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9537B1 - 옹벽용 알루미늄 폼의 복합단열재 고정구 및 이를 옹벽용 알루미늄 폼에 설치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옹벽용 알루미늄 폼의 복합단열재 고정구 및 이를 옹벽용 알루미늄 폼에 설치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9537B1
KR100899537B1 KR1020090002790A KR20090002790A KR100899537B1 KR 100899537 B1 KR100899537 B1 KR 100899537B1 KR 1020090002790 A KR1020090002790 A KR 1020090002790A KR 20090002790 A KR20090002790 A KR 20090002790A KR 100899537 B1 KR100899537 B1 KR 1008995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ture
aluminum
fixing
retaining wall
fo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2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내문
양근영
Original Assignee
양내문
양근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내문, 양근영 filed Critical 양내문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9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95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adhesively fixed to the wall; Fastening means therefor; Fixing by means of plastics materials hardening after appl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 F16B35/04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with specially-shaped head or shaft in order to fix the bolt on or in an obj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물을 축조함에 있어 특히 수직상의 옹벽용 거푸집을 유로 폼(소위 합판 거푸집)대신 알루미늄 폼으로 사용하면서 알루미늄 폼에다 복합단열재의 설치가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설치작업역시 용이하도록 하고 경질의 알루미늄 폼에 직접 고정되는 자립이 가능한 고정방식에 의하여 복합단열재를 고정시킴으로써 알루미늄 폼에 대한 무두못 구조의 한계성을 극복하고자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고정구(10)는 드릴작업을 위한 드릴부(12)와, 복합단열재의 관통을 유도하는 가이드역할을 하면서 고정캡의 삽입부에 밀착ㆍ고정을 유도하는 가이드 역할을 겸하는 가이드 리브(14)와, 탭 작업을 위한 나사부(16)와, 그리고 회전전동공구의 삽입을 위한 육각볼트(18)가 일체로 형성된 구성이고 밀착지지부(18a)는 육각볼트(18)에 접면되어 일체로 형성되어있으며 나사부(16)는 밀착지지부(18a)에 접하여 일체로 형성되어있다.
고정구의 나사부에 의하여 알루미늄 평판패널 천공부에 나선 탭을 내면서 그 나선 탭에 나사부가 직접 고정되는 방식이므로 드릴작업과 탭작업과 고정작업이 하나의 고정구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자립적이어서 고정 작업이 간편하고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구의 선단부에 형성된 드릴부에 의하여 알루미늄 평판패널에 천공부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용이할 뿐 아니라 고정부에 형성된 가이드 리브에 의하여 복합단열재의 관통이 원활하게 유도되어 관통작업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면서 가이드 리브에 의하여 고정캡의 삽입부에 밀착ㆍ고정되어 고정이 확실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어서 알루미늄 폼에 복합단열재의 고정 작업이 효율적이다.
고정구, 드릴부, 가이드 리브, 나사부, 육각볼트, 밀착지지부, 옹벽용 알루미늄 폼, 복합단열재

Description

옹벽용 알루미늄 폼의 복합단열재 고정구 및 이를 옹벽용 알루미늄 폼에 설치하는 방법{Apparatus fixing complex insulator to aluminum form of retaining wall and method setting up it to aluminum form}
본 발명은 특히 옹벽용 거푸집을 유로 폼(소위 합판 거푸집) 대신 알루미늄 폼(알루미늄 패널판)으로 사용하면서 알루미늄 폼에다 자립 가능한 직접 고정방식에 의하여 복합단열재를 고정하기위한 옹벽용 알루미늄 폼의 복합단열재 고정구 및 이를 옹벽용 알루미늄 폼에 설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본 발명은 자립이 가능한 고정방식에 의하여 직접 복합단열재를 알루미늄 폼에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그 설치작업이 용이하고 이와 동시에 알루미늄 폼의 탈형 시 알루미늄 폼의 제거가 용이하도록 한 고정구조를 갖는 옹벽용 알루미늄 폼의 복합단열재 고정구 및 이를 옹벽용 알루미늄 폼에 설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옹벽이라 함은 수평상의 슬래브와 달리 수직상의 벽체를 의미한다. 예컨대, 건축물의 외벽뿐만 아니라 내벽, 즉 수직상으로 된 벽체를 의미하는 용어 이다.
일반적으로 건축구조물은 거의 대부분이 콘크리트 구조물이다. 콘크리트 몰탈은 미경화된 상태에서 그 취급이 용이할 뿐 아니라 거푸집의 형태에 따라 여러 가지형태의 구조물을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건축구조물은 거의 대부분이 콘크리트 구조물이다. 콘크리트 몰탈은 미경화된 상태에서는 그 취급이 용이하고 또 취급의 용이성 때문에 다양한 건축구조물의 성형도 가능해진다. 바로 이러한 콘크리트 몰탈이 갖는 장점 때문에 거의 모든 구조물에 적용되고 있다.
건축구조물의 슬래브와 수직벽체(이하 ‘옹벽용 벽체’라 한다.)는 미경화상태의 콘크리트 몰탈이 성형된 결과물이다.
성형 결과물인 슬래브와 옹벽용 벽체를 콘크리트 몰탈에 의하여 성형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① 먼저 슬래브형태의 거푸집 또는 옹벽용 벽체형태의 거푸집을 설치한다.
② 콘크리트 몰탈을 거푸집 내에 타설한다.
③ 타설된 콘크리트 몰탈이 경화되면 거푸집을 탈형ㆍ제거한다.
④ 거푸집이 제거되고 남아있는 콘크리트 몰탈의 성형물이 바로 슬래브와 옹벽용 벽체이다.
그런데 통상 건축물의 슬래브와 옹벽용 벽체에는 단열재가 설치된다.
슬래브와 옹벽용 벽체의 거푸집이 설치되는 단계에서부터 단열재도 이와 함께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거푸집의 설치단계에서부터 단열재를 설치하는 것은 단열재가 슬래브와 옹벽용 벽체 표면에 잘 부착되게 하기위해다. 이는 단열재의 설치작업이 가장 효율적이고 용이하기 때문이다.
단열재가 거푸집과 함께 설치되는 단계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① 먼저 슬래브형태의 거푸집 또는 옹벽용 벽체형태의 거푸집을 설치한다.
② 단열재를 슬래브형태의 거푸집 또는 옹벽용 벽체형태의 거푸집에 설치ㆍ고정한다.
③ 단열재가 설치된 거푸집 내부에 콘크리트 몰탈을 타설한다.
④ 타설된 콘크리트 몰탈이 경화되면 거푸집을 탈형ㆍ제거한다.
⑤ 거푸집이 제거되고 남아있는 콘크리트 몰탈의 성형물이 바로 슬래브와 옹벽용 벽체이다.
이제 단열재의 설치작업을 슬래브용 거푸집의 경우와 옹벽용 거푸집의 경우로 살펴보기로 한다.
이와 같이 둘로 나누어 설명하는 것은 슬래브용 거푸집은 수평상으로 설치되는데 반하여 옹벽용 거푸집은 수직상으로 설치되는 것이므로 단열재의 설치작업도 이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 먼저 슬래브용 거푸집에 단열재를 설치하는 경우에 대하여 살펴본다.
① 슬래브용 거푸집은 수평상으로 놓여있고 또 그 하부는 천정이기 때문에 단열재 고정 작업은 거푸집위에서 가장 용이하고 효율적이다.
슬래브용 거푸집의 하부는 천정이므로 그 하부에서 단열재를 고정하기위해서는 사다리를 이용해야한다. 이는 작업도 어려울 뿐 아니라 이로 인해 작업성이 좋지 않으므로 단열재의 설치ㆍ고정 작업은 슬래브용 거푸집위에서 실시할 수밖에 없다.
② 기존의 슬래브용 거푸집은 통상 유로 폼으로 설치된다.
유로 폼이란 테두리를 목재 또는 강제 앵글로 보강하고 그 위에 합판을 붙인 거푸집을 말한다. 흔히 주변에서 많이 볼 수 있는 합판 거푸집이다. 단열재 고정구는 특허등록번호 제10-0365985호에 도시되어있는 바와 같이 무두못 구조로서 합판에 직접 고정되는 구조이다.
즉 단열재 고정구인 무두못이 단열재와 합판을 관통하여 거푸집의 수평 지지재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③ 알루미늄 폼의 알루미늄 패널판과는 달리 유로 폼의 합판은 무두못의 타입이 용이하기 때문에 단열재 고정구는 통상 무두못 구조이다. 유로 폼이 탈형ㆍ제거될 때 이와 함께 무두못도 이와 함께 용이하게 제거되기 때문에 무두못 구조가 유로 폼에 사용되고 있다.
④ 그러나 거푸집이 알루미늄 폼인 경우에는 합판과는 달리 무두못 구조로는 단열재를 고정할 수가 없다. 무두못이 알루미늄 판을 뚫을 수가 없기 때문이다.
⑤ 바로 여기에 무두못 구조의 한계성이 있다.
⒝ 다음으로 옹벽용 거푸집에 단열재를 설치하는 경우에 대하여 살펴본다.
① 수직상의 옹벽용 거푸집에 단열재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거푸집이 수직으 로 설치되므로 슬래브용 거푸집에서와 같이 수평상의 거푸집위에서 단열재의 고정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슬래브용 거푸집에 비하여 옹벽용 거푸집에 단열재를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② 또한 무두못 구조에 의하여 슬래브용 거푸집 또는 옹벽용 거푸집에 직접 단열재를 고정함에 있어 유로 폼을 사용하는 경우에만 단열재의 고정이 가능하고 알루미늄 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단열재의 고정이 불가능하다. 무두못이 유로 폼의 합판에는 잘 박히지만 알루미늄 판에는 박히지 않기 때문이다.
③ 오늘날의 건축구조물은 초고층화추세이다.
건축구조물의 초고층화 기술은 구조물의 자중을 경감시키는 기술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거푸집의 사용이 불가피하다면 알루미늄 폼이 유로 폼에 비하여 중량이 가볍고 견고하며 취급이 용이하기 때문에 초고층건축물 축조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④ 그런데 무두못 구조에 의하여 단열재를 고정하는 한 거푸집으로서 알루미늄 폼의 사용이 제한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점 때문에 고층 건축물의 거푸집을 중량이 가벼운 알루미늄 폼으로 설계해놓고도 옹벽용 거푸집은 합판인 유로 폼을 사용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즉 슬래브용 거푸집은 알루미늄 폼으로, 옹벽용 거푸집은 합판인 유로 폼으로 서로 다 르게 사용하고 있다.
서로 다르게 사용하는 이유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슬래브용 거푸집은 수평으로 설치되어있는데다 단열재의 고정 작업도 그 수평상의 거푸집 위에서 이루어지므로 단열재의 고정 작업이 용이한 반면, 옹벽용 거푸집은 수직으로 세워진 구조이므로 슬래브용 거푸집과 같이 수평상의 거푸집위에서 고정 작업을 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단열재의 고정 작업이 용이한 무두못 구조에 의한 거푸집을 선택할 수밖에 없어 옹벽용 거푸집으로 유로 폼을 사용하고 있는 것이 그 첫 번째 이유이다.
고정수단에 의하여 단열재를 알루미늄 폼에 고정하기위해서는 알루미늄 폼과 단열재가 유동되지 않으면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야한다.
그런데 슬래브용 거푸집은 수평으로 설치되어있으므로 그 위에 단열재를 제 위치에 놓기만 하면 알루미늄 폼에 단열재가 그 자중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밀착되고 또 유동되지도 않는다. 따라서 단열재를 알루미늄 폼에 고정하기가 용이하다.
그러나 옹벽용 알루미늄 폼은 수직으로 설치되는 구조이므로 단열재역시 수직으로 설치되어야한다. 설령 알루미늄 폼이 고정된 상태라 하더라도 단열재를 알루미늄 폼에 밀착시켜 고정수단에 의하여 고정하기란 여간 어려운 게 아니다. 단열 재가 그 자중에 의하여 아래로 흘러내리기 때문에 고정이 어려워 현재는 옹벽용으로 알루미늄 폼을 사용하지 않고 그 대신 단열재의 고정 작업이 용이한 무두못 구조에 의한 유로 폼을 사용하는 것이 그 두 번째 이유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단열재를 설치하는 경우 슬래브용은 알루미늄 폼으로, 옹벽용은 유로 폼으로 실제 서로 다르게 설치하고 있는 것이다.
⑤ 그렇지만 단열재의 설치 때문에 슬래브용의 거푸집과 옹벽용의 거푸집이 서로 다르게 된다면 결과적으로 유로 폼의 중량만큼 중량이 경감되지 않게 되어 초고층화추세에 역행될 뿐만 아니라 그 견고성도 떨어지고 작업성도 저하되어 비효율적이라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⑥ 무두못 구조로는 알루미늄 폼의 알루미늄 판을 직접 뚫을 수 없을 만큼 유로 폼보다 경질이다. 알루미늄 폼에 무두못 구조의 사용이 제한되는 것도 바로 이러한 이유에서다.
본 발명은 구조물을 축조함에 있어 특히 수직상의 옹벽용 거푸집을 유로 폼 대신 알루미늄 폼으로 사용하면서 알루미늄 폼에다 복합단열재의 설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설치작업역시 용이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고, 경질의 알루미늄 폼에 직접 고정되는 자립이 가능한 고정방식에 의하여 복합단열재를 고정시킴으로써 설치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자함에 다른 목적이 있으며, 경질의 알루미늄 폼에 대한 무두못 구조의 한계성을 극복하고자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수직상의 옹벽용 거푸집을 유로 폼 대신 알루미늄 폼으로 사용하면서 알루미늄 폼에다 복합단열재를 자립이 가능한 고정방식에 의하여 복합단열재를 고정하는 고정구의 구성에 관한 것이다.
다시 말하면 알루미늄 폼에 직접 파고 들어갈 수 있는 자립이 가능한 고정수단이면서 알루미늄 평판패널에 고정수단이 직접 고정되는 고정방식의 구성이다.
이에 대한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옹벽용 알루미늄 폼(30)의 구조 및 형태
알루미늄 폼(30)은 알루미늄 평판패널(32)과 프레임(34)으로 형성된 단위체이다.
프레임(34)은 알루미늄 평판패널(32)에 대하여 수직이고 알루미늄 평판패널(32)의 4주면단부에 프레임(34)과 일체로 형성되어있다.
프레임(34)에는 체결공(34a)이 형성되어있다. 프레임(34)의 체결공(34a)은 인접된 알루미늄 폼(30)끼리 서로 연결고정하기위한 것으로 체결공(34a)에 쐐기 핀(34b)를 삽입하여 견고하게 고정하는 구조이다.
⒝ 복합단열재(40)의 구조 및 형태
옹벽용에 주로 사용되는 단열재는 복합단열재(40)이다.
복합단열재(40)가 도1에 도시되어있다.
복합단열재(40)는 단열재(42)(예컨대, 압축발포 스티로폼)와, 그리고 그 하부표면에 경질부(44)로 형성되어있다. 경질부(44)는 PP 또는 마그네슘 보드로 형성된다.
⒞ 자립이 가능한 고정방식의 고정구의 구조
자립이 가능한 고정구의 구조는 크게 고정구(10)와 고정캡(20)으로 이루어졌다.
자립이 가능한 고정방식의 고정구의 구조는 알루미늄 폼(30)의 평판패널(32)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고 알루미늄 폼(30)에다 복합단열재(4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자립이 가능한 고정구(10)는 자립적으로 알루미늄 평판패널(32)을 뚫으면서 알루미늄 폼(30)에 고정된다.
다시 말하면 알루미늄 평판패널(32)에 드릴작업(알루미늄 판을 뚫는 작업)과 탭 작업(알루미늄 판에 나사를 내는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면서 알루미늄 평판패널(32)에 고정구(10)가 직접 고정되는 구조이다.
고정구(10)의 선단부에는 드릴작업을 위한 드릴부(12)가, 하단부에는 전동공구의 삽입을 위한 육각볼트(18)가, 중간부에는 세로방향의 가이드 리브(14)가, 그리고 육각볼트(18)에 밀접하여 나사부(16)가 형성되어있다. 육각볼트(18)에는 밀착지지부(18a)가 일체로 형성되어있다.
복합단열재(40)는 고정구(10)에 삽입되어있고 고정구(10)의 선단부는 복합단열재(40)의 상부까지 돌출되어있다. 돌출된 고정구(10)의 선단부에 고정캡(20)을 삽입하여 복합단열재(40)의 고정을 완료한다.
고정구(10)의 드릴부(12)는 알루미늄 폼(30)의 평판패널(32)을 직접 천공하는 역할을 하므로 나선형상의 칼날로 이루어졌다.
알루미늄 평판패널(32)을 천공하기위해서는 고정구(10)의 드릴부(12)가 회전되어야 한다. 고정구(10)의 드릴부(12)회전은 육각볼트(18)에 삽입된 전동공구에 의하여 회전하게 된다.
고정구(10)의 드릴부(12)가 알루미늄 평판패널(32)을 천공하게 되면 고정구(10)의 세로방향의 가이드 리브(14)를 거쳐 나사부(16)에 의하여 천공된 알루미늄 평판패널(32)의 내주면에다 나선 탭을 형성하면서 고정구(10)가 알루미늄 평판패널(32)에 견고하게 고정되게 된다. 고정구(10)의 나사부(16) 길이는 알루미늄 평판패널(32)의 두께와 거의 같든지 약간 크게 형성한다.
고정구(10)의 가이드 리브(14)는 세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리브(14)의 길이는 복합단열재(40)를 관통하면서 고정캡(20)의 삽입부(26)에 삽입되는 길이이다.
즉 세로방향의 가이드 리브(14)의 길이는 나사부(16) 바로 위에서 시작하여 고정캡(20)의 삽입부(26)가 삽입되는 길이가 되게 한 구성이다.
세로방향의 가이드 리브(14)는 복합단열재(40)의 관통을 원활하게 유도하는 가이드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고정캡(20)의 삽입부(26)에 밀착ㆍ고정을 유도하는 가이드 역할을 겸하고 있다.
세로방향의 가이드 리브(14)로 인하여 고정구(10)가 복합단열재(40)를 관통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가이드 리브(14)의 형성으로 인하여 복합단열재(40)와 접촉되는 마찰표면적이 그만큼 작아지기 때문이다.
또한 세로방향의 가이드 리브(14)로 인하여 고정구(10)가 고정캡(20)의 삽입부(26)에 긴밀하게 밀착된다. 고정캡(20)의 재질이 합성수지인데다 가이드 리브(14)의 외경이 고정캡(20)의 삽입부(26)의 내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있기 때문이다.
고정구(10)의 나사부(16)의 길이가 알루미늄 평판패널(32)의 두께보다 짧으면 나선에 의한 고정이 부족하여 고정구(10)가 알루미늄 평판패널(32)에 견고하게 고정되지 않게 된다. 고정구(10)의 고정력이 부족하면 복합단열재(40)의 고정도 견고하지 않게 되고 복합단열재(40)가 유동되어 제 위치를 벗어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고정구(10)의 나사부(16) 길이가 알루미늄 평판패널(32)의 두께보다 길게 되면 알루미늄 평판패널(32)에 형성된 천공부를 나사부(16)가 다 거치게 되므로 작업이 그만큼 비효율적이 된다.
고정구(10)에 나사부를 두지 않고 가이드 리브(14)를 둔 것은 바로 이러한 이유에서이다.
고정구(10)의 나사부(16) 길이는 알루미늄 평판패널(32)의 두께와 동일하게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가장 효율적인 고정력은 고정구(10)의 나사부(16) 길이와 알루미늄 평판패널(32)의 두께가 동일한 경우에서 얻어지기 때문이다.
육각볼트(18)에 일체로 형성된 밀착지지부(18a)는 알루미늄 평판패널(32)에 가해지는 고정구(10)의 고정압력을 넓게 분산시켜 고정구(10)의 고정력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 뿐만 아니라 고정구(10)와 복합단열재(40)사이에 미세틈새가 설령 존재한다하더라도 밀착지지부(18a)에 의하여 미세틈새를 근원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시멘트 몰탈의 누수가 전혀 발생되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역할의 관점에서 밀착지지부(18a)의 표면적은 클수록 유리하다. 알루미늄 평판패널(32)과 밀접된 밀착지지부(18a)의 표면적이 가장 크고 육각볼트(18)가 그 다음이고 고정구(10)의 직경이 가장 작게 형성하였다. 즉 밀착지지부(18a)의 직경을 육각볼트(18)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하였다.
본 발명은 고정구(10)의 나사부(16)와 알루미늄 평판패널(32)이 직접 고정되는 고정방식이다.
고정구(10)가 알루미늄 평판패널(32)에 직접 고정되어있는 상태에서 복합단열재(40)를 삽입하고 돌출된 고정구(10)의 선단부에 고정캡(20)을 삽입하여 복합단열재(40)를 알루미늄 평판패널(32)에 고정한다.
이와 같이 복합단열재(40)가 고정되어있는 알루미늄 폼(30) 단위체를 수직으로 세우고 인접된 알루미늄 폼(30) 단위체를 프레임(34)의 체결공(34a)에 쐐기 핀(34b)을 삽입하여 견고하게 고정하면서 옹벽용 알루미늄 폼(30) 거푸집을 완성한다.
설치가 완료된 옹벽용 알루미늄 폼(30)의 형태는 도3과 같다.
옹벽용 알루미늄 폼(30)과 옹벽용 알루미늄 폼(30)사이에는 공간부가 형성되어있다.
콘크리트 몰탈(50)은 상기 공간부에 타설하게 된다. 공간부에 타설된 콘크리트 몰탈(50)이 경화하게 되면 바로 이것이 옹벽이 되는 것이다.
콘크리트 몰탈(50)이 경화된 후에는 알루미늄 폼(30)을 탈형시킨다.
이때 알루미늄 폼(30)의 탈형과 함께 알루미늄 평판패널(32)에 고정된 고정구(10)도 빠져나오게 된다.
그러나 복합단열재(40)와 고정캡(20)은 빠져나오지 않는다. 고정캡(20)이 콘크리트 몰탈(50) 내에 매입된 상태로 탈형시 견고하게 앵카되어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된 고정캡(20)의 구조는 특허등록번호 제10-0365985호에서와 같이 이미 공지되어있다. 즉 콘크리트 몰탈(50)에 매입된 앵커판부와, 복합단열재(40)를 누르고 있는 누름판부(24)와, 그리고 고정구(10)의 내부통로인 삽입부(26)로 형성된 구조이다. 고정구(10)에 세로방향으로 길게 가이드 리브(14)가 형성되어있기 때문에 이에 대응되는 고정캡(20)의 삽입부(26)에는 리브가 형성되지 않는다.
고정구(10)의 직경이 너무 얇으면 휘어지거나 끊어지게 되고 너무 크면 복합단열재에 구멍이 크게 나기 때문에 단열효과에 문제가 발생되게 되므로 4mm~10mm가 바람직하다.
한편 복합단열재(40)의 설치에 있어서는 옹벽이 외벽인 경우에는 내벽 쪽에만 복합단열재(40)를 설치하게 된다. 건축물의 중간벽체인 경우에는 옹벽용 알루미늄 폼(30)의 양쪽 내면모두에다 복합단열재(40)를 설치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고정구(10)의 구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고정구와 고정캡에 의하여 단열재를 거푸집에 설치ㆍ고정시킴에 있어서 고정구(10)는 드릴작업을 위한 드릴부(12)와, 복합단열재(40)의 관통을 원활하게 유도하는 가이드역할 및 고정캡(20)의 삽입부(26)에 밀착ㆍ고정을 유도하는 가이드 역할을 겸한 가이드 리브(14)와, 탭 작업을 위한 나사부(16)와, 그리고 회전전동공구의 삽입을 위한 육각볼트(18)가 일체로 형성된 구성이고 밀착지지부(18a)는 육각볼트(18)에 접면되어 일체로 형성되어있으며 나사부(16)는 밀착지지부(18a)에 접하여 일체로 형성되어있고 나사부(16)의 상단에 순차적으로 가이드 리브(14)와 드릴부(12)가 위치되어있으며 밀착지지부(18a)의 직경을 가장 크게 형성한 구성이다.
여기에다 나사부(16)의 길이를 알루미늄 평판패널(32)의 두께와 같게 하여 고정구(10)와 알루미늄 평판패널(32)과의 고정력을 효율적이 되도록 한 구성이다.
본 발명은 고정구의 선단부에 형성된 드릴부에 의하여 알루미늄 평판패널에 천공부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용이할 뿐 아니라 고정부에 형성된 가이드 리브에 의하여 복합단열재의 관통이 원활하게 유도되어 관통작업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또한 가이드 리브에 의하여 고정캡의 삽입부에 밀착ㆍ고정되어 고정이 확실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어서 알루미늄 폼에 복합단열재의 고정 작업이 효과적이다.
또한 고정구의 나사부에 의하여 알루미늄 평판패널 천공부에 나선 탭을 내면서 그 나선 탭에 나사부가 직접 고정되는 방식이므로 드릴작업과 탭작업과 고정작업이 하나의 고정구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자립적이어서 고정 작업이 간편하고 용이하다.
드릴작업과 탭작업과 고정작업이 하나의 고정구에 의하여 모두 이루어짐으로써 무두못 구조가 갖는 한계성을 극복한 것이므로 경질의 알루미늄 폼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작업 또한 용이하다.
밀착지지부가 알루미늄 평판패널에 밀접되어있으면서 그 표면적이 크고 여기에다 고정구의 고정력이 부가되는 구조이므로 고정구와 복합단열재사이에 미세틈새가 설령 존재한다하더라도 미세틈새를 근원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콘크리트 몰탈의 누수가 전혀 발생되지 않는 효과를 지닌 유용한 발명이다.
본 발명은 알루미늄 평판패널(32)에 드릴작업과 탭 작업을 동시에 수행하면서 알루미늄 평판패널(32)에 고정구(10)가 직접 고정되는 고정방식의 구조이다.
직접 고정방식에 따른 본 발명 자립이 가능한 고정구(10)의 구성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드릴작업을 위하여 고정구의(10) 선단부에 드릴부(12)를, 회전전 동공구의 삽입을 위하여 하단부에 육각볼트(18)를, 복합단열재(40)의 관통 및 고정캡(20)의 삽입부(26)에 밀착ㆍ고정을 유도하기위하여 중간부에 가이드 리브(14)를, 그리고 육각볼트(18)에 접하여 나사부(16)를 형성한 구성이다. 밀착지지부(18a)는 육각볼트(18)와 일체로 형성되어있고 그 직경이 육각볼트(18)보다 크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자립이 가능한 고정구조가 옹벽용 알루미늄 폼(30)에 설치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도2a~d와 도3 참조]
⒜ 단위체 알루미늄 폼(30)을 수평상태로 놓되 프레임(34)이 설치되어있는 쪽을 위로 향하도록 하는 단계;
⒝ 프레임(34)이 위로 향한 상태에서 알루미늄 평판패널(32)에 고정구(10)의 드릴부(12)를 접면시키고 회전 전동공구를 고정구(10)의 육각볼트(18)에 삽입하는 단계;
⒞ 회전전동공구를 회전시켜 고정구(10)의 드릴부(12)로 알루미늄 평판패널(32)을 천공하고 동시에 고정구(10)의 나사부(16)에 의하여 천공된 알루미늄 평판패널(32) 내주면에 탭을 형성하면서 고정구(10)의 나사부(16)와 알루미늄 평판패널(32)과를 견고하게 고정하는 단계;
⒟ 알루미늄 평판패널(32)에 고정된 고정구(10)에는 가이드 리브(14)에 의하여 유도된 복합단열재(40)가 관통되고 복합단열재(40)를 관통한 고정구(10)의 선단부에는 고정캡(20)의 삽입부(26)가 삽입ㆍ고정되는 단계;
⒠ 상기의 단계를 반복하면서 고정구(10)를 단위체 알루미늄 폼(30)에 설치한 다음 이를 수직으로 설치하되 프레임(34)의 체결공(34a)에 쐐기 핀(34b)을 삽입하여 서로 인접된 단위체 알루미늄 폼(30)을 연결하면서 옹벽용 알루미늄 폼(30)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단열재 고정구를 옹벽용 알루미늄 폼에 설치하는 방법이다.
상기 ⒞단계에서 나사부(16)의 길이를 알루미늄 평판패널(32)의 두께와 같게 하여 알루미늄 폼에 탭을 형성하고 이에 고정구(10)의 나사부(16)가 견고하게 고정되는 하는 것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또 ⒟단계에서 세로방향의 가이드 리브(14)의 길이는 나사부(16) 바로 위에서 시작하여 고정캡(20)의 삽입부(26)가 삽입되는 길이가 되게 하는 것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또한 옹벽용 알루미늄 폼(30)이 설치된 후에 옹벽용 알루미늄 폼(30) 내부에 콘크리트 몰탈(50)을 타설하고 콘크리트 몰탈(50)이 경화된 후에 옹벽용 알루미늄 폼(30)을 탈형하게 된다.
옹벽용 알루미늄 폼(30)의 탈형 시 알루미늄 폼(30)과 고정구(10)만 빠져나오고 복합단열재(40)와 고정캡(20)은 그대로 남는다.
[도1] 본 발명의 고정구에 의하여 옹벽용 알루미늄 폼에 복합단열재를 고정ㆍ설치한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2a] 본 발명의 고정구가 드릴작업과 탭 작업을 거친 후 알루미늄 평판패널에 고정된 상태를 보인 결합상태도
[도2b] [도2a]에서 알루미늄 평판패널에 견고하게 고정된 고정구에 복합단열재를 강제로 삽입시키는 과정을 보인 상태도
[도2c] [도2b]에서 고정구에 복합단열재가 삽입된 상태에서 복합단열재 상단으로 돌출된 드릴부 선단에 고정캡을 삽입하여 복합단열재를 알루미늄 평판패널에 고정한 상태를 보인 결합상태도
[도2d] [도2c]에서 복합단열재가 고정구와 고정캡에 의하여 견고하게 고정된 알루미늄 폼을 수직으로 세워 놓은 모습을 보인 상태도
[도3] 본 발명의 고정구에 의하여 복합단열재가 고정된 알루미늄 폼을 옹벽용으로 설치한 모습을 보인 상태도
[도4] 본 발명의 알루미늄 폼의 탈형 시 고정구와 알루미늄 폼은 제거되고 복합단열재와 고정캡은 그대로 남아있는 모습을 보인 상태도
※ 도면부호의 간단한 설명
10; 고정구
12; 드릴부
14; 가이드 리브슬립부
16; 나사부
18; 육각볼트
18a; 밀착지지부
20; 고정캡
22; 앵커판부
24; 누름판부
26; 삽입부
30; 옹벽용 알루미늄 폼
32; 알루미늄 평판패널
34; 프레임
34a; 체결공
34b; 쐐기 핀
40; 복합단열재
42; 단열재
44; 경질부
50; 콘크리트 몰탈

Claims (6)

  1. 고정구와 고정캡에 의하여 복합단열재를 거푸집에 설치ㆍ고정시킴에 있어서
    고정구(10)는 드릴작업을 위한 드릴부(12)와, 가이드 리브(14)와, 탭 작업을 위한 나사부(16)와, 그리고 회전전동공구의 삽입을 위한 육각볼트(18)가 일체로 형성된 구성이고 밀착지지부(18a)는 육각볼트(18)에 접면되어 일체로 형성되어있으며 나사부(16)는 밀착지지부(18a)에 접하여 일체로 형성되어있고 나사부(16)의 상단에 순차적으로 가이드 리브(14)와 드릴부(12)가 위치되어있으며 밀착지지부(18a)의 직경을 육각볼트(18)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알루미늄 폼의 복합단열재 고정구
  2. 제1항에 있어서
    세로방향의 가이드 리브(14)의 길이는 나사부(16) 바로 위에서 시작하여 고정캡(20)의 삽입부(26)가 삽입되는 길이가 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알루미늄 폼의 복합단열재 고정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나사부(16)의 길이는 알루미늄 평판패널(32)의 두께와 같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알루미늄 폼의 복합단열재 고정구
  4. ⒜ 단위체 알루미늄 폼(30)을 수평상태로 놓되 프레임(34)이 설치되어있는 쪽을 위로 향하도록 하는 단계;
    ⒝ 프레임(34)이 위로 향한 상태에서 알루미늄 평판패널(32)에 고정구(10)의 드릴부(12)를 접면시키고 회전 전동공구를 고정구(10)의 육각볼트(18)에 삽입하는 단계;
    ⒞ 회전전동공구를 회전시켜 고정구(10)의 드릴부(12)로 알루미늄 평판패널(32)을 천공하고 동시에 고정구(10)의 나사부(16)에 의하여 천공된 알루미늄 평판패널(32) 내주면에 탭을 형성하면서 고정구(10)의 나사부(16)와 알루미늄 평판패널(32)과를 견고하게 고정하는 단계;
    ⒟ 알루미늄 평판패널(32)에 고정된 고정구(10)에는 가이드 리브(14)에 의하여 유도된 복합단열재(40)가 관통되고 복합단열재(40)를 관통한 고정구(10)의 선단부에는 고정캡(20)의 삽입부(26)가 삽입ㆍ고정되는 단계;
    ⒠ 상기의 단계를 반복하면서 고정구(10)를 단위체 알루미늄 폼(30)에 설치한 다음 이를 수직으로 설치하되 프레임(34)의 체결공(34a)에 쐐기 핀(34b)을 삽입하여 서로 인접된 단위체 알루미늄 폼(30)을 연결하면서 옹벽용 알루미늄 폼(30)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단열재 고정구를 옹벽용 알루미늄 폼에 설치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에서 나사부(16)의 길이를 알루미늄 평판패널(32)의 두께와 같게 하여 알루미늄 폼에 탭을 형성하고 이에 고정구(10)의 나사부(16)가 견고하게 고정되게 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단열재 고정구를 옹벽용 알루미늄 폼에 설치하는 방법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에서 세로방향의 가이드 리브(14)의 길이는 나사부(16) 바로 위에서 시작하여 고정캡(20)의 삽입부(26)가 삽입되는 길이가 되게 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단열재 고정구를 옹벽용 알루미늄 폼에 설치하는 방법
KR1020090002790A 2008-07-10 2009-01-13 옹벽용 알루미늄 폼의 복합단열재 고정구 및 이를 옹벽용 알루미늄 폼에 설치하는 방법 KR1008995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7224 2008-07-10
KR20080067224 2008-07-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9537B1 true KR100899537B1 (ko) 2009-05-26

Family

ID=40862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2790A KR100899537B1 (ko) 2008-07-10 2009-01-13 옹벽용 알루미늄 폼의 복합단열재 고정구 및 이를 옹벽용 알루미늄 폼에 설치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95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364Y1 (ko) * 2010-05-26 2011-07-01 전소영 조립형 동물 울타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7956A (ja) 1997-02-24 1998-09-08 Koyo Kizai Kk ドリル付きインサー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7956A (ja) 1997-02-24 1998-09-08 Koyo Kizai Kk ドリル付きインサー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364Y1 (ko) * 2010-05-26 2011-07-01 전소영 조립형 동물 울타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35620A (ko) 조립식 철골조(steel house)와 이를 이용한 건축공법
US20140059968A1 (en) Apparatus to Tie Forms to Existing Structures
CA310237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cast-in anchor for a metal deck
KR100899537B1 (ko) 옹벽용 알루미늄 폼의 복합단열재 고정구 및 이를 옹벽용 알루미늄 폼에 설치하는 방법
CN114108836A (zh) 一种预埋安装装置及其安装方法
RU182282U1 (ru) Крепежный элемент для монтажа теплоизолирующих материалов на несущей конструкции
EP3068003B1 (en) Gypsum plate assembly
JP2006016952A (ja) アンカーとその仮固定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仮固定構造
KR100693374B1 (ko) 천장패널 설치용 인서트
KR100921204B1 (ko) 단열재용 인서트
KR20090126407A (ko) 콘크리트 매설용 인서트
KR100775676B1 (ko) 합판거푸집 보강 띠판형 장선, 합판거푸집 보강구조 및합판거푸집 보강구조 해체 후 마감방법
KR100675814B1 (ko) 슬라브 매립 앵커볼트
KR20070027432A (ko) 철근조립체와 거푸집과 천정 판넬을 고정핀으로 고정시키는결속구
KR101684437B1 (ko) 건식마감이 용이한 외단열 일체형 단열블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0459900Y1 (ko) 거푸집의 슬리브 고정구
KR101033530B1 (ko) 천장 거푸집 지지용 써포트의 안전키트
KR20090099383A (ko) 관통슬리브용 고정구
CN102926541A (zh) 一种在混凝土中预置孔洞成型方法及模具
KR101394463B1 (ko) 폼 타이용 스페이서를 이용한 외단열시공방법
CN219794321U (zh) 带饰面层现浇混凝土复合保温板构造
RU2516306C2 (ru) Фиксатор планки
KR200419384Y1 (ko) 판상단열체 고정못
KR100797486B1 (ko) 천정 구조물 지지용 내열성 인서트
JPS6316546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