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1995B1 -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구 - Google Patents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1995B1
KR100741995B1 KR1020060101202A KR20060101202A KR100741995B1 KR 100741995 B1 KR100741995 B1 KR 100741995B1 KR 1020060101202 A KR1020060101202 A KR 1020060101202A KR 20060101202 A KR20060101202 A KR 20060101202A KR 100741995 B1 KR100741995 B1 KR 1007419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material
heat insulating
insulation
formwork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1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병 균 임
임상훈
Original Assignee
병 균 임
임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병 균 임, 임상훈 filed Critical 병 균 임
Priority to KR1020060101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19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1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19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04B1/762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of the insulation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04B1/7637Anchoring of separate elements through the lining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1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with additional peculiarities such as surface shaping, insulating or heating, permeability to water or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루미늄 거푸집에 결로방지를 위한 단열재를 설치하기 위한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고정핀과 단열재 고정부재 및 콘크리트 침입방지캡을 알루미늄 거푸집과 분리한 상태에서 운반하여 거푸집을 조립하는 작업 위치에서 고정핀을 알루미늄 거푸집에 고정하고 고정핀과 단열재 고정부재에 의해 단열재를 원터치식으로 고정하는 것이므로 작업조건이 열악한 현장에서도 신속, 간편하며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고정핀 등이 손상될 염려가 없게 되고, 양중과정에서 돌출물로 인한 알루미늄 거푸집 간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아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고정핀에 첨예형 첨두부가 형성되고 그 직경이 작아 단열재를 고정하는 과정에서 단열재가 훼손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보완작업과 이로 인한 추가비용의 부담이 없고, 알루미늄 거푸집에 대한 단열재의 고정상태가 확실하게 유지되어 알루미늄 거푸집과 단열재 사이로 콘크리트가 유입되는 일이 없게 되고, 이에 따라 재시공과 이에 따른 단열성능 저하 및 추가비용 발생을 배제할 수 있으며, 제조원가 절감과 시공성 향상 및 인건비 절감을 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구{Heat insulator fixture for aluminum form}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구의 분해 사시도 및 분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해 알루미늄 거푸집에 단열재를 설치하는 과정과 콘크리트 타설과정과 거푸집 해체 상태를 보인 도면,
도 4a 및 도 4b는 일반적인 천장과 벽체의 단열시공예를 보인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종래 단열재 고정구를 보인 것으로,
도 5는 거푸집에 단열재를 고정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종래 합성수지 마개의 평면도 및 저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고정핀 14 : 첨두부
15 : 탄성걸림편 20 : 단열재 고정부재
22 : 압입편 23 : 압입돌기
24 : 매립편 25 : 탄성걸림편
30 : 콘크리트 침입방지캡
본 발명은 알루미늄 거푸집에 스티로폼 등으로 되는 단열재를 설치하기 위한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거푸집에 대한 단열재의 설치 작업이 매우 간편하게 되며, 운반과정에서 손상될 염려가 없고,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단열재의 훼손을 방지하고, 품질을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는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 등에서 거실의 용도로 사용되는 실내공간에서 외부에 면하는 벽면과 천장면에는 결로방지를 위한 단열시공을 하게 된다.
즉,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장을 구성하는 슬래브(S)에는 단열재(2)를 시공하고, 벽체(W)에는 단열재와 석고보드로 되는 내단열재(3)를 시공하거나,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벽을 구성하는 구조물(W1)에는 단열재(2)를 시공하고, 벽체(W)에는 단열재와 석고보드로 되는 내단열재(3)를 시공한다.
단열시공은 거푸집 공사시 거푸집(1) 면에 단열재(2)를 고정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단열재(2)가 콘크리트면에 매립되어 천장과 벽체면에 노출되도록 한다.
이러한 단열시공에서 거푸집 면에 단열재를 설치하는 방법은 거푸집의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
종전에 사용되던 유로폼(euro form)이나 철재 프레임에 합판을 설치한 거푸 집의 경우에는 단열재 고정못을 이용하여 단열재를 고정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거푸집을 해체하면 고정못은 유로폼이나 합판에 부착된 상태로 탈락하도록 하고 있다.
최근에는 초고층화의 추세에 따라 유로폼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경량으로 설치 및 해체 등의 작업이 쉽고 전용회수가 많으며 콘크리트 표면을 미려하게 성형할 수 있는 알루미늄 거푸집의 사용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알루미늄 거푸집은 초기비용은 많이 드는 편이나 알루미늄을 녹여 압출 성형하여 제조 규격이 일정하여 조립시 조인트의 틈새가 없으며 표면이 평활하고 경량으로 작업이 용이하며 전용회수가 많아 초고층에 사용할 경우에는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알루미늄 거푸집의 내표면에 단열재 설치면적에 상당하는 단턱을 형성하여 이 단턱부에 합판을 부착하고, 이 합판에 단열재를 못으로 고정하는 방법을 채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합판을 부착하는 별도의 공정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일정 회수 사용 후 합판의 손상으로 이를 교체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비용의 증가로 인하여 알루미늄 거푸집의 장점인 콘크리트면의 미려함과 전용회수 증가 등의 장점이 반감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도 5 내지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알루미늄 거푸집(1)과 이 알루미늄 거푸집(1)의 내표면에 안착되는 단열재(2)를 관통하는 알루미늄 고정봉(110)과, 이 고정봉(110)의 상단에 씌워짐과 아울러 단열재(2)에 압입되는 합성 수지제 마개(120)로 구성된 고정구를 사용하여 알루미늄 거푸집에 단열재를 고정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고정봉(110)은 상단이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단열재(2)를 관통하여 돌출되는 봉부(111)와, 이 봉부(111)의 하단에서 확장 형성되어 알루미늄 거푸집(1)의 외표면에 접촉하는 확대부(112)가 형성되고, 상기 합성수지 마개(120)는 상기 고정봉(110)의 상단에 씌워지는 캡부(121)와, 이 캡부(121)의 외주면에서 확장되어 단열재(2)를 누르는 누름편(122) 및 이 누름편(122)에서 돌출되어 단열재(2)에 압입되는 복수개(도면에서는 4개)의 압입돌기(123)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110)의 확대부(111)는 알루미늄 거푸집(1)에 리벳(114)으로 고정되는 것으로 이를 위하여 복수개의 리벳공(113)이 천공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구는 알루미늄 거푸집(1)에 구멍(1a)을 뚫고, 이에 고정봉(110)의 봉부(111)를 관통시키며, 확대부(112)에 형성된 리벳공(113)과 알루미늄 거푸집(1)에 형성된 구멍(1b)에 리벳(114)을 관통시켜 고정봉(110)의 확대부(112)가 알루미늄 거푸집(1)에 고정되도록 한 다음, 단열재(2)를 알루미늄 거푸집(1)의 내표면에 안착시키면서 고정봉(110)의 봉부(111)가 단열재(2)를 뚫고 돌출되도록 한 다음, 고정봉(110)의 봉부(111)의 돌출부에 마개(120)를 씌운다. 이때 마개(120)의 캡부(121)는 봉부(111)의 돌출부에 씌워지며, 누름편(122)은 단열재(2)를 누르게 됨과 아울러 누름편(122)에 돌출 형성된 압입돌기(123)는 단열재(2)에 압입된다.
또한 상기 캡부(121)의 내벽면에는 복수개의 돌조(124)가 형성되어 있어 봉 부(111)의 돌출부에 캡부(121)를 씌울 때 그 씌움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짐과 아울러 봉부(111)와 캡부(121)의 결합력이 증강된다.
상기 누름편(122)에는 상기 복수개의 압입돌기(123)들 사이에는 복수개(도면에서는 4개)의 구멍(125)이 천공된다.
도 6a 및 도 6b에서는 압입돌기(123)와 구멍(125)을 구분하기 위하여 압입돌기(123)는 속이 빈 원으로, 구멍(125)은 속이 찬 원으로 도시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구는 다음과 같이 여러 문제점이 있다.
첫째, 공장에서 고정봉(110)을 알루미늄 거푸집(1)에 결합할 경우에는 알루미늄 거푸집(1)에서 돌출된 고정봉(110)으로 인하여 적재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알루미늄 거푸집(1)과 고정봉(110) 및 덮개(120)를 별도로 현장 반입한 다음, 현장에서 리벳(113) 작업에 의해 고정봉(110)을 알루미늄 거푸집(1)에 고정하게 되며, 통상적으로 현장은 공장에 비해 작업환경이 열악한 관계로 작업능률이 저하되고 품질확보에 어려움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현장에서 알루미늄 거푸집(1)에 고정봉(110)을 고정한 상태에서 거푸집 설치위치로 양중하는 과정 고정봉(110)의 돌출부가 손상되기 쉬워 거푸집 작업을 하기 전에 다시 보완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등 작업능률 저하요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고정봉(110)이 고정되어 돌출된 여러 개의 알루미늄 거푸집(1)을 거푸집 작업장소로 양중할 경우, 돌출된 고정봉(110)으로 인하여 알루미늄 거푸집(1) 간에 간섭이 일어나게 되고 이러한 간섭에 의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넷째, 고정봉(110)은 알루미늄으로서 강도가 약해 충분한 강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그 직경을 15mm이상으로 비교적 굵게 해야 하는데 이 경우 단열재(2)를 알루미늄 거푸집(1)의 내표면에 안착시키면서 눌러서 고정봉(110)이 단열재(2)를 뚫고 나오도록 하는 과정에서 단열재(2)의 훼손이 심하게 발생되며, 이 경우 보완작업을 추가해야 하므로 추가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다섯째, 마개(120)와 고정봉(110)의 고정구조가 충분히 구비되지 않고, 마개(120)의 캡부(121)를 고정봉(110)의 돌출부에 씌우는 것이므로 콘크리트 타설시 합성수지제 마개(120)가 고정봉(110)으로부터 탈락하여 단열재(2)의 고정상태 불량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알루미늄 거푸집(1)과 단열재(2) 사이로 콘크리트가 유입되어 단열재(2)의 성능이 저하되기 때문에 재시공이 필요하게 되어 단열성능 저하 및 추가비용 발생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조건이 열악한 현장에서도 신속,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거푸집 작업 위치까지는 알루미늄 거푸집을 그대로 운반하고 이후 단열재 고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면서도 그 작업이 매우 신속,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되어 운반과정에서 단열재 고정을 위한 돌출물이 손상될 염려가 없도록 한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운반과정에서 알루미늄 거푸집 간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아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열재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단열재가 훼손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보완작업과 이로 인한 추가비용이 필요 없게 되도록 한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알루미늄 거푸집에 대한 단열재의 고정상태가 확실하게 유지되어 알루미늄 거푸집과 단열재 사이로 콘크리트가 유입되는 일이 없게 되고, 이에 따라 재시공과 이에 따른 공기지연 및 추가비용 발생을 배제할 수 있도록 한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정구에 대한 제조원가를 확실하게 절감할 수 있고, 조립이 간편하여 시공성이 향상되며,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거푸집에 관통되며 거푸집의 두께에 상당하는 길이를 가지는 핀몸체와, 이 핀몸체의 하단에 확장 형성되어 거푸집의 외표면에 접촉하는 확장편과, 상기 핀몸체의 상단에서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단열재를 관통하여 돌출되는 단열재 관통부와, 이 단열재 관통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첨두부 및, 상기 단열재 관통부에 그 상단이 일체로 형성되어 하단으로 가면서 벌어지게 형성되어 거푸집의 내표면에 탄성적으로 걸리는 탄성걸림편을 가지는 고정핀 과; 상기 단열재 관통부의 상단 일부와 첨두부에 씌워지며 단열재의 상부에 위치하는 원통부와, 이 원통부의 하단에 확장 형성되어 단열재의 상면에 압입되는 복수개의 압입편과, 이 압입편의 하면에 돌출 형성되어 단열재에 압입되는 압입돌기와, 상기 원통부의 상단에서 확장 형성되어 타설되는 콘크리트 내에 매설되는 매립편과, 상기 원통부의 내주면에 그 하단이 일체로 형성되어 그 상단으로 가면서 그 사이의 간격이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고정핀의 걸림턱에 걸리는 복수개의 탄성걸림편을 가지는 단열재 고정부재 및; 상기 단열재 고정부재의 상단에 씌워져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상기 단열재 고정부재의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콘크리트 침입방지캡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구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구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구의 분해 사시도 및 분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해 알루미늄 거푸집에 단열재를 고정하는 과정과 콘크리트 타설과정과 거푸집 해체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본 발명에 의한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구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푸집(1)에 관통되어 고정되며 단열재(2)를 관통하여 돌출되는 고정핀(10)과; 상기 고정핀(10)의 상단에 씌워지며 단열재(2)의 상부에 위치하는 단열재 고정부재(20) 및; 상기 단열재 고정부재(20)의 상단에 씌워져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상기 단열재 고정부재(20)의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콘크리트 침입 방지캡(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핀(10)과 단열재 고정부재(20) 및 콘크리트 침입방지캡(30)은 합성수지로 성형된다.
상기 고정핀(10)은 거푸집(1)에 관통되며 거푸집(1)의 두께에 상당하는 길이를 가지는 핀몸체(11)와, 이 핀몸체(11)의 하단에 확장 형성되어 거푸집(1)의 외표면에 접촉하는 확장편(12)과, 상기 핀몸체(11)의 상단에서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단열재(2)를 관통하여 돌출되는 단열재 관통부(13)와, 이 단열재 관통부(13)의 상단에 형성되는 첨두부(14) 및, 상기 단열재 관통부(13)에 그 상단이 일체로 형성되어 하단으로 가면서 벌어지게 형성되어 거푸집(1)의 내표면에 탄성적으로 걸리는 탄성걸림편(15)로 구성된다.
상기 첨두부(14)는 단순히 선단이 예리한 원추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단열재 관통부(13)의 상단에 단열재 관통부(13)의 외경보다 큰 외경으로 형성되는 핀걸림편(14a)과, 이 핀걸림편(14a)의 상면에서 돌출되는 복수개의 첨예형 리브(14b)로 구성하여 단열재(2)와의 마찰저항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같은 이유에서 첨두부(14)의 핀걸림편(14a)의 외경을 대략 6mm 내외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걸림편(15)은 하단으로 가면서 점차 벌어지는 상태로 형성된다.
상기 핀몸체(11)와 단열재 관통부(13) 사이에는 탄성걸림편(15)에 대응하여 언더컷부(16)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열재 고정부재(20)는 상기 단열재 관통부(13)의 상단 일부와 첨두 부(14)에 씌워지며 단열재(2)의 상부에 위치하는 원통부(21)와, 이 원통부(21)의 하단에 확장 형성되어 단열재(2)의 상면에 압입되는 복수개(도면에서는 4개)의 압입편(22)과, 이 압입편(22)의 하면에 돌출 형성되어 단열재(2)에 압입되는 압입돌기(23)와, 상기 원통부(21)의 상단에서 확장 형성되어 타설되는 콘크리트 내에 매설되는 매립편(24)과, 상기 원통부(21)의 내주면에 그 하단이 일체로 형성되어 그 상단으로 가면서 그 사이의 간격이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고정핀(10)의 걸림턱(15)에 걸리는 복수개(도면에서는 4개)의 탄성걸림편(25)로 구성된다.
상기 단열재 고정부재(20)의 원통부(21)의 내경은 고정핀(10)의 첨두부(14)가 충분히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압입편(22)과 매립편(24)은 그 배열을 동일하게 할 수도 있으나 도시예와 같이 그 배열위치가 서로 교호로 배치되도록 하여 금형제작을 단순화하고 생산원가를 저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걸림편(25)은 상단으로 가면서 점차 벌어지는 상태로 형성된다.
즉, 상기 탄성걸림편(25)은 최초 성형시 및 고정핀(10)과 단열재 고정부재(20)에 의하여 단열재(2)를 거푸집(1)에 고정한 상태에서는 그 하단 사이의 간격이 넓고 상단 사이의 간격이 좁은 상태로 유지되며, 고정핀(10)을 탈거하는 과정에서 고정핀(10)의 첨두부(14)에 의해 꺾이면서 그 상단 사이의 간격이 넓고 상단 사이의 간격이 좁은 상태로 변형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콘크리트 침입방지캡(30)은 상기 단열재 고정부재(20)의 원통부(21) 상단에 삽입되는 삽입부(31)와, 상기 삽입부(31)의 상단을 막는 막음부(32) 및, 상기 삽입부(31)의 외주부에서 확장 형성되어 상기 원통부(21) 상단에 씌워지는 확대부(33)로 구성된다.
상기 삽입부(31)는 상기 단열재 고정부재(20)의 원통부(21)에 억지끼워지는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막음부(32)는 상기 단열재 고정부재(20)의 원통부(21) 내부공간을 막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확대부(33)는 상기 단열재 고정부재(20)의 원통부(21)의 상단에 걸리도록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구를 사용하여 단열시공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1단계로,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알루미늄 거푸집(1)의 단열재 설치구간(A)에 핀구멍(1a)을 천공한다.
2단계로,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첨두부(14)를 선두로 하여 고정핀(10)을 알루미늄 거푸집(1)의 핀구멍(1a)에 삽입하여 확장편(12)이 알루미늄 거푸집(1)의 하면에 걸리고 탄성걸림편(15)의 하단이 알루미늄 거푸집(1)의 상면에 탄성적으로 걸린 상태로 고정한다.
이때 고정핀(10)의 단열재 관통부(13)와 탄성걸림편(15)이 알루미늄 거푸집(1)의 핀구멍(1a)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탄성걸림편(15)은 핀구멍(1a)의 내주면과의 접촉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오므라지면서 핀구멍(1a)을 통과하게 되고, 탄성걸림편(15)이 핀구멍(1a)을 완전히 통과하게 되면 탄성걸림편(15)은 자체 탄성력에 의 해 탄성복원되면서 벌어져서 그 하단이 알루미늄 거푸집(1)의 상면에 걸리게 되는 것이다.
고정핀(10)을 알루미늄 거푸집(1)의 핀구멍(1a)에 삽입, 고정하기 위해 목망치로 때려박으면, 거푸집(1)의 외표면에 접촉되는 확장편(12)의 양단부가 눌려지는 탄성에 의하여 고정핀(10)이 고푸집(1)의 외표면에 밀착 설치된다.
이와 같이 알루미늄 거푸집(1)에 고정핀(10)을 고정하는 과정에서 알루미늄 거푸집(1)에 대한 리벳공 천공과 리벳팅 작업을 하지 않고서도 알루미늄 거푸집(1)에 형성된 핀구멍(1a)에 고정핀(10)을 삽입하는 것만으로 확장편(12)과 탄성걸림편(15)에 의해 알루미늄 거푸집(1)에 대한 고정핀(10)의 고정작업이 원터치식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3단계로, 도 3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알루미늄 거푸집(1)의 상면에서 돌출된 첨두부(14)와 단열재 관통부(13) 위에 단열재(2)를 올려놓고 단열재(2)를 눌러서 단열재(2)가 고정핀(10)에 의해 알루미늄 거푸집(1) 상면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첨두부(14)와 단열재 관통부(13) 위에 올려진 단열재(2)를 누르면 첨두부(14)가 단열재(2)를 뚫고 들어가게 되며, 첨두부(14)는 첨예한 복수개의 리브(14a)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첨두부(14)가 단열재(2)를 쉽게 뚫게 되므로 단열재(2)의 훼손이 최소화된다.
또한 첨두부(14)를 구성하는 핀걸림편(14a)의 직경은 6m 내외도로 작으므로 첨두부(14)가 단열재(2)를 관통하는 과정에서 단열재(2)의 훼손이 최소화된다.
단열재(2)를 고정핀(10)에 의해 알루미늄 거푸집(1)의 상면에 고정한 상태에서는 첨두부(14)와 단열재 관통부(13)의 일부만 단열재(2)의 상면에서 돌출되는 상태로 된다.
4단계로, 도 3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열재 고정부재(20)를 그 원통부(21)가 단열재(2)의 상면에서 돌출된 첨두부(14)와 단열재 관통부(13)의 일부에 겉으로 씌워짐과 아울러 그 압입편(22)과 압입돌기(23)가 단열재(2)에 압입된 상태로 고정핀(10)에 고정되도록 함과 아울러 단열재 고정부재(20)의 원통부(21) 상단에 콘크리트 침입방지캡(30)을 씌워 막는다.
단열재 고정부재(20)의 원통부(21)가 고정핀(10)의 첨두부(14)에 겉으로 씌워지게 하는 과정에서 원통부(21)의 내주면에 형성된 탄성걸림편(25)이 첨두부(14)와의 접촉에 의해 벌어지게 되고 첨두부(14)가 탄성걸림편(25)의 상단을 벗어나면 탄성걸림편(25)이 자체 탄성력에 의해 원상복귀하면서 그 상단이 첨두부(14)의 핀걸림편(14a)의 하면에 걸리게 되어 단열재 고정부재(20)가 고정핀(10)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된다.
여기서 고정핀(10)과 단열재 고정부재(20)의 고정 결합이 핀걸림편(14a)과 탄성걸림편(25)에 의해 원터치식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그 작업이 간편하면서도 이들의 고정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 상태에서 단열재(2)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과정에서 단열재 고정부재(20)의 원통부(21)는 콘크리트 침입방지캡(30)에 의해 막혀 있으므로 콘크리트가 원통부(21) 내부와 이에 삽입 되어 있는 첨두부(14)측으로 침입하는 일이 없게 되어 추후 알루미늄 거푸집(1)을 해체할 때 고정핀(10)이 알루미늄 거푸집(1)과 함께 탈락하게 된다.
5단계로, 타설된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도 3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알루미늄 거푸집(1)을 해체한다.
이때, 고정핀(10)은 알루미늄 거푸집(1)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그 첨두부(14)와 단열재 관통부(13)의 일부가 단열재 고정부재(20)의 원통부(21)와 단열재(2)로부터 하방으로 빠져나오게 된다.
이 과정에서 첨두부(14)를 구성하는 핀걸림편(14a)에 걸려 있던 탄성걸림편(25)은 하방으로 꺾인 상태로 된다.
또한 그 압입편(22)과 압입돌기(23)가 단열재(2)에 압입되어 있는 단열재 고정부재(20)는 그 매립편(24)과 원통부(21)가 슬래브(S)에 매립, 고정되므로 단열재(2)는 단열재 고정부재(20)를 통해 슬래브(S)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된다.
상술한 단열재 설치과정에서 거푸집 작업 위치까지는 고정핀(10)과 단열재 고정부재(20) 및 콘크리트 침입방지캡(30)과 알루미늄 거푸집(1)이 분리된 상태로 운반되며, 거푸집 작업 위치에서 비로소 알루미늄 거푸집(1)에 대한 고정핀(10)의 고정 작업과 고정핀(10)과 단열재 고정부재(20)에 의한 단열재(2)의 설치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구에 의하면, 고정핀 과 단열재 고정부재 및 콘크리트 침입방지캡을 알루미늄 거푸집과 분리한 상태에서 운반하여 거푸집 작업 위치에서 고정핀을 알루미늄 거푸집에 설치하고 고정핀과 단열재 고정부재에 의해 단열재를 원터치식으로 고정하는 것이므로 작업조건이 열악한 현장에서도 신속, 간편하며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구에 의하면, 거푸집 작업 위치까지는 알루미늄 거푸집을 그대로 운반하고 이후 고정핀과 단열재 고정부재 및 콘크리트 침입방지캡에 의한 단열재 고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면서도 그 작업이 매우 신속,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되어 운반과정에서 고정핀 등이 손상될 염려가 없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구에 의하면, 거푸집 작업 위치까지 알루미늄 거푸집을 운반하는 과정에서는 알루미늄 거푸집에 고정핀 등의 돌출부위가 없게 되므로 운반과정에서 알루미늄 거푸집 간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아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구에 의하면, 고정핀에 첨예형 첨두부가 형성되고 그 직경이 작아 단열재를 고정하는 과정에서 단열재가 훼손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보완작업과 이로 인한 추가비용이 필요 없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구에 의하면, 알루미늄 거푸집에 대한 단열재의 고정상태가 확실하게 유지되어 알루미늄 거푸집과 단열재 사이로 콘크리트가 유입되는 일이 없게 되고, 이에 따라 재시공과 이에 따른 단열성능 저하 및 추가비용 발생을 배제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구에 의하면, 고정구에 대한 제조원가를 확실하게 절감할 수 있고, 조립이 간편하여 시공성이 향상되며, 인건비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거푸집(1)에 관통되며 거푸집(1)의 두께에 상당하는 길이를 가지는 핀몸체(11)와, 이 핀몸체(11)의 하단에 확장 형성되어 거푸집(1)의 외표면에 접촉하는 확장편(12)과, 상기 핀몸체(11)의 상단에서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단열재(2)를 관통하여 돌출되는 단열재 관통부(13)와, 이 단열재 관통부(13)의 상단에 형성되는 첨두부(14) 및, 상기 단열재 관통부(13)에 그 상단이 일체로 형성되어 하단으로 가면서 벌어지게 형성되어 거푸집(1)의 내표면에 탄성적으로 걸리는 탄성걸림편(15)을 가지는 고정핀(10)과;
    상기 단열재 관통부(13)의 상단 일부와 첨두부(14)에 씌워지며 단열재(2)의 상부에 위치하는 원통부(21)와, 이 원통부(21)의 하단에 확장 형성되어 단열재(2)의 상면에 압입되는 복수개의 압입편(22)과, 이 압입편(22)의 하면에 돌출 형성되어 단열재(2)에 압입되는 압입돌기(23)와, 상기 원통부(21)의 상단에서 확장 형성되어 타설되는 콘크리트 내에 매설되는 매립편(24)과, 상기 원통부(21)의 내주면에 그 하단이 일체로 형성되어 그 상단으로 가면서 그 사이의 간격이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고정핀(10)의 걸림턱(15)에 걸리는 복수개의 탄성걸림편(25)을 가지는 단열재 고정부재(20) 및;
    상기 단열재 고정부재(20)의 상단에 씌워져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상기 단열재 고정부재(20)의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콘크리트 침입방지캡(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첨두부(14)는 단열재 관통부(13)의 상단에 단열재 관통부(13)의 외경보다 큰 외경으로 형성되는 핀걸림편(14a)과, 이 핀걸림편(14a)의 상면에서 돌출되는 복수개의 첨예형 리브(14b)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걸림편(15)은 하단으로 가면서 점차 벌어지는 상태로 형성되며,
    상기 탄성걸림편(25)은 상단으로 가면서 점차 벌어지는 상태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구.
KR1020060101202A 2006-10-18 2006-10-18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구 KR1007419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1202A KR100741995B1 (ko) 2006-10-18 2006-10-18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1202A KR100741995B1 (ko) 2006-10-18 2006-10-18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1995B1 true KR100741995B1 (ko) 2007-07-23

Family

ID=38499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1202A KR100741995B1 (ko) 2006-10-18 2006-10-18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1995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6698B1 (ko) 2010-08-19 2010-11-25 황그림 천장시공을 위한 유로폼
KR101034462B1 (ko) 2008-12-24 2011-05-17 임상훈 개선된 구조를 갖는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구
KR101132684B1 (ko) 2009-09-02 2012-04-02 중산하이픽스 주식회사 알루미늄 거푸집에의 단열판 고정 방법과 장치
WO2012053689A1 (ko) * 2010-10-19 2012-04-26 주식회사 에스피씨 단열재를 건축물 구조체에 부착하는 고정부재 및 이를 이용한 건식공법
KR101803072B1 (ko) * 2017-01-31 2017-12-01 (주)도영에프앤씨 외단열 벽체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단열 벽체 시공방법
KR101825785B1 (ko) * 2015-06-03 2018-02-06 이미자 건축물의 단열재 고정와샤
CN112681570A (zh) * 2020-12-11 2021-04-20 三一筑工科技有限公司 叠合柱、叠合柱与叠合墙连接结构及其施工方法
KR20220120007A (ko) 2021-02-22 2022-08-30 한상녀 불연단열재 일체형 철근 콘크리트 건축물 시공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화스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3279Y1 (ko) 2006-05-08 2006-08-07 주이태 단열재용 인서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3279Y1 (ko) 2006-05-08 2006-08-07 주이태 단열재용 인서트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462B1 (ko) 2008-12-24 2011-05-17 임상훈 개선된 구조를 갖는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구
KR101132684B1 (ko) 2009-09-02 2012-04-02 중산하이픽스 주식회사 알루미늄 거푸집에의 단열판 고정 방법과 장치
KR100996698B1 (ko) 2010-08-19 2010-11-25 황그림 천장시공을 위한 유로폼
WO2012023666A1 (ko) * 2010-08-19 2012-02-23 Hwang Geu-Rim 천장시공을 위한 유로폼
WO2012053689A1 (ko) * 2010-10-19 2012-04-26 주식회사 에스피씨 단열재를 건축물 구조체에 부착하는 고정부재 및 이를 이용한 건식공법
KR101825785B1 (ko) * 2015-06-03 2018-02-06 이미자 건축물의 단열재 고정와샤
KR101803072B1 (ko) * 2017-01-31 2017-12-01 (주)도영에프앤씨 외단열 벽체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단열 벽체 시공방법
CN112681570A (zh) * 2020-12-11 2021-04-20 三一筑工科技有限公司 叠合柱、叠合柱与叠合墙连接结构及其施工方法
KR20220120007A (ko) 2021-02-22 2022-08-30 한상녀 불연단열재 일체형 철근 콘크리트 건축물 시공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화스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1995B1 (ko)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구
EP3208398B1 (en) Base member for an anchor assembly and method of use
KR101270011B1 (ko) 거푸집용 단열재 고정장치
KR101564442B1 (ko) 방수턱 거푸집 고정구
KR101195345B1 (ko) 단열재 시공을 위한 벽체고정용 화스너
KR100745096B1 (ko) 단열재용 고정구
KR101899248B1 (ko) 슬라브 단열재 고정구
KR101022795B1 (ko) 콘크리트 매설용 인서트
KR100625534B1 (ko) 앵커볼트 조립체
KR200430401Y1 (ko) 건축용 단열재 고정구
KR100447474B1 (ko) 단열재용 인서트
KR200489973Y1 (ko) 결로방지용 패시브 패스너
KR200442013Y1 (ko) 벽체 관통 스리브 구조
EP2265778A1 (en) Wall tie
JPH05280172A (ja) プラスチック製のフェーシングアンカ
KR200420086Y1 (ko) 셋트 앵커볼트
KR20120113095A (ko) 천장용 단자함
KR100947983B1 (ko) 관통슬리브용 고정구
KR200394297Y1 (ko) 단열재용 인서트
KR20090113479A (ko) 단열재 고정구
KR200349428Y1 (ko) 단열재용 인서트
KR200290213Y1 (ko) 앵커볼트의 로킹장치
KR200376992Y1 (ko) 건축용 인서트
KR100797486B1 (ko) 천정 구조물 지지용 내열성 인서트
RU2539321C1 (ru) Составной дюбель для крепления теплоизоляционных пли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