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3095A - 천장용 단자함 - Google Patents
천장용 단자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113095A KR20120113095A KR1020110030821A KR20110030821A KR20120113095A KR 20120113095 A KR20120113095 A KR 20120113095A KR 1020110030821 A KR1020110030821 A KR 1020110030821A KR 20110030821 A KR20110030821 A KR 20110030821A KR 20120113095 A KR20120113095 A KR 2012011309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box
- hole
- wedge portion
- ceiling
- wedg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083 cement morta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2—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 H02G3/121—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in plain wall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providing line outlets
- H02G3/20—Ceiling roses or other lighting set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through walls, floors or ceilings, e.g. into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의 천장 벽체에 매립 설치되는 단자함을 거푸집에 쉽고 편리하게 고정할 수 있게 한 천장용 단자함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건물의 천장 벽체에 매설되는 단자함 본체; 상기 단자함 본체의 외주연을 따라 다수개로 형성되어 상기 단자함 본체로부터 돌출되게 돌출편을 설치함과 아울러 그 돌출편의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내부에는 하부로 직경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의 테이퍼공이 형성되고, 그 테이퍼공에 대응하는 외부는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개로 분할되게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의 절개선들이 형성되는 쐐기돌부; 및 상기 쐐기돌부의 테이퍼공에 끼움 설치되어 그 쐐기돌부를 외측으로 벌어지게 하여 상기 쐐기돌부가 거푸집의 구멍에 억지끼움 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쐐기돌부의 테이퍼공보다는 큰 직경으로 이루어진 앵커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건물의 천장 벽체에 매설되는 단자함 본체; 상기 단자함 본체의 외주연을 따라 다수개로 형성되어 상기 단자함 본체로부터 돌출되게 돌출편을 설치함과 아울러 그 돌출편의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내부에는 하부로 직경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의 테이퍼공이 형성되고, 그 테이퍼공에 대응하는 외부는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개로 분할되게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의 절개선들이 형성되는 쐐기돌부; 및 상기 쐐기돌부의 테이퍼공에 끼움 설치되어 그 쐐기돌부를 외측으로 벌어지게 하여 상기 쐐기돌부가 거푸집의 구멍에 억지끼움 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쐐기돌부의 테이퍼공보다는 큰 직경으로 이루어진 앵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천장용 단자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천장 벽체에 매립 설치되는 단자함을 거푸집에 쉽고 편리하게 고정할 수 있게 한 천장용 단자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자함은 건물 등의 시공시 천정 벽체에 매설되어 내부로 들어오는 전선, 즉 전기선, 전화선, 인터넷 전용선, 안테나선 등을 연결하기 위한 단자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마련하는데, 이러한 단자함들은 천정 벽체의 형성시 거푸집에 고정구를 먼저 고정시킨 다음, 그 고정구를 이용하여 단자함을 고정함으로서, 그 주위로 타설되는 시멘트 모르타르를 통해 형성한 벽체에 매설됨이 주지된 사실이다.
그러나, 기존에는 단자함을 거푸집에 고정함에 있어서 고정구를 이용하기 있기 때문에, 작업자들이 단자함을 고정하는데 큰 어려움을 주고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고정구로 인하여 단자함의 고정이 견실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폐단이 있었다.
또한, 최근에는 거푸집을 금속판(예컨대, 알루미늄판)등을 이용하여 재사용 하고 있는 추세인데, 이러한 금속판에는 고정구를 고정하기 위한 작업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천장용 단자함에 쐐기돌부를 형성함에 의해 건물의 천장 벽체를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의 구멍에 쉽고 편리하게 고정할 수 있게 한 천장용 단자함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물의 천장 벽체에 매설되는 단자함 본체; 상기 단자함 본체의 외주연을 따라 다수개로 형성되어 상기 단자함 본체로부터 돌출되게 돌출편을 설치함과 아울러 그 돌출편의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내부에는 하부로 직경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의 테이퍼공이 형성되고, 그 테이퍼공에 대응하는 외부는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개로 분할되게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의 절개선들이 형성되어 건물의 천장 벽체를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의 구멍에 끼움 고정되게 한 쐐기돌부; 및 상기 쐐기돌부의 테이퍼공에 끼움 설치되어 그 쐐기돌부를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확장시킴에 의해 상기 쐐기돌부가 거푸집의 구멍에 억지끼움 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쐐기돌부의 테이퍼공보다는 큰 직경으로 이루어진 못, 나사못, 볼트, 핀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앵커(ancho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건물의 천장 벽체에 매설되는 단자함 본체; 상기 단자함 본체의 외주연을 따라 다수개로 형성되어 상기 단자함 본체로부터 돌출되게 돌출편을 설치함과 아울러 그 돌출편의 내부에 설치공을 형성하고 상기 설치공에 설치되어 상하부로 돌출되도록 고정하되, 상부로 돌출되는 부위의 외경은 설치공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하고 하부로 돌출되는 부위가 건물의 천장 벽체를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의 구멍에 끼움 고정될 수 있는 쐐기돌부; 및 상기 쐐기돌부의 하부가 거푸집의 구멍에 끼움 고정될 수 있게 상기 쐐기돌부의 상부를 타격하면 쉽게 파괴될 수 있도록 상기 쐐기돌부의 외주면과 설치공의 내주면에 양측이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쐐기돌부를 설치공에 고정되게 한 취약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천장용 단자함에 쐐기돌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그 쐐기돌부를 외측으로 벌어지게 확장시킬 수 있는 앵커의 결합에 의해 건물의 천장 벽체를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의 구멍에 단자함을 쉽고 편리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용 단자함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표시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표시의 I-I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표시의 "A"부에 대한 쐐기돌부의 확대도이며, 그 쐐기돌부의 상하부에 각각 앵커와 구멍이 형성된 거푸집을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표시의 고정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a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용 단자함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천장용 단자함의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7표시의 II-II선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7표시의 "B"부에 대한 쐐기돌부의 확대도이며, 그 쐐기돌부의 하부에 구멍이 형성된 거푸집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도 9표시의 고정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표시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표시의 I-I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표시의 "A"부에 대한 쐐기돌부의 확대도이며, 그 쐐기돌부의 상하부에 각각 앵커와 구멍이 형성된 거푸집을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표시의 고정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a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용 단자함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천장용 단자함의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7표시의 II-II선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7표시의 "B"부에 대한 쐐기돌부의 확대도이며, 그 쐐기돌부의 하부에 구멍이 형성된 거푸집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도 9표시의 고정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천장용 단자함은 건물의 천장 벽체에 매립되어 단자를 수용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마련하는 것으로, 단자함 본체(110)를 구비하고 있다. 이 단자함 본체(110)는 하부만이 개구된 수용공간(112)을 형성하여 천장의 벽체(W)에 매립되게 설치된다.
이러한 단자함 본체(110)의 외면에는 내부로 들어오는 전선 등을 설치하기 위한 전선인입구(114)가 설치된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천장용 단자함은 쐐기돌부(12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쐐기돌부(120)는 상기 단자함 본체(110)를 건물의 천장 벽체를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200)의 구멍(202)에 끼움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쐐기돌부(120)는 상기 단자함 본체(110)의 외주연을 따라 다수개로 형성되어 상기 단자함 본체(110)로부터 돌출되도록 돌출편(122)을 설치함과 아울러 그 돌출편(122)의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쐐기돌부(120)의 내부에는 하부로 직경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의 테이퍼공(124)이 형성되고, 그 테이퍼공(124)에 대응하는 외부는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개로 분할되게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의 절개선(126)들이 형성된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천장용 단자함은 앵커(anchor)(13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앵커(130)는 상기 쐐기돌부(120)의 테이퍼공(124)에 끼움 설치되어 그 쐐기돌부(120)를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확장시킴에 의해 상기 쐐기돌부(120)가 거푸집(200)의 구멍(202)에 억지끼움 되어 고정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앵커(130)는 상기 쐐기돌부(120)의 테이퍼공(124) 보다는 큰 직경으로 이루게 형성되어야 상기 테이퍼공(124)에 끼움 결합시 상기 쐐기돌부(120)의 외부를 외측으로 벌어지게 확장시킬 수 있으며, 이를 위한 상기 앵커(130)는 못, 나사못, 볼트, 핀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천장용 단자함은, 상기 거푸집(200)에 단자함 본체(110)를 고정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거푸집(200)에 구멍(202)을 형성한다. 이 구멍(202)은 단자함 본체(110)가 설치되는 위치에 형성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구멍(202)에 쐐기돌부(120)를 삽입한 다음 상기 쐐기돌부(120)의 테이터공(124)에 앵커(130)를 끼움 설치함으로서 단자함 본체(110)를 거푸집에 고정한다. 즉, 상기 쐐기돌부(120)의 테이퍼공(124)에 앵커(30)를 끼우게 되면 상기 앵커(130)에 의해 쐐기돌부(120)가 외측으로 벌어지는 상태로 확장되면서 거푸집(200)의 구멍(202)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또한, 상기 단자함 본체(110)가 고정된 거푸집(200)을 이용하여 건물의 천장 벽체를 형성한 후 거푸집(200)을 제거하게 된다. 이때, 거푸집(200)의 제거에 의해 구멍(202)에 끼워진 쐐기돌부(120)가 강제적으로 빠지거나 혹은 상기 쐐기돌기(120)가 절개된다. 즉, 상기 쐐기돌부(120)는 단자함 본체(110)로부터 상대적으로 취약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쉽게 절개될 수 있고, 절개되지 않을 경우에는 거푸집의 제거에 소요되는 힘에 의해 구멍으로부터 빠지게 된다.
이와 같이 거푸집(200)을 제거한 후 상기 단자함 본체(110)에 쐐기돌부(120)가 그대로 남아 있게 되는 경우에는 별도의 공구(tool)를 이용하여 상기 쐐기돌부(120)를 절단시켜 제거함으로서, 벽체에 매립되는 단자함 본체(110)로부터 돌출부위를 없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거푸집(200)에 고정구를 설치하지 않고 구멍(202)만을 형성한 후, 그 구멍(202)에 쐐기돌부(120)와 앵커(130)를 이용하여 단자함 본체(110)를 고정시킴에 의해 단자함 본체(110)의 고정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도 7 ~도 10표시의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는, 위에서 설명한 구조에서 쐐기돌부의 구성에서 차이점이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단자함 본체(110)에 설치된 돌출편(122)의 내부에 설치공(122a)을 형성하고, 그 설치공(122a)에 쐐기돌부(120a)를 설치하되 상기 쐐기돌부(120a)는 상하부로 돌출되도록 고정한다.
이때, 상기 설치공(122a)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되는 부위의 외경은 설치공(122a)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하고, 하부로 돌출되는 부위가 건물의 천장 벽체를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200)의 구멍(202)에 끼움 고정되게 한다.
또한, 상기 쐐기돌부(120a)를 설치공(122a)에 고정되게 하고자 취약 고정부(120b)를 구비하고 있는데, 이 취약 고정부(120b)는 상기 쐐기돌부(120a)의 하부가 거푸집(200)의 구멍(202)에 끼움 고정될 수 있게 상기 쐐기돌부(120a)의 상부를 타격하면 쉽게 파괴되게 한다.
이러한 취약 고정부(120b)는 상기 쐐기돌부(120a)의 외주면과 설치공(122a)의 내주면에 양측이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쐐기돌부(120a)를 설치공에 고정되게 하며, 상기 쐐기돌부(120a)의 상부를 타격시 쉽게 파괴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단자함 본체(110)를 거푸집(200)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거푸집(200)의 구멍(202)에 쐐기돌부(120a)가 위치되게 한 상태에서 상기 쐐기돌부(120a)의 상부를 타격하게 되면, 그 쐐기돌부(120a)는 취약 고정부(120b)가 파괴되면서 아래로 이동되어 상기 쐐기돌부(120a)의 하부가 거푸집(200)의 구멍(202)에 끼움 고정된다.
이때, 상기 쐐기돌부(120a)의 상부는 설치공(122a)에 위치되는데, 그 상부의 외경은 설치공(122a)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됨으로 설치공(122a)에 억지 끼움식으로 고정되게 된다. 이후, 천장의 벽체를 완성 후 거푸집을 제거하게 되면 상기 쐐기돌부(120a)는 거푸집으로부터 쉽게 분리되어 천장 벽체에 단자함을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다.
110 - 단자함 본체 112 - 수용공간
114 - 전선인입구 120 - 쐐기돌부
122 - 돌출편 124 - 테이퍼공
126 - 절개선 130 - 앵커
114 - 전선인입구 120 - 쐐기돌부
122 - 돌출편 124 - 테이퍼공
126 - 절개선 130 - 앵커
Claims (2)
- 건물의 천장 벽체에 매설되는 단자함 본체;
상기 단자함 본체의 외주연을 따라 다수개로 형성되어 상기 단자함 본체로부터 돌출되게 돌출편을 설치함과 아울러 그 돌출편의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내부에는 하부로 직경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의 테이퍼공이 형성되고, 그 테이퍼공에 대응하는 외부는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개로 분할되게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의 절개선들이 형성되어 건물의 천장 벽체를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의 구멍에 끼움 고정되게 한 쐐기돌부; 및
상기 쐐기돌부의 테이퍼공에 끼움 설치되어 그 쐐기돌부를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확장시킴에 의해 상기 쐐기돌부가 거푸집의 구멍에 억지끼움 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쐐기돌부의 테이퍼공보다는 큰 직경으로 이루어진 못, 나사못, 볼트, 핀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앵커(anchor)를 포함하는 천장용 단자함. - 건물의 천장 벽체에 매설되는 단자함 본체;
상기 단자함 본체의 외주연을 따라 다수개로 형성되어 상기 단자함 본체로부터 돌출되게 돌출편을 설치함과 아울러 그 돌출편의 내부에 설치공을 형성하고 상기 설치공에 설치되어 상하부로 돌출되도록 고정하되, 상부로 돌출되는 부위의 외경은 설치공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하고 하부로 돌출되는 부위가 건물의 천장 벽체를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의 구멍에 끼움 고정될 수 있는 쐐기돌부; 및
상기 쐐기돌부의 하부가 거푸집의 구멍에 끼움 고정될 수 있게 상기 쐐기돌부의 상부를 타격하면 쉽게 파괴될 수 있도록 상기 쐐기돌부의 외주면과 설치공의 내주면에 양측이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쐐기돌부를 설치공에 고정되게 한 취약 고정부를 포함하는 천장용 단자함.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30821A KR20120113095A (ko) | 2011-04-04 | 2011-04-04 | 천장용 단자함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30821A KR20120113095A (ko) | 2011-04-04 | 2011-04-04 | 천장용 단자함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13095A true KR20120113095A (ko) | 2012-10-12 |
Family
ID=47282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30821A KR20120113095A (ko) | 2011-04-04 | 2011-04-04 | 천장용 단자함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20113095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60133A (ko) * | 2016-11-28 | 2018-06-07 | 노영곤 | 슬래브 단열이 가능한 트러스 철근 일체형 장선 슬래브 |
KR102071896B1 (ko) * | 2019-09-16 | 2020-02-03 | 신문식 | 천장 매립형 단자함 |
KR102073409B1 (ko) * | 2019-06-27 | 2020-03-02 | (주)건축사사무소테크뱅크 | 거리 측정이 용이한 매립형 단자박스 |
-
2011
- 2011-04-04 KR KR1020110030821A patent/KR20120113095A/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60133A (ko) * | 2016-11-28 | 2018-06-07 | 노영곤 | 슬래브 단열이 가능한 트러스 철근 일체형 장선 슬래브 |
KR102073409B1 (ko) * | 2019-06-27 | 2020-03-02 | (주)건축사사무소테크뱅크 | 거리 측정이 용이한 매립형 단자박스 |
KR102071896B1 (ko) * | 2019-09-16 | 2020-02-03 | 신문식 | 천장 매립형 단자함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20113095A (ko) | 천장용 단자함 | |
KR100741995B1 (ko) |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구 | |
KR101502600B1 (ko) | 스트롱 앵커 | |
KR20090113476A (ko) | 콘크리트 슬래브용 인서트 | |
US20030126824A1 (en) | Plumbing and conduit protector plate | |
KR101022795B1 (ko) | 콘크리트 매설용 인서트 | |
US20140252292A1 (en) | Balcony blockout insert | |
KR200430401Y1 (ko) | 건축용 단열재 고정구 | |
KR100921204B1 (ko) | 단열재용 인서트 | |
KR100447474B1 (ko) | 단열재용 인서트 | |
KR101020641B1 (ko) | 철근콘크리트구조의 거푸집공사에서 합판거푸집에 고정되어 콘크리트구조물에 매립되는 전기박스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 | |
US20060096195A1 (en) | Devices and methods for protecting exposed pipe ends during construction | |
KR101544516B1 (ko) | 제거식 세트앙카볼트 | |
KR200442013Y1 (ko) | 벽체 관통 스리브 구조 | |
KR101263484B1 (ko) | 구조물 지지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결합클립 | |
KR100679057B1 (ko) | 건축용 자재 및 콘크리트 공법 | |
KR101100872B1 (ko) | 천장 매입형 접속함의 고정장치 | |
KR200334688Y1 (ko) | 천장 매입형 배선함 | |
KR200351231Y1 (ko) | 콘크리트 실링박스 | |
KR100947983B1 (ko) | 관통슬리브용 고정구 | |
KR20180038122A (ko) | 지지용 시스템챤넬 시공방법 | |
KR20080109133A (ko) | 창호벽용 앵커의 시공방법 및 그 구조 | |
KR20090096964A (ko) | 파이프 관통 슬리브용 거푸집 분리장치 | |
KR200460050Y1 (ko) | 콘크리트 형틀용 앵커볼트 커버 | |
KR20180001068U (ko) | 엘리베이터용 훅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