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4566B1 -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34566B1 KR101034566B1 KR1020110014219A KR20110014219A KR101034566B1 KR 101034566 B1 KR101034566 B1 KR 101034566B1 KR 1020110014219 A KR1020110014219 A KR 1020110014219A KR 20110014219 A KR20110014219 A KR 20110014219A KR 101034566 B1 KR101034566 B1 KR 10103456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ad wire
- control unit
- fire
- power supply
- pow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4—Circuit arrangements for boards or switchyard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02—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specially adapted for thermometer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12—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27—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9/00—Alarms responsive to two or more different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s, e.g. burglary and fire, abnormal temperature and abnormal rate of flow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5/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non-electric working conditions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H02H5/04—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non-electric working conditions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responsive to abnormal tempera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호케이스(1)의 내부에 설치고정되는 절연재질의 베이스패널(2)과; 베이스패널(2)에 설치되며 입력단자(3a)와 출력단자(3b)를 갖는 분기회로(3)와; 분기회로(3)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분기회로(3)를 연결 또는 차단하는 개폐기(4)를 포함하며, 분기회로(3)의 1차측과 2차측에 형성된 단자(3a,3b)에는 각각 전원측 인입선(5)과 분기측 인출선(6)이 연결되어 분기회로(3)로 전원측 인입선(5)을 통해 공급된 전기를 분기하여 분기측 인출선(6)을 통해 출력할 수 있도록 된 공지의 배전반에 있어서, 상기 개폐기(4)는 제어유닛(70)의 제어신호에 따라 분기회로(3)를 연결 또는 차폐하는 전자식개폐기(4)로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패널(2)에 구비되며 인입선(5)의 중간부를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된 클램프(10): 클램프(10)에 구비되며 인입선(5)의 온도를 측정하여 제어유닛(70)으로 출력하는 배선온도 측정센서(20): 인입선(5)에 연결되며 인입선(5)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을 측정하여 제어유닛(70)으로 출력하는 전력측정수단(30): 베이스패널(2)의 전원측 인입선(5)에 연장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고정된 가이드레일(41)과; 가이드레일(41)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드블록(42)과; 슬라이드블록(42)에 구비되며 일측에는 전원측 인입선(5)이 삽입고정되는 삽입홈(43a)이 형성된 지지블록(43)과; 슬라이드블록(42)과 지지블록(43) 사이에 구비되는 압력센서(44)와; 슬라이드블록(42)에 연결되어 슬라이드블록(42)을 전후 왕복시키는 왕복구동기구(45)를 갖추고서, 인입선(5)의 중간부에 연결되며 제어유닛(7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인입선(5)을 측방향으로 가압하여 휘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왕복구동기구(45)를 매개로 슬라이드블록(42)을 왕복시킬 때에 압력센서(44)가 지지블록(43)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여 제어유닛(70)으로 출력하는 강도측정기구(40): 보호케이스(1)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며 화재발생시 이를 감지하여 화재감지신호를 제어유닛(70)으로 출력하는 화재감지센서(50): 제어유닛(70)의 소화전동작신호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분사밸브(61)를 갖추고서, 내부에 충진된 소화액이 분사밸브(61)를 통해 보호케이스(1)의 내부로 분사되어 화재지역을 진압하는 소화전(60): 배선온도 측정센서(20)와 전력측정수단(30)으로부터 각각의 측정값을 전달받아 미리 설정해 둔 기준 값과 상호 비교하되, 인입선(5)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에 비해 인입선(5)의 온도가 비정상적으로 상승할 경우 강도측정기구(40)를 동작제어하여 인입선(5)의 강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결과에 따라 인입선(5)이 열화된 것인지 또는 인입선(5)과 단자(3a) 간의 연결상태 불량인지를 판단하여 판단된 결과에 따라 경보수단(80)로 서로 다른 경보신호를 출력하며, 인입선(5)의 온도가 기준 값을 초과하면 개폐기(4)를 즉시 OFF시켜 전원공급을 차단하며, 화재감지센서(50)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소화전(60)을 동작제어하는 제어유닛(70): 제어유닛(7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외부로 음향을 방출하는 경보수단(8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보호케이스의 내부에 화재감지센서와 소화전을 마련하여 줌으로서, 인입·인출선의 손상으로 인한 전기화재시 이를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어 인입·인출선을 타고 불길이 확산되어 배선된 인입·인출선이 모두 전소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보호케이스의 내부에 화재감지센서와 소화전을 마련하여 줌으로서, 인입·인출선의 손상으로 인한 전기화재시 이를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어 인입·인출선을 타고 불길이 확산되어 배선된 인입·인출선이 모두 전소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급전원을 분기하여 수용가로 공급하는 배전반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호케이스(1)의 내부에 설치고정되는 절연재질의 베이스패널(2)과; 베이스패널(2)에 설치되며 입력단자(3a)와 출력단자(3b)를 갖는 분기회로(3)와; 분기회로(3)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분기회로(3)를 연결 또는 차단하는 개폐기(4)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분기회로(3)의 1차측과 2차측에 형성된 단자(3a,3b)에는 각각 인입·인출선(5,6)이 연결되는데, 인입·인출선(5,6)은 1차측에 연결되는 전원측 인입선(5)과 2차측에 연결되는 분기측 인출선(6)으로 나누어지며, 전원측 인입선(5)을 통해 공급된 전기를 분기하여 분기측 인출선(6)을 통해 출력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분전반은 전선에 일부분가 끊어져 전기합선사고를 일어나거나 또는 노후로 인해 보호기능을 상실한 피복선의 내측으로 침투수가 유입되어 전류가 흐르는 도선과 접촉됨으로써, 누전 및 합선에 따른 화재가 발생되어 내부에 배선된 전선이 일시에 전부 전소 되는 등의 문제가 있어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되어 왔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배전반은 인입·인출선(5,6)을 장기간 사용할 경우, 인입·인출선(5,6)이 노화되거나 열화되어 케이블의 강도나 저항 등과 같은 물리적 특성이 달라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사용중에 인입·인출선(5,6)과 단자(3a,3b)의 연결부위가 느슨해지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인입·인출선(5,6)을 지속적으로 점검 및 관리하여야 하지만, 이러한 배전반은 통상 다수 개가 설치되므로, 인입·인출선(5,6)을 지속적으로 점검 및 관리하기가 상당히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화재발생시 이를 신속하게 진압하여 화재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면서도 인입·인출선(5,6)이 노화 또는 열화되거나, 인입·인출선(5,6)과 단자(3a,3b) 간의 연결부위가 느슨해지는 것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보호케이스의 내부에서 화재발생시 이를 신속하게 진압하여 배선된 전선이 모두 전소되는 것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전선의 열화상태 또는 전선과 단자 간의 연결상태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보호케이스의 내부에 설치고정되는 절연재질의 베이스패널과; 베이스패널에 설치되며 입력단자와 출력단자를 갖는 분기회로와; 분기회로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분기회로를 연결 또는 차단하는 개폐기를 포함하며, 분기회로의 1차측과 2차측에 형성된 단자에는 각각 전원측 인입선과 분기측 인출선이 연결되어 분기회로로 전원측 인입선을 통해 공급된 전기를 분기하여 분기측 인출선을 통해 출력할 수 있도록 된 공지의 배전반에 있어서,
상기 개폐기는 제어유닛의 제어신호에 따라 분기회로를 연결 또는 차폐하는 전자식개폐기로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패널에 구비되며 인입선의 중간부를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된 클램프:
클램프에 구비되며 인입선의 온도를 측정하여 제어유닛으로 출력하는 배선온도 측정센서:
인입선에 연결되며 인입선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을 측정하여 제어유닛으로 출력하는 전력측정수단:
베이스패널의 전원측 인입선에 연장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고정된 가이드레일과; 가이드레일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드블록과; 슬라이드블록에 구비되며 일측에는 전원측 인입선이 삽입고정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지지블록과; 슬라이드블록과 지지블록 사이에 구비되는 압력센서와; 슬라이드블록에 연결되어 슬라이드블록을 전후 왕복시키는 왕복구동기구를 갖추고서, 인입선의 중간부에 연결되며 제어유닛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인입선을 측방향으로 가압하여 휘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왕복구동기구를 매개로 슬라이드블록을 왕복시킬 때에 압력센서가 지지블록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여 제어유닛으로 출력하는 강도측정기구:
보호케이스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며 화재발생시 이를 감지하여 화재감지신호를 제어유닛으로 출력하는 화재감지센서:
제어유닛의 소화전동작신호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분사밸브를 갖추고서, 내부에 충진된 소화액이 분사밸브를 통해 보호케이스의 내부로 분사되어 화재지역을 진압하는 소화전:
배선온도 측정센서와 전력측정수단으로부터 각각의 측정값을 전달받아 미리 설정해 둔 기준 값과 상호 비교하되, 인입선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에 비해 인입선의 온도가 비정상적으로 상승할 경우 강도측정기구를 동작제어하여 인입선의 강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결과에 따라 인입선이 열화된 것인지 또는 인입선과 단자 간의 연결상태 불량인지를 판단하여 판단된 결과에 따라 경보수단로 서로 다른 경보신호를 출력하며, 인입선의 온도가 기준 값을 초과하면 개폐기를 즉시 OFF시켜 전원공급을 차단하며, 화재감지센서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소화전을 동작제어하는 제어유닛:
제어유닛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외부로 음향을 방출하는 경보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보호케이스의 내부에 화재감지센서와 소화전을 마련하여 줌으로서, 인입·인출선의 손상으로 인한 전기화재시 이를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어 인입·인출선을 타고 불길이 확산되어 배선된 인입·인출선이 모두 전소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배선의 온도가 배선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에 비해 비정상적으로 상승될 경우 강도측정기를 매개로 배선의 강도를 측정하여 온도상승이 배선의 열화 때문인지 아니면 배선과 단자 간의 연결상태가 불량인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라 서로 다른 경보신호를 출력하여 관리자가 적절히 대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배전반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을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에서 각 구성요소 간의 상호연관관계를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에서 클램프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참고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을 도시한 참고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을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에서 각 구성요소 간의 상호연관관계를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에서 클램프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참고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을 도시한 참고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은, 보호케이스(1)의 내부에 설치고정되는 절연재질의 베이스패널(2)과; 베이스패널(2)에 설치되며 입력단자(3a)와 출력단자(3b)를 갖는 분기회로(3)와; 분기회로(3)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분기회로(3)를 연결 또는 차단하는 개폐기(4)를 포함하며, 분기회로(3)의 1차측과 2차측에 형성된 단자(3a,3b)에는 각각 전원측 인입선(5)과 분기측 인출선(6)이 연결되어 분기회로(3)로 전원측 인입선(5)을 통해 공급된 전기를 분기하여 분기측 인출선(6)을 통해 출력할 수 있도록 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개폐기(4)는 후술하는 제어유닛(7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분기회로(3)를 연결 또는 차폐하는 전자식개폐기(4)로서, 전원측 인입선(5)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이 규정된 전력 값 이상으로 상승하면, 회로의 연결을 차단하는 브레이커의 기능을 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전자식개폐기(4)는 이미 해당분야에서 널리 적용 실시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에는, 상기 베이스패널(2)에 구비되며 인입선(5)의 중간부를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된 클램프(10)와; 클램프(10)에 구비되며 인입선(5)의 온도를 측정하여 제어유닛(70)으로 출력하는 배선온도 측정센서(20)와; 인입선(5)에 연결되어 인입선(5)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을 측정하여 제어유닛(70)으로 출력하는 전력측정수단(30)과; 전원측 인입선(5)의 중간부에 연결되어 전원측 인입선(5)을 측방향으로 가압하여 휘어지도록 하는 강도측정기구(40)와; 보호케이스(1)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며 화재발생시 이를 감지하여 화재감지신호를 제어유닛(70)으로 출력하는 화재감지센서(50)와; 제어유닛(70)의 소화전동작신호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분사밸브(61)를 갖추고서, 내부에 충진된 소화액이 분사밸브(61)를 통해 보호케이스(1)의 내부로 분사되어 화재지역을 진압하는 소화전(60)과; 배선온도 측정센서(20)와 전력측정수단(30), 강도측정기구(40) 및 화재감지센서(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개폐기(4)와 소화전(60) 및 경보수단(80)을 동작제어하는 제어유닛(70)과; 제어유닛(70)에 의해 동작제어되는 경보수단(80)이 더 보강 구비된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상기 클램프(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측 인입선(5)의 중간부를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베이스패널(2)에 구비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베이스패널(2)의 상면에 고정되되, 1차측의 입력단자(3a) 외측에 위치되고, 상면에는 전원측 인입선(5)이 삽입고정되는 오목홈(11)이 형성되어 오목홈(11)에 전원측 인입선(5)을 끼워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다.
상기 배선온도 측정센서(20)는 공지의 온도센서로서, 제어유닛(7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클램프(10)의 오목홈(11)에 설치되되, 내향으로 노출되며, 클램프(10)에 고정된 전원측 인입선(5)의 둘레면에 밀착되어 전원측 인입선(5)의 온도를 지속적으로 측정하고, 측정된 값을 제어유닛(70)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력측정수단(30)은 1차측의 입력단자(3a)에 연결되어, 전원측 인입선(5)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 즉, 와트를 측정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전원측 인입선(5)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을 측정하여 제어유닛(70)으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전력측정수단은 다양한 것이 사용되고 있으며, 설치 및 연결위치는 적용하는 전력측정수단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바뀔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도면상에 도시는 생략하였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강도측정기구(40)는 베이스패널(2)의 전원측 인입선(5)에 연장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고정된 가이드레일(41)과; 가이드레일(41)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드블록(42)과; 슬라이드블록(42)에 구비되며 일측에는 전원측 인입선(5)이 삽입고정되는 삽입홈(43a)이 형성된 지지블록(43)과; 슬라이드블록(42)과 지지블록(43)의 사이에 구비되며 지지블록(43)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여 제어유닛(70)으로 출력하는 압력센서(44)와; 슬라이드블록(42)에 연결되어 슬라이드블록(42)을 전후 왕복시키는 왕복구동기구(45)로 구성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슬라이드블록(42)의 상면 양측에는 지지블록(43)의 양면을 지지하는 지지부(42a)가 구비되고, 지지블록(43)은 지지부(42a) 사이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압력센서(44)는 지지부(42a)와 지지블록(43)의 사이에 위치되어 지지블록(43)이 측방향으로 가압되는 힘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왕복구동기구(45)는 가이드레일(41)과 평행하도록 슬라이드블록(42)에 결합된 나사축(45a)과, 나사축(45a)을 강제로 회전시키는 구동모터(45b)로 구성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구동모터(45b)를 매개로 나사축(45a)을 강제로 회전시키게 되면, 나사축(45a)에 설치된 슬라이드블록(42)은 구동모터(45b)의 회전방향에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된다. 따라서, 도 6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왕복구동기구(45)로 슬라이드블록(42)을 왕복시켜 전원측 인입선(5)의 중간부가 일측으로 휘도록 밀면, 전원측 인입선(5)에 의해 지지블록(43)에 저항력이 발생하게 되며, 이때 압력센서(44)는 지지블록(43)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여 전원측 인입선(5)의 비틀림강도를 간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강도측정기구(40)는 인입선(5)이 열화될 경우 전선의 강도가 변하게 되는 것을 이용하는 것으로, 압력센서(44)를 이용하여 측정된 인입선(5)의 강도가 비정상적으로 높아지거나 약해질 경우 인입선(5)이 열화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보호케이스(1)의 내부에는, 보호케이스(1)의 상면에 설치되고, 화재시 발생되는 열을 감지하여 화재감지신호를 제어유닛(70)으로 출력하는 화재감지센서(50)와; 제어유닛(7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화재지역으로 소화액을 분사시켜 화재를 진압하는 소화전(60)이 설치된다.
상기 화재감지센서(50)는 통상의 열 감지센서로, 쥐와 같은 설치류에 의해 인입·인출선(5,6)이 손상되어 도선에 일부분가 끊어져 전기합선에 따른 화재가 발생되거나 또는 노후로 인해 보호기능을 상실한 피복선의 내측으로 침투수가 유입되어 전류가 흐르는 도선과 접촉되므로서 누전 및 합선에 따른 화재가 일어나는 경우, 화재시 발생되는 고온의 열을 열 감지센서 즉, 화재감지센서(50)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유닛(70)로 화재감지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화재감지센서(50)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전달받은 제어유닛(70)은 보호케이스(1)의 내측 상단에 배치되어 있는 소화전(60)의 분사밸브(61)로 소화전동작신호를 전달하여 분사밸브(61)를 통해 소화액이 인입·인출선(5,6)이 배선된 보호케이스(1)의 내부로 분사되어 신속하게 화재를 진압하게 된다.
상기 소화전(60)은, 외면이 단단한 철제용기로 되어 있고, 내부에는 소화약제와 압축공기 또는 높은 압력으로 액화된 불연성가스(질소, 이산화탄소, 할로겐가스)가 충진되며, 용기의 일측에는 내부에 충진된 소화약제와 불연성가스의 유출을 단속하는 분사밸브(61)가 설치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제어유닛(70)로부터 소화전동작신호가 입력되면 분사밸브(61)의 입구는 개방되고, 이때 철제용기의 내부에 충진된 소화약제와 불연성가스가 내압에 의해 분사밸브(61)의 입구를 통해 인입·인출선(5,6)이 배선된 보호케이스(1)의 내부로 분사되어 화재지역을 일순간 진압되도록 함으로서, 이를 통해 화재발생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제어유닛(70)은 배선온도 측정센서(20)와 전력측정수단(30)으로부터 각각의 측정값을 전달받아 미리 설정해둔 기준 값과 상호 비교하여 인입선(5)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에 비해 인입선(5)의 온도가 비정상적으로 상승할 경우, 강도측정기구(40)를 동작제어하여 인입선(5)의 강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결과에 따라 인입선(5)이 열화된 것인지 또는 인입선(5)과 단자(3a) 간의 연결상태 불량인지를 판단하여 판단된 결과에 따라 경보수단(80)으로 서로 다른 경보신호를 출력하며, 인입선(5)의 온도가 기준 값을 초과하면 전자식개폐기(4)를 즉시 OFF시켜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어유닛(70)은 내부온도 측정센서(50)로부터 내부온도를 전달받아 내부온도가 기준 값 이상인 경우 팬(60)을 동작제어하는 기능을 함께 수행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전원측 인입선(5)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이 기준 값(허용범위) 이내라면, 전원측 인입선(5)의 온도는 보호케이스(1)의 내부온도와 비슷한 정도의 온도를 유지한다. 그리고, 제어유닛(70)은 전원측 인입선(5)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이 기준 값(허용범위) 이내인 상태에서 인입선(5)의 온도가 보호케이스(1)의 내부온도에 비해 비정상적으로 상승할 경우, 인입선(5)에 심각한 열화가 발생되거나 인입선(5)과 입력단자(3a)의 연결이 느슨해진 상태인 것을 의미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유닛(70)은 배선온도 측정센서(20)로부터 측정값을 수신받아 미리 설정해 둔 기준 값과 상호 비교하게 되는데, 인입선(5)의 온도가 비정상적으로 높을 경우 전력측정수단(30)을 매개로 전원측 인입선(5)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을 측정하여 전력이 기준 값(허용범위) 이하라면, 강도측정기구(40)의 왕복구동기구(45)를 작동시켜 전원측 인입선(5)을 측방향으로 밀면서 압력센서(44)로부터 압력 값을 수신받아 전원측 인입선(5)의 강도를 측정한다.
그리고, 제어유닛(70)은 측정된 전원측 인입선(5)의 강도가 설정된 기준 값(정상값)에 비해 높거나 낮을 경우 전원측 인입선(5)이 열화된 것으로 판단하여 인입선(5)의 열화를 알리는 경고신호를 출력하고, 만약, 전원측 인입선(5)의 강도가 설정된 기준 값과 큰 차이가 없는 경우 전원측 인입선(5)과 1차측의 입력단자(3a)의 연결이 느슨해지고 이에 따른 저항증가에 의해 전원측 인입선(5)의 온도가 상승한 것으로 판단하여 인입선(5)의 연결이상을 알리는 경고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또한, 경고신호는 인입선(5)의 온도가 규정이상으로 상승할 경우, 전자식개폐기(4)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분기회로(3)에 구비된 전자식개폐기(4)를 OFF시켜 전력 공급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게 된다.
한편, 쥐와 같은 설치류에 의해 인입·인출선(5,6)이 손상되어 도선에 일부분가 끊어져 전기합선에 따른 화재가 발생되거나 또는 노후로 인해 보호기능을 상실한 인입·인출선(5,6)의 내측으로 침투수가 유입되어 전류가 흐르는 도선과 접촉되므로서 누전 및 합선에 따른 화재가 일어나는 경우, 화재시 발생되는 고온의 열을 화재감지센서(50)가 감지하여 제어유닛(70)로 화재감지신호 출력하고, 화재감지센서(50)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전달받은 제어유닛(70)은 보호케이스(1)의 내측 상단에 배치되어 있는 소화전(60)의 분사밸브(61)로 소화전동작신호를 전달하여 분사밸브(61)를 통해 소화액이 인입·인출선(5,6)이 배선된 보호케이스(1)의 내부로 분사되도록 함으로서, 화재지역을 일순간 진압하여 화재발생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경보수단(80)은 제어유닛(70)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어, 제어유닛(70)에서 출력되는 경고신호를 수신하여 외부로 음향을 방출함으로써, 관리자에게 인입선(5)의 열화 또는 연결불량을 경고할 수 있어 관리자는 신속하게 후속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고정배선의 상태확인이 가능한 배전반은, 보호케이스(1)의 내부에 화재감지센서(50)와 소화전(60)을 마련하여 줌으로서, 인입·인출선(5,6)의 손상으로 인한 전기화재시 이를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어 인입·인출선(5,6)을 타고 불길이 확산되어 배선된 인입·인출선(5,6)이 모두 전소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전원측 인입선(5)의 온도가 케이스(1)의 내부온도에 비해 비정상적으로 상승될 경우 강도측정기구(40)를 이용하여 전원측 인입선(5)의 강도를 측정하여 전원측 인입선(5)이 열화된 것인지 아니면 인입선(5)이 입력단자(3a)에 정확히 연결되지 않은 연결불량이 발생된 것인지를 판단한 후, 판단 결과에 따라 경보수단(80)에 서로 다른 경고신호를 출력하여, 관리자가 전원측 인입선(5)의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이에 따른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여러 곳의 배전반의 제어유닛(70)을 경보수단(80)에 연결하여 여러 배전반에 연결된 인입선(5)의 상태를 한꺼번에 효과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 보호케이스 2: 베이스패널 3: 분기회로
4: 개폐기 5: 인입선 6: 인출선
10: 클램프 20: 배선온도 측정센서 30: 전력측정수단
40: 강도측정기구 50: 화재감지센서 60: 소화전
70: 제어유닛 80: 경보수단
4: 개폐기 5: 인입선 6: 인출선
10: 클램프 20: 배선온도 측정센서 30: 전력측정수단
40: 강도측정기구 50: 화재감지센서 60: 소화전
70: 제어유닛 80: 경보수단
Claims (1)
- 보호케이스(1)의 내부에 설치고정되는 절연재질의 베이스패널(2)과; 베이스패널(2)에 설치되며 입력단자(3a)와 출력단자(3b)를 갖는 분기회로(3)와; 분기회로(3)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분기회로(3)를 연결 또는 차단하는 개폐기(4)를 포함하며, 분기회로(3)의 1차측과 2차측에 형성된 단자(3a,3b)에는 각각 전원측 인입선(5)과 분기측 인출선(6)이 연결되어 분기회로(3)로 전원측 인입선(5)을 통해 공급된 전기를 분기하여 분기측 인출선(6)을 통해 출력할 수 있도록 된 공지의 배전반에 있어서,
상기 개폐기(4)는 제어유닛(70)의 제어신호에 따라 분기회로(3)를 연결 또는 차폐하는 전자식개폐기(4)로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패널(2)에 구비되며 인입선(5)의 중간부를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된 클램프(10):
클램프(10)에 구비되며 인입선(5)의 온도를 측정하여 제어유닛(70)으로 출력하는 배선온도 측정센서(20):
인입선(5)에 연결되며 인입선(5)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을 측정하여 제어유닛(70)으로 출력하는 전력측정수단(30):
베이스패널(2)의 전원측 인입선(5)에 연장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고정된 가이드레일(41)과; 가이드레일(41)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드블록(42)과; 슬라이드블록(42)에 구비되며 일측에는 전원측 인입선(5)이 삽입고정되는 삽입홈(43a)이 형성된 지지블록(43)과; 슬라이드블록(42)과 지지블록(43) 사이에 구비되는 압력센서(44)와; 슬라이드블록(42)에 연결되어 슬라이드블록(42)을 전후 왕복시키는 왕복구동기구(45)를 갖추고서, 인입선(5)의 중간부에 연결되며 제어유닛(7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인입선(5)을 측방향으로 가압하여 휘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왕복구동기구(45)를 매개로 슬라이드블록(42)을 왕복시킬 때에 압력센서(44)가 지지블록(43)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여 제어유닛(70)으로 출력하는 강도측정기구(40):
보호케이스(1)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며 화재발생시 이를 감지하여 화재감지신호를 제어유닛(70)으로 출력하는 화재감지센서(50):
제어유닛(70)의 소화전동작신호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분사밸브(61)를 갖추고서, 내부에 충진된 소화액이 분사밸브(61)를 통해 보호케이스(1)의 내부로 분사되어 화재지역을 진압하는 소화전(60):
배선온도 측정센서(20)와 전력측정수단(30)으로부터 각각의 측정값을 전달받아 미리 설정해 둔 기준 값과 상호 비교하되, 인입선(5)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에 비해 인입선(5)의 온도가 비정상적으로 상승할 경우 강도측정기구(40)를 동작제어하여 인입선(5)의 강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결과에 따라 인입선(5)이 열화된 것인지 또는 인입선(5)과 단자(3a) 간의 연결상태 불량인지를 판단하여 판단된 결과에 따라 경보수단(80)로 서로 다른 경보신호를 출력하며, 인입선(5)의 온도가 기준 값을 초과하면 개폐기(4)를 즉시 OFF시켜 전원공급을 차단하며, 화재감지센서(50)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소화전(60)을 동작제어하는 제어유닛(70):
제어유닛(7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외부로 음향을 방출하는 경보수단(8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14219A KR101034566B1 (ko) | 2011-02-17 | 2011-02-17 |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14219A KR101034566B1 (ko) | 2011-02-17 | 2011-02-17 |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34566B1 true KR101034566B1 (ko) | 2011-05-12 |
Family
ID=44366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14219A KR101034566B1 (ko) | 2011-02-17 | 2011-02-17 |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34566B1 (ko) |
Cited B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19135B1 (ko) | 2012-07-04 | 2013-01-09 | 태양기술단(주) |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 배치를 위한 배전반 |
KR101280402B1 (ko) | 2013-03-26 | 2013-07-01 | 주식회사 이린 | 공동주택의 천장에 내설되는 전기단자함 |
KR101293719B1 (ko) * | 2013-04-26 | 2013-08-20 | 주식회사 성진티이씨 |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 |
KR101306969B1 (ko) | 2013-05-15 | 2013-09-09 | 주식회사 성진티이씨 | 공동주택 설치 전용 엘이디의 전원 배치를 위한 배전반 |
KR101315723B1 (ko) | 2013-06-28 | 2013-10-10 | 대원일렉콘(주) |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 배치를 위한 배전반 |
KR101332793B1 (ko) * | 2013-06-07 | 2013-11-25 | 주식회사 효성전기 | 배전반 안전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
KR101357568B1 (ko) | 2013-10-23 | 2014-02-04 | (주)한국전설엔지니어링 | 전원 공급의 안정성을 높인 공동주택 설치용 아웃렛 |
KR101645006B1 (ko) | 2015-12-18 | 2016-08-12 | (주)수양엔지니어링 |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 배치를 위한 배전반 |
KR101980052B1 (ko) * | 2018-10-19 | 2019-05-17 | 장기헌 | 내진기능이 구비된 배전반 |
KR102154037B1 (ko) | 2019-08-14 | 2020-09-09 | 대한이씨엠주식회사 | 안전하게 전원을 차단할 수 있도록 된 전기 소방 통신 장비의 전원공급용 분배전함 |
KR20210020270A (ko) | 2019-08-14 | 2021-02-24 | 대한이씨엠주식회사 | 전기 소방 통신 장비의 전원공급용 분배전함 |
KR20210020296A (ko) | 2019-08-14 | 2021-02-24 | 대한이씨엠주식회사 | 신속 전원차단이 가능한 전기 소방 통신 장비용 분배전함 |
KR20210020277A (ko) | 2019-08-14 | 2021-02-24 | 대한이씨엠주식회사 | 비상전원차단이 가능한 전기 소방 통신 장비용 분배전함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81801B1 (ko) | 2005-07-27 | 2007-02-12 | 박기주 | 디지털 분전반 |
KR101002422B1 (ko) | 2010-05-18 | 2010-12-21 | 주식회사 거창전력 | 가공 배전선의 장력조절을 위한 애자고정식 완철 |
-
2011
- 2011-02-17 KR KR1020110014219A patent/KR10103456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81801B1 (ko) | 2005-07-27 | 2007-02-12 | 박기주 | 디지털 분전반 |
KR101002422B1 (ko) | 2010-05-18 | 2010-12-21 | 주식회사 거창전력 | 가공 배전선의 장력조절을 위한 애자고정식 완철 |
Cited B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19135B1 (ko) | 2012-07-04 | 2013-01-09 | 태양기술단(주) |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 배치를 위한 배전반 |
KR101280402B1 (ko) | 2013-03-26 | 2013-07-01 | 주식회사 이린 | 공동주택의 천장에 내설되는 전기단자함 |
KR101293719B1 (ko) * | 2013-04-26 | 2013-08-20 | 주식회사 성진티이씨 |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 |
KR101306969B1 (ko) | 2013-05-15 | 2013-09-09 | 주식회사 성진티이씨 | 공동주택 설치 전용 엘이디의 전원 배치를 위한 배전반 |
KR101332793B1 (ko) * | 2013-06-07 | 2013-11-25 | 주식회사 효성전기 | 배전반 안전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
KR101315723B1 (ko) | 2013-06-28 | 2013-10-10 | 대원일렉콘(주) |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 배치를 위한 배전반 |
KR101357568B1 (ko) | 2013-10-23 | 2014-02-04 | (주)한국전설엔지니어링 | 전원 공급의 안정성을 높인 공동주택 설치용 아웃렛 |
KR101645006B1 (ko) | 2015-12-18 | 2016-08-12 | (주)수양엔지니어링 |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 배치를 위한 배전반 |
KR101980052B1 (ko) * | 2018-10-19 | 2019-05-17 | 장기헌 | 내진기능이 구비된 배전반 |
KR102154037B1 (ko) | 2019-08-14 | 2020-09-09 | 대한이씨엠주식회사 | 안전하게 전원을 차단할 수 있도록 된 전기 소방 통신 장비의 전원공급용 분배전함 |
KR20210020270A (ko) | 2019-08-14 | 2021-02-24 | 대한이씨엠주식회사 | 전기 소방 통신 장비의 전원공급용 분배전함 |
KR20210020296A (ko) | 2019-08-14 | 2021-02-24 | 대한이씨엠주식회사 | 신속 전원차단이 가능한 전기 소방 통신 장비용 분배전함 |
KR20210020277A (ko) | 2019-08-14 | 2021-02-24 | 대한이씨엠주식회사 | 비상전원차단이 가능한 전기 소방 통신 장비용 분배전함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34566B1 (ko) |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 | |
US10840698B2 (en) | Leakage current detection and protection device for power cord | |
KR101440492B1 (ko) | 전기화재 예방 및 과부하 차단기능을 구비한 수배전반 | |
CN106483423B (zh) | 一种断路器分闸电气回路的故障查找方法及装置 | |
KR101489300B1 (ko) | 아크, 부분방전 및 온도 감시 통합 수배전반 및 이를 이용한 수배전반 제어방법 | |
US10557883B2 (en) | Leakage current detection and protection device for power cord | |
KR100883042B1 (ko) | 온도센서를 구비한 기중차단기 | |
KR101917664B1 (ko) | 아크 종류 및 위치 검출 기능을 구비한 수배전반 시스템 | |
KR101799954B1 (ko) | 과열로 인한 사고 확산의 방지 기능을 갖는 배전반 | |
KR20110102338A (ko) | 가스-절연된 개폐기 시스템의 동작 파라미터를 모니터링 및/또는 신호 발신 또는 시각화하기 위한 유닛 | |
EA030501B1 (ru) |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истанционной проверки угольной шахты на утечку | |
KR101389844B1 (ko) | 복합센서를 이용한 보호 계전 시스템 | |
KR100936741B1 (ko) | 부스 덕트시스템의 불량 검출장치 및 방법 | |
KR20080067602A (ko) | 수배전반 내부설비 고장진단 시스템 | |
JP2009164018A (ja) | 真空開閉装置及びその真空圧力診断方法 | |
KR101306969B1 (ko) | 공동주택 설치 전용 엘이디의 전원 배치를 위한 배전반 | |
KR20200014118A (ko) | 이상진단 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 |
KR101645006B1 (ko) |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 배치를 위한 배전반 | |
KR101035374B1 (ko) | 고정배선의 상태확인이 가능한 배전반 | |
KR101219135B1 (ko) |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 배치를 위한 배전반 | |
KR100692586B1 (ko) | 전기차단기의 이상 진단시스템 및 그 진단방법 | |
KR20180136808A (ko) | 접지 안전성 측정 기능을 구비한 gis용 접지개폐기 | |
KR20170051984A (ko) | 사용전 전기단락저항 측정기 장치를 적용한 수배전반 | |
RU2414765C2 (ru) | Воздушный автоматический выключатель с датчиком температуры | |
KR101315723B1 (ko) |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 배치를 위한 배전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310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