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3498Y1 - 케이블용 관 장치의 수용관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케이블용 관 장치의 수용관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3498Y1
KR200203498Y1 KR2020000005948U KR20000005948U KR200203498Y1 KR 200203498 Y1 KR200203498 Y1 KR 200203498Y1 KR 2020000005948 U KR2020000005948 U KR 2020000005948U KR 20000005948 U KR20000005948 U KR 20000005948U KR 200203498 Y1 KR200203498 Y1 KR 2002034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receiving
tube
cable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59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병기
김종석
Original Assignee
고병기
김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병기, 김종석 filed Critical 고병기
Priority to KR20200000059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34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34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349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Abstract

본 고안은 케이블용 관 장치의 수용관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수용관 단부의 내경에 단차가 형성되도록 대직경부를 형성하고, 대직경부에 수용관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의 내경을 갖는 연결관의 양단을 끼워 수용관과 다른 수용관을 연결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연결관의 외경은 대직경의 중앙부, 소직경의 제 1단부 및 제 2단부, 이들 제 1 및 제 2단부와 중앙부를 이어주는 제 1 및 제 2테이퍼부로 이루어진 구성을 가지며, 연결관이 끼워지는 수용관의 대경부는 연결관의 제 1 및 제 2테이퍼부에 대응되도록 테이퍼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수용관의 내경에 끼워지는 여러 형태의 연결관을 이용하여 상기 수용관을 연결시킴으로써, 수용관의 이음부를 밀봉함과 동시에 이음부의 내경에 단차없이 견고하게 연결시키는 장점을 갖는다. 특히, 수용관의 이음부가 기밀상태를 유지하므로 상기 수용관 내부에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는다. 또한, 수용관 이음부의 내경에 단차가 형성되지 않으므로 케이블의 포설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Description

케이블용 관 장치의 수용관 연결구조{Arrangement for connecting pipe of cable}
본 고안은 케이블용 관 장치의 수용관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신 및 전력용 등과 같은 케이블을 지하에 매립시킬 때에는 길이 6M의 직경이 큰 합성수지 재질의 보호관을 지하에 매설한 후, 이 보호관 속에 케이블을 직접 삽입하거나, 보호관 내부에 직경이 작은 복수의 수용관을 삽입시킨 다음, 다시 이 수용관 속에 케이블을 수용하는 방법이 시행되고 있다.
한편, 케이블의 매설공사에서 보호관 내부로 케이블 또는 수용관을 삽입하여 견인기나 차량으로 잡아당기는 과정에서 보호관과 케이블 또는 수용관은 매우 큰 마찰저항을 받기 때문에 마찰력을 줄이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일본공개특허공보 소 61-231816호에서는 보호관의 내부에 케이블이 수용되는 다수의 구멍이 일체로 성형된 케이블 보호관을 제시하고 있다. 이 보호관은 보호관내에 별도의 수용관을 포설해야하는 번거로움을 덜어주고 케이블의 배치 밀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특히, 상기 보호관의 외면 둘레에는 환형 또는 나선형 홈을 형성함으로써 신축변형이 가능하여 매설 진로가 바뀌는 곳에서도 자유롭게 그 진로 변경이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상기 보호관 역시 지하에 매설된 여러 가지 지장물과 장애물들에 의해 소정 길이로 절단한 상태에서 배관한 다음, 다시 그 절단부를 이어야만 하는 이음작업이 수반된다.
한편, 이음작업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수용관들을 서로 연결할 때에는 주의를 요한다. 즉, 수용관에는 케이블이 직접 수용되므로 상기 수용관을 연결시킬 때에는 외부의 충격과 이물질로부터 케이블을 보호할 수 있도록 기밀을 유지하면서 견고하게 연결시켜야 하며, 특히 수용관 이음부의 내경에 단차가 형성되지 않도록 해야 하는 것이다. 자칫, 수용관의 이음부를 통하여 수분,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이음부가 꺾어질 경우, 케이블이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이음부에 단차가 발생하면, 케이블이 상기 단차에 걸려 손상되거나 포설에 지장을 초래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수용관을 견고하게 연결시키기 위한 케이블용 관 장치의 수용관 연결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수용관 이음부의 내경에 단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케이블용 관 장치의 수용관 연결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수용관을 잇는 이음부를 통하여 수분 또는 기타 이물질이 수용관의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기밀상태를 유지시키는 케이블용 관 장치의 수용관 연결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용 관 장치의 수용관 연결구조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어느 하나의 수용관의 단면도,
도 3내지 도 6는 본 고안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내지 도 8은 연결관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수용관 22: 대직경부
30, 50, 60, 70: 연결관 31: 내경
33: 외경 33a: 중앙부
33b: 제 1단부 33c: 제 2단부
35a: 제 1테이퍼부 35b: 제 2테이퍼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케이블을 내부에 수용하는 다수의 수용관을 연결시키기 위한 케이블용 관 장치의 수용관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수용관 단부의 내경에 단차가 형성되도록 대직경부를 형성하고, 상기 대직경부에 상기 수용관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의 내경을 갖는 연결관의 양단을 끼워 수용관과 다른 수용관을 연결시키도록 하였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관의 외경은 대직경의 중앙부, 소직경의 제 1단부 및 제 2단부, 이들 제 1 및 제 2단부와 중앙부를 이어주는 제 1 및 제 2테이퍼부로 이루어진 구성을 가지며, 상기 연결관이 끼워지는 수용관의 대경부는 연결관의 제 1 및 제 2테이퍼부에 대응되도록 테이퍼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용 관 장치의 수용관 연결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케이블용 관 장치의 수용관 연결구조를 설명하기에 앞서 케이블용 관장치를 살펴보면, 케이블용 관 장치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케이블 보호관(10)을 갖는다. 케이블 보호관(10)은 그 외면에 환형 또는 나선형의 홈(12)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그 내면에는 케이블을 수용할 수 있는 다수의 수용관(20)이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수용관(20)들의 중심에는 보호관(10)의 이음부에 강도를 부여하고 수용관(20)들을 동축으로 맞추기 위한 다각형 연결심(14)이 배치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수용관(20)들의 중심에 연결심(14)을 대신하여 케이블이 배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케이블 보호관(10)의 외면에는 도시하지 않은 이음관이 배치되어 보호관(10)들을 서로 연결시킨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용 관 장치의 수용관 연결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관(20)들과 상기 수용관(20)들의 내부에 그 양단이 끼워지는 연결관(30)으로 구성됨을 알 수 있다. 연결관(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경(31)과, 외경(33)을 갖는다. 연결관(30)의 내경(31)은 수용관(20)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연결관(30)의 외경(33)은 수용관(20)의 외경보다 작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연결관(30)은 외부의 충격에도 변형되지 않도록 경질의 재료로 구성되며, 그 양단이 수용관(20)들의 내부에 끼워진다.
그리고 수용관(20) 끝부분의 내주면에는 상기 연결관(30)을 수용할 수 있으면서 그 삽입 깊이를 제한할 수 있도록 단차를 갖는 대직경부(22)가 형성되어 있다. 대직경부(22)는 드릴 또는 리머와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단차가공되며 그 직경이 연결관(30)의 외경과 동일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연결관(30)은 수용관(20)의 대직경부(22)에 그 양단이 끼워지면서 상기 수용관(20)을 서로 연결시키는 것이다. 이때, 연결관(30)은 수용관(20)의 내주면에 형성된 단차부에 의해 그 삽입 깊이가 제한된다. 그리고 연결관(30)과 수용관(20)사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상기 연결관(30)와 수용관(20)을 더욱 견고하게 결합시킨다.
한편, 도 3내지 도 6에는 상술한 바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서의 관 이음장치는 연결관(30)의 외면 둘레에 플랜지(34)를 형성한 구성을 갖는다. 이 플랜지(34)는 수용관(20)들의 경계면에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수용관(20)에 대한 연결관(30)의 삽입 깊이를 제한함과 동시에 수용관(20)과 연결관(30)의 접촉면적을 높여 기밀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아울러, 또 다른 변형예인 도 4와 도 5에서는 연결관(30)의 외경(33)이 대직경의 중앙부(33a), 소직경의 제 1단부(33b) 및 제 2단부(33c), 이들 제 1 및 제 2단부(33b,33c)와 중앙부(33a)를 이어주는 제 1 및 제 2테이퍼부(35a,35b)로 이루어진 구성을 가지며, 연결관(30)이 끼워지는 수용관(20)의 대직경부(22)는 연결관(30)의 제 1 및 제 2테이퍼부(35a,35b)에 대응되도록 테이퍼져 있는 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수용관 연결구조는 수용관(20)의 내경에 연결관(30)이 끼워져 있는 상태에서 상기 수용관(20)을 서로 근접시키면서 연결시킬 수 있으므로 수용관(20)과 연결관(30)의 압착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수용관(20)과 연결관(30)을 더욱 긴밀하게 연결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특히, 도 5에서는 대직경의 중앙부에 플랜지(36)를 형성하여 수용관(20)에 대한 연결관(30)의 삽입깊이를 제한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수용관(2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한편, 또 다른 변형예인 도 6에서는 수용관(20)의 내경에 단차가 없는 대직경부(22)가 형성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며, 연결관(30)의 제 1 및 제 2단부(33b,33c) 외경은 수용관(20)의 내경과 동일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도 7내지 도 8에는 연결관(50, 60)의 변형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7에서의 연결관(50)은 이음판(52)에 의해 서로 이음된 구성을 갖는다. 이는 연결관(50)의 분실을 방지하고, 휴대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도 7에서는 5개의 연결관(50)이 서로 연결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수용관(20)의 개수에 따라 3개, 4개 등 연결관(50)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이음판(52)에 의해 서로 연결된 연결관(50)의 양단은 상술한 바와 같이 수용관(20)의 내경에 끼워짐은 물론이며, 그 외경이 테이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도 8에서의 연결관(60)은 이음띠(62)에 의해 서로 연결된 구성을 갖는다. 이 또한 연결관(60)의 분실을 방지하고, 휴대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도 8에서의 연결관(60)은 도 7에서와는 달리 다수개의 연결관(60)이 계속해서 연이어지도록 구성되며, 이에 따라, 연결하고자 하는 수용관(20)의 개수에 따라 이음띠(62)를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여기서, 이음띠(62)에 의해 서로 연결된 연결관(60)의 양단은 상술한 바와 같이 수용관(20)의 내경에 끼워짐은 물론이며, 그 외경이 테이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용관의 내경에 끼워지는 여러 형태의 연결관을 이용하여 상기 수용관을 견고하게 연결하면서 동시에 밀봉시키므로, 이음부를 통하여 수분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수용관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은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용 관 장치의 수용관 연결구조는 수용관의 내경에 끼워지는 여러 형태의 연결관을 이용하여 수용관을 연결시킴으로써, 수용관의 이음부를 밀봉함과 동시에 이음부의 내경에 단차없이 견고하게 연결시키는 장점을 갖는다. 특히, 수용관의 이음부가 기밀상태를 유지하므로 상기 수용관 내부에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는다. 또한, 수용관 이음부의 내경에 단차가 형성되지 않으므로 케이블의 포설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Claims (9)

  1. 케이블을 내부에 수용하는 다수의 수용관을 연결시키기 위한 케이블용 관 장치의 수용관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수용관 단부의 내경에 단차가 형성되도록 대직경부를 형성하고, 상기 대직경부에 수용관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의 내경을 갖는 연결관의 양단을 끼워 수용관과 다른 수용관을 연결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관 장치의 수용관 연결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의 외경은 대직경의 중앙부, 소직경의 제 1단부 및 제 2단부, 이들 제 1 및 제 2단부와 중앙부를 이어주는 제 1 및 제 2테이퍼부로 이루어진 구성을 가지며, 상기 연결관이 끼워지는 수용관의 대경부는 연결관의 제 1 및 제 2테이퍼부에 대응되도록 테이퍼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관 장치의 수용관 연결구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은 연결수단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관 장치의 수용관 연결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다수의 수용관과 동축을 이루도록 배열된 상기 연결관을 잇는 이음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관 장치의 수용관 연결구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다수개의 연결관을 폭방향으로 이어지도록 연결하는 이음띠이며, 필요에 따라 상기 이음띠를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관 장치의 수용관 연결구조.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2020000005948U 2000-03-03 2000-03-03 케이블용 관 장치의 수용관 연결구조 KR2002034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5948U KR200203498Y1 (ko) 2000-03-03 2000-03-03 케이블용 관 장치의 수용관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5948U KR200203498Y1 (ko) 2000-03-03 2000-03-03 케이블용 관 장치의 수용관 연결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2419U Division KR200210141Y1 (ko) 2000-08-07 2000-08-07 케이블용 관 장치의 수용관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3498Y1 true KR200203498Y1 (ko) 2000-11-15

Family

ID=19644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5948U KR200203498Y1 (ko) 2000-03-03 2000-03-03 케이블용 관 장치의 수용관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349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573U (ko) * 2019-12-30 2021-07-08 이복례 전기공사용 입선 전선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573U (ko) * 2019-12-30 2021-07-08 이복례 전기공사용 입선 전선관
KR200494247Y1 (ko) 2019-12-30 2021-09-03 조한용 전기공사용 입선 전선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07586B1 (en) Connector for hard-line coaxial cable
EP0637116B1 (en) Cable splice protector
ES2325153T3 (es) Conector de cable coaxial sellado y procedimiento relacionado.
EP0875081B1 (en) Coaxial cable connector
US6488317B1 (en) Cable strain relief adapter with gel sealing grommet
US6476322B1 (en) Conduits
RU2257652C2 (ru) Кабельный штекер для электрических кабельных соединений
KR19990078312A (ko) 케이블 글랜드
GB2298527A (en) Cable sealing and locking device
RU2001131592A (ru) Кабельный штекер для электрических кабельных соединений
KR200203498Y1 (ko) 케이블용 관 장치의 수용관 연결구조
KR200210141Y1 (ko) 케이블용 관 장치의 수용관 연결구조
US6160221A (en) Screwed cable gland for a shielded cable
US20120199392A1 (en) Multi-conductor splice carrier
KR200203499Y1 (ko) 케이블용 관 이음장치
US6558044B1 (en) Optical fiber inner tube connector
EP0945926B1 (en) Armor stop for metal clad cable connector
CN116569432A (zh) 用于紧固在线和其他细长元件上的盖帽
US7048580B2 (en) Waterproof plug for waterproof connector
EP0961143B1 (en) Single-piece optical fibre coupling
KR200210137Y1 (ko) 케이블용 관 이음장치
US7961998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tracing fiber optic cable
KR200210138Y1 (ko) 케이블용 관 장치의 수용관 연결구
CN216564488U (zh) 一种电缆接线保护装置
SK140097A3 (en) Cable joint or cable terminal for middle voltage cab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