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6103Y1 - 건축용 관통 슬리브 - Google Patents

건축용 관통 슬리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6103Y1
KR200456103Y1 KR2020080016237U KR20080016237U KR200456103Y1 KR 200456103 Y1 KR200456103 Y1 KR 200456103Y1 KR 2020080016237 U KR2020080016237 U KR 2020080016237U KR 20080016237 U KR20080016237 U KR 20080016237U KR 200456103 Y1 KR200456103 Y1 KR 2004561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unit
building
fixing
unit bod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62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6090U (ko
Inventor
문춘로
Original Assignee
문춘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춘로 filed Critical 문춘로
Priority to KR20200800162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6103Y1/ko
Publication of KR201000060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609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61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610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5/00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 E04G15/06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for cavities or channels in walls of floors, e.g. for making chimneys
    • E04G15/063Re-usable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07Plugs to close openings in forms'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건축용 관통 슬리브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건축용 관통 슬리브는, 상호간 결합 시 횡단면 링 형상으로서 상호간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의 단위몸체; 및 다수의 단위몸체에 결합되어 다수의 단위몸체를 고정하는 몸체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건축용 관통 슬리브의 몸체를 구성하는 각각의 단위몸체가 분리될 수 있어 콘크리트로부터 단위몸체의 제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또한 단위몸체가 쉽게 분리되기 때문에 파손이 방지될 수 있으므로 재사용하기가 용이하다.
건축용 관통 슬리브, 단위몸체, 분리

Description

건축용 관통 슬리브{Structural Sleeve}
본 고안은 건축용 관통 슬리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용 관통 슬리브의 몸체를 구성하는 각각의 단위몸체가 분리될 수 있어 콘크리트로부터 단위몸체의 제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또한 단위몸체가 쉽게 분리되기 때문에 파손이 방지될 수 있으므로 재사용하기가 용이한 건축용 관통 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건물의 시공에 있어서, 건축용 관통 슬리브는 콘크리트 층에 에어콘, 가스관, 수도관, 하수관, 전기 및 통신 케이블 등의 배관통로를 확보하기 위하여 층간을 구획하는 바닥지점 또는 벽체지점의 거푸집에 설치된다.
이러한 건축용 관통 슬리브는 원통형의 슬리브몸체와, 슬리브몸체의 일측에 마련되는 덮개와, 타측에 구비되는 거푸집 고정판을 포함하며, 배관 통로지점의 거푸집에 못으로 고정시켜 설치한 후, 콘크리트 타설 및 경화가 완료된 다음 거푸집을 분리하고, 덮개를 제거하여 배관통로로 이용하게 된다.
이 경우에 관통 슬리브의 슬리브몸체는 콘크리트에 부착되어진 상태로 따로 제거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는 콘크리트가 굳어짐에 따라 콘크리트에 접촉되는 부착된 슬리브몸체의 제거가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제거하지 않아도 각종 입상관 및 배관의 배관통로를 확보하는 건축용 관통 슬리브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최근 들어, 아파트 등 공동주택에서 화재발생 시 인근 층이나 인접한 가구로 불이 옮겨 붙어 피해가 확산되는 문제가 이슈화되고 있다. 층간 및 벽채를 구획하는 구획재의 소재는 보통 콘크리트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이 쉽게 불에 타는 소재로 인해 화재에 취약한 상황이다. 화재의 2차 피해를 막기 위해 구획재를 방염재 또는 방화재로 교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관련하여, 슬리브몸체를 포함하는 건축용 관통 슬리브는 일반적으로 그 재질이 플라스틱 등의 가연성 소재가 이용된다. 만약 아래층이나 다른 곳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아래층에서 위층으로 번지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슬리브몸체를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종래의 건축용 관통 슬리브에 있어서는, 관통 슬리브가 콘크리트 타설시 함께 매설되어 경화되기 때문에 슬라브에 고정되어 관통 슬리브 특히, 슬리브몸체를 제거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콘크리트로부터 관통 슬리브를 제거하기 위해 관통 슬리브에 충격 등을 가할 경우 슬리브몸체의 파손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관통 슬리브의 재사용이 힘든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건축용 관통 슬리브의 몸체를 구성하는 각각의 단위몸체 가 분리될 수 있어 콘크리트로부터 단위몸체의 제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단위몸체가 쉽게 분리되기 때문에 파손이 방지될 수 있어 다시 사용하기가 용이한 건축용 관통 슬리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상호간 결합 시 횡단면 링 형상으로서 상호간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의 단위몸체; 및 상기 다수의 단위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다수의 단위몸체를 고정하는 몸체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관통 슬리브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다수의 단위몸체가 링 형상으로 결합될 때 상기 다수의 단위몸체 간에 형성되는 결합선은 링 형상의 반경방향에 대해 경사진 방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단위몸체는 상호간 균등 분할될 수 있다.
상기 몸체고정부는, 중앙 영역에 길이방향을 따라 표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암나사부를 구비하는 고정판; 중앙 영역에 관통홀이 형성되며, 판면의 가장자리에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단위몸체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고정덮개; 및 상기 고정판과 상기 고정덮개를 상호 결합하여 상기 다수의 단위몸체를 구속하는 체결나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판의 판면의 가장자리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단위몸체의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홈이 표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판의 일부 영역에는 길이방향의 지지관통공이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위몸체의 외주면 상에는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접촉할 경우 상기 콘크리트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복수 개의 미끄럼방지 나사선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고정부는, 중앙 영역에 길이방향을 따라 표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암나사부를 구비하는 고정판; 판면의 가장자리에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단위몸체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고정덮개; 및 상기 고정판과 상기 고정덮개를 상호 결합하여 상기 다수의 단위몸체를 구속하는 체결나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판에는 상기 고정판의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호 이격 배치되되 상기 고정판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지지플랜지부가 더 형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지지플랜지부에는 두께 방향을 따라 관통공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단위몸체는 2개일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단위몸체의 재질은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또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이며, 상기 몸체고정부의 재질은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또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일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건축용 관통 슬리브의 몸체를 구성하는 각각의 단위몸체가 분리될 수 있어 콘크리트로부터 단위몸체의 제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단위몸체가 쉽게 분리되기 때문에 파손이 방지될 수 있어 다시 사용하기가 용이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 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관통 슬리브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건축용 관통 슬리브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건축용 관통 슬리브의 개략적인 수직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건축용 관통 슬리브의 단위몸체의 횡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관통 슬리브는, 횡단면 링 형상으로 상호간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의 단위몸체(100)와, 다수의 단위몸체(100)에 결합되어 다수의 단위몸체(100)를 고정하는 몸체고정부(200)를 포함한다.
다수의 단위몸체(100)는, 타설되는 콘크리트 내부에 매립되어, 추후 배관(미도시)이 관통하기 위한 공간을 마련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단위몸체(101, 102)가 사용된다. 각각의 단위몸체(101, 102)는, 횡단면이 링 형상의 일부 구간의 호를 형성하고 이러한 각각의 단위몸체(101, 102)의 집합체가 비로소 링 형상으로 원통 모양을 완성하여 슬라브에 배관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각각의 단위몸체(101, 102)가 링 형상으로 결합될 때 제1 단위몸체(101)와 제2 단위몸체(102) 간에 형성되는 결합선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 형상의 반경방향에 대해 경사진 방향을 갖는다.
이와 같이 제1 단위몸체(101)와 제2 단위몸체(102)가 결합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이후의 후 공정에서 건축용 관통 슬리브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 는 장점이 있는데, 이하 이를 설명한다.
종래 기술에서의 건축용 관통 슬리브는 거푸집(미도시) 상에 배치된 후 슬라브가 형성되면 슬라브와 건축용 관통 슬리브는 접착되기 때문에 건축용 관통 슬리브의 몸체 부분을 제거하기가 용이하지 않았다. 또한, 건축용 관통 슬리브는 슬리브몸체가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슬라브 상에 고정된 건축용 관통 슬리브를 제거하기 위해서 건축용 관통 슬리브의 슬리브몸체를 파괴하거나, 그렇지 않은 경우 건축용 관통 슬리브의 길이방향으로 충격이나 힘을 가해서 슬리브몸체를 빼내야 하기 때문에 슬라브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건축용 관통 슬리브를 제거하는 것이 난해한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관통 슬리브는, 링 형상을 형성하는 다수의 단위몸체(100)의 반경방향으로 충격을 주게 되면 다수의 단위몸체(100)를 각각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도 4의 횡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단위몸체(101)에 슬리브의 반경방향으로 충격(F)이 가해지면 그 힘(F)은 제2 단위몸체(101)의 경사면(104)으로 힘(F/2)이 분산되어 전달되고, 그 중 일부의 충격력(f)이 제2 단위몸체(101) 사이의 경사면(104) 상을 따라 흐르게 된다. 이로 인해 제2 단위몸체(101)가 제1 단위몸체(102)의 내부로 수용되거나, 또는 상호 엇갈리면서 결합이 해제되게 되어 각각의 단위몸체(101, 102)로 상호 분리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복수의 단위몸체(100)에 가해지는 충격은 제2 단위몸체(101)가 아닌 제1 단위몸체(102)에 가해져도 전술한 힘의 전달과정을 통해 각 단위몸체(101, 102)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또한, 슬라브가 형성된 다음 각각의 단위몸체(101, 102)를 슬라브로부터 분리할 때 쉽게 각각의 단위몸체(101, 102) 간의 결합이 해제되기 때문에 매립되는 단위몸체(101, 102)를 파괴하거나 훼손하지 않게 된다. 이로 인해 건축용 관통 슬리브를 다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단위몸체(101)와 제2 단위몸체(102)로서 2개가 마련되는데, 배관의 직경 또는 슬라브로부터 각 단위몸체(101, 102)의 제거 난이 등의 여러 가지 요인을 감안하여, 단위몸체(100)는 3개 또는 4개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다수의 단위몸체(100)는 상호간 균등 분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단위몸체(101, 102) 간의 결합이 분리될 경우 분리된 단위몸체(101, 102)의 크기가 최소화될 수 있어 슬라브로부터 단위몸체(101, 102)를 제거함이 용이할 수 있다.
단위몸체(100)의 재질은 본 실시예에서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또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중 어느 하나로 제작되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금속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관통 슬리브는, 전술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의 타설 도중에 콘크리트의 하중 등의 외력에 대해 다수의 단위몸체(100)가 링 형상을 유지하도록 단위몸체(100)를 고정하는 몸체고정부(200)를 구비한다.
몸체고정부(2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나사부(211)를 구비하는 고정판(210)과, 삽입홈(222)이 형성되는 고정덮개(220)와, 고정판(210)과 고정덮개(220)를 상호 결합하여 다수의 단위몸체(100)를 구속하는 체결나사(230)를 포함한다.
고정판(210)은 추후 배관이 관통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단위몸체(100)를 고정하기 위하여 슬라브 내부에 매립 설치된다. 고정판(210)을 하부 지지구조(예를 들어, 거푸집)에 결합하기 위해 고정판(210)의 판면 상에는 길이방향의 지지관통공(213)이 복수 개가 형성되고, 복수의 지지관통공(213)을 따라 못 등의 각종 체결요소를 삽입하여 거푸집에 고정시킨다.
다수의 단위몸체(100)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고정판(210)의 판면의 가장자리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고정홈(212)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홈(212)에 단위몸체(100)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단위몸체(100)가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고정판(210) 중앙 영역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표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암나사부(211)가 마련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나사부(211)에는 체결나사(230)가 결합되어 복수의 단위몸체(100)를 고정시킨다.
고정덮개(220)는 본 실시예에서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또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과 같이 단위몸체(100)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로 제작되나, 금속 재질로 제작될 수도 있을 것이다.
고정덮개(220)의 가장자리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각 단위몸체(101, 102)의 집합체인 링 형상의 단위몸체(100)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222)이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덮개(220)의 중앙 영역에는 관통홀(221)이 형성되며, 관통홀(221)을 통해 체결나사(230)가 관통하여 고정판(210)의 암나사부(211)와 결합하게 된다. 체결나사(230)의 형상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숫나사(230)와 별도의 체결요 소(231)를 구비할 수 있고 이와 달리, 볼트와 같이 한정된 길이를 구속하는 구속 체결요소(미도시)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고정덮개(220)는, 건축용 관통 슬리브가 콘크리트 내부에 매립되는 경우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건축용 관통 슬리브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배관이 관통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는 작업을 거쳐 슬라브가 형성된 다음, 체결나사(230)를 해제하여 고정덮개(220)는 제거된다.
이러한 구성에 대해, 건축용 관통 슬리브의 매설 및 제거 과정을 부연 설명한다.
먼저, 입상관 등의 각종 배관이 설치될 위치에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된 건축용 관통 슬리브가 배치되고, 거푸집과 고정판(210)이 지지관통공(213)을 통하여 체결요소 예를 들면, 못 등을 이용하여 결합된다.
이후, 거푸집에 콘크리트가 타설되고, 양생 및 경화 과정을 거쳐 슬라브가 형성된다. 슬라브가 형성될 때까지 복수의 단위몸체(100)는 고정판(210)의 고정홈(212)과 고정덮개(220)의 삽입홈(222)과, 이들을 구속하는 체결나사(230)에 의해 지지되어 각각의 단위몸체(101, 102)로 해제됨이 방지된다.
다음으로, 체결나사(231)를 해제하여 고정덮개(220)가 제거되고, 거푸집이 제거될 때 거푸집 상에 고정된 고정판(210)도 함께 제거된다.
다음으로, 슬라브에 부착된 단위몸체(100)를 제거하기 위하여 슬라브 판면 상에 돌출 형성된 단위몸체(100)의 상단부를 망치, 정 등을 이용하여. 도 4에 도시 된 바와 같은 반경방향의 충격을 가해 각각의 단위몸체(101, 102)로 분리시킬 수 있다. 이후, 배관통로의 길이방향으로 각각의 단위몸체(101, 102)를 쉽게 제거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일반적으로 가연성 소재로 제작되는 건축용 관통 슬리브를 슬라브에서 완전히 제거할 수 있게 되어, 층간 화재가 전이되거나 화재의 발화점이 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관통 슬리브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 및 도 6은 각각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관통 슬리브의 개략적인 사시도인데, 이하에서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차별되는 부분만을 집중해서 설명하기로 하며,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을 피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관통 슬리브의 사시도이고, 도 6는 도 5의 건축용 관통 슬리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관통 슬리브는 제1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관통 슬리브와 구성이 거의 동일하나, 단위몸체(300)와 고정판(410)의 구성을 일부 달리한다.
단위몸체(301, 302)의 외주면 상에는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접촉할 경우 콘크리트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복수 개의 미끄럼방지 나사선(303)이 더 형성된다. 미끄럼방지 나사선(303)은 거푸집 상에 건축용 관통 슬리브가 매설됨으로써, 콘크리트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콘크리트의 타설 시 거푸집 상에 돌출 형성 되는 건축용 관통 슬리브 근처에서 콘크리트가 적채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슬라브의 형성을 원활히 하는 효과가 있다.
고정판(410)에는, 고정판(410)의 둘레를 따라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고정판(410)이 하부 지지구조(예를 들어, 거푸집)와 결합하도록 고정판(4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지지플랜지부(414)가 마련된다. 지지플랜지부(414) 상에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어 관통공으로 못 등의 각종 체결요소(미도시)들이 삽입되어 거푸집에 고정될 수 있다. 지지플랜지부(414)가 마련되는 경우에는 고정판(410)의 판면 상에 지지관통공(미도시)은 생략될 수 있으나, 함께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관통 슬리브는, 단위몸체가 상호 분리될 수 있어 콘크리트로부터 단위몸체의 제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단위몸체가 쉽게 분리되기 때문에 파손이 방지될 수 있어 다시 사용하기가 용이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는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관통 슬리브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건축용 관통 슬리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건축용 관통 슬리브의 개략적인 수직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건축용 관통 슬리브의 단위몸체의 횡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관통 슬리브의 사시도이다.
도 6는 도 5의 건축용 관통 슬리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제1 단위몸체 102 : 제2 단위몸체
200 : 몸체고정부 210 : 고정판
212 : 암나사부 220 : 고정덮개
221 : 관통홀 222 : 삽입홈
230 : 체결나사 303 : 미끄럼방지 나사선
414 : 지지플랜지부

Claims (10)

  1. 상호간 결합 시 횡단면 링 형상으로서 상호간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의 단위몸체; 및
    상기 다수의 단위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다수의 단위몸체를 고정하는 몸체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고정부는,
    중앙 영역에 길이방향을 따라 표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암나사부를 구비하는 고정판;
    중앙 영역에 관통홀이 형성되며, 판면의 가장자리에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단위몸체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고정덮개; 및
    상기 고정판과 상기 고정덮개를 상호 결합하여 상기 다수의 단위몸체를 구속하는 체결나사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단위몸체가 링 형상으로 결합될 때 상기 다수의 단위몸체 간에 형성되는 결합선은 링 형상의 반경방향에 대해 경사진 방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관통 슬리브.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단위몸체는 상호간 균등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관통 슬리브.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의 판면의 가장자리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단위몸체의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홈이 표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관통 슬리브.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의 일부 영역에는 길이방향의 지지관통공이 복수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관통 슬리브.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에는 상기 고정판의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호 이격 배치되되 상기 고정판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지지플랜지부가 더 형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지지플랜지부에는 두께 방향을 따라 관통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관통 슬리브.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몸체의 외주면 상에는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접촉할 경우 상기 콘크리트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복수 개의 미끄럼방지 나사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관통 슬리브.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단위몸체는 2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관통 슬리브.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단위몸체의 재질은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또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이며, 상기 몸체고정부의 재질은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또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관통 슬리브.
KR2020080016237U 2008-12-08 2008-12-08 건축용 관통 슬리브 KR2004561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6237U KR200456103Y1 (ko) 2008-12-08 2008-12-08 건축용 관통 슬리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6237U KR200456103Y1 (ko) 2008-12-08 2008-12-08 건축용 관통 슬리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6090U KR20100006090U (ko) 2010-06-17
KR200456103Y1 true KR200456103Y1 (ko) 2011-10-13

Family

ID=44451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6237U KR200456103Y1 (ko) 2008-12-08 2008-12-08 건축용 관통 슬리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610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35543A (zh) * 2017-12-25 2018-05-15 宁波二十冶建设有限公司 一种楼板洞口预留结构及施工方法
CN108756035B (zh) * 2018-05-31 2021-01-19 上海宝冶集团有限公司 一种整筒可拆的华夫板施工方法
CN112681735A (zh) * 2020-12-17 2021-04-20 北京城建北方设备安装有限责任公司 一种穿梁套管的模板固定结构
CN115853263B (zh) * 2022-10-28 2023-11-03 陕西建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结构梁预留洞暗埋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6090U (ko) 2010-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2051B1 (ko) 급수배관용 엘보우 결합용 수압/고정플러그와마감보호부재의 구조 및 시공방법
KR200456103Y1 (ko) 건축용 관통 슬리브
KR100977804B1 (ko) 줄눈 가변형 갱폼
KR101564442B1 (ko) 방수턱 거푸집 고정구
CA2977565C (en) Concrete form system
KR20200076117A (ko) 건축용 중단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0457795Y1 (ko) 입상관 층막음 고정구
KR200393504Y1 (ko) 건축물의 비트용 배관보호슬리브
KR101272061B1 (ko) 층간소음방지 천장패널
KR101114266B1 (ko) 측벽형 스프링클러 헤드를 설치하기 위한 벽체 관통용 슬리브
KR20110130838A (ko) 건축용 슬리브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벽체의 시공방법
KR102484159B1 (ko) 다층높이의 프리캐스트 벽체를 활용한 코어부 급속시공구조
KR100947983B1 (ko) 관통슬리브용 고정구
JP6321463B2 (ja) 配管システムの施工方法
KR102045958B1 (ko) 철근의 교호적 배치를 갖는 슬래브의 열교 차단장치
KR100915629B1 (ko) 건축용 파이프 고정구
ITVE20090027A1 (it) Pannello in materiale polimerico a bassa densità autoportante per la realizzazione di pareti e relativo procedimento.
KR101033530B1 (ko) 천장 거푸집 지지용 써포트의 안전키트
JP2010059630A (ja) 打ち込み型枠と仮設材を使用しない連結方法
KR200346948Y1 (ko) 배수관 고정슬리브
KR100797486B1 (ko) 천정 구조물 지지용 내열성 인서트
JP6045418B2 (ja) 排水スリーブ設置用治具
EP0434725A1 (en) A method and device for laying waste pipes in hollow flooring blocks
KR20200068443A (ko) 차단봉 이탈방지하는 고정부재를 구비한 콘크리트 타설막이
KR100704658B1 (ko) 냉온수배관용 바닥매립형 엘보우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냉온수배관 연결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