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7486B1 - 천정 구조물 지지용 내열성 인서트 - Google Patents

천정 구조물 지지용 내열성 인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7486B1
KR100797486B1 KR1020060111725A KR20060111725A KR100797486B1 KR 100797486 B1 KR100797486 B1 KR 100797486B1 KR 1020060111725 A KR1020060111725 A KR 1020060111725A KR 20060111725 A KR20060111725 A KR 20060111725A KR 100797486 B1 KR100797486 B1 KR 100797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
concrete
nail
shaft
cei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1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소무익
박상배
Original Assignee
소무익
박상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무익, 박상배 filed Critical 소무익
Priority to KR1020060111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74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7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7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22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건축물 시공시 합판 등의 구조물에 설치되어지는 인서트를 금속재로 형성하여 슬라브에 견고히 매설함으로 화재 발생시 인서트가 불에 타지 않아 천정의 붕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천정 구조물 지지용 내열성 인서트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100)는 원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지며,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거푸집 판넬(400)에 인서트(10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둘레면에 못(200)이 삽입되어지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못 삽입홀(111)이 형성되어진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에 일체로 형성되어지며, 내부에 나사산(122)이 형성되어진 볼트 체결부(121)가 형성되어진 다리부(120);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몸체(110)와 다리부(120)로 이루어진 인서트(100)가 불연재질의 금속재로 형성되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인서트로 시공 후 화재가 발생하여도 불연성인 금속재로 인해 인서트가 발화되지 않지 않아 천정 구조물의 붕괴를 방지할 수 있어 인명피해는 물론 재산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인서트의 결속력을 견고히 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인서트, 금속재, 몸체, 못 삽입홀, 다리부, 나사산, 돌출편

Description

천정 구조물 지지용 내열성 인서트{The ceiling structure support for heat-resistant insert}
도 1 은 종래에 따른 인서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에 따른 인서트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를 도시한 절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를 거푸집 판넬에 고정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한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에 콘크리트를 타설 후 천정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의 또 다른 일 예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의 또 다른 일실시 예를 도시한 절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인서트 110 : 몸체
111,124a : 못 삽입홀 120 : 다리부
121 : 볼트 체결부 122,123 : 나사산
124 : 돌출편 200 : 못
300 : 콘크리트 400 : 거푸집 판넬
500 : 볼트 600 : 천정 구조물
본 발명은 천정 구조물 지지용 내열성 인서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건축물 시공시 합판 등의 구조물에 설치되어지는 인서트를 금속재로 형성하여 슬라브에 견고히 매설함으로 화재 발생시 인서트가 불에 타지 않아 천정의 붕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천정 구조물 지지용 내열성 인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을 시공할 때에 건축물의 굽힘 응력을 강하게 하기 위하여 철근을 모르타르 내에 매몰시키게 되고 콘크리트에 인서트(insert)를 매설하기 위하여 거푸집에 필요한 간격으로 미리 인서트를 부착시킨 후 모르타르를 공급시키므로써 인서트가 콘크리트 내에 매설되도록 한다.
이미 널리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인서트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어져 있어 천장(지붕)공사시 플라스틱 재질의 인서트로 시공 후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화재로 인해 천정판넬을 지지하고 있던 인서트가 산화함으로 천정이 붕괴되면서 인명 피해는 물론 기타 물질적 피해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인서트를 주물로 제작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상기 주물재의 인서트는 제작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어 경제적 부담이 가중되는 폐단이 있다.
또한 종래의 또 다른 인서트를 살펴보면, 첨부된 도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되 바와 같이 받침대(10)와 캡(5) 사이에 몸체(1)가 삽입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캡(5)의 내부에는 볼트(2)가 삽입되고, 받침대(10)에는 못 구멍(7)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콘크리트의 타설시 도 2와 같이 타설용 고정판(15)에 받침대(10)를 통하여 고정못(4)으로 고정시킨 후 받침대(10)의 가이드(6)에 몸체(10를 끼운 후 볼트(2)를 넣고 캡(5)으로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타설용 고정판(15)에 인서트(20)가 고정된 후 콘크리트(11)를 타설하여 굳히게 되며, 콘크리트(11)가 경화된 후 타설용 고정판(거푸집)(15)을 제거하면 타설용 고정판(15)에 못(4)을 통하여 고정된 받침대(10)가 함께 제거되면서 몸체(1)만 콘크리트(11)내에 남게 되고, 그 몸체(1)내의 볼트(2)에 인서트(20)를 나사식 결합하여 여러 가지 구조물을 고정시키는 천정작업이나 벽작업을 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인서트(20)는 타설용 고정판(15)의 제거시 고정못(4)을 통하여 고정되어 있는 받침대(10)를 별도로 제거하는 수작업의 과정이 필요하게 되고, 못(4) 및 받침대(10)가 쓰레기로 남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타설용 고정판(15)의 제거시 받침대(10)가 콘크리트(11)와 함께 경화되기 때문에 커다란 힘이 요구되며 제거시 타설된 콘크리트 조작이 발생될 우려가 있어 내구성 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인서트로 시공 후 화재가 발생하여도 불연성인 금속재로 인해 인서트가 발화되지 않지 않아 천정 구조물의 붕괴를 방지할 수 있어 인명피해는 물론 재산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인서트의 결속력을 견고히 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천정 구조물 지지용 내열성 인서트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천정 시공 시 콘크리트내에 매설되는 인서트를 금속재로 형성하고 못 삽입홀이 형성된 몸체와, 이 몸체에 내부로 나사산이 형성된 다리부가 일체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성 인서트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를 도시한 절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건축물 시공시 천정 구조물(600)을 지지하기 위하여 콘크리트(300)내에 매설시키게 되는 인서트(100)로서, 상기 인서트(100)는 몸체(110)와, 다리부(120)로 구성되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인서트(100)는 내열성이 강한 불연재질의 금속재로 형성되어진다.
상기 몸체(110)는 원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지며,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거푸집 판넬(400)에 인서트(10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둘레면에 못(200)이 삽입되어지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못 삽입홀(111)이 형성되어진다.
상기 다리부(120)는 몸체(110)에 일체로 형성되어지며, 내부에 나사산(122)이 형성되어진 볼트 체결부(121)가 형성되어진다.
이때 상기 볼트 체결부(121)에는 천정 구조물(600)을 인서트(100)에 고정시키기 위한 볼트(500)가 체결되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100)의 다른 일 예를 살펴보면, 첨부된 도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서트(100)의 몸체(110)를 사각형상으로 형성하게 되며, 또한 첨부된 도면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몸체(110)를 육각형상으로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함께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의 또 다른 일 예를 살펴보면, 첨부된 도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리부(120)의 외면에 인서트(100)와 콘크리트(300)의 체결력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나사산(123)이 형성되어진다.
그리고 첨부된 도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부(120) 외면에 콘크리트(300)와 체결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돌출편(124)이 형성되어진다.
이때 상기 돌출편(124)에 몸체(110)의 못 삽입홀(111)로 삽입된 못(200)이 결속될 수 있게 못 삽입홀(124a)이 형성되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아래와 가다.
먼저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해 천정(지붕)에 설치되는 거푸집 판넬(400)에 볼트 체결부(121)내로 콘크리트가 들어가지 않도록 볼트 체결부(121)가 폐쇄되어지게 인서트(100)의 다리부(120)를 밀착시킨 후 못 삽입홀(111)로 통과되어진 못(200)을 거푸집 판넬(400)에 박아서 인서트(100)를 거푸집 판넬(400)에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인서트(100)를 거푸집 판넬(400)에 필요에 따라 필요한 간격으로 다수개가 고정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거푸집 판넬(400)에 인서트(100)를 고정한 상태에서 콘크리트(300)를 타설한 후 콘크리트(300)가 경화되면 거푸집 판넬(400)을 제거하고, 이후로 볼트 체결부(121)에 볼트(500)를 체결하여 천정 구조물(600)을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상기 천정의 콘크리트(300)내에 매설되어진 인서트(100)에 천정 구조물(600)이 고정되어지는데 이때 건물에 화재가 발생하여 실내에 고온의 열이 발생하여도 본 발명의 인서트(100)가 금속재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인서트(100)가 고열에 타지 않아 이 인서트(100)에 고정된 천정 구조물(600)이 붕괴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 도 8에서와 같이 다리부(120)의 외면에 나사산(123)이 형성되어져 있으므로 콘크리트(300)내에서 인서트(100)가 이탈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결속되어 인서트(100)에 고정된 천정 구조물(600)이 인서트(100)로부터 분리되지 않아 건물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9에서와 같이 다리부(120)에 돌출편(124)이 형성되어져 있어 콘크리트(300)내에서 인서트(100)가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결속되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천정의 콘크리트에 매설되어 천정 구조물을 지지하게 되는 인서트를 내열성을 가진 금속재로 형성하므로 화재 시 인서트가 산화되어 천정 구조물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화재에 대한 경각심을 크게 부각시킬 수 있고 화재로 인한 생명 및 기타 재산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현시대 흐름에 적합하며 기타 관공서 및 모든 현장 시공 시 안전성으로 큰 부가적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인서트가 금속재로 콘크리트내에 강한 체결력으로 결속되어 제품 자체가 견고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신속한 시공 및 경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원형이나 사각형, 육각형 등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지며,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거푸집 판넬(400)에 인서트(10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둘레면에 못(200)이 삽입되어지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못 삽입홀(111)이 형성되어진 몸체(110)와;
    상기 몸체(100)에 일체로 형성되어지며, 내부에 나사산(122)이 형성되어진 볼트 체결부(121)가 형성되어진 다리부(120);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몸체(110)와 다리부(120)로 이루어진 인서트(100)가 불연재질의 금속재로 형성되어 건축물 시공시 천정 구조물(600)을 지지하기 위해 콘크리트(300)내에 매설되어지는 인서트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120) 외면에는 콘크리트(300)와 체결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돌출편(124)이 형성되어지되 돌출편(124)에 몸체(110)의 못 삽입홀(111)로 삽입된 못(200)이 결속될 수 있게 못 삽입홀(124a)이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구조물 지지용 내열성 인서트.
KR1020060111725A 2006-11-13 2006-11-13 천정 구조물 지지용 내열성 인서트 KR100797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1725A KR100797486B1 (ko) 2006-11-13 2006-11-13 천정 구조물 지지용 내열성 인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1725A KR100797486B1 (ko) 2006-11-13 2006-11-13 천정 구조물 지지용 내열성 인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7486B1 true KR100797486B1 (ko) 2008-01-23

Family

ID=39219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1725A KR100797486B1 (ko) 2006-11-13 2006-11-13 천정 구조물 지지용 내열성 인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74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8002B1 (ko) * 2017-09-04 2018-04-12 주식회사 다원종합건축사사무소 계단 챌판용 거푸집을 이용한 주철근 이음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8686Y1 (ko) 1999-06-04 2003-03-29 희 철 남 철근받침부를 구비한 인써트
KR200321243Y1 (ko) 2003-04-15 2003-07-31 미영산업(주) 인서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8686Y1 (ko) 1999-06-04 2003-03-29 희 철 남 철근받침부를 구비한 인써트
KR200321243Y1 (ko) 2003-04-15 2003-07-31 미영산업(주) 인서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8002B1 (ko) * 2017-09-04 2018-04-12 주식회사 다원종합건축사사무소 계단 챌판용 거푸집을 이용한 주철근 이음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69635B2 (en) Apparatus to tie forms to existing structures
KR101564442B1 (ko) 방수턱 거푸집 고정구
KR101068636B1 (ko) 데크플레이트 고정용 자동 해체형 고정핀 및 이를 이용한 데크플레이트 슬래브의 시공방법
KR100797486B1 (ko) 천정 구조물 지지용 내열성 인서트
KR101022795B1 (ko) 콘크리트 매설용 인서트
KR101899248B1 (ko) 슬라브 단열재 고정구
JP3958335B2 (ja) 外断熱形成具、外断熱構造物およびその構築方法
KR200456103Y1 (ko) 건축용 관통 슬리브
KR100447474B1 (ko) 단열재용 인서트
KR200442013Y1 (ko) 벽체 관통 스리브 구조
JP2010112090A (ja) 仮設材を必要としない連結部材と連結方法
KR100693374B1 (ko) 천장패널 설치용 인서트
KR20100023228A (ko) 분리형 플렛타이
KR20110035576A (ko) 단열재 고정구
JP2010059630A (ja) 打ち込み型枠と仮設材を使用しない連結方法
KR100850230B1 (ko) 입상 성형 슬리브 설치 구조체 및 그것을 이용한 공사 방법
KR100915629B1 (ko) 건축용 파이프 고정구
KR200397601Y1 (ko) 거푸집용 간격 유지장치의 체결구조
KR200375139Y1 (ko) 갱폼의 하부 체결구조
KR200376992Y1 (ko) 건축용 인서트
KR200342269Y1 (ko) 거푸집 체결구조
KR20090099383A (ko) 관통슬리브용 고정구
JPH11193587A (ja) 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構築法
KR200347320Y1 (ko) 거푸집 보강대의 클램프
KR100899537B1 (ko) 옹벽용 알루미늄 폼의 복합단열재 고정구 및 이를 옹벽용 알루미늄 폼에 설치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