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4462B1 - 개선된 구조를 갖는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구 - Google Patents

개선된 구조를 갖는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4462B1
KR101034462B1 KR1020080133858A KR20080133858A KR101034462B1 KR 101034462 B1 KR101034462 B1 KR 101034462B1 KR 1020080133858 A KR1020080133858 A KR 1020080133858A KR 20080133858 A KR20080133858 A KR 20080133858A KR 101034462 B1 KR101034462 B1 KR 1010344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in
insulating material
heat insulating
form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3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5221A (ko
Inventor
임병균
임상훈
Original Assignee
임상훈
임병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상훈, 임병균 filed Critical 임상훈
Priority to KR1020080133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4462B1/ko
Publication of KR20100075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52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4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44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adhesively fixed to the wall; Fastening means therefor; Fixing by means of plastics materials hardening after application
    • E04F13/0887Adhesive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adhesive foils or stri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루미늄 거푸집에 스티로폼 등으로 된 단열재를 설치하기 위한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열재 고정부재의 선단을 일체의 마감부에 의해 밀폐시키고, 상기 마감부를 이용하여 단열재 고정부재의 내부에 원통형의 핀고정부를 별도로 형성하며, 고정핀의 선단에는 상기 핀고정부로 삽입되는 첨두부를 갖는 끼움부를 형성하고, 상기 끼움부에는 공기배출홈을 형성하여 구성함으로써,
원가 절감은 물론 생산성 향상에 이바지할 수 있는 것이고, 시공상의 용이함과 기능을 향상시키는 것이며, 견실한 단열 시공이 이루어지면서 균일한 시공상태를 얻을 수 있는 것이며, 고정핀의 휨이 최소화되게 하여 고정핀의 재 사용률을 크게 높혀 매우 경제적인 것이고, 단열재 고정부재와 고정핀의 분리 작업이 보다 용이하므로 거푸집의 해체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특징을 갖는다.
거푸집, 단열재, 고정핀, 고정부재, 끼움부, 삽입홈, 경사부, 마감부

Description

개선된 구조를 갖는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구 {Device for fixing insulator of aluminium cast}
본 발명은 알루미늄 거푸집에 스티로폼 등으로 된 단열재를 설치하기 위한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알루미늄 거푸집에 결합 고정되는 고정핀의 구조를 개선하고, 상기 고정핀과 결합되면서도 단열재를 지지하는 단열재 고정부재의 구조를 개선함에 따라, 고정핀과 거푸집 간의 결합구조가 갖는 문제점과 단열재 고정부재가 갖는 제반의 문제점을 극복한 기능을 향상시킨 단열재 고정구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 등에서 거실의 용도로 사용되는 실내공간에서 외부에 면하는 벽면과 천정면에는 결로방지를 위한 단열시공을 하게 된다.
즉, 천장을 구성하는 슬래브에는 단열재를 시공하고 벽체에는 단열재와 석고보드로 되는 내단열재를 시공하거나, 내벽을 구성하는 구조물에는 단열재를 시공하고 벽체에는 단열재와 석고보드로 되는 내단열재를 시공한다.
단열시공은 거푸집 공사시 거푸집의 일면에 단열재를 고정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단열재가 콘크리트면에 매립되어 천장과 벽체면에 노출되도록 한다.
이러한 단열시공에서 거푸집 면에 단열재를 설치하는 방법은 거푸집의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
종전에 사용되던 유로폼(Euro form)이나 철재 프레임에 합판을 설치한 거푸집의 경우에는 단열재 고정못을 이용하여 단열재를 고정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거푸집을 해체하면 고정못은 유로폼이나 합판에 부착된 상태로 탈락하도록 하고 있다.
최근에는 초고층화의 추세에 따라 유로폼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경량으로 설치 및 해체 등의 작업이 쉽고 전용회수가 많으며 콘크리트 표면을 미려하게 성형할 수 있는 알루미늄 거푸집의 사용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알루미늄 거푸집은 초기비용은 많이 드는 편이나 알루미늄을 녹여 압출 성형하므로 제조 규격이 일정하여 조립시 조인트의 틈새가 없으며 표면이 평활하고 경량으로 작업이 용이하며 전용회수가 많아 초고층에 사용할 경우에는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종래에는 알루미늄 거푸집의 내표면에 단열재 설치면적에 상당하는 단턱을 형성하여 이 단턱부에 합판을 부착하고, 이 합판에 단열재를 못으로 고정하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합판을 부착하는 별도의 공정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일정 회수 사용 후 합판의 손상으로 이를 교체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비용의 증가로 인하여 알루미늄 거푸집의 장점인 콘크리트면의 미려함과 전용회수 증가 등의 장점이 반감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알루미늄 거푸집과 이 알루미늄 거푸집의 내표면에 안착되는 단열재를 관통하는 알루미늄 고정봉과, 이 고정봉의 상단에 씌워짐과 아울러 단열재에 압입되는 합성수지재 마개로 구성된 종래의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구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
첫째, 공장에서 고정봉을 알루미늄 거푸집에 결합할 경우에는 알루미늄 거푸집에서 돌출된 고정봉으로 인하여 적재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알루미늄 거푸집과 고정봉 및 덮개를 별도로 현장 반입한 다음, 현장에서 리벳 작업에 의해 고정봉을 알루미늄 거푸집에 고정하게 되므로, 통상적으로 현장은 공장에 비해 작업환경이 열악하여 작업능률이 저하되고 품질확보에 어려움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현장에서 알루미늄 거푸집에 고정봉을 고정한 상태에서 거푸집 설치위치로 양중하는 과정에서 고정봉의 돌출부가 손상되기 쉬워 거푸집 역할을 하기 전에 다시 보완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등 작업능률 저하요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고정봉이 고정되어 돌출된 여러 개의 알루미늄 거푸집을 거푸집 작업장소로 양중할 경우, 돌출된 고정봉으로 인하여 알루미늄 거푸집 간에 간섭이 일어나게 되고 이러한 간섭에 의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넷째, 고정봉은 알루미늄으로서 강도가 약해 충분한 강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는 그 직경을 15mm 이상으로 비교적 굵게 해야 하는데 이 경우 단열재를 알루미늄 거푸집의 내표면에 안착시키면서 눌러서 고정봉이 단열재를 뚫고 나오도록 하는 과정에서 단열재의 훼손이 심하게 발생되며, 이 경우 보완작업을 추가해야 하므로 추가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다섯째, 마개와 고정봉의 고정구조가 충분히 구비되지 않고, 마개의 캡부를 고정봉의 돌출부에 씌우는 것이므로 콘크리트 타설시 합성수지재 마개가 고정봉으로부터 탈락하여 단열재의 고정상태 불량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알루미늄 거푸집과 단열재 사이로 콘크리트가 유입되어 단열재의 성능이 저하되기 때문에 재시공이 필요하게 되므로 단열성능 저하 및 추가비용 발생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 출원인은 특허등록 제0741995호와 같이, 고정핀과 단열재 고정부재 및 콘크리트 침입방지캡을 알루미늄 거푸집과 분리한 상태에서 운반하여 거푸집을 조립하는 작업 위치에서 고정핀을 알루미늄 거푸집에 고정하고 고정핀과 단열재 고정부재에 의해 단열재를 원터치식으로 고정하는 것이므로 작업조건이 열악한 현장에서도 신속하고 간편하며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취급과정에서 고정핀 등이 손상될 염려가 없게 되고, 양중과정에서 돌출물로 인한 알루미늄 거푸집 간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아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고정핀에 첨예형 첨두부가 형성되고 그 직경이 작아 단열재를 고정하는 과정에서 단열재가 훼손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보완작업과 이로 인한 추가비용의 부 담이 없고,
알루미늄 거푸집에 대한 단열재의 고정상태가 확실하게 유지되어 알루미늄 거푸집과 단열재 사이로 콘크리트 페이스트가 유입되는 일이 없게 되고, 이에 따라 재시공과 이에 따른 단열성능 저하 및 추가비용 발생을 배제할 수 있으며, 제조원가 절감과 시공성 향상 및 인건비 절감을 기할 수 있도록 한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구를 안출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구에 있어, 단열재 고정부재는 스티로폼으로 된 단열재의 경우 제조과정에서 오차 범위 내에서 얇게 제조된 경우가 발생하거나 운반 및 설치과정에서 국소부위의 눌림이 발생한 경우 단열재와 단열재 고정부재 간의 틈새를 통해 콘크리트 페이스트가 유입되어 고정핀이 분리되지 않는 치명적인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즉, 스티로폼 등으로 제조되는 단열재는 상기와 같은 제조과정 또는 운반 및 설치과정에서 허용되는 두께의 범위 내에서 얇게 제조되거나 압력에 의해 눌려 국부적인 압축부분이 발생하는 경우, 고정핀과 단열재 고정부재는 균일한 높이와 수치를 갖고 제작되기 때문에 상기의 단열재 고정부재와 단열재 사이에는 틈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유동성을 갖는 콘크리트 페이스트는 콘크리트 타설 압력에 의해 상기의 틈새로 유입될 것이며, 이와 같이 단열재 고정부재의 틈새를 통해 내측으로 유입되는 콘크리트 페이스트는 그대로 응고되므로 결국 상기의 고정핀과 단열재 고 정부재는 서로 고착된 상태를 갖게 되는 것이고, 이와 같이 콘크리트 페이스트의 응고에 의해 고착된 고정핀은 거푸집의 분리 과정에서 상기의 단열재 고정부재와 분리되지 않고 콘크리트 및 단열재 사이에 매립되는 경우가 발생하므로 천정면으로 노출된 고정핀을 일일이 제거하여야 하는 것이다. 또한, 고정핀이 분리되지 않은 거푸집에는 해당 부위에 새로운 고정핀을 재삽입하여야 하므로 그에 따른 비용과 노력이 소요되는 것이다.
특히, 천정 시공의 경우 거푸집의 저면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삽입되는 기존의 고정핀은 알루미늄 거푸집에 고정핀을 미리 끼운 상태에서 거푸집의 조립을 위한 운반과정 및 후속공사에 의해 상기의 고정핀이 훼손되거나 손상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것인데, 거푸집의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의 고정핀에 대한 훼손이나 손상이 발견되면 작업자는 거푸집의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상기의 고정핀을 교체하는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천장 거푸집의 경우 거푸집의 지지를 위해 설치된 가설재가 거푸집의 하측에 위치하므로 상기의 가설재에 의해 작업자의 통행이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벽체 거푸집으로 막혀있는 가설재 내부의 훼손된 고정핀을 찾아 발판을 올려놓고 해당의 고정핀을 교체하여야 하는 과정은 상당한 불편함을 유발하면서도 많은 시간을 요구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번거로움과 경제적인 또는 시간적인 손실이 막대하므로 훼손된 고정핀에 대한 교체와 보수를 기피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고정핀의 보수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시공된 콘크리트 슬래브 및 단열층은 부실한 시공이 이 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의 고정핀을 끼운 후 단열재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단열재에 조금 무리한 힘이나 압력을 가하면 고정핀의 탄성 걸림판이 변형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인데, 상기의 고정핀이 날개 형태로 돌출된 탄성 걸림판은 버팀력이나 지탱하는 힘이 미약하여 작은 압력으로도 쉽게 찌그러지거나 휘어지므로 여름철이나 고온의 작업 환경에서 특히 쉽게 변형하므로 상기 고정핀에 대한 지지력의 저하 및 기능 저하로 인해 정밀 시공에 상당한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상술한 단열재 고정부재에는 사출 성형상의 기초적인 원리에 의해 부득이하게 단열재 고정부재의 노출 단부를 밀폐할 수 있게 한 콘크리트 침입방지캡이 사용되는 것인데, 상기의 콘크리트 침입방지캡은 비교적 작은 크기의 원형으로 제작되므로 취급이 번거롭고 조립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즉, 상기의 콘크리트 침입방지캡은 별도의 사출 금형을 제작하여 생산하여야 하므로 실질적인 기능 및 역할에 비하여 과도한 금형비와 사출비가 소요되는 것이고, 개별적인 조립과 끼움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인건비의 과도한 소모는 물론 전제적인 공사 기간을 지연시키므로 극히 비경제적인 요인으로 작용한다 할 것이다.
특히, 상기의 콘크리트 침입방지캡을 인력에 의해 개개로 끼워 조립하므로 부주의한 작업으로 인한 조립 불량이 발생한 경우에는 콘크리트 침입방지캡이 단열재 고정부재로부터 탈락하거나 틈새가 발생하게 되어, 결국 콘크리트 페이스트가 단열재 고정부재의 내측으로 유입되면서 고정핀을 고착시키게 되므로 상기의 고정핀이 콘크리트 슬래브에 함께 매립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폐단이 있는 것 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 출원인은 2008년 특허출원 제119901호와 같이,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구에 있어, 알루미늄 거푸집에 끼워지는 고정핀의 고정부를 개선하고, 상기 고정핀은 거푸집의 상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삽입되게 구성하며, 단열재 고정부재는 저면에 원형으로 페이스트 침입방지막을 돌출 형성하고, 단열재 고정부재의 상측단에는 몸체보다 얇은 막을 성형한 후 이들이 반원형으로 맞닿아 냉각 성형되는 원통체 마감부를 형성함으로써,
고정핀과 단열재 고정부재 및 콘크리트 침입방지캡으로 된 단열재 고정구가 갖는 우수한 작업성과 경제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고정핀의 설치가 간편하고 견고하며, 고정핀의 훼손이나 파손이 발생한 경우라도 작업자의 이동이나 위치의 변화없이 그 자리에서 고정핀에 대한 보완 시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며, 단열 성능 확보에 유리하고 고정핀에 대한 보수 및 기능 강화에 따라 시공품질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며,
단열재의 두께가 균일하지 않을 경우라도 단열재 고정부재의 내부로 콘크리트 페이스트의 유입이 없는 것이며, 콘크리트 페이스트의 유입 차단으로 인해 고정핀이 쉽게 거푸집과 함께 분리되면서도 상기 고정핀의 재사용이 가능한 것이며, 콘크리트 양생면과 단열재 간의 틈새를 방지하여 단열 성능 확보에도 매우 유리한 것이고, 단열재 고정부재에 대한 제조시간의 단축이 가능하면서도 제조비용이 절감되어 매우 경제적이고, 콘크리트 페이스트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뚜껑이나 캡이 탈 락하여 발생하는 시공 하자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개선된 구조를 갖는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구를 안출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단열재 고정구에 있어 단열재 고정부재에 결합 사용되는 침입방지캡은 상기 단열재 고정부재로부터 분리되어 있으므로 분실 및 취급성이 매우 떨어지는 것이며, 별도의 금형을 이용하여 개별 제작되어야 하므로 금형비의 상승 및 구성품의 추가로 인해 매우 비경제적인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침입방지캡은 작업자가 단열재 고정부재에 대하여 개별적인 결합과정을 일일이 수행하여야 하므로 작업성이 극히 떨어지면서도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단열재 고정부재로부터 침입방지캡이 분리되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다.
또한, 상기의 단열재 고정부재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고정핀은 상기 단열재 고정부재 내측의 탄성 걸림편에 의해 고정력을 갖게 되는 것인데, 상기의 걸림편은 고정핀에 대한 수직방향의 외력에는 충분한 고정력을 유지할 수 있으나, 수평방향의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탄성 걸림편의 탄성력으로 인해 상기 고정핀이 고정하게 되므로 후속 공사인 철근배근 등의 작업에서 발생하는 과도한 수평력에는 안정적인 고정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단열재 고정구 및 거푸집에 의해 콘크리트 슬래브를 타설 및 양생한 상태에서 상기의 거푸집을 제거하는 공정을 수행하게 되는데, 상기의 거푸집은 비교적 넓은 면적과 길이를 갖고 있어 거푸집 전체면적이 수평으로 평행하게 분리 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거푸집의 일측 단부부터 벌리며 전개시켜 거푸집 제거과정을 수행하므로, 상기와 같이 일측 단부로부터의 거푸집에 대한 제거작업으로 인해 상기의 고정핀에는 거푸집 해체시 꺽어지는 기울기 만큼의 휨력이 작용하게 될 것이고, 이와 같은 휨력은 합성수지재로 된 고정핀에 부담을 주어 휘거나 부러져 재사용이 불가능한 상태가 되므로 매우 비경제적인 것이다.
또한, 상기의 거푸집 외면으로 돌출되는 고정핀의 삽입유도부는 지나치게 긴 길이를 가져야 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거푸집 조립 및 후속공사에서 상호 간의 간섭에 의한 마찰로 인해 상기와 같이 돌출 상태의 삽입유도부가 충돌에 의해 휘거나 부러지게 되어 이들의 재사용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는 것이고, 동절기 또는 실내 온도가 낮을 경우에는 합성수지재로 된 고정핀의 탄성과 신축성이 크게 떨어지게 되므로 상기와 같이 긴 길이로 돌출되는 삽입유도부는 바람직하지 않은 구성인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단열재 고정부재의 선단을 일체의 마감부에 의해 밀폐시키고, 상기 마감부를 이용하여 단열재 고정부재의 내부에 별도의 원통형 핀고정부를 형성하며, 고정핀의 선단에는 상기 핀고정부로 삽입되는 첨두부를 갖는 끼움부를 형성하고, 상기 끼움부에는 공기배출홈을 형성하여 구성함으로써,
종래의 탄성 걸림편의 구조인 특징으로 인해 부득이 별도의 마감캡을 사용하 던 기술로부터 탈피하여 마감부가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단열재 고정부재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으면서도 일체의 핀고정부에 의해 콘크리트 페이스트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며, 핀고정부와 고정핀이 억지 끼움에 의해 조립되므로 수직력과 수평력에 대한 고정상태가 확실하면서 거푸집의 제거시 고정핀에 작용하는 휨력이 핀고정부로 전달되어 핀고정부가 휘어지도록하므로 고정핀의 휨을 최소화하여 고정핀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어 고정핀의 재사용률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종래의 단열재 고정부재가 갖던 제반의 문제점을 합리적으로 극복한 개선된 구조를 갖는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구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핀몸체의 중간부에 형성된 고정홈과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슬릿장공을 갖는 고정핀과; 원통체의 외면 하측으로 압입돌기를 갖는 압입편을 사방으로 돌출 형성하고, 원통체의 외면 상측에는 매립편을 사방으로 분할 돌출 형성하여 된 단열재 고정부재로 된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은, 선단의 첨두부를 갖는 끼움부를 형성하고 상기 끼움부와 고정홈의 사이는 끼움부로부터 점차 확장되는 경사부로 형성하며,
상기 단열재 고정부재는, 원통체의 선단을 밀폐하는 마감부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원통체의 내측에는 마감부에 선단이 연결되고 고정핀의 끼움부가 억지끼 움에 의해 결합되게 한 삽입공을 갖는 핀고정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별도의 마감캡이 필요치 않으므로 원가 절감은 물론 생산성 향상에 이바지할 수 있는 것이고, 마감캡의 분실이나 이탈 또는 탈락의 우려가 없어 시공상의 용이함을 함께 제공하는 것이며, 구성품의 단순화를 통해 단열재 고정구에 대한 취급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또한, 단열재 고정부재와 고정핀이 억지끼움 방식에 의해 조립되는 구조이므로 수직 방향이나 수평 방향으로의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단열재 고정부재와 고정핀 간의 유동이 발생하지 않아 견고한 시공이 이루어지면서 고정핀의 첨두부 선단이 핀고정부 삽입공 내측 선단에 맞닿아 결합되므로 균일한 시공상태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거푸집의 해제 과정에서 고정핀에 작용하는 휨 응력을 단열재 고정부재의 핀고정부가 전달받아 휘어지도록 상대적으로 얇게 제조하므로 고정핀의 휨이 최소화할 수 있게하여 고정핀의 재사용률을 크게 높혀 매우 경제적인 것이고, 단열재 고정부재와 고정핀의 분리 작업 역시 용이하므로 거푸집의 해체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 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단열재 고정구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단열재 고정구의 분리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단열재 고정구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단열재 고정구는 고정핀(10)과 단열재 고정부재(20)의 분리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서, 종래와 같이 적어도 3개 이상의 구성품으로 된 단열재 고정구로부터 구성품의 간소화가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의 고정핀(10)은 핀몸체(11)의 중간부에 고정홈(12)이 형성되어 있고, 고정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릿장공(1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핀몸체(11)의 일단에는 첨예형의 첨두부(14)를 갖는 끼움부(15)가 형성되고 상기의 끼움부(15)로부터 고정홈(12)의 사이에는 끼움부(15)로부터 점차 확장되는 경사부(16)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 고정핀(10)의 까움부(15)에는 양측으로 공기배출홈(17)(17')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의 단열재 고정부재(20)는 원통체(21)의 외면 하측에 위치하는 압입 편(22)과 상측에 위치하는 매립편(24)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압입편(22)의 저면에는 하향 쐐기형의 압입돌기(23)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원통체(21)의 선단은 일체로 사출 성형된 마감부(25)에 의해 선단이 밀폐되어 있는 것이고, 원통체(21)의 내측에는 원형 관체로 된 핀고정부(27)를 형성하되, 상기의 핀고정부(27) 선단은 마감부(25)의 저면에 연결되고 핀고정부(27)의 하단은 원통체(21)의 바닥면보다 하향 돌출된 상태를 갖게 된다.
특히, 상기의 핀고정부(27)에 형성된 삽입공(26)은 상기 고정핀(10)의 끼움부(15)가 억지끼움방식에 의해 결합되는 부분인 것이며, 핀고정부(27)의 하단 외면은 첨단부의 형상을 갖도록 경사면(28)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핀고정부(27) 외면에는 필요에 따라 다수의 보강대(29)(29')를 수직으로 돌출 형성하여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의 단열재 고정부재(20)에 고정핀(10)을 삽입하게 되면, 고정핀(10)의 끼움부(15)가 핀고정부(27)의 삽입공(26)으로 억지끼움 방식에 의해 조립되는 것이고, 삽입공(26)의 내부에 잔류하는 공기는 끼움부(15)의 진입에 따라 공기배출홈(17)(17')을 따라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공기배출홈(17)(17')은 고정핀(1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면서도 고정핀(10)과 단열재 고정부재(20)가 서로 용이하게 분리되기 위한 역할도 겸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고정핀(10)의 끼움부(15)가 핀고정부(27)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고정핀(10)의 경사부(16)가 핀고정부(27)의 하단과 간섭하게 되는 데 이때에는 상기 핀고정부(27)의 하단이 경사면(28)에 의해 극히 얇은 두께를 갖고 있어 외측으로 벌어지게 된다.
즉, 상기의 경사면(28)을 통해 핀고정부(27)의 하단은 외향 확장되면서 고정핀(10)의 경사부(16)와 대응하는 형태로 변형되는 것이고, 이와 같은 핀고정부(27)에 대한 하단의 확장력은 결국 고정핀(10)을 가압하는 힘으로 작용하므로 상기의 고정핀(10)이 단열재 고정부재(20)에 결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하는 보조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된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구에 의한 거푸집과 단열재의 시공 과정을 첨부도면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핀구멍이 일정하게 나열 형성된 거푸집(1)에 도 4의 도시와 같이 고정핀(10)의 하단을 가압하여 삽입하면 상기의 고정핀(10)은 슬릿장공(13)에 의해 일시적으로 압축되었다가 고정홈(12)에 이르러서는 본래의 형상으로 복원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거푸집(1)에 형성된 핀구멍의 내경과 고정핀(10)의 고정홈(12)에 대한 외경은 서로 동일하여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알루미늄 거푸집(1)의 상면으로 돌출된 고정핀(10)의 첨두부(14)에 단열재(2)를 올려놓고 단열재(2)를 가압하면 상기 고정핀(10)의 첨두부(14)가 단열재(2)를 관통하여 노출되는 것이고, 상기 단열재(2)의 저면은 거푸집(1)의 상면에 밀착될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노출된 고정핀(10)의 첨두부(14)에 별도의 단열재 고정부 재(20)를 올려놓고 가압하면 단열재 고정부재(20)의 핀고정부(27)에 형성된 삽입공(26)으로 고정핀(10)의 끼움부(15)가 억지끼움방식으로 강제 삽입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단열재 고정부재(20)의 하향 가압력에 의해 고정핀(10)의 첨두부(14) 선단이 삽입공(26)의 내측 선단에 맞닿게 되면 이들이 더이상 결합되지 않게 되는 것이고, 끼움부(15)와 삽입공(26)의 억지끼움에 의해 이들은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단열재 고정부재(20)의 핀고정부(27)는 원통체(21)의 저면보다 하향 돌출되어 있으므로 상기의 핀고정부(27) 하단은 단열재(2)를 파고들면서 고정되므로 추후에 실시되는 콘크리트 타설공정에서의 페이스트가 상기의 핀고정부(27)에 의해 가로막혀 고정핀(10)과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므로 고정핀(10)의 분리 작업시 경화된 페이스트에 의한 고착현상으로 인한 분리의 어려움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특히, 상기 단열재 고정부재(20)의 원통체(21) 외측 하단에 형성된 압입편(22)은 단열재(2)과 단열재 고정부재(20)의 밀착력을 높여주면서도 쐐기형의 압입돌기(23)는 단열재(2)의 내부 깊숙히 파고들어가 상호간의 견고한 고정력을 부여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단열재(2)의 결합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타설된 콘크리트 슬래브의 양생이 종료되면 도 6의 도시와 같이 상기의 거푸집(1)과 고정핀(10)을 동시에 분리 제거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거푸집(1)은 비교적 넓은 면적과 크기를 갖고 있어 일시에 전 체면에 대한 동시 분리가 이루어지지 않을 것이므로 보편적으로 거푸집(1)의 일측단을 잡아당겨 순차적으로 분리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분리작업의 특성상 상기의 고정핀(10)에는 상당의 휨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의 고정핀(10)에 작용하는 휨력은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로 된 핀고정부(27)로 전달되면서 고정핀(10)을 대신하여 핀고정부(27)가 휘어지게 되므로 결국 상기의 고정핀(10)은 온전한 상태로 분리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의 고정핀(10)이 온전한 상태로 거푸집(1)과 함께 용이하게 분리되므로 고정핀(10)에 대한 재사용률이 매우 높아 경제적인 것이고, 거푸집(1)의 분리 작업 역시 비교적 수월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단열재 고정구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단열재 고정구의 분리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단열재 고정구의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단열재 고정구에 의한 단열시공 과정도로서, 거푸집과 고정핀의 결합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단열재 고정구에 의한 단열시공 과정도로서, 고정핀과 단열재 고정부재에 의한 거푸집과 단열재의 시공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단열재 고정구에 의한 단열시공 과정도로서, 단열 시공된 콘크리트 슬래브로부터 고정핀과 거푸집을 분리한 상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거푸집 2 : 단열재
3 : 콘크리트 슬래브
10 : 고정핀 11 : 핀몸체
12 : 고정홈 13 : 슬릿장공
14 : 첨두부 15 : 끼움부
16 : 경사부 17,17' : 공기배출홈
20 : 단열재 고정부재 21 : 원통체
22 : 압입편 23 : 압입돌기
24 : 매립편 25 : 마감부
26 : 삽입공 27 : 핀고정부
28 : 경사면 29,29' : 보강대

Claims (4)

  1. 핀몸체(11)의 중간부에 형성된 고정홈(12)과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슬릿장공(13)을 갖는 고정핀(10)과; 원통체(21)의 외면 하측으로 압입돌기(23)를 갖는 압입편(22)을 사방으로 돌출 형성하고, 원통체(21)의 외면 상측에는 매립편(24)을 사방으로 분할 돌출 형성하여 된 단열재 고정부재(20)로 된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10)은, 선단의 첨두부(14)를 갖는 끼움부(15)를 형성하고 상기 끼움부(15)와 고정홈(12)의 사이는 끼움부(15)로부터 점차 확장되는 경사부(16)로 형성하며,
    상기 단열재 고정부재(20)는, 원통체(21)의 선단을 밀폐하는 마감부(25)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원통체(21)의 내측에는 마감부(25)에 선단이 연결되고 고정핀(10)의 끼움부(15)가 억지끼움에 의해 결합되게 한 삽입공(26)을 갖는 핀고정부(27)를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구조를 갖는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구.
  2. 제 1항에 있어서,
    고정핀(10)의 끼움부(15)에는 양측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공기배출홈(17)(17')을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구조를 갖는 알루미늄 거 푸집의 단열재 고정구.
  3. 제 1항에 있어서,
    단열재 고정부재(20)의 핀고정부(27) 하단 외면에는 첨단부가 형성되게 한 경사면(28)을 형성하고 고정부재(20)의 저면보다 하향 돌출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구조를 갖는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구.
  4. 제 1항에 있어서,
    단열재 고정부재(20)의 핀고정부(27) 외면에는 수직 길이방향으로 보강대(29)(29')를 돌출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구조를 갖는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구.
KR1020080133858A 2008-12-24 2008-12-24 개선된 구조를 갖는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구 KR1010344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3858A KR101034462B1 (ko) 2008-12-24 2008-12-24 개선된 구조를 갖는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3858A KR101034462B1 (ko) 2008-12-24 2008-12-24 개선된 구조를 갖는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5221A KR20100075221A (ko) 2010-07-02
KR101034462B1 true KR101034462B1 (ko) 2011-05-17

Family

ID=42637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3858A KR101034462B1 (ko) 2008-12-24 2008-12-24 개선된 구조를 갖는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44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24151A (zh) * 2020-10-28 2021-02-05 中国一冶集团有限公司 一种嵌入式预埋套筒安装装置及预埋套筒安装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1638Y1 (ko) 1997-06-26 2000-03-02 정철호 데크플레이트용 인서트
KR20010071638A (ko) * 1998-07-08 2001-07-28 윌리암 로엘프 드 보에르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KR20040023279A (ko) * 2002-09-11 2004-03-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토스터 겸용 전자 레인지
KR20040031161A (ko) * 2002-10-04 2004-04-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양성자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상기 고분자 조성물을이용한 고분자막 및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
KR200423279Y1 (ko) 2006-05-08 2006-08-07 주이태 단열재용 인서트
KR200431161Y1 (ko) 2006-09-01 2006-11-15 신진수 단열재 고정장치
KR100741995B1 (ko) 2006-10-18 2007-07-23 병 균 임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구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1638Y1 (ko) 1997-06-26 2000-03-02 정철호 데크플레이트용 인서트
KR20010071638A (ko) * 1998-07-08 2001-07-28 윌리암 로엘프 드 보에르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KR20040023279A (ko) * 2002-09-11 2004-03-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토스터 겸용 전자 레인지
KR20040031161A (ko) * 2002-10-04 2004-04-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양성자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상기 고분자 조성물을이용한 고분자막 및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
KR200423279Y1 (ko) 2006-05-08 2006-08-07 주이태 단열재용 인서트
KR200431161Y1 (ko) 2006-09-01 2006-11-15 신진수 단열재 고정장치
KR100741995B1 (ko) 2006-10-18 2007-07-23 병 균 임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5221A (ko) 2010-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204337B2 (en) Formwork panel for concreting formworks
KR101433654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용 슬리브 리브 조인트, 이를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1849752B1 (ko) 외장패널 고정용 지지장치
KR101674823B1 (ko) 충전형 앵커 소켓을 이용한 보 단면증설 방법
KR101526889B1 (ko) 영구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코핑 시공방법
KR102316502B1 (ko) 단열갱폼 및 단열갱폼을 이용한 건물벽체 시공방법
DE112006001476T5 (de) Formelement als Träger zugleich für Innen- und Außenmaterial und Bauverfahren zur Ausformung einer Betonstruktur
KR101899248B1 (ko) 슬라브 단열재 고정구
KR101034462B1 (ko) 개선된 구조를 갖는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구
KR101552226B1 (ko) T형 데크플레이트의 중공폼 설치구조
KR101795986B1 (ko) 거푸집 겸용 단열마감재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814387B1 (ko) 경제적인 유지관리용 정착장치가 구비된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 거더 시공방법
KR20100061030A (ko) 개선된 구조를 갖는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구
KR20100023228A (ko) 분리형 플렛타이
KR20190089355A (ko) 거푸집 패널 조립용 연결패널 및 그 연결패널을 이용한 거푸집 패널 조립구조
KR101053705B1 (ko) 메탈패널 연결구조
KR20100041459A (ko) 건축용 패널유닛 및 이를 이용한 보거푸집시스템
KR101899297B1 (ko) 단열재 일체형 외벽시공방법 및 시공장치
KR101803072B1 (ko) 외단열 벽체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단열 벽체 시공방법
KR20100134178A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
CN220080784U (zh) 一种装配式建筑模板
KR20200053193A (ko) 복합 단열재를 사용한 영구 거푸집
KR101677858B1 (ko) 충전형 링 앵커 소켓을 이용한 기둥 단면증설 방법
KR101046020B1 (ko) 탈형과 재조립이 용이한 거푸집의 쐐기 결합구조
KR200415616Y1 (ko) 거푸집 설치용 거푸집 판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