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1243Y1 - 인서트 - Google Patents

인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1243Y1
KR200321243Y1 KR20-2003-0011627U KR20030011627U KR200321243Y1 KR 200321243 Y1 KR200321243 Y1 KR 200321243Y1 KR 20030011627 U KR20030011627 U KR 20030011627U KR 200321243 Y1 KR200321243 Y1 KR 2003212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
formwork
screw hole
fixing memb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16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현순
Original Assignee
미영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영산업(주) filed Critical 미영산업(주)
Priority to KR20-2003-00116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12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12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124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04B1/4114Elements with sockets
    • E04B1/4121Elements with sockets with internal threads or non-adjustable captive n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서트에 관한 것으로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종래의 인서트를 사용할 때, 공사장 인부는 인서트와 못을 따로 준비해서 다녀야 하며, 인서트를 한 손으로 잡고 있는 상태에서 못을 인서트의 못구멍에 끼우고 망치로 못을 박아야 했으며, 통상 2번의 망치질을 하여야 인서트가 거푸집에 고정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인서트의 몸체의 하부에 거푸집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가 일체로 부착되어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종래의 플라스틱에 비하여 콘크리트 공사시 거푸집에 인서트를 손쉽게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나사공에 나사를 삽입한 후에도 견고하며,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하여도 타지 않으므로 안전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인서트{INSERT}
본 고안은 인서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몸체의 하부에 거푸집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가 일체로 부착되어 있도록 하므로써, 시공시 거푸집에 인서트를 손쉽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나사공에 나사를 삽입한 후에도 견고하며,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하여도 타지 않으므로 안전한 효과가 있는 인서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인서트는 통상적으로 플라스틱등으로 만들어져 있으며, 인서트의 특정한 부위에 못을 박을 수 있도록 못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시공시에 거푸집에 인서트를 올려놓고, 따로 준비한 못을 통상적으로 2개를 박아야 인서트가 거푸집에 고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공사장 인부는 인서트와 못을 따로 준비해서 다녀야 하며, 인서트를 한 손으로 잡고 있는 상태에서 못을 인서트의 못구멍에 끼우고 망치로 못을 박아야 했으며, 통상 2번의 망치질을 하여야 인서트가 거푸집에 고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인서트의 몸체의 하부에 상기 몸체와 일체로 고정부재가 부착된 금속재질의 인서트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인서트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인서트의 육면도.
도3a는 본 고안에 따른 인서트를 이용한 시공 순서도(1).
도3b는 본 고안에 따른 인서트를 이용한 시공 순서도(2).
도3c는 본 고안에 따른 인서트를 이용한 시공 순서도(3).
도3d는 본 고안에 따른 인서트를 이용한 시공 순서도(4).
도3e는 본 고안에 따른 인서트를 이용한 시공 순서도(5).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 인서트 100. 몸체 102. 머리부
104. 허리부 106. 기저부 108. 나사공
110. 고정부재 20. 나사 30. 거푸집
40. 철근 50. 콘크리트
본 고안에 의한 인서트는, 머리부와, 허리부와, 기저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기저부의 하단 중앙에 나사공을 갖는 몸체와; 상기 기저부의 하단에는 상기 나사공과 다른 위치에 하부로 연장되어 부착된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와 고정부재가 일체로 구성되기 위하여는 모두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재는 콘크리트 공사시에 거푸집에 본 고안에 의한 인서트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므로, 그 말단은 뾰족한 못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인서트를 사용한 콘크리트 공사가 완료된 후에 상기 몸체로부터 고정부재가 용이하게 탈리될 수도 있어야 하므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몸체와의 경계부분의 일부가 절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의한 인서트는, 인서트를 거푸집에 고정한 후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콘크리트가 인서트의 하부에 형성된 나사공에 스며들어 굳을 수 있으므로, 상기 나사공에 결합되어 시공시 콘크리트의 유입을 방지하는 캡을 추가로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도면은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인서트의 사시도이다. 도1을 살펴보면, 본 고안에 따른 인서트(10)는 몸체(100)와 고정부재(11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몸체(100)는머리부(102)와 허리부(104)와 기저부(106) 및 도면상에 나타나지는 않으나 상기 기저부(106)의 하단부 중앙에 형성된 나사공(108)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머리부(102)는 상부에 철근이 놓여지기 용이하도록 오목하게 파여 있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인서트의 육면도이다. 도2를 살펴보면, 정면도(배면도)에 나사공(108)을 점선으로 표기하였다.
도1 또는 도2에서 머리부(102)는 상부에 철근이 놓여지기 용이하도록 오목하게 파여 있으나, 상부가 평평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도1 또는 도2에서의 머리부(102), 허리부(104), 기저부(106)의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인서트(10)의 머리부(102)와 기저부(106)는 평면이 타원형에 가깝도록 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평면이 정사각형이나 직사각형 또는 삼각형으로 만들 수도 있으며, 원형으로 만들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기저부(106)의 크기를 현저하게 축소하여, 몸체(100)의 형태가 역 원뿔대가 되도록 할 수도 있다. 허리부(104)의 단면도 원형뿐만 아니라, 타원, 사각형, 육각형 등 다양하게 만들 수 있음이 자명하다.
도3a 내지 도3b는 본 고안에 의한 인서트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시공을 하는 순서에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3a는 시공 순서도1로서,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하여 구성한 거푸집(30)의 상부에 인서트(10)을 고정시킨 상태도이다. 공사장 인부는 인서트(10)와 망치만을 갖고 다니며, 필요한 위치에 인서트(10)를 위치시키고, 망치로 인서트(10)의 머리부를 쳐서 거푸집(30)에 인서트(10)가 박히도록 한 것이다.
도3b는 시공 순서도2로서, 도3a에서 설치한 인서트(10)의 상부에 철근(40)을 배근한 상태이다. 도면에는 표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철근(40)은 인서트(10)와 가는 철사로 엮여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철근(40)의 상부에 다른 철근이 90°의 위상차이로 추가로 배근될 수도 있다.
도3c는 시공 순서도3으로서, 도3b와 같이 철근(40) 배근까지 마친 다음에 거푸집(30)의 상부에 콘크리트(50)를 타설한 상태이며, 소정의 시간동안 콘크리트(50)가 양생되도록 방치한다.
도3d는 시공 순서도4로서, 콘크리트(50)가 양생되고 나서, 도3c에 있던 콘크리트(50)하부의 거푸집(30)을 제거한 상태이다. 거푸집(30)을 제거하면, 콘크리트(50)의 하부에 인서트(10)의 나사공(108)과 고정부재(110)가 노출된다.
도3e는 시공 순서도5로서, 도3d에서 콘크리트(50)의 하부로 노출된 나사공(108)에 나사(20)을 끼운 상태이다. 상기 나사(20)는 도시된 형태이외에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나사(20)에는 각종 공조기덕트 배관, 전선류, 스프링 쿨러 등을 고정시킬 수 있으며, 천정판을 고정시키는데 사용할 수 있다.
도3c에서 콘크리트(50)를 타설하면, 인서트(10)와 거푸집(30)의 사이의공간(도면상에서는 인서트와 거푸집이 밀착되어 있으나, 시공중에는 틈이 발생할 수 있음)으로 콘크리트가 나사공(108)으로 스며들어 양생되면, 추후에 나사공(108)으로 나사(도3e의 도면부호20)가 끼워지지 않을 수도 있으므로, 나사공(108)에 콘크리트(50)가 스며들지 않도록 하는 캡(미도시, 나사공에 끼워지는 형태가 바람직함)을 나사공(108)에 끼우고 시공을 할 수도 있다.
또한, 도3d 및 도3e에서 보이는 바와같이 콘크리트(50)의 저면에 돌출된 고정부재(110)는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으므로 제거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재(110)의 제거는 펜치나 니퍼등으로 잘라 제거할 수도 있으나, 망치로 치면 부러지도록, 고정부재(110)의 기저부에 약간의 흠집을 형성시킬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종래의 플라스틱에 비하여 콘크리트 공사시 거푸집에 인서트를 손쉽게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나사공에 나사를 삽입한 후에도 견고하며,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하여도 타지 않으므로 안전한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인서트에 있어서,
    머리부와, 허리부와, 기저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기저부의 하단 중앙에 나사공을 갖는 몸체와;
    상기 기저부의 하단에는 상기 나사공과 다른 위치에 하부로 연장되어 부착된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인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말단이 뾰족한 못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몸체와의 경계부분의 일부가 절단되어, 시공 완료후 상기 몸체로부터 상기 고정부재를 탈리시키기 용이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공에 결합되어 시공시 콘크리트의 유입을 방지하는 캡을 추가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공에 결합되어 시공시 콘크리트의 유입을 방지하는 캡을 추가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KR20-2003-0011627U 2003-04-15 2003-04-15 인서트 KR2003212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1627U KR200321243Y1 (ko) 2003-04-15 2003-04-15 인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1627U KR200321243Y1 (ko) 2003-04-15 2003-04-15 인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1243Y1 true KR200321243Y1 (ko) 2003-07-31

Family

ID=49411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1627U KR200321243Y1 (ko) 2003-04-15 2003-04-15 인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124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7486B1 (ko) 2006-11-13 2008-01-23 소무익 천정 구조물 지지용 내열성 인서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7486B1 (ko) 2006-11-13 2008-01-23 소무익 천정 구조물 지지용 내열성 인서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21243Y1 (ko) 인서트
US6017014A (en) Holder for vertical steel rebar
KR200205940Y1 (ko) 거푸집 작업용 발판지지대
US20100281816A1 (en) Anchorage system for guardrail
KR20200120392A (ko) 프레타이 절단 장치 및 절단 방법
JP2006274775A (ja) セパレイト釘による面木・目地棒の型枠への取り付け及び取り外し方
US8074422B2 (en) Embedded pipe hanger
JPH1171817A (ja) デッキプレート用高耐力インサートとキリ付ねじ及びこれらを用いたインサート施工方法
US20090071093A1 (en) Anchor bolt, Hold down, Rebar, Threaded Rod Retainer and Snapper Device
KR200426085Y1 (ko) 거푸집 고정용 플랫타이
AU2003201395C1 (en) A connector for steel reinforcement
US7600352B2 (en) Slab saver form attachment device
KR20190056579A (ko) 인서트 구조체
EP3783160A1 (en) Spacer for steel reinforcements
JPH11280254A (ja) スラブ用スリーブの蓋
US20060284025A1 (en) Conduit spacer
AU2003201395A1 (en) A connector for steel reinforcement
KR102254430B1 (ko) 이탈방지 기능을 강화한 앵커볼트 돌출형 소방내진 흔들림방지 버팀대 콘크리트 고정장치
JPH0224812Y2 (ko)
JP2953499B2 (ja) 中空スラブ工法用の管支持固定器具および支持固定方法
KR100624191B1 (ko) 천정판설치구의 완전체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건축용인써트
JP2017020281A (ja) サッシアンカー
JPH094225A (ja) コンクリート型枠の間隔保持具
JP3382194B2 (ja) 構築用インサート
US7549617B1 (en) Slab saver form attachmen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1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