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0141Y1 - 케이블용 관 장치의 수용관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케이블용 관 장치의 수용관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0141Y1
KR200210141Y1 KR2020000022419U KR20000022419U KR200210141Y1 KR 200210141 Y1 KR200210141 Y1 KR 200210141Y1 KR 2020000022419 U KR2020000022419 U KR 2020000022419U KR 20000022419 U KR20000022419 U KR 20000022419U KR 200210141 Y1 KR200210141 Y1 KR 2002101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ing
pipe
tube
receiving tube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24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병기
김종석
Original Assignee
고병기
김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병기, 김종석 filed Critical 고병기
Priority to KR20200000224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01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01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0141Y1/ko

Links

Landscapes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케이블용 관 장치의 수용관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수용관과 다른 수용관의 외면에 그 양단이 끼워져 상기 수용관을 연결시키며, 그 내경의 중앙에는 수용관의 삽입 깊이를 제한할 수 있도록 내환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수용관 단부의 외주면에 단차가 형성되도록 소직경부를 형성하고, 연결관의 양단에 상기 수용관의 소직경부를 끼워 수용관과 다른 수용관을 연결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수용관의 외경에 끼워지는 여러 형태의 연결관을 이용하여 수용관을 연결시킴으로써, 수용관의 이음부를 밀봉함과 동시에 이음부의 내경에 단차없이 견고하게 연결시키는 장점을 갖는다. 특히, 수용관의 이음부가 기밀상태를 유지하므로 상기 수용관 내부에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는다. 또한, 수용관 이음부의 내경에 단차가 형성되지 않으므로 케이블의 포설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Description

케이블용 관 장치의 수용관 연결구조{Arrangement for connecting pipe of cable}
본 고안은 케이블용 관 장치의 수용관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신 및 전력용 등과 같은 케이블을 지하에 매립시킬 때에는 길이 6M의 직경이 큰 합성수지 재질의 보호관을 지하에 매설한 후, 이 보호관 속에 케이블을 직접 삽입하거나, 보호관 내부에 직경이 작은 복수의 수용관을 삽입시킨 다음, 다시 이 수용관 속에 케이블을 수용하는 방법이 시행되고 있다.
한편, 케이블의 매설공사에서 보호관 내부로 케이블 또는 수용관을 삽입하여 견인기나 차량으로 잡아당기는 과정에서 보호관과 케이블 또는 수용관은 매우 큰 마찰저항을 받기 때문에 마찰력을 줄이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일본공개특허공보 소 61-231816호에서는 보호관의 내부에 케이블이 수용되는 다수의 구멍이 일체로 성형된 케이블 보호관을 제시하고 있다. 이 보호관은 보호관내에 별도의 수용관을 포설해야하는 번거로움을 덜어주고 케이블의 배치 밀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특히, 상기 보호관의 외면 둘레에는 환형 또는 나선형 홈을 형성함으로써 신축변형이 가능하여 매설 진로가 바뀌는 곳에서도 자유롭게 그 진로 변경이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상기 보호관 역시 지하에 매설된 여러 가지 지장물과 장애물들에 의해 소정 길이로 절단한 상태에서 배관한 다음, 다시 그 절단부를 이어야만 하는 이음작업이 수반된다.
한편, 이음작업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수용관들을 서로 연결할 때에는 주의를 요한다. 즉, 수용관에는 케이블이 직접 수용되므로 상기 수용관을 연결시킬 때에는 외부의 충격과 이물질로부터 케이블을 보호할 수 있도록 기밀을 유지하면서 견고하게 연결시켜야 하며, 특히 수용관 이음부의 내경에 단차가 형성되지 않도록 해야 하는 것이다. 자칫, 수용관의 이음부를 통하여 수분,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이음부가 꺾어질 경우, 케이블이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이음부에 단차가 발생하면, 케이블이 상기 단차에 걸려 손상되거나 포설에 지장을 초래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수용관을 견고하게 연결시키기 위한 케이블용 관 장치의 수용관 연결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수용관 이음부의 내경에 단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케이블용 관 장치의 수용관 연결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수용관을 잇는 이음부를 통하여 수분 또는 기타 이물질이 수용관의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기밀상태를 유지시키는 케이블용 관 장치의 수용관 연결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용 관 장치의 수용관 연결구조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어느 하나의 수용관의 단면도,
도 3과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와 도 6은 연결관의 변형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수용관 21: 내경
22: 외경 22a: 소직경부
30, 50, 60: 연결관 31: 내경
33:외경 33a: 테이퍼부
34: 내환턱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케이블을 내부에 수용하는 수용관을 연결시키기 위한 케이블용 관 장치의 수용관 연결구조에 있어서, 수용관과 다른 수용관의 외면에 그 양단이 끼워져 상기 수용관을 연결시키며, 내경의 중앙에는 수용관의 삽입 깊이를 제한할 수 있도록 내환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용관 단부의 외주면에 단차가 형성되도록 소직경부를 형성하고, 연결관의 양단에 상기 수용관의 소직경부를 끼워 수용관과 다른 수용관을 연결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용 관 장치의 수용관 연결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케이블용 관 장치의 수용관 연결구조를 설명하기에 앞서 케이블용 관장치를 살펴보면, 케이블용 관 장치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케이블 보호관(10)을 갖는다. 케이블 보호관(10)은 그 외면에 환형 또는 나선형의 홈(12)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그 내면에는 케이블을 수용할 수 있는 다수의 수용관(20)이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수용관(20)들의 중심에는 보호관(10)의 이음부에 강도를 부여하고 수용관(20)들을 동축으로 맞추기 위한 다각형 연결심(14)이 배치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수용관(20)들의 중심에 연결심(14)을 대신하여 케이블이 배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케이블 보호관(10)의 외면에는 도시하지 않은 이음관이 배치되어 보호관(10)들을 서로 연결시킨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용 관 장치의 수용관 연결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관(20)들과 상기 수용관(20)들의 외경(22)에 그 양단이 끼워지는 연결관(30)으로 구성됨을 알 수 있다. 연결관(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경(31)과 외경(33)을 가지며, 연결관(30)의 내경(31)은 수용관(20)의 내경(21)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연결관(30)의 내경(31) 양측은 리밍(reaming)작업을 통하여 확대되도록 구성되며, 확대된 내경(31)에는 수용관(20)이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한편, 연결관(30)의 내경(31) 중앙부에는 양단으로부터 확대된 내경(31)으로 인하여 내환턱(34)이 형성되며, 이 내환턱(34)은 연결관(30)에 대한 수용관(20)의 삽입 깊이를 제한함과 동시에 수용관(20)과 연결관(30)의 접촉면적을 높인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관(20)의 외경(22)에 소직경부(22a)가 형성되도록 수용관(20)의 외경(22)을 단차가공하여 상기 수용관(20)의 소직경부(22a)가 연결관(30)의 확대된 내경(31)에 삽입되도록 하였다. 이는 수용관(20)의 내경(21)과 연결관(30)의 내경(31)이 서로 단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연결관(30)은 수용관(20)의 외경(22)에 그 양단이 끼워지면서 상기 수용관(20)을 서로 연결시키는 것이다. 이때, 수용관(20)은 연결관(30) 내경(31)의 내환턱(34)에 의해 그 삽입 깊이가 제한된다. 그리고 연결관(30)과 수용관(20) 사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상기 연결관(30)와 수용관(20)을 더욱 견고하게 결합시킨다.
한편, 도 3과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의 수용관 연결구조는 상술한 바와는 달리 수용관(20)의 외면을 단차가공 하지 않고 연결관(30)에 직접 끼워고정시키는 구성을 갖는다. 물론, 연결관(30)의 내경(31) 중앙부에는 내환턱(34)이 형성되어 연결관(30)에 대한 수용관(20)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도록 하였다.
아울러, 도 4에서의 다른 실시예는 연결관(30)의 외경(33)에 테이퍼부(33a)를 형성한 구성을 갖는다. 즉, 외경(33)의 중앙으로부터 양단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점차 축소되는 테이퍼부(33a)를 형성한 것이다. 이는 테이퍼부(33a)에 의해 얇아진 연결관(30)의 양단이 수용관(20)의 외면에 밀착되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 5와 도 6에는 연결관(50, 60)의 변형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5에서의 연결관(50)은 이음판(52)에 의해 서로 이음된 구성을 갖는다. 이는 연결관(50)의 분실을 방지하고, 휴대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도 5에서는 5개의 연결관(50)이 서로 연결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수용관(20)의 개수에 따라 3개, 4개 등 연결관(50)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이음판(52)에 의해 서로 연결된 연결관(50)의 내경은 상술한 바와 같이 수용관(20)을 수용할 수 있도록 드릴 또는 리머에 의해 확대 가공됨은 물론이다.
그리고 도 6에서의 연결관(60)은 이음띠(62)에 의해 서로 연결된 구성을 갖는다. 이 또한 연결관(60)의 분실을 방지하고, 휴대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도 6에서의 연결관(60)은 도 5에서와는 달리 다수개의 연결관(60)이 계속해서 연이어지도록 구성되며, 이에 따라, 연결하고자 하는 수용관(20)의 개수에 따라 이음띠(62)를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여기서, 이음띠(62)에 의해 서로 연결된 연결관(60)의 내경은 상술한 바와 같이 수용관(20)을 수용할 수 있도록 드릴 또는 리머에 의해 확대 가공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용관의 외경에 끼워지는 여러 형태의 연결관을 이용하여 수용관을 견고하게 연결하면서 동시에 밀봉시키므로, 이음부를 통하여 수분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수용관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은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용 관 장치의 수용관 연결구조는 수용관의 외경에 끼워지는 여러 형태의 연결관을 이용하여 수용관을 연결시킴으로써, 수용관의 이음부를 밀봉함과 동시에 이음부의 내경에 단차없이 견고하게 연결시키는 장점을 갖는다. 특히, 수용관의 이음부가 기밀상태를 유지하므로 상기 수용관 내부에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는다. 또한, 수용관 이음부의 내경에 단차가 형성되지 않으므로 케이블의 포설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Claims (5)

  1. 케이블을 내부에 수용하는 다수의 수용관을 연결시키기 위한 케이블용 관 장치의 수용관 연결구조에 있어서,
    수용관과 다른 수용관의 외면에 그 양단이 끼워져 상기 수용관을 연결시키며, 그 내경의 중앙에는 수용관의 삽입 깊이를 제한할 수 있도록 내환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관 장치의 수용관 연결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관 단부의 외주면에 단차가 형성되도록 소직경부를 형성하고, 연결관의 양단에 상기 수용관의 소직경부를 끼워 수용관과 다른 수용관을 연결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관 장치의 수용관 연결구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은 연결수단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관 장치의 수용관 연결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다수의 수용관과 동축을 이루도록 배열된 상기 연결관을 잇는 이음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관 장치의 수용관 연결구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다수개의 연결관을 폭방향으로 이어지도 록 연결하는 이음띠이며, 필요에 따라 상기 이음띠를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관 장치의 수용관 연결구조.
KR2020000022419U 2000-08-07 2000-08-07 케이블용 관 장치의 수용관 연결구조 KR2002101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419U KR200210141Y1 (ko) 2000-08-07 2000-08-07 케이블용 관 장치의 수용관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419U KR200210141Y1 (ko) 2000-08-07 2000-08-07 케이블용 관 장치의 수용관 연결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5948U Division KR200203498Y1 (ko) 2000-03-03 2000-03-03 케이블용 관 장치의 수용관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0141Y1 true KR200210141Y1 (ko) 2001-01-15

Family

ID=73086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2419U KR200210141Y1 (ko) 2000-08-07 2000-08-07 케이블용 관 장치의 수용관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014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445Y1 (ko) * 2010-09-10 2012-09-13 제룡전기 주식회사 서로 다른 직경의 케이블수용관 연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445Y1 (ko) * 2010-09-10 2012-09-13 제룡전기 주식회사 서로 다른 직경의 케이블수용관 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25153T3 (es) Conector de cable coaxial sellado y procedimiento relacionado.
EP1207586B1 (en) Connector for hard-line coaxial cable
EP0637116B1 (en) Cable splice protector
ES2315021T3 (es) Conector-f con cuerpo deformable y anillo de compresion.
US6476322B1 (en) Conduits
US5783778A (en) Cable sealing and locking device
RU2257652C2 (ru) Кабельный штекер для электрических кабельных соединений
RU2001131592A (ru) Кабельный штекер для электрических кабельных соединений
KR20070066981A (ko) 편복선 동축 케이블용 압축 커넥터
US20120199392A1 (en) Multi-conductor splice carrier
KR200210141Y1 (ko) 케이블용 관 장치의 수용관 연결구조
KR200203498Y1 (ko) 케이블용 관 장치의 수용관 연결구조
JP2004513475A (ja) 柔軟性のあるプラスチックラインのための接続部材
KR200203499Y1 (ko) 케이블용 관 이음장치
US7215868B2 (en) Apparatus for tightly fixing an optical connector to an optical cable
KR20100133887A (ko) 배선관연결구
KR200210138Y1 (ko) 케이블용 관 장치의 수용관 연결구
CN116569432A (zh) 用于紧固在线和其他细长元件上的盖帽
US7961998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tracing fiber optic cable
KR200210137Y1 (ko) 케이블용 관 이음장치
KR200274262Y1 (ko) 케이블 보호관 연결구
US20050059294A1 (en) Waterproof plug for waterproof connector
KR100613165B1 (ko) 케이블 덕트 연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케이블 덕트
KR100320408B1 (ko) 광케이블분기장치및그사용방법
CN216564488U (zh) 一种电缆接线保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10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