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1896B1 - 천장 매립형 단자함 - Google Patents

천장 매립형 단자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1896B1
KR102071896B1 KR1020190113302A KR20190113302A KR102071896B1 KR 102071896 B1 KR102071896 B1 KR 102071896B1 KR 1020190113302 A KR1020190113302 A KR 1020190113302A KR 20190113302 A KR20190113302 A KR 20190113302A KR 102071896 B1 KR102071896 B1 KR 1020718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iling
terminal box
wire
safety r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3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문식
신상엽
Original Assignee
신문식
신상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문식, 신상엽 filed Critical 신문식
Priority to KR1020190113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18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1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18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providing line out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 매립형 단자함에 관한 것으로, 건물 천장에 설치되는 전기단자함에 작업자의 안전을 위한 안전고리 연결수단을 구성하고, 아울러 내부에 단자대를 설치하여 전선 연결시 작업자가 사다리로부터 낙상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단자대로 인한 전원선 정리를 깔끔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천장 매립형 단자함{Ceiling fill in terminal box}
본 발명은 천장 매립형 단자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 천장에 설치되는 전기단자함에 작업자의 안전을 위한 안전고리 연결수단을 구성하고, 아울러 내부에 단자대를 설치하여 전선 연결시 작업자가 사다리로부터 낙상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단자대로 인한 전원선 정리를 깔끔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천장 매립형 단자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천장에 설치되는 전기단자함은 공동주택 등의 건물 시공 시 천장 벽체에 매설되어 내부로 들어오는 전선(전기선, 전화선, 인터넷 전용선, 안테나선 등)들을 연결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천장 전기단자함은, 천장 벽체의 형성시 전선의 수용 공간만이 외부로 개구되고, 나머지는 시멘트 몰타르로 형성된 천장 벽체에 매설된다.
또한, 이와 같은 기능 및 설치형태를 갖는 종래의 천장용 전기단자함은, 천장 벽체의 형성시 시멘트 몰타르의 타설을 위한 거푸집에 고정되는 고정구나 천장 벽체의 강도유지용 철근에 결속되는 별도의 고정구를 사용하여 먼저 고정시킨 후, 시멘트 몰타르를 타설하여 매설 시공하였다.
그러나, 이런 종래의 천장용 전기단자함은 등(燈)을 고정하게 될 때, 사용하도록 설치된 고정편들이 오직 한 개의 금속편으로 이루어져 그 단자함의 벽체에 끼움 방식으로 설치된 구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상기 금속편에 등을 고정하게 될 때, 등으로부터 미치는 하중이 상기 금속편 쪽에 집중적으로 작용하여 금속편이 쉽게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심할 경우에는 금속편이 천장용 전기단자함은 벽으로부터 이탈되어 등이 떨어지게 되는 등의 안전사고를 발생시킬 우려가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천장 전기단자함은 전선 인입구가 단자함의 측벽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그 단자함을 천장 벽을 형성하는 거푸집에 설치하게 될 경우, 그 단자함의 측벽으로부터 돌설된 전선 인입구에 의하여 작업자들은 반드시 정해진 위치되로 설치하지 않으면 안되는 방향성으로 인하여 작업성이 결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특허출원번호 10-2005-0118923호에 천장 전기단자함이 게시된 바 있다.
살펴보면, 종래의 일반적인 천장 전기단자함은, 건물의 천장 벽체에 매설되고 내부에는 천장에 설치되는 등(燈)과 전기적으로 결선되어 하단만이 개방된 단자 수용공간이 형성된 함몸체를 갖는 단자함에 있어서, 상기 함몸체의 일측단 하단은 내측으로 수직절곡되어 내측에 억지끼움홈이 하부로 형성된 절곡지지부와, 상기 절곡지지부의 억지끼움홈에 안착되는 안착돌부가 저면에 형성되고, 상면에 투입공이 형성되며, 하부 일측에 체결공이 형성되고, 그 상측에 작업공이 형성된 함체인 체결브라켓과, 'M"형상의 탄성체로 양단은 절곡지지부의 양측단에 고정되고, 하부로 향하는 중심측이 안착돌부 내측에 위치되어 절곡지지부의 억지끼움홈에 안착돌부를 위치시킨 상태로 체결브라켓을 절곡지지부에 체결시키는 체결스프링과, 상면과 좌우측면에는 단자와 결선하기 위해 각각 형성하되, 외측면에는 지지편이 형성되어 함몸체 내에서 지지하고, 선단 외주연에는 체결나사부가 형성되며, 체결나사부에 소켓이 나사체결된 전선인입구와, 내측에는 지지편이 위치되어 이동되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전선인입구가 상,하 및 좌,우측으로 이동하는 이동장홈을 구비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한 종래의 일반적인 천장 전기단자함은 상기한 바와 같이 체결브라켓을 통하여 변형되지 않고 등(燈)을 견고하게 달 수 있고, 상,하 및 좌,우측으로 이동가능한 전선인입구와 소켓이 형성되므로 인해 단자함의 설치 작업이 보다 용이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있으나, 작업자가 등을 설치하고자 할 경우, 사다리를 타고 올라가서 작업하게 되는 데 안전장치가 없어 작업시 작업자가 사다리로부터 떨어질 경우 자칫 큰 사고를 당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출원번호 10-2005-0118923호, 출원일; 2005년12월07일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건물 천장에 설치되는 전기단자함에 작업자의 안전을 위한 안전고리 연결수단을 구성하고, 아울러 내부에 단자대를 설치하여 전선 연결시 작업자가 사다리로부터 낙상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단자대로 인한 전원선 정리를 깔끔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천장 매립형 단자함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기술이 진행되면서 명확해질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천장 매립형 단자함은, 저면이 개구되고 내부에 설치공간부가 형성된 원형을 포함한 다각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되, 외측면에는 설치공간부와 연통되게 전선 입구와 출구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전선 입구와 출구에는 소켓들이 결합되어 구비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 하부에 방사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각각 돌출되되, 중앙부에는 콘크리트 타설시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위치고정용 돌출부와, 상기 몸체부의 다른 외측면에 고정 설치되어 콘크리트로 천장 타설시 일단인 콘크리트에 매설 고정되고, 타단은 천정측으로 노출되어 작업자가 안전벨트에 부설된 안전고리를 걸 수 있도록 구비되는 안전고리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몸체부의 내측면에는, 거푸집 상부에 배근된 철근에 접지선을 매개로 접지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전선 입구를 통하여 인입된 -전선 그리고 +전선을 등으로부터 배선된 선과 결속시킨 후 결속된 부분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단자대가 더 고정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몸체부의 상면에는 등 설치시 등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되는 등 연결대를 고정 연결시켜 등 설치에 따른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연결대 고정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매립형 단자함에 따르면, 건물 천장에 설치되는 전기단자함에 작업자의 안전을 위한 안전고리 연결수단이 구비되고, 아울러 내부에 단자대가 설치되어 있어서, 작업자가 착용하고 있는 안전벨트에 부설된 안전고리를 안전고리 연결수단에 걸어 작업을 행할 수 있어서, 전선 연결시 작업자가 사다리로부터 낙상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단자대로 인한 전원선 정리를 깔끔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단자대를 통하여 접지선을 거푸집 상부에 배근된 철근에 접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매립형 단자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매립형 단자함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매립형 단자함이 거푸집에 고정되고 접지선이 철근에 접속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매립형 단자함의 연결대 고정수단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매립형 단자함의 일실시 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매립형 단자함은 건물을 천장에 매립되는 전기단자함을 통하여 등(예를 들어 형광등)으로 전원공급을 위해 전기선 연결을 위한 전선연결 작업시 작업자가 안전벨트에 부설된 안전고리를 걸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단자대가 통하여 전선을 연결시키도록 하여 전선들의 정리를 깔끔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매립형 단자함(100)은, 저면이 개구되고 내부에 설치공간부가 형성된 원형을 포함한 다각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되, 외측면에는 설치공간부와 연통되게 전선 입구와 출구(111a,112a)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전선 입구와 출구에는 소켓(111,112)들이 결합되어 구비되는 몸체부(110)와, 상기 몸체부(110)의 외주면 하부에 방사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각각 돌출되되, 중앙부에는 콘크리트 타설시 스크류를 통하여 거푸집(B)에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위치고정용 돌출부(130)와, 상기 몸체부(110)의 다른 외측면에 고정 설치되어 콘크리트로 천장 타설시 일단인 콘크리트에 매설 고정되고, 타단은 천정측으로 노출되어 작업자가 착용하고 있는 안전벨트에 부설된 안전고리를 걸 수 있도록 구비되는 안전고리 연결수단(1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한 몸체부(110)의 내측면에는 거푸집(B) 상부에 배근된 철근(C)에 접지선(A)을 매개로 접지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전선 입구(111a)를 통하여 인입된 -전선 그리고 +전선을 등으로부터 배선된 선과 결속시킨 후 결속된 부분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단자대(170)가 더 고정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한 몸체부(110)의 상면에는 등 설치시 등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되는 등 연결대를 고정 연결시켜 등 설치에 따른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연결대 고정수단(190)이 더 구비된다.
이하에서,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매립형 단자함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매립형 단자함의 몸체부(110)는, 저면이 개구되고 내부에는 전선을 결속시켜 단자대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설치공간부가 형성된 원형을 포함한 다각 형상으로 형성되되, 서로 마주보는 외측면에는 설치공간부와 연통되게 전선 입구와 출구(111a,112a)가 각각 형성되어 구비된다.
또한, 상기한 몸체부(110)의 전선 입구와 출구(111a,112a)에는 전선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소켓(111,112)이 나사방식으로 결합되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한 몸체부(110)의 상면 일측에는 단자대(170)에 일단이 접속 연결된 접지선의 타단을 관통시킬 수 있도록 접지선관통홀(110a)이 더 형성되어 구비된다.
상기한 위치고정용 돌출부(130)는 상기 몸체부(110)의 외주면 하부에 방사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각각 돌출 형성되어 스크류를 통하여 거푸집(B)에 위치를 고정시 콘크리트 타설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한 위치고정용 돌출부(130)는 상기 몸체부(110)의 외주면 하부에 방사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각각 돌출 형성되되, 중앙부에는 스크류를 통하여 거푸집(B)에 고정가능하도록 고정홀(131)이 각각 형성되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한 고정홀(131)은 상기 몸체부(110)를 거푸집(B)에 고정시 의 위치 수정이 용이하도록 타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한 안전고리 연결수단(150)을 작업자가 사다리를 이용하여 등 설치시 사다리로부터 떨어질 때, 작업자를 낙상사고로부터 보호하도록 상기 몸체부(110)의 다른 외측면 즉, 상기 전선 이부 및 출구가 형성되지 않는 면에 구비된다.
즉, 상기한 안전고리 연결수단(150)은 상기 몸체부의 다른 외측면에 고정되되, 내주면 상,하부에는 상,하부결합나사부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중공의 저장부(151)와, 상기 저장부(151)의 상부에 나사방식으로 형성되되, 중앙에는 일자형상으로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고정부(153)와, 상기 고정부(153)에 형성된 절개부를 통하여 일단이 저장부(151)내측으로 삽입 걸림되어 고정되고, 타단은 노출되어 콘크리트 타설시 매설되어 고정가능하게 구비되는 체인 형상의 안전고리연결부재(155)와, 상기 안전고리연결부재(155)의 일단을 걸 수 있도록 상면 중앙부에는 고리부(157a)가 돌출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하부결합나사부와 결합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저장부(151)에 안전고리연결부재(155)가 수용되도록 하고, 사용시 상기 하부결합나사부와 분리됨에 따른 상기 안전고리연결부재(155) 일단이 노출되어 작업자가 착용하고 있는 안전벨트에 부설된 안전고리를 걸 수 있도록 덮개용나사부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덮개부(157)로 구성된다.
상기한 연결대 고정수단(190)은 상기 몸체부(110)의 상면에 설치되어 등 설치시 상기 등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되는 등 연결대를 고정 연결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한 연결대 고정수단(190)은, 상기 몸체부(110)의 상면 중앙부에 고정 설치되되, 내주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고 구비되는 고정부재(191)와, 상기 고정부재(191)의 나사부와 일단이 나사방식으로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외주면에는 결합나사부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바 형상의 연결부재(192)와, 상기 연결부재(192)의 타단에 나사방식으로 결합되어 등 연결대를 고정 연결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너트(193)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연결부재(192)는 절단하는 것에 의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전상볼트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한 연결대 고정수단(190)은 상기 몸체부(110)에 고정되는 고정부재(191)와, 연결부재(192) 그리고 너트(193)로 구성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를 이용하여 등 연결대를 고정시키기 위한 연결대 고정수단을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천장에 매립된 단자함을 콘크리트 타설에 따른 천장 매립시킨 후 형광등으로부터 배선된 전선과 접속 연결시키고자 할 경우, 첨부된 도면 도 1 내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몸체부(110)의 외주면 하단부에 방사방향으로 형성된 위치고정용 돌출부(130)의 고정홀(131)을 통하여 스크류로 거푸집(B)에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상기 위치고정용 돌출부(130)의 고정홀(131)을 통하여 상기 몸체부(110)가 거푸집(B)에 고정되면, 접지용 접지선(A)을 배근된 철근(C)에 접지 연결시킨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10) 외측면에 설치된 안전고리 연결수단(150)의 안전고리연결부재(155) 타단을 철근측으로 올려놓는다.
이후,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것에 의해 상기 안전고리연결부재(155)의 타단과 몸체부(110)는 매설되고 상기 몸체부(110)의 저면과 저장부(151)의 하부만이 외부로 노출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선들은 전선 입구와 출구(111a,112a)를 통하여 미리 배선되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천장에 매설된 천장에 매립된 단자함을 통하여 형광등을 설치하고자 할 경우, 작업자는 준비된 사다리를 타고 올라간 후, 덮개부(157)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겨 상기 저장부(151)로부터 분리시킨다.
상기 덮개부(157)가 저장부(151)로부터 분리되는 것에 의해 안전고리연결부재(155)의 일단이 외부로 인출된다.
상기 안전고리연결부재(155)의 일단이 외부로 인출되면, 작업자는 안전벨트에 부설된 안전고리를 안전고리연결부재(155)의 일단에 건 후, 연결대 고정수단(190)의 너트(193)를 푼다.
이후, 상기 연결대 고정수단(190)의 연결부재(192)와 상기 너트(193)를 통하여 등 연결대를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등 연결대가 고정되면, 형광등을 상기 등 연결대에 고정시킨 후, 상기 형광등으로부터 인출된 전선을 몸체부(110)에 배선된 전원선과 접속 연결시킨 후, 접속 연결된 부분을 상기 몸체부(110) 내측면에 고정설치된 단자대(170)에 고정시키는 것에 의해 형광등의 설치가 완료된다.
이와 같이 천장에 형광등을 설치할 때, 안전고리 연결수단(150)의 안전고리연결부재(155)에 작업자는 안전벨트에 부설된 안전고리를 건 후, 작업을 행하게 되므로 자칫 사다리로부터 떨어지더라도 낙상으로 인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A ; 접지선 100 ; 천장 매립형 단자함
110 ; 몸체부 130 ; 돌출부
150 ; 안전고리 연결수단 170 ; 단자대
190 ; 연결대 고정수단

Claims (5)

  1. 천장 매립형 단자함은,
    저면이 개구되고 내부에 설치공간부가 형성된 원형을 포함한 다각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되, 외측면에는 설치공간부와 연통되게 전선 입구와 출구(111a,112a)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전선 입구와 출구에는 소켓(111,112)들이 결합되어 구비되는 몸체부(110)와;
    상기 몸체부(110)의 외주면 하부에 방사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각각 돌출되되, 중앙부에는 콘크리트 타설시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위치고정용 돌출부(130)와;
    상기 몸체부(110)의 다른 외측면에 고정 설치되어 콘크리트로 천장 타설시 일단인 콘크리트에 매설 고정되고, 타단은 천정측으로 노출되어 작업자가 안전벨트에 부설된 안전고리를 걸 수 있도록 구비되는 안전고리 연결수단(150)을 포함하되,
    상기 안전고리 연결수단(150)은, 상기 몸체부(110)의 다른 외측면에 고정되되, 내주면 상,하부에는 상,하부결합나사부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중공의 저장부(151)와, 상기 저장부(151)의 상부에 나사방식으로 형성되되, 중앙에는 일자형상으로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고정부(153)와, 상기 고정부(153)에 형성된 절개부를 통하여 일단이 저장부(151)내측으로 삽입 걸림되어 고정되고, 타단은 노출되어 콘크리트 타설시 매설되어 고정가능하게 구비되는 체인 형상의 안전고리연결부재(155)와, 상기 안전고리연결부재(155)의 일단을 걸 수 있도록 상면 중앙부에는 고리부(157a)가 돌출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하부결합나사부와 결합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저장부(151)에 안전고리연결부재(155)가 수용되도록 하고, 사용시 상기 하부결합나사부와 분리됨에 따른 상기 안전고리연결부재(155) 일단이 노출되어 작업자가 착용하고 있는 안전벨트에 부설된 안전고리를 걸 수 있도록 덮개용나사부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덮개부(157)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매립형 단자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10)의 내측면에는, 거푸집(B) 상부에 배근된 철근(C)에 접지선(A)을 매개로 접지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전선 입구(111a)를 통하여 인입된 -전선 그리고 +전선을 등으로부터 배선된 선과 결속시킨 후 결속된 부분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단자대(170)가 더 고정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매립형 단자함.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10)의 상면에는 등 설치시 등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되는 등 연결대를 고정 연결시켜 등 설치에 따른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연결대 고정수단(19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매립형 단자함.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 고정수단(190)은, 상기 몸체부(110)의 상면 중앙부에 고정 설치되되, 내주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고 구비되는 고정부재(191)와, 상기 고정부재(191)의 나사부와 일단이 나사방식으로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외주면에는 결합나사부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바 형상의 연결부재(192)와, 상기 연결부재(192)의 타단에 나사방식으로 결합되어 등 연결대를 고정 연결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너트(19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매립형 단자함.
KR1020190113302A 2019-09-16 2019-09-16 천장 매립형 단자함 KR1020718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302A KR102071896B1 (ko) 2019-09-16 2019-09-16 천장 매립형 단자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302A KR102071896B1 (ko) 2019-09-16 2019-09-16 천장 매립형 단자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1896B1 true KR102071896B1 (ko) 2020-02-03

Family

ID=69626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3302A KR102071896B1 (ko) 2019-09-16 2019-09-16 천장 매립형 단자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1896B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7722A (ja) * 1999-08-11 2001-02-27 Mirai Ind Co Ltd 配線用ボックス装置、支持金具及び支持金具装置
KR200334688Y1 (ko) * 2003-08-28 2003-11-28 일 석 채 천장 매입형 배선함
KR20050118923A (ko) 2004-06-15 2005-12-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감지장치
KR20120113095A (ko) * 2011-04-04 2012-10-12 김근수 천장용 단자함
KR101266228B1 (ko) * 2012-05-31 2013-05-21 김성복 접지구조를 갖는 옥내용 아웃렛박스
JP3185620U (ja) * 2013-06-13 2013-08-22 タキゲン製造株式会社 装備器具の落下防止構造
KR20130007014U (ko) * 2012-05-29 2013-12-09 김근수 조적 벽체용 단자함
KR101370092B1 (ko) * 2013-09-17 2014-03-06 (주)서광테라 엘이디 조명등의 장착장치
KR20140005475U (ko) * 2013-04-13 2014-10-22 김순봉 엘이디 면 조명기구 장치
KR20150048993A (ko) * 2013-10-29 2015-05-08 이외숙 중공슬래브용 부력방지장치
KR101924504B1 (ko) * 2017-05-10 2018-12-03 강영주 천장용 전기박스의 설치방법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7722A (ja) * 1999-08-11 2001-02-27 Mirai Ind Co Ltd 配線用ボックス装置、支持金具及び支持金具装置
KR200334688Y1 (ko) * 2003-08-28 2003-11-28 일 석 채 천장 매입형 배선함
KR20050118923A (ko) 2004-06-15 2005-12-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감지장치
KR20120113095A (ko) * 2011-04-04 2012-10-12 김근수 천장용 단자함
KR20130007014U (ko) * 2012-05-29 2013-12-09 김근수 조적 벽체용 단자함
KR101266228B1 (ko) * 2012-05-31 2013-05-21 김성복 접지구조를 갖는 옥내용 아웃렛박스
KR20140005475U (ko) * 2013-04-13 2014-10-22 김순봉 엘이디 면 조명기구 장치
JP3185620U (ja) * 2013-06-13 2013-08-22 タキゲン製造株式会社 装備器具の落下防止構造
KR101370092B1 (ko) * 2013-09-17 2014-03-06 (주)서광테라 엘이디 조명등의 장착장치
KR20150048993A (ko) * 2013-10-29 2015-05-08 이외숙 중공슬래브용 부력방지장치
KR101924504B1 (ko) * 2017-05-10 2018-12-03 강영주 천장용 전기박스의 설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31325A (en) Adjustable mudring for conventional electrical outlet box
US7075005B1 (en) Electrical floor box with dual cover installation
CA2216440C (en) Non-metallic floor box
CA2307704C (en) Bar hanger and mounting clip assembly
CA2545799A1 (en) Electrical ceiling box for fixture support
CN111201686B (zh) 具有加强件的防风雨电气外壳
KR102071896B1 (ko) 천장 매립형 단자함
KR100655881B1 (ko) 건축물 전기 단자함 고정구 구조
KR100827604B1 (ko) 건축물용 전기단자함 구조
KR200255166Y1 (ko) 벽면 매설용 콘센트 박스
KR200489862Y1 (ko) 전선 구조체
KR100796210B1 (ko) 벽면 매설용 건축 전기 콘센트박스
KR100751926B1 (ko) 배전용 전주 외주 수직배선 조립체.
KR101511952B1 (ko) 모듈 확장 및 교체가 용이한 매립형 콘센트 유닛
KR102096833B1 (ko) 재사용이 가능한 지지용 알루미늄 폼을 이용한 시공 및 조립이 용이한 공동건물의 케이블 배선용 배전 슬리브 설치방법
KR200460713Y1 (ko) 매립형 단자블록 고정장치
KR200334688Y1 (ko) 천장 매입형 배선함
KR200347300Y1 (ko) 유로폼 레이커 시스템의 연장 서포트 구조
KR100836192B1 (ko) 건축물 전기 단자함구조
KR200445437Y1 (ko) 벽부용 아웃렛박스
KR200453373Y1 (ko) 접지구조가 구비된 소켓커버를 가진 방수소켓
KR100640697B1 (ko) 벽면 매설용 공동주택 콘센트 박스
KR19990030579A (ko) 천장슬래브용 전기배관 박스
JP6408456B2 (ja) クロージャ取付け装置、共同溝ボックスへのクロージャ支持部材取付け方法
KR20180082768A (ko) 측뇌용 피뢰침 및 이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