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6090A -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6090A
KR20150066090A KR1020130151195A KR20130151195A KR20150066090A KR 20150066090 A KR20150066090 A KR 20150066090A KR 1020130151195 A KR1020130151195 A KR 1020130151195A KR 20130151195 A KR20130151195 A KR 20130151195A KR 20150066090 A KR20150066090 A KR 201500660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rod
elastic member
support plate
concrete structure
expa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1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환종
이성규
Original Assignee
이환종
이성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환종, 이성규 filed Critical 이환종
Priority to KR1020130151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6090A/ko
Publication of KR20150066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60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6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in foundation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의 신축에 긴밀하게 대응할 뿐만 아니라 구조물 내부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되는 새로운 구조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로서,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상호 이격배치되는 좌측벽(110) 및 우측벽(120)과, 상기 좌, 우측벽(110,120)의 일단을 연결시키는 연결부(130)로 이루어져서, 상기 연결부(130)에 대향되는 부위가 개방부(140)를 형성하며, 상기 개방부(140)가 내부로 향하도록 설치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을 위한 간격부(10)를 커버하는 신축부재(100); 상기 신축부재(100)의 좌, 우측벽(110,120) 내측면에 각각 접하도록 신축부재(100)에 끼워지는 한 쌍의 금속제 지지플레이트(200); 및 일단은 상기 지지플레이트(200)에 용접되고 타단은 상기 개방부(140)를 통해 신축부재(100)의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입되는 금속제 앵커봉(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Expansion joint for concrete construction}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의 신축에 긴밀하게 대응할 뿐만 아니라 구조물 내부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되는 새로운 구조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는 온도에 따라 신축되는데, 이러한 콘크리트의 신축에 대응을 하지 못하면 콘크리트가 균열 및 파열되어 구조물이 손상된다. 따라서 콘크리트 구조물에는 이러한 콘크리트의 신축에 대응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되어야 하는데, 특히, 교량이나 옹벽, 터널, 관로와 같이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구조물은 콘크리트의 신축에 대응할 수 있도록 일정한 길이마다 신축이음장치가 게재된다.
도 1은 본원인에 의해 제안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신축이음장치는 단면이 채널형상을 갖는 신축부재(2)와, 이 신축부재(2)의 좌우 내측면에 구비되는 금속제 지지플레이트(4)와, 일단이 상기 지지플레이트(4)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신축부재(2) 외측으로 돌출되는 앵커볼트(6)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신축이음장치는 앵커볼트(6)가 신축부재(2)의 양 측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기 때문에, 신축부재(2)의 양측면에는 앵커볼트(6)가 끼워지는 관통공(7)이 형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신축이음장치는 구조물의 외부에서 신축이음부재와 콘크리트구조물의 이음매부분으로 유입되는 빗물이 상기 관통공(7)을 통해 신축이음부재 내부로 유입되어 누수가 발생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93674호(2010.11.04)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에 긴밀하게 대응할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구조물과의 결합성도 우수하며, 구조물 내부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되는 새로운 구성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을 위한 간격부(10)에 설치되는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상호 이격배치되는 좌측벽(110) 및 우측벽(120)과, 상기 좌, 우측벽(110,120)의 일단을 연결시키는 연결부(130)로 이루어져서, 상기 연결부(130)에 대향되는 부위가 개방부(140)를 형성하며, 상기 개방부(140)가 내부로 향하도록 상기 간격부(10)를 커버하는 신축부재(100); 상기 신축부재(100)의 좌, 우측벽(110,120) 내측면에 각각 접하도록 신축부재(100)에 끼워지는 한 쌍의 금속제 지지플레이트(200); 및 일단은 상기 지지플레이트(200)에 용접되고 타단은 상기 개방부(140)를 통해 신축부재(100)의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입되는 금속제 앵커봉(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좌, 우측벽(110,120)의 상기 개방부(140) 측 단부에는 측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고정날개(112,122)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앵커봉(300)은 기단부가 상기 지지플레이트(200)에 용접되고, 선단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200)에 대해 경사지도록 절곡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플레이트(200)의 폭방향 일단부에는 경사부(210)가 형성되어, 지지프레이트(200)는 상기 경사부(210)가 상기 개방부(140)를 통해 신축부재(100)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신축부재(10))에 끼워지고; 상기 앵커봉(300)은 직선형태로 되어, 기단부가 상기 경사부(210)에 용접되어, 상기 앵커봉(300)이 상기 지지플레이트(200)에 대해 외측으로 돌출경사진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신축부재(100) 내부에 지지플레이트(200)가 구비되고 일단이 상기 지지플레이트(200)에 결합된 앵커봉(300)이 신축부재(100)의 개방부(140)를 통해 신축부재(100)의 측방향으로 돌출되기 때문에, 신축부재(100)에는 앵커봉(300)을 외부로 돌출시키기 위한 관통공이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은 신축부재(100)에 의해 구조물의 신축에 긴밀하게 대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의 신축이음장치와 달리 신축이음장치 내부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앵커봉(300)이 신축부재(100)의 좌, 우측벽(110,120)에 대해 경사지게 돌출되어 앵커봉(300)이 콘크리트 구조물에 경사지게 매입되기 때문에, 신축이음부재와 콘크리트구조물의 일체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지지플레이트(200)의 단부에 경사부(210)가 형성되고, 이 경사부(210)에 앵커봉(300)이 용접되는 경우에는 앵커봉(300)을 직선형태의 것을 사용하여도 앵커봉(300)이 신축부재(100)의 좌,우측벽(110,120)에 대해 경사지게 돌출되므로 앵커봉(300)을 일일이 절곡시켜서 지지플레이트(200)에 용접하는 경우에 비해 제작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신축이음장치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설치상태 단면도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설치상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을 위한 간격부(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벽(110,120)과 이 좌,우측부(110,120)의 일단을 연결시키는 연결부(130)로 이루어진 신축부재(100)와, 신축부재(100)의 좌,우측벽(110,120) 내측면에 접하도록 끼워지는 금속제 지지플레이트(200)와, 기단부가 지지플레이트(200)에 연결된 앵커봉(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신축부재(100)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한 쌍의 좌, 우측벽(110,120)과, 이들 좌,우측벽(110,120)의 일단을 연결시키는 연결부(130)로 이루어져서, 상기 연결부(130)에 대향되는 부위가 개방부(140)를 이루는 채널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신축부재(100)는 고무 또는 열가소성 탄성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부(130)는 신축부재(110) 내측으로 만곡되게 절곡된 형상을 갖는데, 이와 같이 연결부(130)가 절곡되면, 연결부(130)가 평면으로 된 경우에 비해 외력에 의한 변형이 용이하여 콘크리트의 신축에 좀 더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좌, 우측벽(110,120)의 개방부(140) 측 단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날개부(112,122)가 형성된다. 이 날개부(112,122)에 의해 신축부재(100)와 콘크리트구조물과의 결합성이 향상되며, 아울러, 날개부(112,122)가 물끊기 기능을 하기 때문에, 콘크리트구조물과 신축부재(100) 사이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상기 지지플레이트(200)는 상기 좌,우측벽(110,120)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신축부재(100)에 끼워진다. 지지플레이트(200)는 신축부재(100)에 대응되는 길이로 좌우 한 쌍이 구비되거나 또는 신축부재(100)의 길이에 비해 짧은 길이를 갖는 것으로 다수 쌍 구비된다. 이러한 지지플레이트(200)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데, 바람직하게는 녹이 발생되지 않는 비철금속이 사용되거나 철판에 도장을 하여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부재(100)의 좌, 우측벽(110,120)의 내측면에는 지지플레이트(200)가 끼워지는 끼움홈(111,113)이 형성된다. 따라서 지지플레이트(200)는 상기 끼움홈(111,113)에 끼워지며, 필요에 따라서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지지플레이트(200)를 끼움홈(111,113)에 고정시킨다. 이러한 지지플레이트(200)는 후술하는 앵커봉(300)이 결합된 상태에서 신축부재(100)에 끼워진다.
그리고 상기 앵커봉(300)은 금속제 원형바아로 이루어지는데, 앵커봉(300) 역시 비철금속으로 이루어지거나 철봉에 도장하여 이루어진다. 앵커봉(300)은 일정간격으로 지지플레이트(200)에 용접된다.
이러한 앵커봉(300)은 기단부가 45°정도 절곡되어, 절곡된 기단부가 상기 지지플레이트(200)에 용접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봉(300)의 기단부를 제외한 부분, 즉, 선단부를 포함하는 부분은 신축부재(100)의 개방부(140)를 통해 외부로 돌출된다. 앵커봉(300)의 기단부가 45°정도로 절곡됨에 따라 앵커봉(300)의 선단부를 포함하는 부분은 지지플레이트(200)와 신축부재(100)의 좌, 우측벽(110,120)에 대해 45°정도 경사진 상태로 신축부재(100)의 좌우 양측으로 돌출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시공된다. 신축이음장치의 앵커봉(300)을 구조물의 골격을 형성하는 철근에 용접연결하거나 거푸집에 연결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는데, 이때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부재(100)의 내부에 충진재(40)로 스티로폼을 끼우고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이와 같이 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을 위한 간격부(10)를 상기 신축부재(100)가 커버하게 되고, 앵커봉(300)은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입되어 신축이음장치가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분리되지 않고 일체성이 확보된다.
특히, 앵커봉(300)이 신축부재(100)의 좌, 우측벽(110,120)에 대해 경사지게 돌출되기 때문에, 신축이음장치가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이탈될 우려가 더욱 저하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및 효과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플레이트(200)의 폭방향 단부에는 경사부(210)가 형성되고, 앵커봉(300)의 기단부가 상기 경사부(210)에 용접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봉(300)은 직선형태로 되어 기단부가 지지플레이트(200)의 경사부(210)에 용접되며, 따라서 앵커봉(300)은 지지플레이트(200)에 대해 경사지게 위치된다.
이와 같이 경사부(210)에 앵커봉(300)이 용접된 지지플레이트(200)는 앵커봉이 신축부재(100)의 개방부(140)를 통해 신축부재(100)의 좌, 우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신축부재(100)에 끼워진다.
이러한 본 실시예는 지지플레이트(200)에 경사부(210)가 형성되어 앵커봉(300)을 직선형태의 것을 사용하여도 앵커봉(300)이 신축부재(100)의 좌,우측벽(110,120)에 대해 경사지게 위치된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앵커봉(300)을 일일이 절곡시키기 않고 지지프레이트(200)의 단부를 절곡시키면 되므로 전술한 실시예에 비해 제작이 용이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는 장점을 가진다.

Claims (4)

  1.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을 위한 간격부(10)에 설치되는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상호 이격배치되는 좌측벽(110) 및 우측벽(120)과, 상기 좌, 우측벽(110,120)의 일단을 연결시키는 연결부(130)로 이루어져서, 상기 연결부(130)에 대향되는 부위가 개방부(140)를 형성하며, 상기 개방부(140)가 내부로 향하도록 상기 간격부(10)를 커버하는 신축부재(100);
    상기 신축부재(100)의 좌, 우측벽(110,120) 내측면에 각각 접하도록 신축부재(100)에 끼워지는 한 쌍의 금속제 지지플레이트(200); 및
    일단은 상기 지지플레이트(200)에 용접되고 타단은 상기 개방부(140)를 통해 신축부재(100)의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입되는 금속제 앵커봉(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 우측벽(110,120)의 상기 개방부(140) 측 단부에는 측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고정날개(112,12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봉(300)은 기단부가 상기 지지플레이트(200)에 용접되고, 선단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200)에 대해 경사지도록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
  4. 제1항 내지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200)의 폭방향 일단부에는 경사부(210)가 형성되어, 지지프레이트(200)는 상기 경사부(210)가 상기 개방부(140)를 통해 신축부재(100)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신축부재(10))에 끼워지고;
    상기 앵커봉(300)은 직선형태로 되어, 기단부가 상기 경사부(210)에 용접되어, 상기 앵커봉(300)이 상기 지지플레이트(200)에 대해 외측으로 돌출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
KR1020130151195A 2013-12-06 2013-12-06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 KR201500660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1195A KR20150066090A (ko) 2013-12-06 2013-12-06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1195A KR20150066090A (ko) 2013-12-06 2013-12-06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6090A true KR20150066090A (ko) 2015-06-16

Family

ID=53514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1195A KR20150066090A (ko) 2013-12-06 2013-12-06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6609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35364A (zh) * 2016-03-03 2016-07-06 上海东方雨虹防水工程有限公司 混凝土接缝防水系统、施工方法及用于该系统的保护构件
CN105780730A (zh) * 2016-03-24 2016-07-20 中水北方勘测设计研究有限责任公司 一种竖向铜止水条与水平橡胶止水带的连接方法
CN108374437A (zh) * 2018-02-11 2018-08-07 浙江联建工程设计有限公司 一种地下室连通部防裂缝结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35364A (zh) * 2016-03-03 2016-07-06 上海东方雨虹防水工程有限公司 混凝土接缝防水系统、施工方法及用于该系统的保护构件
CN105780730A (zh) * 2016-03-24 2016-07-20 中水北方勘测设计研究有限责任公司 一种竖向铜止水条与水平橡胶止水带的连接方法
CN108374437A (zh) * 2018-02-11 2018-08-07 浙江联建工程设计有限公司 一种地下室连通部防裂缝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4606B1 (ko) 교량용 방수 신축이음장치
KR101758889B1 (ko) 물받이 교체가 가능한 물받이 기구
KR20150066090A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
KR101599811B1 (ko) 파형강판 결합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993674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
KR101580194B1 (ko) 공장제작형 소켓부재, 이와 공장제작된 강재거더를 이용한 강합성 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101385991B1 (ko) 신축이음장치용 신축성 마감부재 유닛, 그 마감부재 유닛을 갖는 신축이음장치, 그 신축이음장치의 제작방법 및 시공방법
KR101309100B1 (ko) 세그먼트용 체결장치
JP2018202857A (ja) 管渠用ライニング管の連結部材
JP2006226062A (ja) コンクリ−ト構造物用耐震継手及びその施工方法
JP2016079686A (ja) 止水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止水構造
CN104695588A (zh) 围梁、连接系统及围梁的设计方法和连接系统的设计方法
KR101296429B1 (ko) 알루미늄 일체형 커튼 월 유닛
CN213709922U (zh) 一种现浇混凝土变形缝橡胶止水带用固定楔
KR100466000B1 (ko) 옹벽의 신축연결부
KR100602217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1283556B1 (ko) 농수로용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CN108755761B (zh) 一种抗震综合管廊及其安装方法
KR100986717B1 (ko)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의 연결캡 구조
JP2006161441A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伸縮可能な後施工型可撓継手装置
JP7506010B2 (ja) 止水構造
CN214195021U (zh) 一种施工缝专用止水带
CN221118234U (zh) 一种止水带密封结构
KR102326134B1 (ko) 흄관 연결 소켓
CN215979415U (zh) 一种隧道纵向止水带快速安装定位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