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1030A - 개선된 구조를 갖는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구 - Google Patents

개선된 구조를 갖는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1030A
KR20100061030A KR1020080119901A KR20080119901A KR20100061030A KR 20100061030 A KR20100061030 A KR 20100061030A KR 1020080119901 A KR1020080119901 A KR 1020080119901A KR 20080119901 A KR20080119901 A KR 20080119901A KR 20100061030 A KR20100061030 A KR 201000610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material
pin
heat insulating
formwork
support j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9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병균
임상훈
Original Assignee
임병균
임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병균, 임상훈 filed Critical 임병균
Priority to KR1020080119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61030A/ko
Publication of KR20100061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10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adhesively fixed to the wall; Fastening means therefor; Fixing by means of plastics materials hardening after applic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루미늄 거푸집에 스티로폼 등으로 된 단열재를 설치하기 위한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정핀과 단열재 고정부재 및 콘크리트 침입방지캡으로 된 단열재 고정구가 갖는 우수한 작업성과 경제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고정핀의 설치가 보다 용이하고, 고정핀의 훼손이나 파손이 발생한 경우라도 작업자가 위치의 이동없이 그 자리에서 고정핀의 보완 시공이 가능토록 하는 것이며, 단열 성능 확보에 유리하고 고정핀에 대한 보수 및 기능 강화에 따라 시공품질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며,
단열재의 두께가 허용오차 범위내에서 얇게 생산된 경우라도 단열재 고정부재의 내부로 콘크리트 페이스트의 유입을 차단하도록하여 고정구가 고정핀으로부터 쉽게 거푸집과 함께 분리되면서 상기 고정핀의 재사용이 가능한 것이며, 알루미늄 거푸집면과 단열재 간의 틈새가 없도록 밀착시공하여 단열 성능 확보에도 매우 유리한 것이고, 단열재 고정부재에 대한 제조과정의 단축이 가능하여 제조비용이 절감되어 매우 경제적이고, 콘크리트 페이스트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뚜껑이 탈락하여 발생하는 시공 하자를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거푸집, 고정핀, 고정부재, 단열재, 침입방지막, 지지턱

Description

개선된 구조를 갖는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구 {Device for fixing insulator of aluminium form}
본 발명은 알루미늄 거푸집에 스티로폼 등으로 된 단열재를 설치하기 위한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알루미늄 거푸집에 결합 고정되는 고정핀의 구조를 변경하여 시공 방법을 개선하고, 고정핀과 결합되면서 단열재를 고정하는 단열재 고정부재의 기능을 보완함에 따라, 고정핀을 거푸집에 끼우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과 단열재 고정부재가 갖는 제반 문제점을 보완한 보다 향상된 단열재 고정구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 등에서 거실의 용도로 사용되는 실내공간에서 외부에 면하는 벽면과 천정면에는 결로방지를 위한 단열시공을 하게 된다.
단열시공은 거푸집 공사시 외부에 위치한 거푸집의 일면에 폭 30cm의 단열재를 깔고 고정못으로 고정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단열재가 콘크리트면에 매립되어 거푸집 제거 후 천정과 벽체면에 노출되도록 한다.
이러한 단열시공에서 거푸집 면에 단열재를 설치하는 방법은 거푸집의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
종전에 사용되던 철재 프레임에 합판을 부착한 거푸집인 유로폼(Euro form)의 경우에는 단열재 고정못을 이용하여 단열재를 고정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거푸집을 해체하면 단열재는 콘크리트에 매립되고, 고정못은 합판에 부착된 상태로 탈락하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최근에는 초고층화의 추세에 따라 유로폼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경량으로 설치 및 해체 등의 작업이 쉽고 전용회수가 많으며 콘크리트 표면을 미려하게 성형할 수 있는 알루미늄 거푸집의 사용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알루미늄 거푸집은 초기비용은 많이 드는 편이나 알루미늄을 녹여 압출 성형하므로 제조 규격이 일정하여 조립시 조인트의 틈새가 없으며 표면이 평활하고 경량으로 작업이 용이하며 전용회수가 많아 초고층에 사용할 경우에는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상기의 알루미늄 거푸집에 단열재를 설치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알루미늄 거푸집의 내표면에 단열재 설치면적에 상당하는 단턱을 형성하여 이 단턱부에 합판을 부착하고, 이 합판에 단열재를 상기의 고정못으로 고정하는 방법을 채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합판을 부착하는 별도의 공정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일정 회수 사용 후 합판의 손상으로 이를 교체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비용의 증가로 인하여 알루미늄 거푸집의 장점인 콘크리트면의 미려함과 전용회수 증가 등의 장점이 반감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방법중 또 다른 방법은 알루미늄 거푸집과 이 알루미늄 거푸집의 내표면에 나사못으로 고정하여 안착되는 단열재를 관통하는 알루미늄 고정봉과, 고정봉 위에 단열재를 눌러 끼운 후 이 고정봉의 상단에 씌워짐과 아울러 단열재에 압입되는 합성수지재 마개로 구성된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구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
첫째, 공장에서 고정봉을 알루미늄 거푸집에 결합할 경우에는 알루미늄 거푸집에서 돌출된 고정봉으로 인하여 적재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알루미늄 거푸집과 고정봉 및 덮개를 별도로 현장 반입한 다음, 현장에서 리벳 작업에 의해 고정봉을 알루미늄 거푸집에 고정하게 되므로, 통상적으로 현장은 공장에 비해 작업환경이 열악하여 작업능률이 저하되고 품질확보에 어려움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현장에서 알루미늄 거푸집에 고정봉을 고정한 상태에서 거푸집 설치위치로 양중하는 과정에서 고정봉의 돌출부가 손상되기 쉬워 거푸집 역할을 하기 전에 다시 보완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등 작업능률 저하요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고정봉이 고정되어 돌출된 여러 개의 알루미늄 거푸집을 거푸집 작업장소로 양중할 경우, 돌출된 고정봉으로 인하여 알루미늄 거푸집 간에 간섭이 일어나게 되고 이러한 간섭에 의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넷째, 고정봉은 알루미늄으로서 강도가 약해 충분한 강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그 직경을 15mm 이상으로 비교적 굵게 해야 하는데 이 경우 단열재를 알루미늄 거푸집의 내표면에 안착시키면서 눌러서 고정봉이 단열재를 뚫고 나오도록 하는 과정에서 단열재의 훼손이 심하게 발생되며, 이 경우 보완작업을 추가해야 하므로 추가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다섯째, 마개와 고정봉의 고정구조가 충분히 구비되지 않고, 마개의 캡부를 고정봉의 돌출부에 씌우는 것이므로 콘크리트 타설시 합성수지재 마개가 고정봉으로부터 탈락하여 단열재의 고정상태 불량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알루미늄 거푸집과 단열재 사이로 콘크리트가 유입되어 단열재의 성능이 저하되기 때문에 재시공이 필요하게 되므로 단열성능 저하 및 추가비용 발생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특허등록 제10-0741995호에 게시된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구"는 도 1과 도 2의 도시와 같이, 고정핀(110)과 단열재 고정부재(120) 및 콘크리트 침입방지캡(130)을 알루미늄 거푸집(101)과 분리한 상태에서 운반하여 거푸집(101)을 조립하는 작업 위치에서 고정핀(10)을 알루미늄 거푸집(101)에 고정하고 고정핀(10)과 단열재 고정부재(20)에 의해 단열재(102)를 원터치식으로 고정하는 것이므로 작업조건이 열악한 현장에서도 신속하고 간편하며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취급과정에서 고정핀(110) 등이 손상될 염려가 없게 되고, 양중과정에서 돌출물로 인한 알루미늄 거푸집(101) 간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아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고정핀(110)에 첨예형 첨두부가 형성되고 그 직경이 작아 단 열재(102)를 고정하는 과정에서 단열재(102)가 훼손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보완작업과 이로 인한 추가비용의 부담이 없고,
알루미늄 거푸집(101)에 대한 단열재(102)의 고정상태가 확실하게 유지되어 알루미늄 거푸집(101)과 단열재(102) 사이로 콘크리트 페이스트가 유입되는 일이 없게 되고, 이에 따라 재시공과 이에 따른 단열성능 저하 및 추가비용 발생을 배제할 수 있으며, 제조원가 절감과 시공성 향상 및 인건비 절감을 기할 수 있도록 한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구를 안출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구에 있어, 단열재 고정부재는 스티로폼으로 된 단열재의 경우 제조과정에서 오차 범위 내에서 얇게 제조된 경우가 발생하거나 운반 및 설치과정에서 국소부위의 눌림이 발생한 경우 단열재와 단열재 고정부재 간의 틈새를 통해 콘크리트 페이스트가 유입되어 고정핀이 분리되지 않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즉, 스티로폼 등으로 제조되는 단열재는 상기와 같은 제조과정 또는 운반 및 설치과정에서 허용되는 두께의 범위 내에서 얇게 제조되거나 압력에 의해 눌려 국부적인 압축부분이 발생하는 경우, 고정핀과 단열재 고정부재는 균일한 높이와 수치를 갖고 제조되기 때문에 상기의 단열재 고정부재와 단열재 사이에는 틈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유동성을 갖는 콘크리트 페이스트는 콘크리트 타설 압력에 의해 상기의 틈새로 유입될 것이며, 이와 같이 단열재 고정부재의 틈새를 통해 내측으로 유입되는 콘크리트 페이스트는 그대로 응고되므로 결국 상기의 고정핀과 단열재 고정부재는 서로 고착된 상태를 갖게 되는 것이고, 이와 같이 콘크리트 페이스트의 응고에 의해 고착된 고정핀은 거푸집의 분리 과정에서 상기의 단열재 고정부재와 분리되지 않고 콘크리트에 매립되는 경우가 발생하므로 거푸집 제거 후 천정면으로 노출된 고정핀을 일일이 제거하여야 하는 것이다.
또한, 고정핀이 분리되지 않은 거푸집의 해당 부위에는 새로운 고정핀을 재설치하여야 하므로 그에 따른 비용과 노력이 소요되는 것이다.
특히, 천정 시공의 경우 거푸집의 저면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삽입되는 기존의 고정핀은 거푸집을 조립하기전 알루미늄 거푸집에 고정핀을 미리 끼운 후 거푸집을 조립하여야하므로 거푸집의 조립을 위한 운반 및 후속작업에 의해 상기의 고정핀이 훼손되거나 손상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것인데,
거푸집의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의 고정핀에 대한 훼손이나 손상이 발견되면 작업자는 조립된 거푸집의 밑으로 이동하여 상기의 고정핀을 보완하는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것이다.
이에 따른 작업의 경우 거푸집의 지지를 위해 설치된 써포트 등의 가설재가 거푸집의 하측에 위치하므로 상기의 가설재에 의해 작업자의 통행이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벽체 거푸집으로 막혀있는 좁은 통로를 통해 훼손된 고정핀을 찾아 내어 발판을 놓고 해당의 고정핀을 보완하여야 하는 과정은 상당한 불편함과 많은 시간을 요구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번거로움과 경제적 또는 시간적 손실이 막대하므로 훼 손된 고정핀에 대한 교체와 보수를 기피하고 있는 실정으로 고정핀의 보완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부실한 시공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의 고정핀을 끼운 후 단열재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단열재에 조금 무리한 힘이나 압력을 가하면 고정핀의 탄성 걸림판이 변형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인데, 상기의 고정핀이 날개 형태로 돌출된 탄성 걸림판은 버팀력이나 지탱하는 힘이 미약하여 작은 압력으로도 쉽게 찌그러지거나 휘어지므로 여름철 고온의 작업 환경에서 특히 쉽게 변형하므로 상기 고정핀에 대한 지지력의 저하 및 기능 저하로 인해 정밀 시공에 상당한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상술한 단열재 고정부재에는 사출 성형상의 기초적인 원리에 의해 부득이하게 단열재 고정부재의 노출 단부를 밀폐하는 콘크리트 침입방지캡이 사용되는 것인데, 상기의 콘크리트 침입방지캡은 비교적 작은 크기의 원형으로 제작되므로 취급이 번거롭고 조립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즉, 상기의 콘크리트 침입방지캡은 별도의 사출 금형을 제작하여 생산하여야 하므로 실질적인 기능 및 역할에 비하여 과도한 금형비와 사출비가 소요되는 것이고, 개별적인 조립과 끼움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인건비의 과도한 소모로 제조원가의 상승요인으로 작용한다 할 것이다.
특히, 상기의 콘크리트 침입방지캡을 인력에 의해 개개로 끼워 조립하므로 부주의한 작업으로 인한 조립 불량이 발생한 경우에는 콘크리트 침입방지캡이 단열재 고정부재로부터 탈락하거나 틈새가 발생하게 되어, 결국 콘크리트 페이스트가 단열재 고정부재의 내측으로 유입되면서 고정핀을 고착시키게 되므로 상기의 고정 핀이 콘크리트 슬래브에 함께 매립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폐단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구에 있어, 알루미늄 거푸집에 끼워지는 고정핀의 고정부를 변경하여 상기 고정핀을 거푸집의 상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삽입되게 구성하며,
단열재 고정부재는 저면에 원형으로 페이스트 침입방지막을 돌출 형성하고, 단열재 고정부재의 상측단에는 몸체보다 얇은 막을 성형한 후 이들이 반원형의 성형지그에 맞닿아 성형되는 원통체 마감부를 형성함으로써,
종래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구가 갖는 제반의 문제점을 합리적으로 극복하고자 기능과 효과를 향상시킨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구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단에 첨두부를 갖는 핀몸체에 의한 고정핀과; 원통체의 하단에 형성되는 압입편과 압입돌기 및 원통체의 상단에 형성되는 매립편과 원통체의 내측에 형성되는 탄성걸림편을 갖는 단열재 고정부재와; 단열재 고정부재의 상단에 결합되는 콘크리트 침입방지캡으로 된 알루 미늄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핀몸체의 하부에는 고정홈을 형성하여 상기 고정홈에 의한 상부지지턱과 하부지지턱이 형성되게 하고, 상기 핀몸체에는 길이방향으로의 슬릿장공을 형성하여 핀몸체가 내측으로의 탄성력을 갖게 하며, 상기 단열재 고정부재의 원통체 저면에는 하향 돌출되는 페이스트 침입방지막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일반적인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구가 갖는 우수한 작업성과 경제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고정핀의 설치가 용이하고 견고한 고정 작업이 가능하고, 고정핀의 훼손이나 파손이 발생한 경우라도 작업자가 위치의 이동없이 그 자리에서 고정핀에 대한 보완 시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저 시공성이 향상되며, 단열재의 확실한 고정 설치가 이루어져 단열 성능 확보에 유리한 것이고, 고정핀에 대한 보완이나 보수 및 기능 강화에 따라 시공품질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스티로폼으로 된 단열재의 두께가 균일하지 않을 경우라도 단열재의 표면과 단열재 고정부재 간의 틈새가 발생하지 않아 콘크리트 페이스트의 유입이 없는 것이며, 콘크리트 페이스트의 유입 차단으로 인해 고정핀이 쉽게 거푸집과 함께 분리되면서 상기 고정핀의 재사용이 가능한 것이며, 알루미늄 거푸집면과 단열재 간의 틈새를 방지하여 단열 성능 확보에도 매우 유리한 것이다.
또한, 단열재 고정부재의 제조시간 및 과정의 단축이 가능하여 제조비용이 절감되어 매우 경제적이다.
또한, 콘크리트 페이스트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뚜껑이 탈락하여 발생하는 시공 하자의 발생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재 고정구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재 고정구의 분리 단면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구는 고정핀(10과 단열재 고정부재(20) 및 콘크리트 유입방지캡(30)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고정핀(10)은 합성수지에 의해 사출 성형된 것으로서, 핀몸체(12)의 상단에는 첨두부(11)가 형성되어 있고, 핀몸체(12)의 하단에는 원형의 삽입유도부(1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의 핀몸체(12) 하측부에는 고정홈(13)이 형성되어 있어 핀몸 체(12)와 고정홈(13)과의 단차에 의해 상부지지턱(14)과 하부지지턱(15)이 각기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13)이 형성된 핀몸체(12)에는 상,하 길이방향으로의 슬릿장공(16)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의 단열재 고정부재(20)는 수직의 원통체(21)로 이루어지고 원통체(21)의 하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압입편(22)이 형성되고, 압입편(22)의 저면으로는 쐐기형태로 된 압입돌기(2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원통체(21)의 선단에는 매립편(24)이 사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압입편(22)과 매립편(24)은 그 배열을 동일하게 할 수도 있으나 도시와 같이 그 배열위치가 평면상 서로 교호로 배치되도록 하여 금형제작을 단순화하고 생산원가를 저렴하게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의 원통체(21) 내면에는 바람직하게는 4개로 분할 형성된 탄성 걸림편(25)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원통체(21)의 하단에는 단면상 쐐기형상의 첨단부(26a)를 갖는 페이스트 침입방지막(26)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의 콘크리트 침입방지캡(30)은 납작한 원형의 일반적인 캡의 형태를 갖고 있고, 상기 단열재 고정부재(20)의 선단으로 압입에 의해 끼워져 조립되는 것이다.
도 5는 상기 단열재 고정부재(20)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로서, 그 제조공정을 나타낸 것인데, 전술한 단열재 고정부재(20)와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되, 원통체(21)의 선단에 일체의 원통체 마감부(28)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즉, 상기의 단열재 고정부재(20)는 합성수지를 사출 성형하여 얻어지는 것으로서, 원통체(21)의 선단에는 반원형의 얇은 막이 균등 분할로 수직 전개된 상태의 차단막(27)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차단막(27)은 별도의 성형지그(T)를 통해 원통체(21)의 선단에 반원형의 원통체 마감부(28)를 형성하게 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의 원통체(21) 내부에는 돌출된 탄성 걸림편(25)이 형성되어야 할 것이므로 상기의 탄성 걸림편(25)을 사출 성형하기 위해서는 사출 금형의 특성상 원통체(21)의 상,하단이 모두 개방된 구조를 갖고 있어야만 하는 것이다.
따라서, 분할 전개 상태로 된 차단막(27)을 원통체(21)의 선단에 일체로 사출 성형한 상태에서 단열재 고정부재(20) 및 상기의 차단막(27)이 냉각에 의해 경화되기 전 연화상태에서 저면에 반구형상을 갖는 별도의 성형지그(T)를 상기의 차단막(27)에 가압하면 수직 분할 상태의 차단막(27)이 중앙을 향하여 모아지게 되는 것이고, 이들 각각의 차단막(27)이 동시에 모아지게 되면 반구형의 원형단면을 형성하게 되므로 이러한 상태에 차단막(27)이 냉각되어 경화상태가 되면 상기의 성형지그(T)를 제거하는 경우 성형이 완료된 원통체 마감부(28)는 원통체(21)의 상부를 완전히 밀폐시키는 캡의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차단막(27)은 원통체(21)의 두께보다는 얇은 두께로 제작하는 것이 이상적인데, 바람직하게는 원통체(21)의 두께에 비하여 2/3 수준의 두께로 차단막(27)을 성형하여 상기의 차단막(27)이 부드러운 절곡력을 갖도록 하면서 각기 전개 분할 상태의 차단막(27)이 성형지그(T)에 의해 자연스러운 반원형태로 절곡하 여 융합되어 경화하면 된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은 원통체 마감부(28)를 갖는 단열재 고정부재(20)는 별도의 캡을 사용하지 않고도 자체의 원통체 마감부(28)에 의해 타설되는 콘크리트 페이스트 등이 단열재 고정부재(2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된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구에 의한 거푸집과 단열재의 시공 과정을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단계로, 도 6a의 도시와 같이 핀구멍(1a)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거푸집(1)에 고정핀(10)의 하단을 거푸집(1)의 상면으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삽입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핀구멍(1a)은 내경이 6mm 인것이 가장 이상적이다.
2단계로, 도 6b의 도시와 같이 상기의 고정핀(10)을 거푸집(1)에 끼워 조립하면 상기의 고정핀(10)이 견고한 고정 상태가 이루어지는 것인데, 상기의 고정핀(10)에는 거푸집(1)의 두께에 해당하는 고정홈(13)이 형성되어 있고, 고정홈(13)의 상,하부에는 상부지지턱(14)과 하부지지턱(15)이 각기 형성되어 있어 상기의 상부지지턱(14)과 하부지지턱(15)은 거푸집(1)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밀착하면서 상기의 고정핀(10)이 유동하거나 임의 분리되지 않도록 견고한 고정 상태가 유지되게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고정핀(10)에 있어 하단 삽입유도부(17)의 외경은 거푸집(1)의 핀구멍(1a) 내경과 동일하거나 작아야 할 것이고, 하부지지턱(15)과 상부지지턱(14) 부분은 핀구멍(1a)의 내경보다 커야 할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지지턱(14)과 하부지지턱(15)의 외경은 8mm의 외경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또한, 상기 슬릿장공(16)의 내폭은 2mm가 적당한 것으로서, 고정핀(10)을 거푸집(1)에 삽입하여 고정하기 위해 하향 압입하는 경우 8mm의 하부지지턱(15)이 슬릿장공(16)에 의해 내측으로 변형될 것이고, 2mm의 슬릿장공(16)에 의해 8mm의 외경을 갖는 하부지지턱(15)은 일시적으로 6mm의 외경을 갖고 축소되므로 핀구멍(1a)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상부지지턱(14)은 평면상 원형이어서 거푸집(1)의 표면 전체에 밀착되는 반면, 하부지지턱(15)은 평면상 타원형의 형상을 갖고 있는데 상기의 슬릿장공(16)은 타원형의 단축방향에 위치하므로 타원형태의 하부지지턱(15)이 슬릿장공(16)을 향해 내측으로 축소되면 타원형의 외형이 일시적으로 원형의 상태가 되어 원형의 핀구멍(1a)으로 내측으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고정핀(10)의 하단 삽입유도부(17)를 거푸집(1)의 핀구멍(1a)을 향하여 가압하면 하부지지턱(15)이 내측으로 모아지며 축소되면서 핀구멍(1a)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것이고, 고정핀(10)의 고정홈(13)에 핀구멍(1a)이 일치하게 되면 하측지지턱(15)과 함께 축소되었던 고정홈(13)이 본래의 형태로 복원되면서 핀구멍(1a)의 내측에 긴밀하게 삽입되는 것이고, 축소되었던 상부지지턱(14)과 하부지지턱(15)은 확장되면서 거푸집(1)의 상,하 표면에 밀착되어 고정핀(10)의 견고한 고정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3단계로서, 도 6c의 도시와 같이 알루미늄 거푸집(1)의 상면으로 돌출된 고정핀(10)의 첨두부(11)에 단열재(2)를 올려놓고 상기의 단열재(2)를 하향 가압하면 고정핀(10)의 첨두부(11)가 단열재(2)를 관통하여 노출되는 것이며, 단열재(2)의 저면은 거푸집(1)의 상면에 밀착되는 것이다.
이때의 고정핀(10)에 형성된 첨두부(11)는 크기가 작고 외경이 작아 단열재(2)를 쉽게 뚫고 노출되는 것이며, 이와 같은 작업 과정에서 고정핀(10)의 첨두부(11)에 의해 단열재(2)가 파손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하게 된다.
4단계로서, 도 6d의 도시와 같이 단열재(2)의 상부면으로 돌출된 고정핀(10)의 첨두부(11)에 단열재 고정부재(20)를 결합하여 고정하면 되는 것인데, 단열재 고정부재(20)의 원통체(21) 저면을 통해 고정핀(10)의 첨두부(11)가 삽입되도록 상기 단열재 고정부재(20)를 하향 가압하게 되면 상기의 첨두부(11)는 원통체(21) 내측의 탄성 걸림편(25)을 상측으로 밀어 올리게 되는 것이고,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단열재(2)를 압축하면서 단열재 고정부재(20)를 가압하면 상기 첨두부(11)가 탄성 걸림편(25)을 지나치게 되는 것이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단열재 고정부재(20)를 가압하던 힘을 제거하면 첨두부(11)의 하단에 탄성 걸림편(25)이 계지되면서 이들 고정핀(10)과 단열재 고정부재(20)의 견고한 원터치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단열재 고정부재(20)는 고정핀(10)에 대하여 원터치 방식으로 견고한 고정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이고, 상기의 단열재 고정부재(20)는 단열재(2)를 압축하면서 고정핀(10)이 결합되므로 가압하던 힘을 제거하면 단열재(2) 의 복원력이 단열재 고정부재(20)를 상측으로 밀어올리는 힘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고정핀(10)과 단열재 고정부재(20)의 유동없는 견고한 고정상태가 이루어짐은 물론 상기 거푸집(1)에 대하여 단열재(2)의 밀착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상기 단열재 고정부재(20)의 압입편(22)에 형성된 압입돌기(23)는 단열재(2)를 파고들면서 더욱 견고하고 안정된 고정이 이루어지게 하면서 원통체(21)의 하단에 형성된 페이스트 침입방지막(26) 역시 첨단부(26a)를 통해 단열재(2)를 파고들면서 상호 간의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도 5단계로서, 도 6e의 도시와 같이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거푸집(1)과 고정핀(10)을 단열재(2) 및 콘크리트 슬래브(3)로부터 분리 제거하면 되는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이 단열재(2)의 상부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소정의 두께를 갖는 콘크리트 슬래브(3)가 양생되는 것인데, 콘크리트 타설 과정에서 콘크리트 페이스트가 단열재 고정부재(20)의 저면과 단열재(2) 상면의 틈새를 통해 단열재 고정부재(20)의 내측으로 유입되려 하는 경우 상기 원통체(21) 하단의 페이스트 침입방지막(26)이 단열재(2)에 파고들어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의 콘크리트 페이스트는 단열재 고정부재(20)의 내측으로 유입될 수 없는 것이다.
또한, 원통체(21)의 상부에 별도의 콘크리트 침입방지캡(30)을 결합하여 그 선단을 밀폐할 수도 있으나, 원통체(21)의 상부에 일체의 원통체 마감부(28)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의 콘크리트 몰탈 및 콘크리트 페이스트는 단열재 고정부재(20)의 내부로 전혀 유입될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 슬래브가 완전히 양생된 상태에서 알루미늄 거푸집(1)을 해체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 고정핀(10)의 첨두부(11)는 원통체(21) 내측의 탄성 걸림편(25)을 하측방향으로 절곡시키면서 강제로 분리되는 것이다.
또한, 압입편(22)과 압입돌기(23)가 단열재(2)에 압입되어 있는 상태의 단열재 고정부재(20)는 그 매립편(24)과 원통체(21)가 콘크리트 슬래브(3)에 매립 고정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의 단열재(2)는 단열재 고정부재(20)를 통해 콘크리트 슬래브(3)에 고정 매립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다.
이에, 상기의 거푸집(1)과 거푸집(1)에 끼워진 고정핀(10)은 파손없이 온전한 상태로 분리되므로 반복적인 재사용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단열재 고정구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단열재 고정구에 의한 단열시공예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재 고정구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재 고정구의 분리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재 고정구에 있어, 단열재 고정부재의 제작과정도
도 6a 내지 도 6e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재 고정구에 의한 단열시공 과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거푸집 2 : 단열재
3 : 콘크리트 슬래브
10 : 고정핀 11 : 첨두부
12 : 핀몸체 13 : 고정홈
14 : 상부지지턱 15 : 하부지지턱
16 : 슬릿장공 17 : 삽입유도부
20 : 단열재 고정부재 21 : 원통체
22 : 압입편 23 : 압입돌기
24 : 매립편 25 : 탄성 걸림편
26 : 페이스트 침입방지막 27 : 차단막
28 : 원통체 마감부
30 : 콘크리트 침입방지캡

Claims (3)

  1. 상단에 첨두부(11)를 갖는 핀몸체(12)에 의한 고정핀(10)과; 원통체(21)의 하단에 형성되는 압입편(22)과 압입돌기(23) 및 원통체(21)의 상단에 형성되는 매립편(24)과 원통체(21)의 내측에 형성되는 탄성걸림편(25)을 갖는 단열재 고정부재(20)와; 단열재 고정부재(20)의 상단에 결합되는 콘크리트 침입방지캡(30)으로 된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핀몸체(12)의 하부에는 고정홈(13)을 형성하여 상기 고정홈(13)에 의한 상부지지턱(14)과 하부지지턱(15)이 형성되게 하고, 상기 핀몸체(12)에는 길이방향으로의 슬릿장공(16)을 형성하여 핀몸체(12)가 내측으로의 탄성력을 갖게 하며,
    상기 단열재 고정부재(20)의 원통체(21) 저면에는 하향 돌출되는 페이스트 침입방지막(26)을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구조를 갖는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구.
  2. 제 1항에 있어서,
    고정핀(10)의 핀몸체(12) 하단에는 원형의 삽입유도부(17)를 형성하고, 핀몸체(12)의 고정홈(13)은 거푸집(1)의 핀구멍(1a)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도록 구성하며, 상부지지턱(14)과 하부지지턱(15)의 외경은 고정홈(13)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고 형성되게 하여, 거푸집(1)의 핀구멍(1a)을 향해 핀몸체(12)의 하단이 삽입 되고, 하부지지턱(15)은 슬릿장공(16)에 의해 일시적으로 압축되었다가 핀구멍(1a)에 고정홈(13)이 위치하면서 탄성복원되며 상기 핀몸체(12)가 상부지지턱(14)과 하부지지턱(15)에 의해 거푸집(1)에 견고하게 고정되게 구성하고,
    핀몸체(12)의 상부지지턱(14)은 평면상 원형으로 구성하고, 하부지지턱(15)은 평면상 타원형으로 형성하되, 타원형 단면으로 된 하부지지턱(15)의 장축방향은 고정홈(13)의 외경보다 크고 하부지지턱(15)의 단축방향은 고정홈(13)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하며, 상기의 슬릿장공(16)은 하부지지턱(15)의 단축방향으로 형성되게 하여, 상기의 슬릿장공(16)으로 인해 내측으로 압축되는 하부지지턱(15)의 외경은 거푸집(1)의 핀구멍(1a) 내경과 동일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구조를 갖는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구.
  3. 제 1항에 있어서,
    단열재 고정부재(20)의 원통체(21) 선단에는 반구형상을 균등 전개한 형상의 차단막(27)을 돌출 성형하고, 사출 형성 직후 냉각전 상태의 차단막(27)을 원통체(21)의 중앙을 향하도록 변형 경화시켜 원통체(21)의 선단에 반원형의 원통체 마감부(28)가 형성되게 하여,
    별도의 콘크리트 침입방지캡(30)을 사용하지 않고도 상기 원통체 마감부(28)에 의해 콘크리트 페이스트가 단열재 고정부재(20)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구조를 갖는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열 재 고정구.
KR1020080119901A 2008-11-28 2008-11-28 개선된 구조를 갖는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구 KR201000610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9901A KR20100061030A (ko) 2008-11-28 2008-11-28 개선된 구조를 갖는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9901A KR20100061030A (ko) 2008-11-28 2008-11-28 개선된 구조를 갖는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1030A true KR20100061030A (ko) 2010-06-07

Family

ID=42361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9901A KR20100061030A (ko) 2008-11-28 2008-11-28 개선된 구조를 갖는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6103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328B1 (ko) * 2014-01-23 2014-12-09 박영식 방수턱 거푸집
KR20170012931A (ko) 2015-07-27 2017-02-06 배용웅 유로폼 단열재 고정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328B1 (ko) * 2014-01-23 2014-12-09 박영식 방수턱 거푸집
KR20170012931A (ko) 2015-07-27 2017-02-06 배용웅 유로폼 단열재 고정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320386A1 (en) Recess former for concrete panels
KR20100061030A (ko) 개선된 구조를 갖는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구
KR100806221B1 (ko) 거푸집용 판넬폼 및 이 거푸집용 판넬폼을 이용한 벽체거푸집 어셈블리
KR101552226B1 (ko) T형 데크플레이트의 중공폼 설치구조
KR102025991B1 (ko) 중단열벽체용 단열재고정구
US6883772B2 (en) Extensions for apertures in panels
KR101795986B1 (ko) 거푸집 겸용 단열마감재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899248B1 (ko) 슬라브 단열재 고정구
KR101034462B1 (ko) 개선된 구조를 갖는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구
KR100447474B1 (ko) 단열재용 인서트
KR101041490B1 (ko) 개선된 구조의 거푸집용 단열재 고정구
US6821466B2 (en) Extensions for apertures in panels
KR20090019232A (ko)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구
KR20100023228A (ko) 분리형 플렛타이
JP4058702B1 (ja) 断熱基礎
KR102520125B1 (ko) 거푸집 패널
KR101053705B1 (ko) 메탈패널 연결구조
KR20190089355A (ko) 거푸집 패널 조립용 연결패널 및 그 연결패널을 이용한 거푸집 패널 조립구조
KR101677423B1 (ko) 빔 연결 고정 장치
KR20110035576A (ko) 단열재 고정구
JP4697626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柱の接合方法
JP5391404B2 (ja) アルミ製改装フェンス
JP7034433B2 (ja) コンクリート製埋設型枠及びコンクリート製埋設型枠と後打ちコンクリートとの一体化方法
KR200339379Y1 (ko) 건축용 슬리브 어셈블리
KR20190104668A (ko) 거푸집용 지지대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