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7527B1 - 교량의 슬래브 또는 암거박스 이음부의 누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교량의 슬래브 또는 암거박스 이음부의 누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7527B1
KR101397527B1 KR1020120148543A KR20120148543A KR101397527B1 KR 101397527 B1 KR101397527 B1 KR 101397527B1 KR 1020120148543 A KR1020120148543 A KR 1020120148543A KR 20120148543 A KR20120148543 A KR 20120148543A KR 101397527 B1 KR101397527 B1 KR 1013975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reinforcing
water leakage
slab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8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강승
박미라
Original Assignee
이승현
건창산업개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현, 건창산업개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승현
Priority to KR1020120148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75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7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75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02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6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in foundation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의 슬래브 또는 암거박스 이음부의 누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제작 및 시공방법이 용이하며 교량의 슬래브 또는 암거박스 이음부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누수를 효율적으로 처리하면서 교량의 슬래브 또는 암거박스 이음부를 신축이음 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슬래브 또는 암거박스 이음부의 누수처리장치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배치되는 교량의 슬래브 또는 암거박스를 신축이음하며 상기 교량의 슬래브 사이 또는 암거박스 사이를 통한 누수를 방지하는 누수방지부와; 상기 누수방지부의 하면에 결합되며 상기 누수방지부를 교량의 슬래브 또는 암거박스에 밀착시키는 보강부와; 상기 보강부와 누수방지부를 교량의 슬래브 또는 암거박스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교량의 슬래브 또는 암거박스 이음부의 누수처리장치{Construct for prevent water leaking to connecting part of concrete slab and concrete box}
본 발명은 교량의 슬래브 또는 암거박스 이음부의 누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의 슬래브, 암거박스, 아스팔트 도로 등의 콘크리트 구조물은 그 양생 및 건조과정에서 발생되는 수축현상이나, 기후변화 및 진동 등의 원인으로 인하여 어느 정도의 누수발생과 균열발생이 불가피한 실정이다.
만약, 상기 균열이 구조물의 여러 곳에 발생 된 채 시간이 경과하면서 균열부위를 통해 각종 이물질 또는 빗물이 침투될 경우에는 균열이 급속도로 진행됨은 물론 내부에 매립된 철근의 부식이 심화되어 구조물의 내구수명을 단축시키는 요인이 됨으로써, 상기 균열을 어느 한 곳으로 집중시키고 실링 할 필요성이 있다.
이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시 콘크리트 구조물 내에 신축을 위한 여유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공간에 신축이음장치 등을 설치하여 마감 처리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신축이음겸 누수처리장치는 여러 요인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에 충분히 대응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누수를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등록특허공보 제10-0412778호 (2003.12.12)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제작 및 시공방법이 용이하며 교량의 슬래브 또는 암거박스 이음부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누수를 효율적으로 처리하면서 교량의 슬래브 또는 암거박스 이음부를 신축이음 할 수 있도록 한 교량의 슬래브 또는 암거박스 이음부의 누수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예에 따른 교량의 슬래브 또는 암거박스 이음부의 누수처리장치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배치되는 교량의 슬래브 또는 암거박스를 신축이음하며 상기 교량의 슬래브 사이 또는 암거박스 사이를 통한 누수를 방지하는 누수방지부와; 상기 누수방지부의 하면에 결합되며 상기 누수방지부를 교량의 슬래브 또는 암거박스에 밀착시키는 보강부와; 상기 보강부와 누수방지부를 교량의 슬래브 또는 암거박스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2실예에 따른 교량의 슬래브 또는 암거박스 이음부의 누수처리장치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배치되는 교량의 슬래브 또는 암거박스를 신축이음하며 상기 교량의 슬래브 사이 또는 암거박스 사이를 통한누수를 방지하는 누수방지부와; 상기 누수방지부의 하면에 결합되며 상기 누수방지부를 교량의 슬래브 또는 암거박스에 밀착시키며, 복수개로 분할형성되고, 힌지를 통해 상호 유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보강부와; 일측은 상기 교량의 슬래브 또는 암거박스에 설치되며 타측은 상기 보강부의 저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를 교량의 슬래브 또는 암거박스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와; 상기 보강부의 하면에 결합되며 상기 보강부가 누수방지부의 신축에 의해 유동 될 경우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키는 복원부;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교량의 슬래브 또는 암거박스 이음부의 누수처리장치는, 교량의 슬래브 또는 암거박스의 이음부 사이에서 누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면서 슬래브 또는 암거박스의 이음부를 신축이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누수방지부는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됨으로 인해 단면이 얇아져 용이하게 신축될 수 있다. 또한, 누수방지부는 그 형상이 V자 형상 또는 역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그 신장길이가 최대화 될 수 있어 슬래브 또는 암거박스의 이음부에 과도한 신축이 발생 되더라도 원활하게 신축될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예에 따른 교량의 슬래브 또는 암거박스 이음부의 누수처리장치의 시공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슬래브 또는 암거박스 이음부의 누수처리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의 슬래브 또는 암거박스 이음부의 누수처리장치에 적용된 누수방지부와, 보강부의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제2실예에 따른 교량의 슬래브 또는 암거박스 이음부의 누수처리장치의 시공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슬래브 또는 암거박스 이음부의 누수처리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슬래브 또는 암거박스 이음부의 누수처리장치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예에 따른 교량의 슬래브 또는 암거박스 이음부의 누수처리장치의 시공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슬래브 또는 암거박스 이음부의 누수처리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의 슬래브 또는 암거박스 이음부의 누수처리장치에 적용된 누수방지부와, 보강부의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슬래브 또는 암거박스 이음부의 누수처리장치(1)는, 누수방지부(10)와, 보강부(20)와, 고정부(30)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누수방지부(10)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배치되는 교량의 슬래브 또는 암거박스(이하, '콘크리트 구조물' 이라 함)등의 이음부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탄성력을 갖는 고무 등의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50)의 이음부(51)를 신축이음 하면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50)의 상부에서 침투하는 오수와 우수가 콘크리트 구조물(50)의 내부로 더 이상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여 콘크리트 구조물(50)의 이음부(51)를 통한 누수를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누수방지부(10)는 몸체부(11)와, 결합날개부(13)로 구성된다.
그 중 몸체부(11)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50)의 이음부(51) 사이에 형성되는 빈 공간에 위치된다.
상기 몸체부(11)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주름부(12)가 형성된다. 상기 주름부(12)는 몸체부(11)의 폭방향을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주름부(12)는 콘크리트 구조물(50)이 신축될 경우 상기 몸체부(11)가 원활하게 신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몸체부(11)는 그 폭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빈 공간이 형성된다. 즉, 상기 몸체부(11)는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됨으로 인해 단면이 얇아져 용이하게 신축될 수 있으며,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V자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신장길이가 최대화 될 수 있다.
상기 결합날개부(13)는 몸체부(11)의 양측으로 각각 수평연장된다. 상기 하나의 결합날개부(13)는 후술되는 고정부(30)들을 통해 콘크리트 구조물(50)의 하부에 설치되고, 다른 하나의 결합날개부(13)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50)과 마주하는 또 다른 콘크리트 구조물(50)의 하부에 고정부(30)를 통해 설치된다.
이때, 상기 결합날개부(13)에는 체결홀(14)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어 상기 고정부(30)들이 용이하게 관통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20)는 누수방지부(10)의 하면에 결합되며 후술되는 고정부(30)를 통해 상기 누수방지부(10)를 콘크리트 구조물(50)에 밀착시키기 위한 것으로, 보강판(21)과 보강날개부(23)로 구성된다.
상기 보강판(21)은 몸체부(11)에 결합되는 것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폭을 갖는 주입홀(22)이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11)의 빈 공간이 하부를 향하도록 엎어놓은 후 상기 몸체부(11)의 상부에 보강판(21)을 안착시킨 다음 상기 주입홀(22)에 각각 접착제를 주입하면 상기 접착제는 몸체부(11)와 보강판(21)의 사이로 스며들어 상기 보강판(21)과 몸체부(11)가 별도의 결합장치 없이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보강날개부(23)는 일측이 상기 보강판(21)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며, 상면이 상기 결합날개부(13)의 하면에 고정부(30)들을 통해 결합된다.
이때, 상기 보강날개부(23)에는 상기 결합날개부(13)의 체결홀(14)과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홀(24)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어 상기 고정부(30)들이 용이하게 관통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에서 상기 보강판(21)은 복수개로 분할형성된다. 구체적으로상기 보강판(21)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로 분할되면서 대략 V자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로 분할되면서 역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보강판(21)은 상기 V자 형상 또는 역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부(11)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보강판(21) 및 보강날개부(23)는 힌지(40)를 통해 상호 유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누수방지부(10)가 신축될 경우 그 신축방향에 대응되도록 변형되며, 이로 인해 상기 누수방지부(10)는 보강부(20)를 통해 콘크리트 구조물(50)에 안정적으로 설치되면서 용이하게 신축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30)는 상기 보강날개부(23)의 체결홀(24)과 결합날개부(13)의 고정부(400)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5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보강부(20)와 누수방지부(10)를 콘크리트 구조물(50)의 하부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킨다.
이러한 고정부(30)는 상기 체결홀(24,14)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50)의 내부에 배설되는 앙카볼트와, 상기 보강날개부(23)의 외부로 돌출되는 앙카볼트의 외주연에 체결되는 앙카너트가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 2>
도4는 본 발명의 제2실예에 따른 교량의 슬래브 또는 암거박스 이음부의 누수처리장치의 시공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슬래브 또는 암거박스 이음부의 누수처리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슬래브 또는 암거박스 이음부의 누수처리장치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4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슬래브또는 암거박스 이음부의 누수처리장치(1)는, 누수방지부(100)와, 보강부(200)와, 지지부(300)와, 고정부(400)와, 복원부(500)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누수방지부(100)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배치되는 교량의 슬래브 또는 암거박스(이하, '콘크리트 구조물'이라 함)등의 이음부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탄성력을 갖는 고무 등의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50)의 이음부(51)를 신축이음하면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50)의 상부에서 침투하는 오수와 우수가 콘크리트 구조물(50)의 내부로 더 이상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여 콘크리트 구조물(50)의 이음부(51)를 통한 누수를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누수방지부(100)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50)의 이음부(51) 사이에 형성되는 빈 공간에 위치된다.
상기 누수방지부(100)는 그 폭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빈 공간이 형성된다. 즉, 상기 몸체부(11)는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됨으로 인해 단면이 얇아져 용이하게 신축될 수 있으며, 대략 V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신장길이가 최대화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누수방지부(100)의 상부 양측은 하부를 향해 절곡되며, 상기 절곡된 부분의 일부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50)의 이음부(51)의 측면과 맞닿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절곡된 부분의 하부는 다시 수평, 수직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절곡되어 후술되는 보강부(200)의 일부분을 감싼다.
상기 보강부(200)는 상기 누수방지부(100)의 하면에 결합되며 후술되는 복원부(500)의 작용을 통해 상기 누수방지부(100)의 절곡된 부분을 콘크리트 구조물(50)의 이음부(51) 측면에 밀착시킨다.
상기 보강부(200)는 복수개로 분할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강부(20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로 분할되면서 대략 V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보강부(200)는 상기 V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누수방지부(100)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보강부(200)는 힌지(40)를 통해 상호 유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누수방지부(100)가 신축될 경우 그 신축방향에 대응되도록 변형되며, 이로 인해 상기 누수방지부(100)는 보강부(200)를 통해 콘크리트 구조물(50)의 이음부(51) 측면에 안정적으로 밀착고정되면서 용이하게 신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강부(200)에는 상기 제1실시예의 보강판(21)과 동일하게 주입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보강부(200)는 상기 주입홀에 주입되는 접착제를 통해 상기 누수방지부(100)에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상기 보강부(200)의 상부 양측은 하부를 향해 절곡되며, 상기 절곡된 부분은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누수방지부(100)에 의해 감싸여진다. 이때, 상기 보강부(200)의 절곡된 부분과 누수방지부(100)의 절곡된 부분은 접착제 등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300)는 수평부(310), 상기 수평부(310)의 끝단에서 상부를 향해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부(312)로 구성된다.
상기 수평부(310)는 후술되는 고정부(400)를 통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50)의 하부에 설치된다. 상기 수평부(310)에는 체결홀(311)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어 상기 고정부(400)들이 용이하게 관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직부(312)는 콘크리트 구조물(50)의 이음부(51)에서 보강부(200)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며 상측이 상기 보강부(200)의 저면을 지지한다.
이때, 상기 수직부(312)의 일측면은 상기 누수방지부(100)의 일면과 맞닿는 상태가 된다.
상기 고정부(400)는 상기 수평부(310)의 체결홀(311)을 관통하여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5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부(300)를 콘크리트 구조물(50)의 하부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킨다.
이러한 고정부(400)는 상기 수평부(310)의 체결홀(311)을 관통하여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50)의 내부에 배설되는 앙카볼트와 상기 수평부(310)의 외부로 돌출되는 앙카볼트의 외주연에 체결되는 앙카너트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복원부(500)는 상기 보강부(200)와 동일하게 V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보강부(200)의 하면에 결합된다. 상기 복원부(500)는 판 스프링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복원부(500)는 누수방지부(100)가 신축됨에 따라 상기 보강부(200)가 벌어질 경우 상기 보강부(200)에 복원력을 부여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누수방지부(100)와 콘크리트 구조물(50)의 사이, 그리고 상기 누수 방지부의 절곡된 부분과 수직부(312)의 사이에 형성되는 누수방지코킹부(6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누수방지 코킹부(600)는 상기 누수방지부(100)와 콘크리트 구조물(50)의 사이, 그리고 상기 누수 방지부의 절곡된 부분과 수직부(312)의 사이를 통한 누수를 방지한다.
1 : 누수처리장치 10,100 : 누수방지부
11 : 몸체부 12 : 주름부
13 : 결합날개부 14,24,311 : 체결홀
20,200 : 보강부 21 : 보강판
22 : 주입홀 23 : 보강날개부
30,400 : 고정부 40 : 힌지
50 : 콘크리트 구조물 51 : 이음부
300 : 지지부 310 : 수평부
312 : 수직부 500 : 복원부
600 : 누수방지코킹부

Claims (5)

  1. 일정간격으로 이격배치되는 교량의 슬래브 또는 암거박스를 신축이음하며 상기 교량의 슬래브 사이 또는 암거박스 사이를 통한 누수를 방지하는 탄성력을 갖는 재질의 누수방지부(10)와;
    상기 누수방지부(10)에 접착 결합되며 상기 누수방지부(10)의 양측을 상기 교량의 슬래브 또는 암거박스에 밀착시키는 한편 상기 누수방지부를 덮어 보호 및 지지하는 보강부(20)와;
    상기 보강부(20)와 누수방지부(10)를 교량의 슬래브 또는 암거박스에 고정시키는 고정부(30);로 구성되며,
    상기 누수방지부(10)는,
    상기 교량의 슬래브 또는 암거박스의 사이에 형성되는 빈 공간에 위치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주름부(12)가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몸체부(11)와;
    상기 몸체부(11)의 양측으로 수평연장되며 상기 교량의 슬래브 또는 암거박스에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30)가 관통되는 체결홀(14)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결합날개부(13);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부(11)는 그 폭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11)의 내부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보강부(20)는,
    상기 몸체부(11)에 결합되고 상기 몸체부(11)에 접착제를 주입할 수 있는 주입홀(22)이 간격을 두고 관통형성되어 상기 몸체부를 보호 및 지지하는 보강판(21)과;
    상기 보강판(21)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결합날개부(13)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날개부(13)의 체결홀(14)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고정부(30)가 관통되는 체결홀(24)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 결합날개부(13)를 상기 교량의 슬래브 또는 암거박스에 밀착 고정하는 보강날개부(23);로 구성되며,
    상기 보강판(21)은 복수개로 분할형성되며,
    상기 보강판(21) 및 보강날개부(23)는 힌지(40)를 통해 상호 유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이음 기능이 구비된 교량의 슬래브 또는 암거박스 이음부의 누수처리장치.
  2. 삭제
  3. 삭제
  4. 일정간격으로 이격배치되는 교량의 슬래브 또는 암거박스를 신축이음하며 상기 교량의 슬래브 사이 또는 암거박스 사이를 통한누수를 방지하는 누수방지부(100)와;
    상기 누수방지부(100)의 하면에 결합되며 상기 누수방지부(100)를 교량의 슬래브 또는 암거박스에 밀착시키는 한편 상기 누수방지부를 덮어 보호 및 지지하며, 복수개로 분할형성되고, 힌지(40)를 통해 상호 유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보강부(200)와;
    일측은 상기 교량의 슬래브 또는 암거박스에 설치되며 타측은 상기 보강부(200)의 저면을 지지하는 지지부(300)와;
    상기 지지부(300)를 교량의 슬래브 또는 암거박스에 고정시키는 고정부(400)와;
    상기 보강부(200)의 하면에 결합되며 상기 보강부(200)가 누수방지부(100)의 신축에 의해 유동 될 경우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키는 복원부(500);
    상기 누수방지부(100)와 교량의 슬래브 또는 암거박스의 사이, 그리고 상기 누수방지부(100)와 지지부(300)의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누수방지부(100)와 교량의 슬래브 또는 암거박스의 사이, 그리고 상기 누수방지부(100)와 지지부(300) 사이의 누수를 방지하는 누수방지코킹부(600)를 포함하고,
    상기 누수방지부(100) 및 보강부(200)는 그 폭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누수방지부(100) 및 보강부(200)의 내부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300)는 체결홀(311)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부(400)를 통해 상기 교량의 슬래브 또는 암거박스의 콘크리트 구조물(50)의 하부에 설치되는 수평부(310), 상기 수평부(310)의 끝단에서 상부를 향해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50)의 이음부(51)에서 상기 보강부(200)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며 상측이 상기 보강부(200)의 저면을 지지하며 일측면이 상기 누수방지부(100)의 일면과 맞닿는 수직부(3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슬래브 또는 암거박스 이음부의 누수처리장치.
  5. 삭제
KR1020120148543A 2012-12-18 2012-12-18 교량의 슬래브 또는 암거박스 이음부의 누수처리장치 KR1013975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8543A KR101397527B1 (ko) 2012-12-18 2012-12-18 교량의 슬래브 또는 암거박스 이음부의 누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8543A KR101397527B1 (ko) 2012-12-18 2012-12-18 교량의 슬래브 또는 암거박스 이음부의 누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7527B1 true KR101397527B1 (ko) 2014-05-20

Family

ID=50894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8543A KR101397527B1 (ko) 2012-12-18 2012-12-18 교량의 슬래브 또는 암거박스 이음부의 누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752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4133B1 (ko) * 2017-10-17 2018-07-31 박창오 교량 구조물의 신축이음부 보수용 방수장치 및 방수 방법
CN110004988A (zh) * 2019-02-11 2019-07-12 中国水电基础局有限公司 一种拔管法施工地下连续墙接头孔的保护装置及方法
KR102228127B1 (ko) * 2020-08-27 2021-03-16 김호지 콘크리트구조물 신축이음연결부재
KR102387148B1 (ko) * 2021-04-28 2022-04-15 주식회사 부흥시스템 보도교의 신축이음장치
KR20220077412A (ko) * 2020-12-02 2022-06-0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팽창지수제를 이용한 빗물유입방지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2511958B1 (ko) * 2022-04-13 2023-03-20 주식회사 지엠로드 원터치 신축 이음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5990B2 (ja) * 1997-12-01 2000-05-29 西武ポリマ化成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構造物用伸縮継手
KR100921415B1 (ko) * 2008-12-24 2009-10-14 진형건설(주) 교량용 저소음 내진 신축이음장치
KR20090129254A (ko) * 2008-06-12 2009-12-16 (주)엠피기술산업 마감콘크리트가 필요 없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5990B2 (ja) * 1997-12-01 2000-05-29 西武ポリマ化成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構造物用伸縮継手
KR20090129254A (ko) * 2008-06-12 2009-12-16 (주)엠피기술산업 마감콘크리트가 필요 없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시공방법
KR100921415B1 (ko) * 2008-12-24 2009-10-14 진형건설(주) 교량용 저소음 내진 신축이음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4133B1 (ko) * 2017-10-17 2018-07-31 박창오 교량 구조물의 신축이음부 보수용 방수장치 및 방수 방법
CN110004988A (zh) * 2019-02-11 2019-07-12 中国水电基础局有限公司 一种拔管法施工地下连续墙接头孔的保护装置及方法
CN110004988B (zh) * 2019-02-11 2023-12-19 中国水电基础局有限公司 一种拔管法施工地下连续墙接头孔的保护装置及方法
KR102228127B1 (ko) * 2020-08-27 2021-03-16 김호지 콘크리트구조물 신축이음연결부재
KR20220077412A (ko) * 2020-12-02 2022-06-0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팽창지수제를 이용한 빗물유입방지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2430531B1 (ko) * 2020-12-02 2022-08-1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팽창지수제를 이용한 빗물유입방지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2387148B1 (ko) * 2021-04-28 2022-04-15 주식회사 부흥시스템 보도교의 신축이음장치
KR102511958B1 (ko) * 2022-04-13 2023-03-20 주식회사 지엠로드 원터치 신축 이음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7527B1 (ko) 교량의 슬래브 또는 암거박스 이음부의 누수처리장치
JP4787197B2 (ja) 橋梁用導水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374606B1 (ko) 교량용 방수 신축이음장치
KR101963836B1 (ko) 콘크리트구조물 신축이음 구조
JP4448066B2 (ja) 可撓止水継手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20170082318A (ko) 탄성복원형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20070077824A (ko) 볼트 체결 구조를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 암거의시공 방법
KR101672933B1 (ko) 공장제작형 소켓부재를 이용한 교량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교량구조물 제작방법
KR20180017726A (ko) 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 및 신축이음부의 시공방법
KR101506118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 및 보수방법
JP2003328381A (ja) 可撓ゴム継手とその取付け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4567564B2 (ja) 暗渠の耐水圧可撓継手
KR101385991B1 (ko) 신축이음장치용 신축성 마감부재 유닛, 그 마감부재 유닛을 갖는 신축이음장치, 그 신축이음장치의 제작방법 및 시공방법
KR101274570B1 (ko) 수로교의 개거 시공방법
KR101365436B1 (ko)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
KR100865523B1 (ko) 신축이음부용 배수로 시공방법
JP6469622B2 (ja) 側方型簡易排水装置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560189B1 (ko) 키 형상을 활용한 강성 포장도로의 신축이음구조 및 시공방법
KR101215133B1 (ko) 교량의 신축이음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JP6408928B2 (ja) コンクリート製構造物用の伸縮継手設置方法
JP7180876B2 (ja) 可撓継手の固定構造及び固定方法
KR101283556B1 (ko) 농수로용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633854B1 (ko) 철도 교량용 신축 이음 누수 보수장치
KR200332532Y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1416160B1 (ko) 전단포켓과 충전층에 의한 하중 전달구조를 가지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궤도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