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9276B1 - 교량 신축이음장치용 방수커플링 구조물 - Google Patents

교량 신축이음장치용 방수커플링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9276B1
KR100909276B1 KR1020080104388A KR20080104388A KR100909276B1 KR 100909276 B1 KR100909276 B1 KR 100909276B1 KR 1020080104388 A KR1020080104388 A KR 1020080104388A KR 20080104388 A KR20080104388 A KR 20080104388A KR 100909276 B1 KR100909276 B1 KR 1009092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expansion joint
elastic member
inner diameter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4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부흥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부흥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부흥시스템
Priority to KR1020080104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92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9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92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02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3Waterproofing of bridge decks; Other insulations for bridges, e.g. thermal ; Bridge deck surfac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기밀성이 우수한 교량 신축이음장치용 방수커플링 구조물이 개시된다. 본 방수커플링 구조물은, 한 쌍의 수직부재(12)와, 상기 각 수직부재(12)의 상부에 결합되는 핑거부재(14) 및 신축가능하게 형성되어 양측의 수직부재(12) 사이에 가황접착으로 결합되는 중공의 탄성부재(16)로 이루어진 각각의 신축이음부재(10); 이웃하는 각 신축이음부재(10)를 길이방향으로 결합하여 연결하기 위한 체결부재(18); 및 각 상기 신축이음부재(10) 사이에 구비되어 양단이 상기 탄성부재(16)의 내경(16A)에 끼워지는 끼움 결합부(32)를 구비한 방수커플링(30)으로 이루어진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끼움 결합부(32)의 외측면에는 방수커플링(3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만곡진 굴곡부(34)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16)의 내경(16A)에는 상기 굴곡부(34)가 밀착되면서 안착되어 기밀을 유지하도록 상기 굴곡부(34)와 형합되는 만곡진 안착부(16B)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물에 의하면, 끼움 결합부와 안착부가 같은 곡률에 의해 서로 밀착되어 결합 되므로 기밀성이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신축이음장치, 방수커플링

Description

교량 신축이음장치용 방수커플링 구조물{WATERPROOF COUPLING CAP OF EXPANSION JOINT FOR CONNECTING SLABS OF A BRIDGE}
본 발명은 교량 신축이음장치용 방수커플링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로 결합되어 연결되는 신축이음장치들 사이에 기밀을 유지하여 구비되어 이물질이나 빗물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교량 신축이음장치용 방수커플링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의 구조물은 온도변화 및 하중에 따라서 팽창하고 수축된다. 따라서, 일정한 길이 이상으로 건설되는 교량의 상부 구조물은 일정 길이마다 적정한 유간(간격)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상부 구조물 간의 간격에는 신축되는 이음장치가 설치된다. 이 신축이음장치로 인해 교량의 상부 구조물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신축이음장치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는 교량 상판 사이에 설치되며 상판 폭의 넓이가 신축이음장치의 길이보다 긴 경우에는 신축이음장치를 길이 방향으로 상호 연결한다.
이러한 신축이음장치는 한 쌍의 수직부재(1-2)와, 상기 각 수직부재(1-2)의 상부에 결합되는 핑거부재(1-4) 및 신축가능하게 형성되어 양측의 수직부재(1-2) 사이에 가황접착으로 결합되는 중공의 탄성부재(1-6)로 이루어진 각각의 신축이음부재(1)와, 이웃하는 각 신축이음부재(1)들을 길이방향으로 결합하여 연결하기 위한 체결부재(1-8)와, 각 상기 신축이음부재(1) 사이에 구비되어 양단이 상기 탄성부재(1-6)의 내경(1-6A)에 끼워지는 끼움 결합부(3-2)를 구비한 방수커플링(3)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신축이음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각 신축이음장치(1)의 사이로 이물질이나 빗물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각 신축이음장치(1) 사이에 방수커플링(3)이 설치되었으나, 방수커플링(3)의 끼움 결합부(3-2)가 단순히 인접한 탄성부재(1-6)의 내경(1-6A)에 끼움 결합되어 있었기 때문에 끼움 결합부(3-2)와 내경(1-6A) 사이의 틈으로 이물질이나 빗물이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각 신축이음장치 사이에 게재되는 방수커플링 즉, 일체형 또는 개별형의 방수커플링의 끼움 결합부가 탄성부재의 내경에 기밀을 유지하여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어 빗물이나 이물질 등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한 쌍의 수직부재와, 상기 각 수직부재의 상부에 결합되는 핑거부재 및 신축가능하게 형성되어 양측의 수직부재 사이에 가황접착으로 결합되는 중공의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각각의 신축이음부재;
이웃하는 각 신축이음부재들을 길이방향으로 결합하여 연결하기 위한 체결부재;
각 상기 신축이음부재 사이에 구비되어 양단이 상기 탄성부재의 내경에 끼워지는 끼움 결합부를 구비한 방수커플링으로 이루어진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끼움 결합부의 외측면에는 방수커플링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만곡진 굴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내경에는 상기 굴곡부가 밀착되면서 안착되어 기밀을 유지 하도록 걸리는 상기 굴곡부와 형합되는 만곡진 안착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신축이음장치용 방수커플링 구조물을 제공한다.
다른 실시 예는,
한 쌍의 수직부재와, 상기 각 수직부재의 상부에 결합되는 핑거부재 및 신축가능하게 형성되어 양측의 수직부재 사이에 가황접착으로 결합되고, 내경이 형성되도록 중공형으로 형성된 탄성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에는 이웃하는 다른 탄성부재의 내경에 끼워지기 위한 끼움 결합부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각각의 신축이음부재; 및 이웃하는 각 신축이음부재들을 길이방향으로 결합하여 연결하기 위한 체결부재로 이루어진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끼움 결합부의 외측면에는 끼움 결합부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만곡진 굴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내경에는 상기 굴곡부가 밀착되면서 안착되어 기밀을 유지하여 걸리도록 상기 굴곡부와 형합되는 만곡진 안착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신축이음장치용 방수커플링 구조물을 제공한다.
상기 탄성부재의 하부가 폐쇄된 경우,
상기 굴곡부는 상기 끼움 결합부의 외측면 둘레에 폐곡선을 이루며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내경에 폐곡선을 이루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부재의 하부가 개방된 경우,
상기 굴곡부는 상기 끼움 결합부의 외측면 상부와 좌,우측 영역에만 형성되 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내경의 상부와 좌,우측 영역에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의 하부가 폐쇄된 경우,
상기 굴곡부는 상기 끼움 결합부의 외측면 상,하부영역에만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내경의 상,하부 영역에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부재의 하부가 폐쇄된 경우,
상기 굴곡부는 상기 끼움 결합부의 외측면 좌,우측 영역에만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내경의 좌,우측 영역에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신축이음장치용 방수커플링 구조물은 방수 커플링의 끼움 결합부 외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만곡진 굴곡부가 형성되고, 이 끼움 결합부가 끼워지는 탄성부재의 내경에 굴곡부와 같은 곡률을 갖는 만곡진 안착부가 형성되므로, 굴곡부와 안착부가 기밀을 유지하여 밀착되면서 결합된다. 따라서 각 신축이음장치 사이로 이물질이나 빗물이 유입되는 현상이 차단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굴곡부와 안착부의 접촉면이 커지게 되므로 밀착력 및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으며, 굴곡부와 안착부의 골과 산이 맞물려 있으므로 각 신축이음부재의 길이방향 수축시에도 결합력 및 기밀성이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삭제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각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신축이음장치용 방수커플링 구조물은 각 신축이음부재(10) 사이에 개재되어 기밀을 유지함으로써 이물질이나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신축이음부재(10)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한 쌍의 수직부재(12)와, 상기 각 수직부재(12)의 상부에 결합되는 핑거부재(14) 및 신축가능하게 형성되어 양측의 수직부재(12) 사이에 가황접착으로 결합되는 중공의 탄성부재(16)로 이루어진다. 중공의 탄성부재(16)는 각 수직부재(12)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교량의 수축과 팽창시에 각 수직부재(12)가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구속하는 기능도 갖는다. 상기 탄성부재(16)는 길이방향 양측이 개방된 중공형 구조를 갖으며, 자체 탄성을 갖는 고무재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체결부재(18)는 이웃하는 각 신축이음부재(10)들을 길이방향으로 결합하여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각 신축이음부재(10)의 각 수직부재(12) 단부에 형성되는 체결 브라켓을 통하여 체결되는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볼트와 너트는 적어도 2개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각 신축이음부재(10) 사이에는 방수커플링(30)이 설치된다. 이 방수커플링(30)은 각 신축이음부재(10)가 길이방향으로 서로 연결될 때 연결부위로부터 이물질이나 빗물 등이 신축이음부재(10)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거나 각 신축이음부재(10)가 길이방향으로 신축될 때 이를 흡수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다. 이러한 방수커플링(3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의 패킹부(31)를 중심으로 양측에 끼움 결합부(32)가 형성된 것이다.
이 끼움 결합부(32)는 상기 탄성부재(16)의 내경(16A)에 끼워지는 것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면에는 방수커플링(3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만곡진 굴곡부(3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16)의 내경(16A)에는 상기 굴곡부(34)가 밀착되면서 안착되어 기밀을 유지하도록 상기 굴곡부(34)와 형합되는 형상의 만곡진 안착부(16B)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이다.
다시 설명하면, 상기 끼움 결합부(32)의 둘레에 만곡진 산과 골로 이루어진 굴곡부(34)가 다수개 형성되고, 이 끼움 결합부(32)가 끼워지는 내경(16A)에는 상기 굴곡부(34)와 형합되는 안착부(16B)가 다수개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 것이다. 이때, 굴곡부(34)와 안착부(16B)의 골과 산의 곡률은 같다. 따라서, 굴곡부(34)와 안착부(16B)는 간격없이 기밀을 유지하여 밀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3a,3b,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곡부(34)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굴곡부(34)는 상기 끼움 결합부(32)의 외측면 상,하부영역에만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16B)도 상기 내경(16A)의 상,하부 영역에만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 결합부(32)의 상.하부를 제외한 좌,우측 측면에만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굴곡부(34)는 상기 끼움 결합부(32) 의 외측면 좌,우측 영역에만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16B)는 상기 내경(16A)의 좌,우측 영역에만 형성되어 상기 굴곡부(34)와 기밀을 유지하여 결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측의 신축이음부재(10) 내측에 형성된 탄성부재(16)의 내경(16A)에 방수커플링(30)의 일측에 형성된 끼움 결합부(32)를 끼운다. 이때, 끼움 결합부(32)의 굴곡부(34)가 내경(16A)의 안착부(16B)에 형합되면서 기밀을 유지하여 밀착된다. 이는 굴곡부(34)와 안착부(16B)가 서로 같은 곡률로 형성되어 있어서 서로 틈이 없이 밀착되기 때문이다.
이어서, 타측의 끼움 결합부(32)를 이웃하는 신축이음부재(10) 즉, 서로 결합될 다른 신축이음부재(10)의 내측에 형성된 탄성부재(16)의 내경(16A)에 끼운다.
이때, 탄성부재(16)가 고무재로 형성되고, 방수커플링(30)이 고무재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끼움 결합부(32)는 변형되면서 내경(16A)에 삽입된 후 다시 원상태로 복원된다.
이와 같이 양측의 끼움 결합부(32)가 각 신축이음부재(10)의 양측에 끼워지면 체결부재(18)의 볼트를 수직부재(12)의 단부에 형성된 체결 브라켓의 볼트공을 통과시키고 패킹부(31)의 볼트공을 통과시켜 너트와 체결한다.
이 과정으로 각 신축이음부재(10) 사이에 방수커플링(30)이 배치된 상태에서 양측의 신축이음부재(10)는 견고하게 결합되어 연결되는 것이고, 이로 인하여 각 끼움 결합부(32)의 굴곡부(34)와 탄성부재(16) 측의 안착부(16B)가 기밀을 유지하여 밀착되므로 각 신축이음부재(10)의 연결부위에서의 방수는 물론 이물질의 유입 이 원천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또한, 굴곡부(34)와 안착부(16B)의 골과 산이 서로 맞물려 있기 때문에 양측 신축이음부재(10)의 수축시에도 강한 결합력을 유지하게 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제 2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실시 예에 따른 방수 커플링 구조물은, 방수커플링(30)이 탄성부재(16)에 일체로 구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제 1실시 예와 같다. 즉, 탄성부재(16)의 일측에는 끼움 결합부(16C)가 돌출 형성되고, 타측에는 이웃하는 다른 신축이음부재(10)의 탄성부재(16)에 형성된 상기 끼움 결합부(16C)가 끼워지기 위한 내경(16A)이 형성된다. 즉, 탄성부재(16)의 일측에는 끼움 결합부(16C)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내경(16A)이 각각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끼움 결합부(16C)의 둘레에는 끼움 결합부(16C)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만곡진 굴곡부(16D)가 형성되고, 상기 내경(16A)에는 상기 굴곡부(16D)가 밀착되면서 안착되어 기밀을 유지하여 걸리도록 상기 굴곡부(16D)와 같은 곡률로 만곡진 안착부(16B)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제 1실시 예와 같다.
이와 같이 탄성부재(16)에 끼움 결합부(16C)가 일체로 형성되므로 끼움 결합부(16C)를 서로 연결될 이웃하는 신축이음부재(10)의 탄성부재(16) 내경(16A)에 끼운 후 체결부재(18)를 이용하여 양측의 신축이음부재(10)를 결합하여 연결함으로써, 양측의 신축이음부재(10)는 견고하게 결합되고, 각 굴곡부(16D)가 각 안착부(16B)에 기밀을 유지하여 안착되어 밀착되므로 각 신축이음부재(10) 사이로 이물질이나 빗물이 유입되는 현상이 차단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에는 제 4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16)의 하부가 개방된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제 3실시예와 같다. 이 경우에는 굴곡부(34)와 안착부(16B)가 하부를 제외한 둘레에만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제 5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커플링(30)의 끼움 결합부(32) 외측면에는 방수커플링(30)의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만곡진 굴곡부(37)가 형성되고, 탄성부재(16)의 내경(16A)에는 상기 굴곡부(37)가 밀착되면서 안착되어 기밀을 유지하도록 상기 굴곡부(37)와 형합되는 만곡진 안착부(16E)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각 실시 예와 같다. 즉, 만곡진 산과 골로 이루어진 상기 굴곡부(37)와 안착부(16E)가 방수커플링(30)의 길이방향 또는 끼움 결합부(32)가 끼워지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것이다. 이때, 굴곡부(37)의 끝단에는 안착부(16E)로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모따기 또는 모깍이를 형성하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굴곡부(37)와 안착부(16E)가 방수커플링(30)의 길이방향 또는 끼움 결합부(32)가 끼워지는 방향으로 형성되므로 굴곡부(37)와 안착부(16E)의 결합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 굴곡부(37)와 안착부(16E)가 밀착되므로 기밀이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7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제 5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 결합부(16C)가 신축이음부재(10)에 일체로 형성되고, 이 끼움 결합부(16C) 외측면에 끼움 결합부(16C)의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만곡진 굴곡부(16F)가 형성되고, 이웃하는 신축이음부재(10)의 탄성부재(16) 내경(16A)에는 상기 굴곡부(16F)가 밀착되면서 안착되어 기밀을 유지하도록 상기 굴곡부(16D)와 형합되는 만곡진 안착부(16G)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각 실시 예와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만곡진 산과 골로 이루어진 굴곡부(16F)와 안착부(16G)가 서로 끼워지는 방향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끼움 결합부(16C)를 내경(16A)에 끼우는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만곡진 구조의 굴곡부(16F)와 안착부(16G)가 밀착되므로 기밀이 유지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각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 예에 따른 교량 신축이음장치용 방수커플링 구조물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교량 신축이음장치용 방수커플링 구조물을 도시한 평단면도.
도 3a,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실시 예에 따른 교량 신축이음장치용 방수커플링 구조물로 굴곡부와 안착부가 일부에는 형성된 것을 도시한 일부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실시 예에 따른 교량 신축이음장치용 방수커플링 구조물을 도시한 일부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실시 예에 따른 교량 신축이음장치용 방수커플링 구조물을 도시한 일부확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5실시 예에 따른 교량 신축이음장치용 방수커플링 구조물을 도시한 일부확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6실시 예에 따른 교량 신축이음장치용 방수커플링 구조물을 도시한 일부확대 사시도.
도 8은 종래기술에 의한 교량 신축이음장치용 방수 커플링을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신축이음장치 12 :수직부재
14 : 핑거부재 16 : 탄성부재
16A : 내경 16B,16E,16G : 안착부
16C,32 : 끼움 결합부 16D,16F,34,37 : 굴곡부
18 : 체결부재 30 : 방수커플링

Claims (8)

  1. 한 쌍의 수직부재(12)와, 상기 각 수직부재(12)의 상부에 결합되는 핑거부재(14) 및 신축가능하게 형성되어 양측의 수직부재(12) 사이에 가황접착으로 결합되는 중공의 탄성부재(16)로 이루어진 각각의 신축이음부재(10);
    이웃하는 각 신축이음부재(10)를 길이방향으로 결합하여 연결하기 위한 체결부재(18); 및
    각 상기 신축이음부재(10) 사이에 구비되어 양단이 상기 탄성부재(16)의 내경(16A)에 끼워지는 끼움 결합부(32)를 구비한 방수커플링(30)으로 이루어진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수커플링(30)의 끼움 결합부(32) 외측면에는 방수커플링(3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만곡진 굴곡부(34)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16)의 내경(16A)에는 상기 굴곡부(34)가 밀착되면서 안착되어 기밀을 유지하도록 상기 굴곡부(34)와 형합되는 만곡진 안착부(16B)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신축이음장치용 방수커플링 구조물.
  2. 한 쌍의 수직부재(12)와, 상기 각 수직부재(12)의 상부에 결합되는 핑거부재(14) 및 신축가능하게 형성되어 양측의 수직부재(12) 사이에 가황접착으로 결합되고, 내경(16A)이 형성되도록 중공형으로 형성된 탄성부재(16)를 구비하며, 상기 탄성부재(16)의 일측에는 이웃하는 다른 탄성부재(16)의 내경(16A)에 끼워지기 위한 끼움 결합부(16C)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각각의 신축이음부재(10); 및
    이웃하는 각 신축이음부재(10)들을 길이방향으로 결합하여 연결하기 위한 체결부재(18)로 이루어진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16)의 끼움 결합부(16C) 외측면에는 끼움 결합부(16C)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만곡진 굴곡부(16D)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16)의 내경(16A)에는 상기 굴곡부(16D)가 밀착되면서 안착되어 기밀을 유지하여 걸리도록 상기 굴곡부(16D)와 형합되는 만곡진 안착부(16B)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신축이음장치용 방수커플링 구조물.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16)의 하부가 폐쇄된 경우,
    상기 굴곡부(16D,34)는 상기 끼움 결합부(16C,32)의 외측면 둘레에 폐곡선을 이루며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16B)는 상기 내경(16A)에 폐곡선을 이루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신축이음장치용 방수커플링 구조물.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16)의 하부가 개방된 경우,
    상기 굴곡부(16D,34)는 상기 끼움 결합부(16C,32)의 외측면 상부와 좌,우측 영역에만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16B)는 상기 내경(16A)의 상부와 좌,우측 영역에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신축이음장치용 방수커플링 구조물.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16)의 하부가 폐쇄된 경우,
    상기 굴곡부(16D,34)는 상기 끼움 결합부(16C,32)의 외측면 상,하부영역에만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16B)는 상기 내경(16A)의 상,하부 영역에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신축이음장치용 방수커플링 구조물.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16)의 하부가 폐쇄된 경우,
    상기 굴곡부(16D,34)는 상기 끼움 결합부(16C,32)의 외측면 좌,우측 영역에만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16B)는 상기 내경(16A)의 좌,우측 영역에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신축이음장치용 방수커플링 구조물.
  7. 한 쌍의 수직부재(12)와, 상기 각 수직부재(12)의 상부에 결합되는 핑거부재(14) 및 신축가능하게 형성되어 양측의 수직부재(12) 사이에 가황접착으로 결합되는 중공의 탄성부재(16)로 이루어진 각각의 신축이음부재(10);
    이웃하는 각 신축이음부재(10)들을 길이방향으로 결합하여 연결하기 위한 체결부재(18); 및
    각 상기 신축이음부재(10) 사이에 구비되어 양단이 상기 탄성부재(16)의 내경(16A)에 끼워지는 끼움 결합부(32)를 구비한 방수커플링(30)으로 이루어진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수커플링(30)의 끼움 결합부(32) 외측면에는 방수커플링(30)의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만곡진 굴곡부(37)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16)의 내경(16A)에는 상기 굴곡부(37)가 밀착되면서 안착되어 기밀을 유지하도록 상기 굴곡부(37)와 형합되는 만곡진 안착부(16E)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신축이음장치용 방수커플링 구조물.
  8. 한 쌍의 수직부재(12)와, 상기 각 수직부재(12)의 상부에 결합되는 핑거부재(14) 및 신축가능하게 형성되어 양측의 수직부재(12) 사이에 가황접착으로 결합되고, 내경(16A)이 형성되도록 중공형으로 형성된 탄성부재(16)를 구비하며, 상기 탄성부재(16)의 일측에는 이웃하는 다른 탄성부재(16)의 내경(16A)에 끼워지기 위한 끼움 결합부(16C)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각각의 신축이음부재(10); 및
    이웃하는 각 신축이음부재(10)들을 길이방향으로 결합하여 연결하기 위한 체결부재(18)로 이루어진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16)의 끼움 결합부(16C) 외측면에는 끼움 결합부(16C)의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만곡진 굴곡부(16F)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16)의 내경(16A)에는 상기 굴곡부(16F)가 밀착되면서 안착되어 기밀을 유지하도록 상기 굴곡부(16D)와 형합되는 만곡진 안착부(16G)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신축이음장치용 방수커플링 구조물.
KR1020080104388A 2008-10-23 2008-10-23 교량 신축이음장치용 방수커플링 구조물 KR1009092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4388A KR100909276B1 (ko) 2008-10-23 2008-10-23 교량 신축이음장치용 방수커플링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4388A KR100909276B1 (ko) 2008-10-23 2008-10-23 교량 신축이음장치용 방수커플링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9276B1 true KR100909276B1 (ko) 2009-07-27

Family

ID=41337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4388A KR100909276B1 (ko) 2008-10-23 2008-10-23 교량 신축이음장치용 방수커플링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927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7953B1 (ko) * 2013-01-02 2013-10-18 진형건설(주) 분절식 레일 조인트 및 그 시공방법
KR101610721B1 (ko) * 2015-08-03 2016-04-18 이경한 신축이음장치용 방수 커플링
KR20160077877A (ko) * 2014-12-24 2016-07-04 주식회사 부흥시스템 교차 또는 직교 연결구조를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1840975B1 (ko) * 2017-06-27 2018-03-21 이명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구조물
KR20190123575A (ko) * 2018-04-24 2019-11-01 주식회사 광스틸 건축용 외장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6404U (ko) * 1997-07-26 1999-02-25 김태숙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
KR200228328Y1 (ko) 2001-01-19 2001-06-15 신재현 스프링 강대가 내장된 관 연결용 고무패킹
KR200275905Y1 (ko) 1999-05-29 2002-05-18 대경산업(주) 교량 상판의 신축이음용 연결구
KR100626201B1 (ko) 2003-12-30 2006-09-20 대경산업(주)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6404U (ko) * 1997-07-26 1999-02-25 김태숙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
KR200275905Y1 (ko) 1999-05-29 2002-05-18 대경산업(주) 교량 상판의 신축이음용 연결구
KR200228328Y1 (ko) 2001-01-19 2001-06-15 신재현 스프링 강대가 내장된 관 연결용 고무패킹
KR100626201B1 (ko) 2003-12-30 2006-09-20 대경산업(주)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7953B1 (ko) * 2013-01-02 2013-10-18 진형건설(주) 분절식 레일 조인트 및 그 시공방법
KR20160077877A (ko) * 2014-12-24 2016-07-04 주식회사 부흥시스템 교차 또는 직교 연결구조를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1691623B1 (ko) * 2014-12-24 2017-01-09 주식회사 부흥시스템 교차 또는 직교 연결구조를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1610721B1 (ko) * 2015-08-03 2016-04-18 이경한 신축이음장치용 방수 커플링
KR101840975B1 (ko) * 2017-06-27 2018-03-21 이명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구조물
KR20190123575A (ko) * 2018-04-24 2019-11-01 주식회사 광스틸 건축용 외장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102177263B1 (ko) * 2018-04-24 2020-11-10 주식회사 광스틸 건축용 외장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9276B1 (ko) 교량 신축이음장치용 방수커플링 구조물
KR101368377B1 (ko) 앵커와 배수시트의 체결을 일원화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1562824B1 (ko) 신축이음장치용 방수 커플링
KR102054436B1 (ko) 배관용 조인트
KR20100128549A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0261854B1 (ko) 피이 폴리에틸렌 새들 편수관
KR20090010479A (ko) 파이프 연결구
JP3606821B2 (ja) 内水圧が作用する水路用の可撓性耐震接合構造
KR102505935B1 (ko) 배수시트가 없는 굴절형 신축이음장치
KR101691623B1 (ko) 교차 또는 직교 연결구조를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20080002543U (ko) 분해 결합이 용이한 합성수지 플랜지관
KR200241138Y1 (ko) 교량 신축이음장치용 방수커플링
KR100626201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0986717B1 (ko)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의 연결캡 구조
KR20100095194A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
KR100601778B1 (ko) 케이블 이음용 시일의 분리면을 연결하는 결합부재
KR101886708B1 (ko) 설치가 간편한 신축이음장치
KR100527045B1 (ko) 자켓 절연 커버와 자켓 레일 커버를 이용하는 분기 슬리브결합구조
KR200247462Y1 (ko) 교량 신축이음장치용 방수커플링
JP2008095299A (ja) 橋桁止水構造
KR100943063B1 (ko) 방수용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JP2006125130A (ja) 遮音構造体
KR100967520B1 (ko) 이중벽체 나선관
JP4011980B2 (ja) 可撓接合型ブロック
TW201533306A (zh) 可撓接頭構件及水泥構造物用伸縮接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