폐기(4)로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패널(2)에 구비되며 인입선(5)의 중간부를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된 클램프(10): 클램프(10)에 구비되며 인입선(5)의 온도를 측정하여 제어유닛(70)으로 출력하는 배선온도 측정센서(20): 인입선(5)에 연결되며 인입선(5)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을 측정하여 제어유닛(70)으로 출력하는 전력측정수단(30): 베이스패널(2)의 전원측 인입선(5)에 연장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고정된 가이드레일(41)과; 가이드레일(41)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드블록(42)과; 슬라이드블록(42)에 구비되며 일측에는 전원측 인입선(5)이 삽입고정되는 삽입홈(43a)이 형성된 지지블록(43)과; 슬라이드블록(42)과 지지블록(43) 사이에 구비되는 압력센서(44)와; 슬라이드블록(42)에 연결되어 슬라이드블록(42)을 전후 왕복시키는 왕복구동기구(45)를 갖추고서, 인입선(5)의 중간부에 연결되며 제어유닛(7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인입선(5)을 측방향으로 가압하여 휘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왕복구동기구(45)를 매개로 슬라이드블록(42)을 왕복시킬 때에 압력센서(44)가 지지블록(43)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여 제어유닛(70)으로 출력하는 강도측정기구(40): 보호케이스(1)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며 화재발생시 이를 감지하여 화재감지신호를 제어유닛(70)으로 출력하는 화재감지센서(50): 제어유닛(70)의 소화전동작신호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분사밸브(61)를 갖추고서, 내부에 충진된 소화액이 분사밸브(61)를 통해 보호케이스(1)의 내부로 분사되어 화재지역을 진압하는 소화전(60): 배선온도 측정센서(20)와 전력측정수단(30)으로부터 각각의 측정값을 전달받아 미리 설정해 둔 기준 값과 상호 비교하되, 인입선(5)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에 비해 인입선(5)의 온도가 비정상적으로 상승할 경우 강도측정기구(40)를 동작제어하여 인입선(5)의 강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결과에 따라 인입선(5)이 열화된 것인지 또는 인입선(5)과 입력단자(3a) 간의 연결상태 불량인지를 판단하여 판단된 결과에 따라 경보수단(80)로 서로 다른 경보신호를 출력하며, 인입선(5)의 온도가 기준 값을 초과하면 개폐기(4)를 즉시 OFF시켜 전원공급을 차단하며, 화재감지센서(50)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소화전(60)을 동작제어하는 제어유닛(70): 제어유닛(7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외부로 음향을 방출하는 경보수단(80)을 더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10) 및 지지블록(43)의 내경에는 상기 인입선(5)을 고정하는 완충부재(100)가 끼워지되, 상기 완충부재(100)는 튜브 형상의 실리콘으로 형성되고, 외주면 일부에는 충전구(220)가 형성되며, 일부가 절단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완충부재(100)의 절단된 부분은 커넥터(200)로 접속되어 이어지되, 상기 커넥터(200)는 원통형상의 고정바디(210)와, 원통형상의 체결바디(230)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바디(210)는 내경에서 외경을 향해 제1턱(212), 제2턱(214) 및 제2턱(214)과 간격을 두고 후크고정부(216)가 각각 양단에 형성되고; 상기 체결바디(230)의 일단은 상기 고정바디(210)에 끼워지면서 제1턱(212)에 걸림되는 제1턱끼움부(232), 제1턱끼움부(232)로부터 경사 연장된 경사면(234)을 포함하며; 상기 완충부재(100)의 절단된 개방부는 각각 상기 체결바디(230)의 내경으로 삽입된 후 까뒤집어져 외경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바디(210)에 삽입됨으로써 고정바디(210)와 체결바디(230) 사이에 맞물려 씰링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개폐기(4)는 제어유닛(70)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솔레노이드밸브(330)를 포함하되, 상기 솔레노이드밸브(330)는 밸브몸체(332)와 상기 밸브몸체(332)의 선단에서 전후진 왕복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는 밸브스트로크(334)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몸체(332)의 선단면에는 'ㄷ' 형상을 갖되, 양단이 각각 바깥방향으로 수직절곡된 연장고정편(410)을 갖는 가이드브라켓(400)이 체결되고; 상기 가이드브라켓(400)의 양측면에는 일정길이 장공(430)이 형성되며, 상기 장공(430)에는 도전단자(440)가 끼워지고, 상기 도전단자(440)의 양단은 링클립(450)이 끼워져 도전단자(440)가 분리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며; 상기 도전단자(440)의 일측면에는 연결환(460)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환(460)에는 상기 밸브스트로크(334)의 선단이 삽입되며; 상기 연결환(460)과 180°대향되는 지점의 도전단자(440)의 타측면 상에는 탄성스프링(470)의 일단이 탄지되고, 탄성스프링(470)의 타단은 스프링홈(480)에 삽입되며; 상기 가이드브라켓(400)의 양측 내벽면에는 단자고정구(500)가 설치되는데, 상기 단자고정구(500)는 두 개가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갖지만 서로 반전된 상태로 고정되며; 상기 단자고정구(500)는 상기 제1,2분기단자(310,320)를 끼워 고정하는 일종의 소켓으로서, 판상의 고정대판(510)에 원통형상의 단자고정통(520)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대판(510)은 대판볼트(530)에 의해 상기 가이드브라켓(400)의 양측 내벽면에 견고히 체결 고정되며, 상기 단자고정통(520)은 일단은 개방되고, 타단은 밀폐되되 밀폐된 면에 접속단공(540)이 형성되어 제1,2분기단자접속단(312,322)이 각각 관통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고정대판(510)의 하단면에는 도전체인 연장대판(600)이 각각 더 돌출되고, 한 쌍의 상기 연장대판(600)이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제1,2분기단자접속단(312,322)이 접촉되는 곡률(610)이 형성되며, 상기 접속단공(540)을 관통한 상기 제1,2분기단자접속단(312,322)은 각각 상기 고정대판(600)과 통전가능하게 접속되고, 상기 단자고정구(500)의 단자고정통(520)으로 삽입된 제1,2분기단자(310,320)가 이탈되지 않고 제자리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대판(510)의 각 외측에는 단자고정볼트(550)가 체결되며, 상기 도전단자(440)는 상기 밸브스트로크(334)에 의해 상기 연장대판(600)과 면접촉되거나 떨어지면서 전기의 통전을 단속(斷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보호케이스의 내부에 화재감지센서와 소화전을 마련하여 줌으로써, 인입·인출선의 손상으로 인한 전기화재시 이를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어 인입·인출선을 타고 불길이 확산되어 배선된 인입·인출선이 모두 전소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배선의 온도가 배선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에 비해 비정상적으로 상승될 경우 강도측정기를 매개로 배선의 강도를 측정하여 온도상승이 배선의 열화 때문인지 아니면 배선과 단자 간의 연결상태가 불량인지를 보다 안전하고 정확하게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라 서로 다른 경보신호를 출력하여 관리자가 적절히 대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개폐기의 구조가 간소화되면서도 장수명화를 달성할 수 있어 효율화된 장점도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배전반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을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에서 각 구성요소 간의 상호연관관계를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에서 클램프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참고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을 도시한 참고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배치를 위한 강도측정기구의 구조를 보완한 보강예를 보인 예시적인 부분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의 개폐기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요부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예시적인 부분 평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후술되는 선등록특허 제1034566호를 그대로 이용한다. 때문에,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상 특징들은 모두 등록특허 제1034566호에 기재된 사항들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은, 보호케이스(1)의 내부에 설치고정되는 절연재질의 베이스패널(2)과; 베이스패널(2)에 설치되며 입력단자(3a)와 출력단자(3b)를 갖는 분기회로(3)와; 분기회로(3)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분기회로(3)를 연결 또는 차단하는 개폐기(4)를 포함하며, 분기회로(3)의 1차측과 2차측에 형성된 입력단자(3a) 및 출력단자(3b)에는 각각 전원측 인입선(5)과 분기측 인출선(6)이 연결되어 분기회로(3)로 전원측 인입선(5)을 통해 공급된 전기를 분기하여 분기측 인출선(6)을 통해 출력할 수 있도록 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개폐기(4)는 후술하는 제어유닛(7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분기회로(3)를 연결 또는 차폐하는 전자식 개폐기(4)로서, 전원측 인입선(5)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이 규정된 전력 값 이상으로 상승하면, 회로의 연결을 차단하는 브레이커의 기능을 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전자식 개폐기(4)는 이미 해당분야에서 널리 적용 실시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에는, 상기 베이스패널(2)에 구비되며 인입선(5)의 중간부를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된 클램프(10)와; 클램프(10)에 구비되며 인입선(5)의 온도를 측정하여 제어유닛(70)으로 출력하는 배선온도 측정센서(20)와; 인입선(5)에 연결되어 인입선(5)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을 측정하여 제어유닛(70)으로 출력하는 전력측정수단(30)과; 전원측 인입선(5)의 중간부에 연결되어 전원측 인입선(5)을 측방향으로 가압하여 휘어지도록 하는 강도측정기구(40)와; 보호케이스(1)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며 화재발생시 이를 감지하여 화재감지신호를 제어유닛(70)으로 출력하는 화재감지센서(50)와; 제어유닛(70)의 소화전동작신호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분사밸브(61)를 갖추고서, 내부에 충진된 소화액이 분사밸브(61)를 통해 보호케이스(1)의 내부로 분사되어 화재지역을 진압하는 소화전(60)과; 배선온도 측정센서(20)와 전력측정수단(30), 강도측정기구(40) 및 화재감지센서(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개폐기(4)와 소화전(60) 및 경보수단(80)을 동작제어하는 제어유닛(70)과; 제어유닛(70)에 의해 동작제어되는 경보수단(80)이 더 보강 구비된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상기 클램프(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측 인입선(5)의 중간부를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베이스패널(2)에 구비된다. 본 발명 실시예의 경우 베이스패널(2)의 상면에 고정되되, 1차측의 입력단자(3a) 외측에 위치되고, 상면에는 전원측 인입선(5)이 삽입고정되는 오목홈(11)이 형성되어 오목홈(11)에 전원측 인입선(5)을 끼워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다.
상기 배선온도 측정센서(20)는 공지의 온도센서로서, 제어유닛(7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 실시예의 경우 클램프(10)의 오목홈(11)에 설치되되, 내향으로 노출되며, 클램프(10)에 고정된 전원측 인입선(5)의 둘레면에 밀착되어 전원측 인입선(5)의 온도를 지속적으로 측정하고, 측정된 값을 제어유닛(70)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력측정수단(30)은 1차측의 입력단자(3a)에 연결되어, 전원측 인입선(5)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 즉, 와트를 측정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전원측 인입선(5)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을 측정하여 제어유닛(70)으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전력측정수단은 다양한 것이 사용되고 있으며, 설치 및 연결위치는 적용하는 전력측정수단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바뀔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도면상에 도시는 생략하였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강도측정기구(40)는 베이스패널(2)의 전원측 인입선(5)에 연장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고정된 가이드레일(41)과; 가이드레일(41)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드블록(42)과; 슬라이드블록(42)에 구비되며 일측에는 전원측 인입선(5)이 삽입고정되는 삽입홈(43a)이 형성된 지지블록(43)과; 슬라이드블록(42)과 지지블록(43)의 사이에 구비되며 지지블록(43)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여 제어유닛(70)으로 출력하는 압력센서(44)와; 슬라이드블록(42)에 연결되어 슬라이드블록(42)을 전후 왕복시키는 왕복구동기구(45)로 구성된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슬라이드블록(42)의 상면 양측에는 지지블록(43)의 양면을 지지하는 지지부(42a)가 구비되고, 지지블록(43)은 지지부(42a) 사이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압력센서(44)는 지지부(42a)와 지지블록(43)의 사이에 위치되어 지지블록(43)이 측방향으로 가압되는 힘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왕복구동기구(45)는 가이드레일(41)과 평행하도록 슬라이드블록(42)에 결합된 나사축(45a)과, 나사축(45a)을 강제로 회전시키는 구동모터(45b)로 구성된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동모터(45b)를 매개로 나사축(45a)을 강제로 회전시키게 되면, 나사축(45a)에 설치된 슬라이드블록(42)은 구동모터(45b)의 회전방향에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된다.
따라서, 도 6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왕복구동기구(45)로 슬라이드블록(42)을 왕복시켜 전원측 인입선(5)의 중간부가 일측으로 휘도록 밀면, 전원측 인입선(5)에 의해 지지블록(43)에 저항력이 발생하게 되며, 이때 압력센서(44)는 지지블록(43)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여 전원측 인입선(5)의 비틀림강도를 간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강도측정기구(40)는 인입선(5)이 열화될 경우 전선의 강도가 변하게 되는 것을 이용하는 것으로, 압력센서(44)를 이용하여 측정된 인입선(5)의 강도가 비정상적으로 높아지거나 약해질 경우 인입선(5)이 열화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보호케이스(1)의 내부에는, 보호케이스(1)의 상면에 설치되고, 화재시 발생되는 열을 감지하여 화재감지신호를 제어유닛(70)으로 출력하는 화재감지센서(50)와; 제어유닛(7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화재지역으로 소화액을 분사시켜 화재를 진압하는 소화전(60)이 설치된다.
상기 화재감지센서(50)는 통상의 열 감지센서로, 쥐와 같은 설치류에 의해 인입·인출선(5,6)이 손상되어 도선에 일부분가 끊어져 전기합선에 따른 화재가 발생되거나 또는 노후로 인해 보호기능을 상실한 피복선의 내측으로 침투수가 유입되어 전류가 흐르는 도선과 접촉되므로서 누전 및 합선에 따른 화재가 일어나는 경우, 화재시 발생되는 고온의 열을 열 감지센서 즉, 화재감지센서(50)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유닛(70)로 화재감지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화재감지센서(50)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전달받은 제어유닛(70)은 보호케이스(1)의 내측 상단에 배치되어 있는 소화전(60)의 분사밸브(61)로 소화전동작신호를 전달하여 분사밸브(61)를 통해 소화액이 인입·인출선(5,6)이 배선된 보호케이스(1)의 내부로 분사되어 신속하게 화재를 진압하게 된다.
상기 소화전(60)은, 외면이 단단한 철제용기로 되어 있고, 내부에는 소화약제와 압축공기 또는 높은 압력으로 액화된 불연성가스(질소, 이산화탄소, 할로겐가스)가 충진되며, 용기의 일측에는 내부에 충진된 소화약제와 불연성가스의 유출을 단속하는 분사밸브(61)가 설치된다.
본 발명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어유닛(70)로부터 소화전동작신호가 입력되면 분사밸브(61)의 입구는 개방되고, 이때 철제용기의 내부에 충진된 소화약제와 불연성가스가 내압에 의해 분사밸브(61)의 입구를 통해 인입·인출선(5,6)이 배선된 보호케이스(1)의 내부로 분사되어 화재지역을 일순간 진압되도록 함으로서, 이를 통해 화재발생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제어유닛(70)은 배선온도 측정센서(20)와 전력측정수단(30)으로부터 각각의 측정값을 전달받아 미리 설정해둔 기준 값과 상호 비교하여 인입선(5)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에 비해 인입선(5)의 온도가 비정상적으로 상승할 경우, 강도측정기구(40)를 동작제어하여 인입선(5)의 강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결과에 따라 인입선(5)이 열화된 것인지 또는 인입선(5)과 입력단자(3a) 간의 연결상태 불량인지를 판단하여 판단된 결과에 따라 경보수단(80)으로 서로 다른 경보신호를 출력하며, 인입선(5)의 온도가 기준 값을 초과하면 전자식 개폐기(4)를 즉시 OFF시켜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어유닛(70)은 내부온도 측정센서(50)로부터 내부온도를 전달받아 내부온도가 기준 값 이상인 경우 팬(60)을 동작제어하는 기능을 함께 수행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전원측 인입선(5)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이 기준 값(허용범위) 이내라면, 전원측 인입선(5)의 온도는 보호케이스(1)의 내부온도와 비슷한 정도의 온도를 유지한다. 그리고, 제어유닛(70)은 전원측 인입선(5)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이 기준 값(허용범위) 이내인 상태에서 인입선(5)의 온도가 보호케이스(1)의 내부온도에 비해 비정상적으로 상승할 경우, 인입선(5)에 심각한 열화가 발생되거나 인입선(5)과 입력단자(3a)의 연결이 느슨해진 상태인 것을 의미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유닛(70)은 배선온도 측정센서(20)로부터 측정값을 수신받아 미리 설정해 둔 기준 값과 상호 비교하게 되는데, 인입선(5)의 온도가 비정상적으로 높을 경우 전력측정수단(30)을 매개로 전원측 인입선(5)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을 측정하여 전력이 기준 값(허용범위) 이하라면, 강도측정기구(40)의 왕복구동기구(45)를 작동시켜 전원측 인입선(5)을 측방향으로 밀면서 압력센서(44)로부터 압력 값을 수신받아 전원측 인입선(5)의 강도를 측정한다.
그리고, 제어유닛(70)은 측정된 전원측 인입선(5)의 강도가 설정된 기준 값(정상값)에 비해 높거나 낮을 경우 전원측 인입선(5)이 열화된 것으로 판단하여 인입선(5)의 열화를 알리는 경고신호를 출력하고, 만약, 전원측 인입선(5)의 강도가 설정된 기준 값과 큰 차이가 없는 경우 전원측 인입선(5)과 1차측의 입력단자(3a)의 연결이 느슨해지고 이에 따른 저항증가에 의해 전원측 인입선(5)의 온도가 상승한 것으로 판단하여 인입선(5)의 연결이 상을 알리는 경고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또한, 경고신호는 인입선(5)의 온도가 규정이상으로 상승할 경우, 전자식 개폐기(4)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분기회로(3)에 구비된 전자식 개폐기(4)를 OFF시켜 전력 공급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게 된다.
한편, 쥐와 같은 설치류에 의해 인입·인출선(5,6)이 손상되어 도선에 일부분가 끊어져 전기합선에 따른 화재가 발생되거나 또는 노후로 인해 보호기능을 상실한 인입·인출선(5,6)의 내측으로 침투수가 유입되어 전류가 흐르는 도선과 접촉되므로서 누전 및 합선에 따른 화재가 일어나는 경우, 화재시 발생되는 고온의 열을 화재감지센서(50)가 감지하여 제어유닛(70)로 화재감지신호 출력하고, 화재감지센서(50)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전달받은 제어유닛(70)은 보호케이스(1)의 내측 상단에 배치되어 있는 소화전(60)의 분사밸브(61)로 소화전동작신호를 전달하여 분사밸브(61)를 통해 소화액이 인입·인출선(5,6)이 배선된 보호케이스(1)의 내부로 분사되도록 함으로서, 화재지역을 일순간 진압하여 화재발생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경보수단(80)은 제어유닛(70)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어, 제어유닛(70)에서 출력되는 경고신호를 수신하여 외부로 음향을 방출함으로써, 관리자에게 인입선(5)의 열화 또는 연결불량을 경고할 수 있어 관리자는 신속하게 후속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고정배선의 상태확인이 가능한 배전반은, 보호케이스(1)의 내부에 화재감지센서(50)와 소화전(60)을 마련하여 줌으로서, 인입·인출선(5,6)의 손상으로 인한 전기화재시 이를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어 인입·인출선(5,6)을 타고 불길이 확산되어 배선된 인입·인출선(5,6)이 모두 전소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전원측 인입선(5)의 온도가 케이스(1)의 내부온도에 비해 비정상적으로 상승될 경우 강도측정기구(40)를 이용하여 전원측 인입선(5)의 강도를 측정하여 전원측 인입선(5)이 열화된 것인지 아니면 인입선(5)이 입력단자(3a)에 정확히 연결되지 않은 연결불량이 발생된 것인지를 판단한 후, 판단 결과에 따라 경보수단(80)에 서로 다른 경고신호를 출력하여, 관리자가 전원측 인입선(5)의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이에 따른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여러 곳의 배전반의 제어유닛(70)을 경보수단(80)에 연결하여 여러 배전반에 연결된 인입선(5)의 상태를 한꺼번에 효과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에 더하여 강도측정기구(40)의 동작시 인입선(5)의 파단이나 단선을 막으면서 안정적이고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도록 도 7 및 도 8과 같이 완충부재(100)를 더 구비한다.
특히, 상기 강도측정기구(40)는 구동모터(45b)의 구동력에 의해 강제적으로 인입선(5)을 유동시켜 그 열화 여부를 테스트하기 위한 것이므로, 클램프(10)로 견고히 붙잡고 있는 부분 때문에 실제 인입선(5)에 걸리는 장력만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는 단점이 있고, 과다한 장력이 걸려 있는 상태에서는 지지블록(43)이 갑자기 유동시 파단, 단선의 위험이 매우 높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순간적으로 클램프(10)에 가해지는 힘(구동모터에 의해 발생함), 또는 지지블록(43)에 힘이 전달되더라도 이를 완충시켜 안정화시킨 상태에서 순전히 인입선(5)에 걸리는 장력을 정확하게 측정토록 하여 인입선(5)의 열화 여부를 더욱 더 정확하게 계측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도 7의 (a),(b),(c)와 같은 형태의 완충부재(100)를 구비한다.
상기 완충부재(100)는 클램프(10) 혹은 지지블록(43)의 내주면, 즉 내경에 안착된다.
따라서, 상기 인입선(5)은 상기 완충부재(100)의 개재하에 클램프(10) 혹은 지지블록(43) 상에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완충부재(100)는 튜브 형태로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튜브 형태의 완충부재(100)는 내부에 공기가 채워질 수도 있고, 혹은 물과 같은 액체가 채워질 수도 있다.
특히, 상기 튜브 형태의 완충부재(100)는 통상적으로 알려진 비닐류로 구성할 경우 찢어지기 쉽고, 파손되기 쉽기 때문에 기능 상실의 우려가 높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실리콘 소재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완충부재(100)를 스프링으로 하지 않고 튜브 형상의 실리콘 소재로 구성하는 이유는 스프링의 경우 단순 완충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인입선(5)의 장력 측정시 왜곡이 심하지만, 본 발명 완충부재(100)는 인입선(5)의 변형 발생시 반경방향으로 모든 방향에 대하여 균일하고 일정한 변형력 전달 기능이 가능하기 때문에 가해진 외력에 대해 왜곡없이 더욱 더 정확한 계측이 가능하도록 하여 주기 때문이다.
이러한 완충부재(100)는 튜브 형태이기 때문에 전선인 인입선(5)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어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튜브가 처음부터 인입선(5)에 끼워지지 않는 이상 인입선(5)의 중간에서 끼울 수는 없다.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튜브의 일부 또는 단부가 절단되고, 이들을 연결하여 인입선(5)에 감아 설치하기는 쉽지만, 씰링성은 증대시켜 내부에 충전된 유체가 누설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관건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완충부재(100)의 길이 일부가 절단된 상태에서 도 7의 (b),(c)와 같은 형태의 커넥터(200)를 사용한다.
상기 커넥터(200)는 고정바디(210)와, 상기 고정바디(210)의 양측에 접속되는 체결바디(23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고정바디(210)와, 한 쌍의 체결바디(230)는 모두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특히 상기 고정바디(210)의 외주면 일부에는 내부와 연통되는 충전구(220)가 형성된다.
상기 충전구(220)는 상기 튜브형 완충부재(100) 내부로 유체를 공급하여 채우기 위한 수단이며, 통상적으로 물놀이용 튜브 등에 마련된 충전구의 구조와 동일하다고 보면 된다.
아울러, 상기 고정바디(210)의 양단에는 서로 대응되게 동일한 구조로 제1턱(212)이 형성된다.
상기 제1턱(212)은 상기 고정바디(210)의 내경에서 외경을 향해 절삭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턱(212)과 간격을 두고 제2턱(214)이 더 형성되어 다단 턱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고정바디(210)의 단부, 즉 제2턱(214)을 지난 지점에는 내경 중심을 향해 돌출된 후크고정부(216)가 일체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고정바디(210)의 양단에 결합되는 체결바디(230)의 일측단은 상기 고정바디(210) 속으로 삽입되면서 상기 제1턱(212)에 걸릴 수 있도록 제1턱끼움부(232)가 형성되고, 제1턱끼움부(232)로부터 경사지게 경사면(234)이 상향 연장되어 상기 제2턱(214)과 대응되는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 후 다시 수평상으로 연장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체결바디(230)의 선단을 상기 고정바디(210)에 끼우게 되면 도 7의 (c)와 같은 형태로 제1,2턱(212,214) 및 제1턱끼움부(232), 경사면(234)이 맞물리면서 최종적으로 후크고정부(216)가 체결바디(230)의 후단에 후크고정되는 형태로 결속되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결속과정이 이루어질 때 미리 튜브 형태의 완충부재(100) 일단을 상기 체결바디(230)의 내경 속으로 집어 넣은 다음, 튜브 형태의 완충부재(100)의 끝단, 즉 개방부를 까뒤집어서 체결바디(230)의 외경 바깥으로 향하도록 하고, 그 상태에서 상술한 체결과정을 수행하게 되면 까뒤집어진 튜브 형태의 완충부재(100) 개방부가 고정바디(210)와 체결바디(230)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견실 안정적인 씰링구조를 갖추게 되어 누설의 우려없이 상호 접속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충전구(220)를 통해 유체를 충전하면 튜브 형태의 완충부재(100)가 탄성체로 변화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충전구(220)는 클램프(10)의 하부에 마련되어 있는 빈 공간(S) 상에 위치되게 하면 더욱 더 안전한 조립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완충부재(100)와 클램프(10)의 내벽면 사이 공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트레인게이지(140)를 설치하여 완충부재(100)가 파단되거나 찢어져 탄성 기능을 상실하게 되면 이를 즉시 감지하여 구동모터(45b)의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하여 인입선(5)의 파단을 방지하도록 하는 기능도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 구조에 따라 배선온도측정센서(20)는 인입선(5)과 완충부재(100) 사이에 배치하되, 완충부재(100)의 내경측에 홈 형태의 공간을 만들면 더욱 더 안전하고 원활한 설치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스트레인게이지(140)로부터 인출된 인출선(142)은 제어유닛(70)으로 연결된다.
그리하여, 클램프(10)를 기점으로 지지블록(43)에 구동모터(45b)의 구동력이 가해져 도 6과 같은 형태로 인입선(5)이 강제 변형될 때 클램프(10)의 내경에서 인입선(5)과 사이에 개재된 완충부재(100)가 구부러지는 인입선(5)을 탄성한계 내에서 최대한 완충지지하되 그 변형력을 반경방향으로 균일하게 전달하게 된다.
따라서, 클램프(10)나 지지블록(43)에 물려 있는 인입선(5)의 특정 지점이 과도한 힘을 받더라도 그 부분의 파단이나 단선이 방지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서는 개폐기(4)의 구조를 도 8 내지 도 10과 같이 개량함으로써 설치작업이 쉽고 편리하며, 장수명화는 물론 효율화에 따른 유지 보수 기간을 연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개폐기(4), 더 정확하게 전자식 개폐기(4)는 입력단자(3a)는 물론 출력단자(3b) 양측 모두에 설치된다.
여기에서, 설명의 명확화를 위해 개폐기(4)가 개폐하는 스위칭 단자는 제1분기단자(310)와 제2분기단자(320)라 칭하기로 하며, 이들은 개폐기(4)의 스위칭에 의해 입력단자(3a)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부하측으로 전달하거나 혹은 출력단자(3d)를 통해 분기측 인출선(6)으로 전송하도록 동작하게 된다.
또한, 도시된 예는 개폐기(4) 한 개를 의미하며, 여러 개의 개폐기가 한 조로 묶일 수 있으므로 이때 사용되는 솔레노이드밸브(330)는 충분히 작게 만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개폐기(4)는 솔레노이드밸브(33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솔레노이드밸브(330)는 앞서 설명한 것처럼 제어유닛(70)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한다.
그리고, 상기 솔레노이드밸브(330)는 밸브몸체(332)와 상기 밸브몸체(332)의 선단에서 전후진 왕복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는 밸브스트로크(334)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밸브스트로크(334)는 상기 솔레노이드밸브(330)의 온/오프에 따라 전진과 후진을 반복하도록 구성되는 공지된 구성이다.
특히, 상기 밸브스트로크(334)는 스트로크 동작시 힘이 한 곳에 집중하도록 선단으로 갈수록 끝이 뾰족해지는 원추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더 정확하게는 절두원추형, 즉 머리가 잘린 원추형상이 좋다.
아울러, 상기 솔레노이드밸브(330)는 'ㄷ' 형상의 밸브브라켓(340)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밸브브라켓(340)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330)가 유동되지 않도록 견고히 고정하며, 상단에는 수직하게 판형상의 고정대(342)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대(342)는 고정대볼트(344)를 통해 도시하지 않은 개폐기하우징(미도시)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솔레노이드밸브(330)는 두 개의 솔밸브볼트(336)를 통해 상기 밸브몸체(332)가 상기 밸브브라켓(340)에 체결되는 형태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밸브몸체(332)의 선단면에는 대략 'ㄷ' 형상을 갖되, 양단이 각각 바깥방향으로 수직절곡된 연장고정편(410)을 갖는 가이드브라켓(400)이 체결된다.
다시 말해, 상기 연장고정편(410)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가이드고정볼트(420)에 의해 상기 가이드브라켓(400)이 상기 밸브몸체(332) 상에 견고히 고정되어 일체를 이룬다.
이때, 상기 가이드브라켓(400)의 양측면에는 일정길이 장공(430)이 형성되고, 상기 장공(430)에는 도전단자(440)가 끼워지며, 상기 도전단자(440)의 양단에는 링클립(450)이 끼워져 도전단자(440)가 분리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준다.
상기 링클립(450)은 중앙에 형성된 구멍에 키가 형성되어 있어 구멍을 관통하는 도전단자(440)에 키가 끼워짐으로서 서로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공지의 고정수단이다.
그리고, 상기 도전단자(440)의 일측면에는 연결환(460)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환(460)에는 상기 밸브스트로크(334)의 선단이 삽입된다.
또한, 상기 연결환(460)과 180°대향되는 지점의 도전단자(440)의 타측면 상에는 탄성스프링(470)의 일단이 탄지되고, 탄성스프링(470)의 타단은 스프링홈(480)에 삽입된다.
여기에서, 상기 스프링홈(480)은 탄성조절볼트(490)의 선단면에 요입형성되며, 상기 탄성조절볼트(490)는 외주면 일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가이드브라켓(400)의 전면을 관통하여 나사체결됨으로써 상기 탄성스프링(470)을 탄지하게 되며, 이를 조이고 푸는 것에 의해 탄성스프링(470)의 탄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 상기 도전단자(440)의 양단이 도전체인 연장대판(600, 도 9 참조)과의 면 접촉 정도를 조절할 수 있어 원활하고 안정적인 단자 접속을 유도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브라켓(400)의 양측 내벽면에는 단자고정구(500)가 설치된다.
상기 단자고정구(500)는 도 9에 예시한 바와 같이, 두 개가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갖지만 서로 반전된 상태로 즉, 상하방향으로 뒤집어진 상태로 고정된다.
이러한 단자고정구(500)는 상기 제1,2분기단자(310,320)를 끼워 고정하는 일종의 소켓으로서, 판상의 고정대판(510)에 원통형상의 단자고정통(5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대판(510)은 대판볼트(530)에 의해 상기 가이드브라켓(400)의 양측 내벽면에 견고히 체결 고정된다.
아울러, 상기 단자고정통(520)은 일단은 개방되고, 타단은 밀폐되되 밀폐된 면에 접속단공(540)이 형성되어 제1,2분기단자접속단(312,322)이 각각 관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접속단공(540)은 제1,2분기단자접속단(312,322), 즉 피복이 벗겨진 도선 부분만 통과하도록 구성되며, 피복 부분인 제1,2분기단자(310,320)는 통과하지 못하고 통 속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한 쌍의 상기 단자고정구(500)는 서로 180°반전된 상태로 고정되며, 상기 접속단공(540)을 통과하여 노출된 제1,2분기단자접속단(312,322) 두 개가 도전체인 연장대판(600)과 안정적으로 접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뿐만 아니라, 상기 단자고정구(500)의 단자고정통(520)으로 삽입된 제1,2분기단자(310,320)가 이탈되지 않고 제자리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대판(510)의 각 외측에는 단자고정볼트(550)가 체결된다.
또한, 통전을 위해 위해 상기 고정대판(510)의 각 하단면에는 도 9에서와 같이 연장대판(600)이 형성되고, 연장대판(600)에는 제1,2분기단자(310,320)의 제1,2분기단자접속단(312,322)이 접촉되어 통전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때, 한 쌍의 상기 연장대판(600)이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접촉효율을 높이기 위해 상기 제1,2분기단자접속단(312,322)과 대응되는 곡률(610)이 더 형성된다.
그리하여, 도전단자(440)가 연장대판(600) 쪽으로 밀리면 제1,2분기단자접속단(312,322)와 통전가능한 상태로 유지되는 도전체인 연장대판(600)의 일측면과 도전단자(440)가 면 접촉하게 되며, 이를 통해 안정적인 통전 접속관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개폐기(4)를 구성할 때 제1,2분기단자(310,320)를 각각 단자고정구(500)에 끼워넣고, 단자고정볼트(550)로 체결하게 되면 연장대판(600)과 제1,2분기단자접속단(312,322)이 서로 접속되어 통전상태를 이루기 때문에 아주 쉽고 빠른 단자 고정작업이 완성된다.
아울러, 상기 솔레노이드밸브(330)가 오프되었을 때에는 밸브스트로크(334)가 도전단자(440)로부터 멀어지기 때문에 도전단자(440)는 탄성스프링(470)이 미는 힘에 의해 각 연장대판(600)과 떨어지게 되므로 전기가 통하지 않게 된다.
반대, 솔레노이드밸브(3300가 온되면, 밸브스트로크(334)가 전진하면서 도전단자(440)를 밀어 도전단자(440)의 양단이 각각 연장대판(600)과 접촉하게 되므로 통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탄성스프링(470)은 밸브스트로크(334)가 가하는 충격을 완충하여 연장대판(600)과의 접촉불량을 방지하면서 안정적인 접촉관계를 탄성적으로 유지시키게 된다.
1: 보호케이스 2: 베이스패널 3: 분기회로
4: 개폐기 5: 인입선 6: 인출선
10: 클램프 20: 배선온도 측정센서 30: 전력측정수단
40: 강도측정기구 50: 화재감지센서 60: 소화전
70: 제어유닛 80: 경보수단 100: 완충부재
110: 내측편 120: 외측편 130: 탄성편

Claims (1)

  1. 보호케이스(1)의 내부에 설치고정되는 절연재질의 베이스패널(2)과; 베이스패널(2)에 설치되며 입력단자(3a)와 출력단자(3b)를 갖는 분기회로(3)와; 분기회로(3)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분기회로(3)를 연결 또는 차단하는 개폐기(4)를 포함하며, 분기회로(3)의 1차측과 2차측에 형성된 입력단자(3a)와 출력단자(3b)에는 각각 전원측 인입선(5)과 분기측 인출선(6)이 연결되어 분기회로(3)로 전원측 인입선(5)을 통해 공급된 전기를 분기하여 분기측 인출선(6)을 통해출력할 수 있도록 된 공지의 배전반에 있어서; 상기 개폐기(4)는 제어유닛(70)의 제어신호에 따라 분기회로(3)를 연결 또는 차폐하는 전자식 개폐기(4)로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패널(2)에 구비되며 인입선(5)의 중간부를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된 클램프(10): 클램프(10)에 구비되며 인입선(5)의 온도를 측정하여 제어유닛(70)으로 출력하는 배선온도 측정센서(20): 인입선(5)에 연결되며 인입선(5)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을 측정하여 제어유닛(70)으로 출력하는 전력측정수단(30): 베이스패널(2)의 전원측 인입선(5)에 연장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고정된 가이드레일(41)과; 가이드레일(41)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드블록(42)과; 슬라이드블록(42)에 구비되며 일측에는 전원측 인입선(5)이 삽입고정되는 삽입홈(43a)이 형성된 지지블록(43)과; 슬라이드블록(42)과 지지블록(43) 사이에 구비되는 압력센서(44)와; 슬라이드블록(42)에 연결되어 슬라이드블록(42)을 전후 왕복시키는 왕복구동기구(45)를 갖추고서, 인입선(5)의 중간부에 연결되며 제어유닛(7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인입선(5)을 측방향으로 가압하여 휘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왕복구동기구(45)를 매개로 슬라이드블록(42)을 왕복시킬 때에 압력센서(44)가 지지블록(43)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여 제어유닛(70)으로 출력하는 강도측정기구(40): 보호케이스(1)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며 화재발생시 이를 감지하여 화재감지신호를 제어유닛(70)으로 출력하는 화재감지센서(50): 제어유닛(70)의 소화전동작신호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분사밸브(61)를 갖추고서, 내부에 충진된 소화액이 분사밸브(61)를 통해 보호케이스(1)의 내부로 분사되어 화재지역을 진압하는 소화전(60): 배선온도 측정센서(20)와 전력측정수단(30)으로부터 각각의 측정값을 전달받아 미리 설정해 둔 기준 값과 상호 비교하되, 인입선(5)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에 비해 인입선(5)의 온도가 비정상적으로 상승할 경우 강도측정기구(40)를 동작제어하여 인입선(5)의 강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결과에 따라 인입선(5)이 열화된 것인지 또는 인입선(5)과 입력단자(3a) 간의 연결상태 불량인지를 판단하여 판단된 결과에 따라 경보수단(80)로 서로 다른 경보신호를 출력하며, 인입선(5)의 온도가 기준 값을 초과하면 개폐기(4)를 즉시 OFF시켜 전원공급을 차단하며, 화재감지센서(50)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소화전(60)을 동작제어하는 제어유닛(70): 제어유닛(7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외부로 음향을 방출하는 경보수단(80)을 더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10) 및 지지블록(43)의 내경에는 상기 인입선(5)을 고정하는 완충부재(100)가 끼워지되, 상기 완충부재(100)는 튜브 형상의 실리콘으로 형성되고, 외주면 일부에는 충전구(220)가 형성되며, 일부가 절단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완충부재(100)의 절단된 부분은 커넥터(200)로 접속되어 이어지되, 상기 커넥터(200)는 원통형상의 고정바디(210)와, 원통형상의 체결바디(230)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바디(210)는 내경에서 외경을 향해 제1턱(212), 제2턱(214) 및 제2턱(214)과 간격을 두고 후크고정부(216)가 각각 양단에 형성되고; 상기 체결바디(230)의 일단은 상기 고정바디(210)에 끼워지면서 제1턱(212)에 걸림되는 제1턱끼움부(232), 제1턱끼움부(232)로부터 경사 연장된 경사면(234)을 포함하며; 상기 완충부재(100)의 절단된 개방부는 각각 상기 체결바디(230)의 내경으로 삽입된 후 까뒤집어져 외경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바디(210)에 삽입됨으로써 고정바디(210)와 체결바디(230) 사이에 맞물려 씰링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개폐기(4)는 제어유닛(70)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솔레노이드밸브(330)를 포함하되, 상기 솔레노이드밸브(330)는 밸브몸체(332)와 상기 밸브몸체(332)의 선단에서 전후진 왕복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는 밸브스트로크(334)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몸체(332)의 선단면에는 'ㄷ' 형상을 갖되, 양단이 각각 바깥방향으로 수직절곡된 연장고정편(410)을 갖는 가이드브라켓(400)이 체결되고; 상기 가이드브라켓(400)의 양측면에는 일정길이 장공(430)이 형성되며, 상기 장공(430)에는 도전단자(440)가 끼워지고, 상기 도전단자(440)의 양단은 링클립(450)이 끼워져 도전단자(440)가 분리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며; 상기 도전단자(440)의 일측면에는 연결환(460)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환(460)에는 상기 밸브스트로크(334)의 선단이 삽입되며; 상기 연결환(460)과 180°대향되는 지점의 도전단자(440)의 타측면 상에는 탄성스프링(470)의 일단이 탄지되고, 탄성스프링(470)의 타단은 스프링홈(480)에 삽입되며; 상기 가이드브라켓(400)의 양측 내벽면에는 단자고정구(500)가 설치되는데, 상기 단자고정구(500)는 두 개가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갖지만 서로 반전된 상태로 고정되며; 상기 단자고정구(500)는 제1,2분기단자(310,320)를 끼워 고정하는 일종의 소켓으로서, 판상의 고정대판(510)에 원통형상의 단자고정통(520)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대판(510)은 대판볼트(530)에 의해 상기 가이드브라켓(400)의 양측 내벽면에 견고히 체결 고정되며, 상기 단자고정통(520)은 일단은 개방되고, 타단은 밀폐되되 밀폐된 면에 접속단공(540)이 형성되어 제1,2분기단자접속단(312,322)이 각각 관통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고정대판(510)의 하단면에는 도전체인 연장대판(600)이 각각 더 돌출되고, 한 쌍의 상기 연장대판(600)이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제1,2분기단자접속단(312,322)이 접촉되는 곡률(610)이 형성되며, 상기 접속단공(540)을 관통한 상기 제1,2분기단자접속단(312,322)은 각각 상기 고정대판(510)과 통전가능하게 접속되고, 상기 단자고정구(500)의 단자고정통(520)으로 삽입된 제1,2분기단자(310,320)가 이탈되지 않고 제자리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대판(510)의 각 외측에는 단자고정볼트(550)가 체결되며, 상기 도전단자(440)는 상기 밸브스트로크(334)에 의해 상기 연장대판(600)과 면접촉되거나 떨어지면서 전기의 통전을 단속(斷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
KR1020150181970A 2015-12-18 2015-12-18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 배치를 위한 배전반 KR1016450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1970A KR101645006B1 (ko) 2015-12-18 2015-12-18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 배치를 위한 배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1970A KR101645006B1 (ko) 2015-12-18 2015-12-18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 배치를 위한 배전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5006B1 true KR101645006B1 (ko) 2016-08-12

Family

ID=56714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1970A KR101645006B1 (ko) 2015-12-18 2015-12-18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 배치를 위한 배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500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5834B1 (ko) * 2017-03-28 2018-08-07 (주)선주엔지니어링 지중매설형 지중전선의 인입출선 연결구조
CN110047255A (zh) * 2019-04-22 2019-07-23 浙江铭盛科技有限公司 基于窄带物联网的消防系统
CN110940448A (zh) * 2019-11-28 2020-03-31 明达海洋工程有限公司 锚杆轴力报警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7300Y2 (ja) * 1991-05-30 1998-07-23 株式会社明電舎 遮断器
KR19980064234U (ko) * 1997-04-26 1998-11-25 이종수 자동 개폐기
KR101034566B1 (ko) 2011-02-17 2011-05-12 (주)중앙기술단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
KR101315723B1 (ko) * 2013-06-28 2013-10-10 대원일렉콘(주)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 배치를 위한 배전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7300Y2 (ja) * 1991-05-30 1998-07-23 株式会社明電舎 遮断器
KR19980064234U (ko) * 1997-04-26 1998-11-25 이종수 자동 개폐기
KR101034566B1 (ko) 2011-02-17 2011-05-12 (주)중앙기술단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
KR101315723B1 (ko) * 2013-06-28 2013-10-10 대원일렉콘(주)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 배치를 위한 배전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5834B1 (ko) * 2017-03-28 2018-08-07 (주)선주엔지니어링 지중매설형 지중전선의 인입출선 연결구조
CN110047255A (zh) * 2019-04-22 2019-07-23 浙江铭盛科技有限公司 基于窄带物联网的消防系统
CN110940448A (zh) * 2019-11-28 2020-03-31 明达海洋工程有限公司 锚杆轴力报警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4566B1 (ko)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
KR101645006B1 (ko)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 배치를 위한 배전반
US8446234B2 (en) Protection device with a sandwiched cantilever breaker mechanism
KR101145351B1 (ko) 배전형 지중선로의 보호를 위한 전선관
KR102047358B1 (ko) 화재진압이 가능한 지중배전선 연결커넥터
KR101489300B1 (ko) 아크, 부분방전 및 온도 감시 통합 수배전반 및 이를 이용한 수배전반 제어방법
KR20100054334A (ko) 절연저항측정을 겸한 모터보호 장치 및 그 방법
BRPI0513642A2 (pt) método de seccionamento com seccionador de linha de distribuição de energia elétrica de média tensão que exibe distúrbio, seccionador de linhas de distribuição de energia elétrica de média tensão a ele aplicado e circuito eletrÈnico para detectar corrente defeituosa compreendido no mencionado seccionador
JP2009536513A (ja) 電圧下で高電圧開閉装置を保守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20190097412A1 (en) Leakage current detection and protection device for power cord
JP5175521B2 (ja) 避雷器放圧試験装置および避雷器放圧試験方法
US8393922B2 (en) Connection system enabling the tightening torque of a screw terminal to be indicated
KR101573008B1 (ko) 공동주택의 벽체 내설형 엘이디(led) 전원 배전구조물
CN206388949U (zh) 高压连接器、高压连接状态监测系统及车辆
KR101306969B1 (ko) 공동주택 설치 전용 엘이디의 전원 배치를 위한 배전반
KR101315723B1 (ko)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 배치를 위한 배전반
KR101219135B1 (ko)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 배치를 위한 배전반
KR102047357B1 (ko) 이상확인기능을 갖춘 지중배전라인 지지기구
KR102459033B1 (ko) 가공배전라인의 안정적 지지가 가능한 가공배전선 고정 클램프 장치
CN102891042A (zh) 带有saw传感器的发电机断路器
KR200442250Y1 (ko) 전기 스파크감지장치를 갖는 누전차단기
KR20190006818A (ko) 진공 차단기
KR20200001928U (ko) 가스 절연 차단기
KR102079864B1 (ko) 순간압력센서 시험장치 및 시험방법
US20050105228A1 (en) Recepta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