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4178A -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4178A
KR20100134178A KR1020090052668A KR20090052668A KR20100134178A KR 20100134178 A KR20100134178 A KR 20100134178A KR 1020090052668 A KR1020090052668 A KR 1020090052668A KR 20090052668 A KR20090052668 A KR 20090052668A KR 20100134178 A KR20100134178 A KR 201001341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ansion
concrete structure
expansion joint
longitudinal direction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2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환종
Original Assignee
이환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환종 filed Critical 이환종
Priority to KR1020090052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34178A/ko
Publication of KR20100134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41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02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 E01C11/04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for cement concrete paving
    • E01C11/10Packing of plastic or elastic materials, e.g. wood, resi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축부재의 좌,우측부 외측면에 형성된 돌출부의 단부에 각각 돌기부를 길이방향으로 일체가 되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신축부재와 콘크리트와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신축이음장치의 콘크리트 거동에 따른 설치의 안정성을 확보하여 누수를 미연에 방지하고, 유지보수비용을 최소화하여 경제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신축부재 및 구조물의 수명을 장구히 연장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신축부재의 개방된 상부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부에 결합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부에는 거푸집의 일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이 형성된 커버를 제공함으로써, 설치의 용이성 및 작업의 효율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신축부재의 좌,우측부 외측면 하부에 일정 길이 연장된 날개부를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날개의 상면에는 다수의 결합돌기를 길이방향으로 형성함으로써, 콘크리트와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신축이음장치가 안정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신축부재, 돌기부, 커버, 결합홈, 삽입홈, 보강대, 날개부, 결합돌기, 지지대

Description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Expansion joint for concrete construction}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신축부재의 양측에 형성된 돌출부의 단부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돌기부를 형성하여 타설되는 콘크리트와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구조적 안정화를 꾀할 수 있고, 콘크리트 구조물의 거동에 따른 대응성을 향상시켜 구조물의 수명을 장구히 연장시킬 수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 예컨데 터널, 교량, 옹벽, 관로 등을 신축할 경우 온도 변화에 따른 구조물의 파손을 최소화하고,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일정 면적으로 구획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된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이 일정 면적으로 구획될 경우 구획되는 부분에 는 반드시 신축이음장치가 게재되어 외부의 환경 요인 즉, 온도변화에 따른 콘크리트의 거동에 용이하게 대응하여 구조물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수명을 장기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종래의 신축이음장치는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어 왔는바, 그 일예로 본 발명의 출원인이 선출원한 특허출원 제10-2009-0014346호를 나타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부(12)(14)의 일단을 연결시키는 연결부(16)로 이루어져서 내부에는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중공부가 마련된 채널형상의 신축부재(10)와, 상기 좌,우측부(12)(14) 내측면에 접하도록 신축부재(10) 내부에 구비되는 금속제 지지플레이트(20)와, 일단은 상기 지지플레이트(2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신축부재(10)의 좌,우측부(12)(14)를 관통하여 신축부재(10) 외부로 노출되는 앵커볼트(30)로 구성되며, 상기 좌,우측부(12)(14)의 외측면에는 각각 길이방향으로 돌출부(19)가 형성되고, 상기 신축부재(10)의 상부에 커버(42)와 거푸집(2)이 순차적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종래의 신축이음장치는 상기 지지플레이트(20)가 신축부재(10)로부터 분리될 우려가 없어 콘크리트 거동에 따른 대응성을 향상시켜 신축이음장치는 물론 구조물의 수명까지도 연장시키는데 일조하였다.
그러나, 상기 신축부재(10)에 상기 지지플레이트(20)를 설치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20)에 앵커볼트(30)를 체결하는 등의 제조공정이 매우 복잡하고 구성 요소가 많아 생산성이 저하되어 생산단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으며, 금속 재질의 상기 지지플레이트(20)와 앵커볼트(30)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녹이 발생하여 지지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고, 온도변화에 따른 구조물의 거동에 의해 앵커볼트(30)와 구조물과의 결합력이 저하되어 콘크리트의 거동이 클 경우 신축이음장치가 이탈하여 그 사이로 누수가 발생하여 그에 따른 유지보수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을 야기시켰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신축부재의 좌,우측부 외측면에 형성된 돌출부의 단부에 각각 돌기부를 길이방향으로 일체가 되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신축부재와 콘크리트와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신축이음장치의 콘크리트 거동에 따른 설치의 안정성을 확보하여 누수를 미연에 방지하고, 유지보수비용을 최소화하여 경제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신축부재 및 구조물의 수명을 장구히 연장할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를 제공하고자 안출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신축부재의 개방된 상부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부에 결합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부에는 거푸집의 일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이 형성된 커버를 제공함으로써, 설치의 용이성 및 작업의 효율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신축부재의 좌,우측부 외측면 하부에 일정 길이 연장된 날개부를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날개의 상면에는 다수의 결합돌기를 길이방향으로 형성함으로써, 콘크리트와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신축이음장치가 안정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외측면에 각각 다수의 돌출부가 형성된 좌,우측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지며, 내부에는 충진재가 삽입되는 신축부재와, 상기 신축부재의 개방된 상부에 설치되어 폐쇄시키는 커버와, 상기 커버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거푸집으로 이루어지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부의 외측면에 형성된 돌출부의 단부에는 각각 돌기부를 길이방향으로 일체로 형성하여 콘크리트 구조물과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콘크리트의 거동시 신축부재가 이탈되지 않게 하며, 상기 커버의 하부에는 상기 신축부재의 상단과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홈을 길이방향으로 형성하고, 상부에는 상기 거푸집의 일단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신축부재와 동일한 길이로 제공되는 수직판과, 상기 수직판의 일측 상/하부에 수평판이 일체로 형성된 보강대를 별도로 구비하여 사출 성형시 상기 신축부재의 내부 양측벽에 매입되도록 형성하여 신축부재의 지지력과 강도를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온도 변화에 따른 거동에 대응할 수 있도록 이음부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신축부재의 좌,우측부 외측면에는 "ㄱ"자 형태의 지지대를 대칭되게 각각 설치하고, 좌,우측부 외측면 하부를 양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시켜 날개부를 형성하되, 상기 날개부의 상면에는 다수의 결합돌기를 길이방향으로 형성하고, 상기 날개부의 저면에는 요홈을 길이방향으 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신축부재와 콘크리트와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신축이음장치의 콘크리트 거동에 따른 설치의 안정성을 확보하여 누수를 미연에 방지하고,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소요되는 부품의 수를 감소시켜 제조공정을 단순화하여 경제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신축부재 및 구조물의 수명을 장구히 연장할 수 있고, 상기 커버에 의해 거푸집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신축이음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신축이음장치의 결합 상태를 도시해 보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신축이음장치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해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신축이음장치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신축이음장치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해 보인 단면도 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는 신축부재(100)와 커버(200) 및 거푸집(300)으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신축부재(100)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이음부 상/하부에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며, 그 사이에 상기 거푸집(300)이 설치되는 것으로서, 고무 재질을 상부가 개방된 단면이 "
Figure 112009035830620-PAT00001
"형태가 되도록 사출 성형하되, 양측에는 좌,우측부(110)(120)가 형성되며, 상기 좌,우측부(110)(120)의 하부를 연결하는 연결부(130)로 이루어지게 되며, 상기 좌,우측부(110)(120)의 외측면에는 각각 일정 길이로 돌출된 돌출부(112)(122)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112)(122)의 단부에는 각각 길이방향으로 돌기부(114)(124)를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돌기부(114)(124)는 신축부재(100)의 좌,우측부(110)(120)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와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여 종래의 앵커볼트(30)가 수행하던 기능을 하도록하여 신축이음장치의 제조시 지지플레이트(20)와 앵커볼트(30)의 설치가 불필요하여 제조공정의 단순화를 꾀할 수 있고, 생산성을 향상시켜 생산단가를 저감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신축부재(100)의 내부에는 충진재(140)를 길이방향으로 삽입시켜 콘크리트 구조물의 거동에 대응하여 수축되면서 상기 신축부재(100)의 좌,우측부(110(12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200)는 상기 신축부재(100)와 동일한 재질로 사출 성형되어 구비되어 상기 신축부재(100)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 폐쇄시키고, 상부에 거푸집(300)이 삽입되어 설치되는 것으로서, 하부에는 결합홈(210)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부에는 삽입홈(220)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신축부재(100)의 상단이 상기 결합홈(210)에 긴밀하게 삽입, 결합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상기 삽입홈(220)에는 거푸집(300)의 일단이 긴밀하게 삽입되어 콘크리트 타설시 상기 신축부재(100)의 내부로 모르타르가 유입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신축부재(100)와 동일한 길이로 제공되는 수직판(152)과, 상기 수직판(152)의 일측 상/하부에 수평판(154)이 일체로 형성된 보강대(150)를 별도로 구비하여 사출 성형시 상기 신축부재(100)의 내부 양측벽에 매입되도록 하여 신축부재(100)의 지지력과 강도를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부재(100)는 고무재질을 일정 형태로 사출 성형하여 일정 길이로 구비하되, 사출 성형시 좌,우측부(110)(120) 외측면에 "ㄱ"자 형태의 지지대(150')가 매립되게 사출 성형하거나 상기 신축부재(100) 성형시 신축부재(100)의 좌,우측부(110)(120) 외측면에 각각 홈을 형성한 후 상기 지지대(150')를 각각 상기 홈에 긴밀하게 삽입시켜 매립되게 하면 되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 신축부재(100)의 좌,우측부(110)(120) 외측면 하부를 각각 양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시켜 날개부(160)(170)를 형성하되, 상기 날개부(160)(170)의 상면에는 다수의 결합돌기(162)(172)를 길이방향으로 형성하고, 상기 날개부(160)(170)의 저면에는 요홈(164)(174)을 길이방향으로 형성하여 줌으로써, 타설되는 콘크리트와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콘크리트 구조물의 대응에도 신축이음장치가 이탈되지 않고 안정되게 설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인 신축이음장치의 설치는 먼저 좌,우측 부(110)(120)가 연결부(130)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 신축부재(100)를 일정 길이로 구비하되, 상기 신축부재(100)의 내부에는 충진재(140)를 삽입시킨 다음 신축부재(100)의 개방된 상단에 상기 커버(200)의 결합홈(210)을 긴밀하게 삽착시키고, 상기 커버(200)의 상부에 형성된 삽입홈(220)에는 거푸집(300)의 하단을 긴밀하게 삽입시킨 후 상기 거푸집(300)의 상단에 커버(200)가 설치된 상태의 신축부재(100)를 대칭으로 설치한 다음 신축이음장치의 일측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소성시키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가 소성되어 형성된 구조물은 온도의 변화에 따라 수축과 팽창을 반복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신축부재(100)의 돌출부(112)(122) 단부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돌기부(114)(124)에 의해 신축부재(100)와 구조물과의 결합력이 증대되어 콘크리트 거동에 따른 신축부재(100)의 이탈을 방지하여 신축이음장치는 물론 구조물의 수명까지도 장구히 연장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신축부재(100)의 내부 양측벽에 보강대(150)를 매립할 경우 신축부재(100)의 지지력 및 강도가 크게 향상되어 구조물의 거동이 클 경우에도 충분히 지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부재(100)의 좌,우측부(110)(120)의 하부에 날개부(160)(170)를 연장되게 형성하고, 상기 날개부(160)(170)의 상/하부면에 각각 결합돌기(162)(172)와 요홈(164)(174)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의 거동에 따른 대응력과 결합력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당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다양한 변형적 실시예가 제시될 수 있음은 물론일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신축이음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해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신축이음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신축이음장치의 결합 상태를 도시해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신축이음장치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해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신축이음장치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신축이음장치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해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신축부재 110, 120 : 좌,우측부
112, 122 : 돌출부 114. 124 : 돌기부
130 : 연결부 140 : 충진재
150 : 보강대 150' : 지지대
160, 170 : 날개부 162, 172 : 결합돌기
164, 174 : 요홈 200 : 커버
210 : 결합홈 210 : 삽입홈
300 : 거푸집

Claims (3)

  1. 외측면에 각각 다수의 돌출부가 형성된 좌,우측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지며, 내부에는 충진재가 삽입되는 신축부재와, 상기 신축부재의 개방된 상부에 설치되어 폐쇄시키는 커버와, 상기 커버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거푸집으로 이루어지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부(110)(120)의 외측면에 형성된 돌출부(112)(122)의 단부에는 각각 돌기부(114)(124)를 길이방향으로 일체로 형성하여 콘크리트 구조물과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콘크리트의 거동시 신축부재(100)가 이탈되지 않게 하며, 상기 커버(200)의 하부에는 상기 신축부재(100)의 상단과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홈(210)을 길이방향으로 형성하고, 상부에는 상기 거푸집(300)의 일단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220)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재(100)와 동일한 길이로 제공되는 수직판(152)과, 상기 수직판(152)의 일측 상/하부에 수평판(154)이 일체로 형성된 보강대(150)를 별도로 구비하여 사출 성형시 상기 신축부재(100)의 내부 양측벽에 매입되도록 형성하여 신축부재(100)의 지지력과 강도를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
  3. 콘크리트 구조물의 온도 변화에 따른 거동에 대응할 수 있도록 이음부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신축부재(100)의 좌,우측부(110)(120) 외측면에는 "ㄱ"자 형태의 지지대(150')를 대칭되게 각각 설치하고, 좌,우측부(110)(120) 외측면 하부를 양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시켜 날개부(160)(170)를 형성하되, 상기 날개부(160)(170)의 상면에는 다수의 결합돌기(162)(172)를 길이방향으로 형성하고, 상기 날개부(160)(170)의 저면에는 요홈(164)(174)을 길이방향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
KR1020090052668A 2009-06-15 2009-06-15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 KR201001341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668A KR20100134178A (ko) 2009-06-15 2009-06-15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668A KR20100134178A (ko) 2009-06-15 2009-06-15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4178A true KR20100134178A (ko) 2010-12-23

Family

ID=43509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2668A KR20100134178A (ko) 2009-06-15 2009-06-15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3417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806B1 (ko) * 2013-08-08 2015-03-05 현태식 분리형 매립 실런트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180151B1 (ko) * 2020-01-31 2020-11-23 주식회사 리안 성형 줄눈재 시공세트 및 이를 이용한 줄눈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806B1 (ko) * 2013-08-08 2015-03-05 현태식 분리형 매립 실런트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180151B1 (ko) * 2020-01-31 2020-11-23 주식회사 리안 성형 줄눈재 시공세트 및 이를 이용한 줄눈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0860B1 (ko) 이중 피씨벽패널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합성 벽체 시공 방법
KR101207786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 모듈
KR101599811B1 (ko) 파형강판 결합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526889B1 (ko) 영구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코핑 시공방법
KR101645525B1 (ko) 트윈월 및 트윈월을 이용하여 제작된 트윈월 구조체의 시공방법
KR20090129254A (ko) 마감콘크리트가 필요 없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시공방법
KR20100134178A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
KR101447722B1 (ko) 저형고 합성형 라멘교 및 그 시공방법
KR101552226B1 (ko) T형 데크플레이트의 중공폼 설치구조
KR100993674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
KR100427908B1 (ko) 콘크리트 비 해체 조립형 신축이음 보수공법
KR101580194B1 (ko) 공장제작형 소켓부재, 이와 공장제작된 강재거더를 이용한 강합성 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100927188B1 (ko) 전단연결재가 구비된 콘크리트 거더와 섬유강화플라스틱합성바닥판의 연결구조 및 연결시공방법
KR20110001144U (ko) 방수성 및 정착력이 개선된 교량의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
CN208965888U (zh) 半灌浆套筒
KR200448679Y1 (ko) 철근 간섭 방지형 교량 신축이음장치
KR100878465B1 (ko) 커플러를 이용한 교량용 거더, 이를 포함하는 교량, 및 그 시공 방법
KR102477305B1 (ko) 콘크리트구조물의 거푸집용 철근연결구
CN213013896U (zh) 一种桥梁施工用伸缩缝装置
KR20150066090A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
KR101834423B1 (ko) 변단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보
KR100331085B1 (ko) 콘크리트 구조물용 슬래브판
KR101034462B1 (ko) 개선된 구조를 갖는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구
KR101084668B1 (ko) 콘크리트와의 부착력이 우수한 모노셀형 신축이음장치
KR101693743B1 (ko) T형 데크플레이트의 중공폼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