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6717B1 -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의 연결캡 구조 - Google Patents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의 연결캡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6717B1
KR100986717B1 KR1020080061162A KR20080061162A KR100986717B1 KR 100986717 B1 KR100986717 B1 KR 100986717B1 KR 1020080061162 A KR1020080061162 A KR 1020080061162A KR 20080061162 A KR20080061162 A KR 20080061162A KR 100986717 B1 KR100986717 B1 KR 100986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expansion joint
connection
expansion
flang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1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1301A (ko
Inventor
김용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예경산업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예경산업개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예경산업개발
Priority to KR1020080061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6717B1/ko
Publication of KR20100001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1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6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67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01D19/065Joints having sliding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3Waterproofing of bridge decks; Other insulations for bridges, e.g. thermal ; Bridge deck surfac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의 연결캡 구조를 개시한다. 상기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의 연결캡 구조는, 두 개의 핑거플레이트와, 이 각 핑거플레이트의 하부에 고정되어 해당 핑거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이 각 지지부재의 측부에 부착되어 교량 상판의 단부에서 철근과 함께 콘크리트에 의해 매립되는 앵커부재와, 상기 두 지지부재 사이에 연결되어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팽창 또는 수축하는 신축부재를 포함하고, 교량의 긴 폭을 따라 적어도 두 개의 부분으로 나뉘어 설치되는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의 두 대응단부 중 하나에 배치되며, 후측부분에 일측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의 신축부재에 부착되는 플랜지부를 구비하고 전측부분에는 수밀부가 형성되며, 신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 제1 연결캡; 상기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의 대응단부 중 다른 하나에 배치되며, 후측부분에 타측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의 신축부재에 부착되는 플랜지부를 구비하고 전측부분에는 대응 수밀부가 형성되며, 신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 제2 연결캡; 및 상기 제1,2 연결캡 간의 면압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그 제1,2 연결캡을 일체로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교량, 신축, 이음장치, 연결캡, 구조

Description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의 연결캡 구조{Connection cap structure of Expansion joint for Bridge}
본 발명은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의 연결캡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량의 폭을 따라 설치되는 두 개 이상의 신축 이음장치의 연결부분에 편리하게 장착할 수 있게 하고, 온도변화에 따른 교량의 팽창 또는 수축에 대응하게 하며, 신축 이음장치 간의 연결부분을 통해 교량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우수(또는 빗물)가 누수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하는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의 연결캡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수 개의 교각을 가지는 비교적 긴 교량에는 온도 변화에 따른 교량의 팽창 또는 수축에 대응하기 위하여 교량의 상판을 교량의 길이 방향으로 여러 개의 부분으로 나누고, 각 분할된 상판들 사이에는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가 설치된다.
이러한 신축 이음장치는 대기 환경의 온도 변화에 따른 상판의 팽창 또는 수축을 보상하고, 차량의 통행시 상판에 가해지는 활 하중에 의한 회전과 이동, 상판의 고유 특성에 따른 크리프 및 건조 수축 등으로 인한 상판의 유동을 흡수하는 기 능을 하며, 궁극적으로 상판 간의 유격공간을 보상하여 차량의 원활한 통행을 보장하고, 우수가 교량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방수기능도 제공한다.
또한, 다수 개의 차선을 갖는 비교적 폭이 긴 교량에는 교량의 폭방향 유격공간을 따라 다수 개의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가 여러 개의 부분으로 나누어 설치된다. 이러한 신축 이음장치의 분할 구조는 긴 신축 이음장치의 제작뿐만 아니라 운반에 따른 불편을 해소하고, 설치작업시 휨 등에 따른 변형의 우려를 해소한다.
다음은 교량의 상판들 사이에 배치되는 종래 기술에 따른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의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는 두 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진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서, 교량의 폭이 긴 경우에 적용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마주하여 이격되는 상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 차량의 원활한 통행을 가능하게 하는 두 개의 핑거플레이트(2)와, 이 각 핑거플레이트의 하부에 고정되어 해당 핑거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부재(3)와, 이 각 지지부재의 측부에 부착되어 교량 상판의 단부에서 철근과 함께 콘크리트에 의해 매립되는 앵커부재(4)와, 상기 두 지지부재(3) 사이에 연결되어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팽창 또는 수축하는 신축부재(5)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1)는 교량의 긴 폭 전체를 커버하기 위해 일측에 설치되는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와 타측에 설치되는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는 구조이었다. 그 때문에, 상기 두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의 틈새를 통해 교량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우수가 침투하여 하부 구조물의 빠른 부식을 초래하였을 뿐만 아니라, 교량의 아래 지면으로 그대로 흘러내리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교량의 긴 폭을 따라 설치되는 적어도 두 개의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의 대응단부 간에 형성된 유격공간을 통해 우수(또는 빗물)가 교량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누수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하고, 아울러 차량의 이동, 주변기온의 변화 등에 따라 교량의 상판이 반복적으로 팽창 또는 수축될 때 해당 상판과 함께 자유롭게 신축될 수 있게 하는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의 연결캡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호 마주하여 이격되는 상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 차량의 원활한 통행을 가능하게 하는 두 개의 핑거플레이트와, 이 각 핑거플레이트의 하부에 고정되어 해당 핑거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이 각 지지부재의 측부에 부착되어 교량 상판의 단부에서 철근과 함께 콘크리트에 의해 매립되는 앵커부재와, 상기 두 지지부재 사이에 연결되어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팽창 또는 수축하는 신축부재를 포함하고, 교량의 긴 폭을 따라 적어도 두 개의 부분으로 나뉘어 설치되는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의 두 대응단부 중 하나에 배치되며, 후측부분에 일측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의 신축부재에 부착되는 플랜지부를 구비하고 전측부분에는 수밀부가 형성되며, 신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 제1 연결캡; 상기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의 대응단부 중 다른 하나에 배치되며, 후측부분에 타측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의 신축부재에 부착되는 플랜지부를 구비하고 전측부분에는 대응 수밀부가 형성되며, 신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 제2 연결캡; 및 상기 제1,2 연결캡 간의 면압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그 제1,2 연결캡을 일체로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의 연결캡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위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다음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더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2 연결캡의 각 플랜지부는 "V"자 또는 "W"자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연결캡의 수밀부는 면압력을 증대시키는 광역의 돌출부와, 이 돌출부의 상부부분과 양측부분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누수방지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연결캡의 대응 수밀부는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는 오목부와, 상기 누수방지턱을 수용하는 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수단은 일측에 헤드부를 갖고 타측에 나사선을 갖는 몸체부를 가지며, 이 몸체부가 상기 제1,2 연결캡의 적어도 두 개소를 각각 관통하는 볼트부재와, 이 각 볼트부재의 타단부에 나사체결되는 너트 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볼트부재의 헤드부와 상기 제1,2 연결캡의 대응외면 및 상기 너트부재와 상기 제1,2 연결캡의 대응외면 사이의 그 볼트부재의 몸체부에는 각각 상기 볼트부재의 헤드부 또는 너트부재의 외경보다 큰 링부재가 더 끼워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각 제1,2 연결캡의 플랜지부와 그 플랜지부에 인접한 상부 모서리부 사이에는 상기 두 신축부재의 우수채널과 연통하는 개구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각 제1,2 연결캡의 플랜지부와 인접한 하부부분에는 그 연결캡의 신축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일부분이 제거된 절취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각 제1,2 연결캡의 개구부는 상기 플랜지부와 인접한 모서리부를 따라 그 플랜지부 보다 높게 형성되는 돌출턱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1,2 연결캡과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연결캡 구조를 제공하여, 교량의 긴 폭을 따라 설치되는 적어도 두 개의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의 대응단부 간에 형성된 유격공간을 통해 우수(또는 빗물)가 교량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누수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2 연결캡과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연결캡 구조를 제공하 여, 차량의 이동, 주변기온의 변화 등에 따라 교량의 상판이 반복적으로 팽창 또는 수축될 때 제1,2 연결캡도 해당 상판과 함께 자유롭게 신축될 수 있게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의 연결캡 구조의 실시예를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의 연결캡 구조의 전체구성을 보여주는 개략 분해 측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의 연결캡 구조의 제1,2 연결캡을 보여주는 개략 분해 정면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의 연결캡 구조의 제1,2 연결캡을 보여주는 개략 분해 배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의 연결캡 구조는 앞서 도 1을 참조로 하여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호 마주하여 이격되는 상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 차량의 원활한 통행을 가능하게 하는 두 개의 핑거플레이트(2)와, 이 각 핑거플레이트의 하부에 고정되어 해당 핑거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부재(3)와, 이 각 지지부재의 측부에 부착되어 교량 상판의 단부에서 철근과 함께 콘크리트에 의해 매립되는 앵커부재(4)와, 상기 두 지지부재(3) 사이에 연결되어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팽창 또는 수축하는 신축부재(5)를 포함하고, 교량의 긴 폭을 따라 적어도 두 개의 부분으로 나뉘어 설치되는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1)에 적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의 연결캡 구조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제1 연결캡(10), 제2 연결캡(20) 및 고정수단(30)을 포함한 다.
여기서, 상기 제1 연결캡(10)은 상기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1)의 두 대응단부 중 하나에 배치되며, 후측부분에 일측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의 신축부재(5)에 부착되는 플랜지부(11)를 구비하고 전측부분에는 수밀부(12)가 형성되며, 신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연결캡(20)은 상기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1)의 대응단부 중 다른 하나에 배치되며, 후측부분에 타측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의 신축부재(5)에 부착되는 플랜지부(21)를 구비하고 전측부분에는 대응 수밀부(22)가 형성되며, 신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수단(30)은 상기 제1,2 연결캡(10,20) 간의 면압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그 제1,2 연결캡을 일체로 고정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위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다음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더 제공한다.
상기 제1,2 연결캡(10,20)의 각 플랜지부(11,21)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신축부재(5)와의 접착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그 신축부재에 대응하여 "V"자 또는 "W"자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랜지부(11,21)와 상기 신축부재(5) 간에 적용되는 접착제는 그 플랜지부와 신축부재가 일체로 고정될 수 있는 정도이면 공지의 어느 것이라도 사용 가능하다.
상기 제1 연결캡(10)의 수밀부(12)는 면압력을 증대시키는 광역의 돌출부(13)와, 이 돌출부의 상부부분과 양측부분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누수 방지턱(14)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돌출부(13)에 대한 설명에서, "광역"이라는 의미는 누수를 차단하는 데 면압력을 높일 수 있는 정도의 크기 이상을 말한다. 또한, 상기 제2 연결캡(20)의 대응 수밀부(22)는 상기 돌출부(13)를 수용하는 오목부(23)와, 상기 누수방지턱(14)을 수용하는 홈(24)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도 3 참조).
상기 고정수단(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헤드부(31a)를 갖고 타측에 나사선을 갖는 몸체부(31b)를 가지며, 이 몸체부가 상기 제1,2 연결캡(10,20)의 적어도 두 개소를 각각 관통하는 볼트부재(31)와, 이 각 볼트부재의 타단부에 나사체결되는 너트부재(3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볼트부재(31)의 헤드부(31a)와 상기 제1,2 연결캡(10,20)의 대응외면 및 상기 너트부재(32)와 상기 제1,2 연결캡(10,20)의 대응외면 사이의 그 볼트부재(31)의 몸체부(31b)에는 각각 상기 볼트부재(31)의 헤드부(31a) 또는 너트부재(32)의 외경보다 큰 링부재(33)가 더 끼워질 수 있다(도 2 참조).
상기 각 제1,2 연결캡(10,20)의 플랜지부(11,21)와 그 플랜지부에 인접한 상부 모서리부 사이에는 상기 두 신축부재(5)의 우수(빗물)채널(5a)과 연통하는 개구부(34)가 더 형성될 수 있다(도 3과 도 4 참조).
상기 각 제1,2 연결캡(10,20)의 플랜지부(11,21)와 인접한 하부부분에는 그 연결캡의 신축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일부분이 제거된 절취부(35)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2 연결캡(10,20)의 절취부(35)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V"자형 뿐만 아니라, 그 밖의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각 제1,2 연결캡(10,20)의 개구부(34)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부(11,21)와 인접한 모서리부를 따라 그 플랜지부 보다 높게 형성되는 돌출턱(36)을 더 구비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각 돌출턱(36)은 상기 신축부재(5)의 우수채널(5a)에 유입되는 우수를 그 돌출턱(36)을 기준으로 해당 신축부재(5)의 우수채널(5a)을 통해 교량 상판의 폭방향 외측으로 배출할 수 있게 한다. 이 경우, 교량에는 상기 신축부재(5)의 우수채널(5a)로 유입된 우수를 지상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배수관(미도시)이 구비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의 연결캡 구조의 바람직한 조립과정 및 그 작동을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호 마주하여 이격되는 상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 차량의 원활한 통행을 가능하게 하는 두 개의 핑거플레이트(2)와, 이 각 핑거플레이트의 하부에 고정되어 해당 핑거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부재(3)와, 이 각 지지부재의 측부에 부착되어 교량 상판의 단부에서 철근과 함께 콘크리트에 의해 매립되는 앵커부재(4)와, 상기 두 지지부재(3) 사이에 연결되어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팽창 또는 수축하는 신축부재(5)를 포함하는 적어도 두 개의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1)를 마련한다(도 1 참조).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제1 연결캡(10)의 플랜지부(11)를 상기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1)의 두 대응단부 중 하나의 신축부재(5)에 접착제를 매개로 하여 부착한다. 이 경우, 상기 제1 연결캡(10)의 수밀부(12)는 상기 신축부재(5)의 외측에 위치한다(도 7 참조).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제2 연결캡(20)의 플랜지부(21)를 상기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1)의 대응단부 중 다른 하나의 신축부재(5)에 접착제를 매개로 하여 부착한다. 이 경우, 상기 제2 연결캡(20)의 대응 수밀부(22)는 상기 신축부재(5)의 외측에 위치한다(도 7 참조).
이어서, 상기 제1,2 연결캡(10,20)이 부착된 각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1)를 해당 교량의 상판과 상판 사이의 단부에 위치시킨다. 그런 다음, 상기 두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1)의 대응단부를 각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의 양측에 구비된 브래킷(6) 및 볼트와 너트 등과 같은 패스너(미도시)를 통해 일체로 고정한다.
이어서,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2 연결캡(10,20) 간의 면압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그 제1,2 연결캡을 고정수단(30), 예컨대 볼트부재(31)와 너트부재(32)로 고정한다. 이때, 상기 제1,2 연결캡(10,20)의 누수방지턱(14)과 홈(24)의 주위에는 접착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접착제가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볼트부재(31)의 헤드부(31a)와 상기 제1,2 연결캡(10,20)의 대응외면 및 상기 너트부재(32)와 상기 제1,2 연결캡(10,20)의 대응외면 사이의 그 볼트부재(31)의 몸체부(31b)에는 상기 제1,2 연결캡(10,20)의 면압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각각 상기 볼트부재(31)의 헤드부(31a) 또는 너트부재(32)의 외경보다 큰 링부재(33)가 더 끼워질 수 있다(도 5와 도 6 참조).
다른 한편, 상기 제1,2 연결캡(10,20)은 위와 같이 해당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1)에 미리 부착되어 교량의 상판과 상판 사이에 설치되는 것 뿐만 아니라,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1)가 교량의 상판과 상판 사이에 먼저 설치된 후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어서, 교량의 상판과 상판 사이의 단부에 위치한 상기 각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1)의 앵커부재(4)에 공지의 방식으로 다수 개의 철근(미도시)을 교량의 폭방향 및 길이방향으로 각각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교량의 상판(미도시)과 해당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1)를 일체화시킨다.
그러면, 교량에 우수가 내리는 경우, 상기 각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1)의 핑거플레이트(2) 사이의 틈새로 유입되는 우수는 해당 신축부재(5)로 유입되고, 상기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1) 사이로 떨어지는 우수는 상기 제1,2 연결캡(10,20)에 의해 누수가 차단된다. 이어서, 상기 각 신축부재(5)로 유입되는 우수는 해당 신축부재의 우수채널(5a)을 통해 교량의 배수관(미도시)를 통해 지상으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제1,2 연결캡(10,20)의 상부로 떨어지는 우수는 1차로 제1,2 연결캡(10,20) 간의 밀착력에 의해 차단되고, 2차로 그 제1,2 연결캡의 누수방지턱(14)과 홈(24)에 의해 차단되며, 3차로 수밀부(12)와 대응 수밀부(22)에 의해 차단된다(도 2 내지 도 4 참조).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의 단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당 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를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의 연결캡 구조의 전체구성을 보여주는 개략 분해 측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의 연결캡 구조의 제1,2 연결캡을 보여주는 개략 분해 정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의 연결캡 구조의 제1,2 연결캡을 보여주는 개략 분해 배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의 연결캡 구조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개략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의 연결캡 구조의 개략 배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의 연결캡 구조가 두 신축 이음장치 사이에 설치되기 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의 연결캡 구조의 제1,2 연결캡이 두 신축 이음장치의 해당 신축부재에 부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의 연결캡 구조가 두 신축 이음장치 사이에 설치완료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제1 연결캡 11,21: 플랜지부
12: 수밀부 13: 돌출부
14: 누수방지턱 20: 제2 연결캡
22: 대응 수밀부 23: 오목부
24: 홈 30: 고정수단
31: 볼트부재 32: 너트부재
33: 링부재 34: 개구부
35: 절취부 36: 돌출턱

Claims (8)

  1. 상호 마주하여 이격되는 상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 차량의 원활한 통행을 가능하게 하는 두 개의 핑거플레이트와, 이 각 핑거플레이트의 하부에 고정되어 해당 핑거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이 각 지지부재의 측부에 부착되어 교량 상판의 단부에서 철근과 함께 콘크리트에 의해 매립되는 앵커부재와, 상기 두 지지부재 사이에 연결되어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팽창 또는 수축하는 신축부재를 포함하고, 교량의 긴 폭을 따라 적어도 두 개의 부분으로 나뉘어 설치되는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의 두 대응단부 중 하나에 배치되며, 후측부분에 일측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의 신축부재에 부착되는 플랜지부를 구비하고 전측부분에는 수밀부가 형성되며, 신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 제1 연결캡;
    상기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의 대응단부 중 다른 하나에 배치되며, 후측부분에 타측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의 신축부재에 부착되는 플랜지부를 구비하고 전측부분에는 대응 수밀부가 형성되며, 신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 제2 연결캡; 및
    상기 제1,2 연결캡 간의 면압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그 제1,2 연결캡을 일체로 고정하는 고정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의 연결캡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연결캡의 각 플랜지부는 "V"자 또는 "W"자 형태인 것인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의 연결캡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캡의 수밀부는 면압력을 증대시키는 광역의 돌출부와, 이 돌출부의 상부부분과 양측부분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누수방지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연결캡의 대응 수밀부는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는 오목부와, 상기 누수방지턱을 수용하는 홈으로 이루어진 것인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의 연결캡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일측에 헤드부를 갖고 타측에 나사선을 갖는 몸체부를 가지며, 이 몸체부가 상기 제1,2 연결캡의 적어도 두 개소를 각각 관통하는 볼트부재와, 이 각 볼트부재의 타단부에 나사체결되는 너트부재로 이루어진 것인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의 연결캡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부재의 헤드부와 상기 제1,2 연결캡의 대응외면 및 상기 너트부재와 상기 제1,2 연결캡의 대응외면 사이의 그 볼트부재의 몸체부에는 각각 상기 볼트부재의 헤드부 또는 너트부재의 외경보다 큰 링부재가 더 끼워진 것인 교량용 신 축 이음장치의 연결캡 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제1,2 연결캡의 플랜지부와 그 플랜지부에 인접한 상부 모서리부 사이에는 상기 두 신축부재의 우수채널과 연통하는 개구부가 더 형성된 것인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의 연결캡 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제1,2 연결캡의 플랜지부와 인접한 하부부분에는 그 연결캡의 신축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일부분이 제거된 절취부가 더 형성된 것인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의 연결캡 구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제1,2 연결캡의 개구부는 상기 플랜지부와 인접한 모서리부를 따라 그 플랜지부 보다 높게 형성되는 돌출턱을 더 구비한 것인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의 연결캡 구조.
KR1020080061162A 2008-06-26 2008-06-26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의 연결캡 구조 KR100986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1162A KR100986717B1 (ko) 2008-06-26 2008-06-26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의 연결캡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1162A KR100986717B1 (ko) 2008-06-26 2008-06-26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의 연결캡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301A KR20100001301A (ko) 2010-01-06
KR100986717B1 true KR100986717B1 (ko) 2010-10-11

Family

ID=41811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1162A KR100986717B1 (ko) 2008-06-26 2008-06-26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의 연결캡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67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0369B1 (ko) * 2013-04-25 2013-09-23 이용오 누수방지 및 내진보강과 교통통제 시간을 단축하는 신축이음장치 및 그의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0500B1 (ko) * 2014-04-07 2016-10-10 산이건설 주식회사 교량용 연장 슬래브 연결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6807A (ja) 1999-02-04 2000-08-15 Nitta Ind Corp 橋梁用伸縮継手
KR20010049057A (ko) * 1999-11-30 2001-06-15 김태숙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6807A (ja) 1999-02-04 2000-08-15 Nitta Ind Corp 橋梁用伸縮継手
KR20010049057A (ko) * 1999-11-30 2001-06-15 김태숙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0369B1 (ko) * 2013-04-25 2013-09-23 이용오 누수방지 및 내진보강과 교통통제 시간을 단축하는 신축이음장치 및 그의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301A (ko) 2010-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7527B1 (ko) 교량의 슬래브 또는 암거박스 이음부의 누수처리장치
KR100986717B1 (ko)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의 연결캡 구조
KR20140011711A (ko) 도로 교량의 조인트
JP2008095302A (ja) 橋桁止水手段、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174898U (ja) 伸縮装置遊間部の排水装置
KR100909276B1 (ko) 교량 신축이음장치용 방수커플링 구조물
JP6660825B2 (ja) 導水構造および導水構造の施工方法
JP2008095301A (ja) 橋桁止水手段、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993674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
KR20010075743A (ko)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KR100605279B1 (ko) 교량구조물 신축 이음장치
KR100626201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1365436B1 (ko)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
KR101633854B1 (ko) 철도 교량용 신축 이음 누수 보수장치
KR200312771Y1 (ko) 물받이와 봉함재 일체형 신축이음
CN211420852U (zh) 无型材伸缩装置
JP2007239401A (ja) 遊間用止水材および橋梁伸縮装置
JP2011001722A (ja) 保護シートおよび遊間用止水材ユニット
KR20160008037A (ko) 신축이음 일체형 물받이 장치
KR20190012428A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방수구조
KR200335445Y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200272166Y1 (ko) 교량용 신축이음 장치
JP2008095309A (ja) 橋桁止水手段及びそれを備える橋桁止水構造
JP2006161441A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伸縮可能な後施工型可撓継手装置
KR101399189B1 (ko) 교량 배수관용 신축이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