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2394B1 - 교통신호 제어기의 전력량계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교통신호 제어기의 전력량계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2394B1
KR102402394B1 KR1020220018150A KR20220018150A KR102402394B1 KR 102402394 B1 KR102402394 B1 KR 102402394B1 KR 1020220018150 A KR1020220018150 A KR 1020220018150A KR 20220018150 A KR20220018150 A KR 20220018150A KR 102402394 B1 KR102402394 B1 KR 102402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t
hour meter
traffic signal
signal controller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8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2394B9 (ko
Inventor
임왈선
Original Assignee
(주)신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호 filed Critical (주)신호
Priority to KR1020220018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23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2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2394B1/ko
Publication of KR102402394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2394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02Constructional details
    • G01R11/04Housings; Supporting rack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061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 G01R22/065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related to mechanical aspec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통신호 제어기의 전력량계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교통신호 제어기에 설치되는 전력량계를 교통신호 제어기 함체의 전면 패널에 설치하여 외부에서 전력량계의 사양과 전력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게 됨으로써 교통신호 제어기에 설치되는 전력량 검침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교통신호 제어기의 전력량계 고정 장치{Power meter fixing device for traffic signal controller}
본 발명은 교통신호 제어기에 설치되는 전력량계를 교통신호 제어기 함체의 전면 패널에 설치하여 외부에서 전력량계의 사양과 전력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게 됨으로써 교통신호 제어기에 설치되는 전력량 검침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는 교통신호 제어기의 전력량계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의 교차로에는 차량의 흐름을 원활하게 통제하기 위해 차량의 진행, 정지, 방향전환, 주의 등의 신호를 적색, 황색, 녹색화살표, 녹색의 4구신호등, 또는 적색, 황색, 녹색의 3구 신호등 체계로 구분되는 등화를 순차적으로 점소등하며 표시해주는 신호등이 설치되며, 이 신호등은 차로 및 횡단보도에 설치되는 교통신호 제어기에 의해 작동 및 제어된다.
교통신호 제어기는 함체 내에 MCU(주제어부), SCU(신호 구동부), T/F(단자대), 기타 장치부 등으로 구성되어 교차로에서 신호등을 점ㆍ소등 제어함으로써 안전하고 원활하게 교통 흐름을 통제하며, 주ㆍ야간에 따라 신호등의 밝기를 조절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여기서, 함체는 교통신호기를 구성하는 장비들을 보호하는데 목적이 있는 보호 캐비넷으로, 교통신호 제어기 내장 장치들을 안전하게 고정시키고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차단할 수 있도록 좌대에 설치 가능한 인간공학적 측면에서 설계되는데, 경찰청 표준규격에 따라 다면체 및 곡선처리 형태로 설계되는 표준형 사이즈의 기본형과 철주부착 및 매립 형태로 공간 점유율을 낮게 하여 도시미관을 고려한 디자인으로 개선한 슬림형으로 분류된다.
교통신호 제어기는 외부 교통현장에 노출되어 안정적으로 동작이 이루어져야 하며, 온도 및 습도 변화에 강한 반영구적인, 반도체 소자를 사용하여 회로가 구성되어 과전압, 낙뢰 등에 의한 손상을 최소화 하도록 보호회로를 포함하며, 통상 내부에 통행을 지시하는 신호등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호등기의 점등 및 소등, 그리고 점멸을 제어하는 전력량을 계측하기 위한 전력량계가 설치된다.
이 전력량계는 폐쇄된 공간에 설치되어 공기의 유입이 자유롭지 못하므로 내부와 외부간의 온도 차이에 의하여 발생되는 습기와 외부에서 전기 계량기함의 틈새로 유입되는 먼지 및 부식 등으로 인한 이물질에 의해 전기 계량기함의 전면덮개의 투명부를 통해 사용한 전력량을 나타내는 숫자판 등을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울 경우에 교체하게 되며, 노후된 전력량계를 주기적으로 교체할 필요가 있다.
또한, 덮개가 형성되는 전력량계 함체 내에 안전하게 수납되어 보호되는 구조로 구성되는데, 교통제어 신호기 함체의 측면에 전력량계를 수용하는 다른 함체가 돌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면 교통신호 제어기의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여 도시 미관을 손상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교통신호 제어기용 제어함에는 그 내부로 인가되는 전력량을 계측하기 위한 계량기가 교통신호 제어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설치되는데, 이때, 전력량게는 교통신호 제어기용 제어함 일측면에 노출되게 설치될 경우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될 수 있고, 교통신호 제어기와 전력량계의 연결부위를 통해 함체 내부로 빗물이나 오염물질 등이 유입되어 교통신호 제어기의 오동작이나 감전사고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교통신호 제어기에 설치되는 전력량계는 외관을 개선하고 파손 및 감전을 방지하기 위해 제어기 함체 내에 설치되어는 것이 바람직하다.
교통신호 제어기에 전력량계를 설치하는 구조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46125호 계량기가 내설된 교통신호 제어기용 제어함이 제안되었다.
이 제어함은 계량기를 수용하기 위한 함체와, 함체의 상하부에 각각 체결되며, 그 내측에 힌지핀이 돌출형성된 힌지플레이트와, 함체를 힌지회동할 수 있도록 교통신호제어기용 제어함의 측벽에 체결되며, 상하단에 힌지공이 마련된 받침편 및 힌지회동하는 함체가 걸림을 이룰 수 있도록 함체와 받침편 사이에 설치된 스토퍼를 포함하되, 스토퍼는 받침편에 설치고정되며, 일면에 한 쌍의 돌부가 돌출형성되고, 한 쌍의 돌부 사이에 걸림홈부가 마련된 고정구와, 함체에 볼트체결되며, 내측에 이동공간이 마련되고, 일면에 개구창이 형성되며, 개구창의 인접한 양측에 가이드돌기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각 가이드돌기의 단부에 단턱부가 마련된 결속함 및 탄성력을 갖도록 만곡진 호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양단에 가이드돌기가 삽입되어 단턱부와 걸림을 이루는 장공이 마련되고, 최대 만곡부위에 개구창을 통해 돌출되어 걸림홈부에 삽입걸림을 이루는 걸림돌기가 마련된 탄성편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교통신호제어기로 인가되는 전력량을 계측하기 위한 계량기와 교통신호제어기의 전기적인 연결을 제어함 내부에서 가능하도록 하여 이들의 연결부위로 빗물과 같은 수분의 유입을 차단함으로써, 수분 유입에 의한 제어기의 오작동 및 감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함은 물론, 상기 제어함의 측면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제어함 내에 선택적으로 개구부 방향으로 방향전환 하는 계량기를 설치함으로써, 계량기를 통해 계측된 수치를 용이하게 식별 및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계량기 함체가 교통신호 제어기 함체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됨으로써, 교통신호 제어기의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여 도시 미관을 손상시키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다른 일례는 대한민국 특헤 제10-1919369호 계량기를 구비하는 교통신호제어기가 제안되었다.
이것은 제어를 총괄하는 주제어부(MCU:main control unit)와 신호구동부(SCU: signal control unit)를 비롯하여 영상검지기를 포함하는 독립장치 장착부, 운용자 접속용 MMI부(man machine interfase unit), 외부장치와 입출력신호접속을 처리하는 단자판(terminal facility unit)이 구비되며, 개구부가 형성된 제어함; 개구부에 설치되며 일정 기간 동안 사용한 전력의 총량을 측정·기록하는 계량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계량기 도어; 및 계량기 도어와 제어함의 사이에는 수분의 유입을 억제하도록 구비된 실링을 포함하되, 개구부의 상단으로 힌지핀이 설치되며, 계량기 도어에는 힌지핀이 가로질러 설치되는 장공이 구비되고, 장공은 계량기 도어의 상단 측면에 회전부와 고정부로 구분된 길이가 긴 슬롯 형태로 형성되며, 계량기 도어는 제어함 측면을 기준으로 90도 회전한 후 장공을 따라 개구부 내측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 개구부 상단에 계량기 도어의 상단 일부가 지지되어 개폐상태를 유지하고, 고정부에는 힌지핀이 걸림되는 반원형의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제어함은 제어함에 계량기 도어를 설치하여 계량기의 교체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어함은 교통신호제어기의 제어함 측면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계량기 도어가 개폐되는 구조로서, 개구부에 의해 제어함 내부에 빗물이나 이물질이 유입될 가능성이 이어서 누전 등의 위험이 있을 수 있므며, 제어함의 외관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KR 20-0446125 Y1 (2009. 09. 30.) KR 10-1919369 B1 (2019. 02. 08.)
본 발명의 목적은 전력량계를 교통신호제어기의 함체 내부에 설치 가능하게 하여 제어기 함체의 외부로부터 빗물과 같은 수분이나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함으로써, 제어기의 오작동과 감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교통신호 제어기의 전력량계 고정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교통신호 제어기의 함체 내부에 전력량계를 설치하고, 함체에 표시창을 형성하여 전력량계의 검침을 위한 최소 공간을 노출시킴으로써, 외관이 미려하고 교통신호 제어기 외부에서 계량기의 검침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교통신호 제어기의 전력량계 고정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교통신호 제어기의 내부에서 전기적인 연결이 가능하게 하면서, 배선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구조의 교통신호 제어기의 전력량계 고정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 및 그 기술적 과제는 앞서 기재한 기술적 과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이 의도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특징은 투시공이 형성되는 교통신호 제어기 함체의 전면 패널과; 전면 패널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전력량계 함체와; 전력량계 함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내측면에 전력량계가 고정되는 도어와; 도어에 전력량계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특징에 따르면, 투시공이 형성된 전면 패널의 내측면에 투시창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특징에 따르면, 투시공은 표준 규격에 따라 교통신호 제어기 함체의 전면 패널에 가로방향으로 형성되는 요홈부에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특징에 따르면, 도어에 고정되는 전력량계는 뒷면이 도어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도어가 전력량계 함체에 닫혀질 때 전면이 교통신호 제어기 함체의 전면 패널을 향하게 되며 디스플레이부가 투시공이 형성하는 공간의 영역에 위치하게 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특징에 따르면, 전력량계 함체는 하부에 개방된 공간이 형성되어, 전력량계의 터미널부와 교통신호 제어기의 제어장치를 연결하는 전선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따르면, 고정수단은 도어의 내측면에 수평상으로 돌출형성되는 결합돌기의 선단에 확장단부가 형성되고, 나사와 같은 체결구와 결합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전력량계의 뒷면에는 상기 결합돌기 및 확장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원형으로 형성되는 삽입공의 내주면 상부로부터 고정공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체결구가 결합되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상기 확장단부가 삽입공이 삽입되고, 결합돌기가 고정공에 삽입되며 결합될 때 체결공과 고정돌기가 수평상으로 일치되어 체결구를 체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교통신호제어기의 함체 내부에 전력량계가 설치되어 전력량게가 제어기 함체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므로 빗물과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게 되어 제어기의 오작동과 감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교통신호 제어기의 함체 내부에 전력량계가 설치되고, 함체에 표시창을 형성하여 전력량계의 검침을 위한 최소 공간을 노출시킴으로써, 교통신호 제어기의 외관이 미려하고, 교통신호 제어기 외부에서 계량기의 검침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교통신호 제어기의 내부에서 전기적인 연결이 가능하게 하면서, 배선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구조의 교통신호 제어기의 전력량계 고정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교통신호 제어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교통신호 제어기의 함체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교통신호 제어기의 함체 내부에서 전력량계 도어가 열린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로서 전력량계의 뒷면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전력량계 함체의 확대 단면도
도 7는 본 발명의 투시창 전면을 나타낸 확대도
본 발명의 특징과 장점은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에 의해 본 발명의 응용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 들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장치 또는 요소의 순서, 방향 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실시예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며,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순서와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발명의 용어와 개념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에 입각하여 기재한 것으로 해석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의 균등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과 함께 설명되는 상세한 설명의 실시예로부터 보다 쉽고 명백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교통신호 제어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교통신호 제어기의 함체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교통신호 제어기의 함체 내부에서 전력량계 도어가 열린 상태의 사시도를 보여주고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교통신호 제어기 함체(10)의 전면 패널(100) 내측에 전력량계(20)가 설치된다.
교통신호 제어기는 주지된 바와 같이, 교차로에서 신호등을 점ㆍ소등 제어함으로써 안전하고 원활하게 교통 흐름을 통제하며, 주ㆍ야간에 따라 신호등의 밝기를 조절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함체(10) 내부에 MCU(주제어부), SCU(신호 구동부), T/F(단자대), 기타 장치부(이상 도시되지 아니함) 등이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교통신호 제어기 함체(10)는 교통신호기를 구성하는 장비들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교통신호 제어기 내부에 장치들을 안전하게 고정시키고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차단할 수 있도록 좌대에 설치 가능한 인간공학적 측면의 다면체 및 곡선처리 형태로 설계되는데, 경찰청 표준규격에 따르는 표준형 사이즈의 기본형으로 제작되는 것이다.
교통신호 제어기 함체(10)는 표준규격에서 정의된 내부 구성장치의 수용, 유지보수의 편의성, 도로 점유 공간의 최소화와 경제성 등을 고려하여 설계되며, 통상적으로 전면에 전면 패널(100)이 경첩(110, 110a)으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개폐되는 구조를 가진다.
전면 패널(100)은 경찰청 표준 규격의 설계 변경에 대응하기 위한 구조로 상부쪽 일정 구간에 가로 방향으로 요홈부(120)가 형성되는데, 요홈부(120)의 중앙에는 전력량계를 검침하기 위한 장방형의 투시공(130)이 형성되고, 그 내측에 고정되는 전력량계 함체(30)에 전력량계(20)가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투시공(130)에는 투명 또는 반투명체로 되는 투시창(140)이 형성되어 전력량계(20)의 계측 확인이 용이하게 하면서 빗물과 이물질이 교통신호 제어기 전면 패널(1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바람직하게, 투시창(140)은 볼록렌즈와 같은 확대경으로 형성하여 전력량계의 가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로서 전력량계의 뒷면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전력량계 함체(30)는 전력량계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의 내부공간을 가지고 장방형으로 형성되며, 전면에는 도어(300)가 회전 개폐 가능하게 고정되고, 후면은 교통신호 제어기의 전면 패널(100) 내측면에 고정된다.
전력량계(20)는 교통신호 제어기를 가동시키는데 사용된 전력량을 계측하기 위한 것으로, 통상 전면에는 전력 사용량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200)가 형성되고, 그 아래쪽으로 해당 전력량계의 사양으로 계기형식, 사용전압, 계기등급, 형식승인, 계기정수, 최대수효시한, 모델명, 제조자, 형식번호, 제조번호, 제조년월, 검정휴효기간, 품질보증기간, 고객상담전화번호 등이 표시되는 사양란(210)이 형성되어 해당 전력량계의 사양이 표시되며, 하부에는 교통신호 제어기의 제어장치 터미널부(도시되지 아니함)와 연결되는 터미널부(220)가 형성된다.
교통신호 제어기의 전면 패널(100) 내측면에 고정되는 전력량계 함체(30)는 다양한 고정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으나, 교통신호 제어기의 전면 패널(100)에 고정되는 전력량계 함체(30)가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면 전면 패널(100)에서 분리해야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용접에 의해 영구적으로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전력량계 함체(30)의 아랫면에는 개방된 공간(310)이 형성된다.
전력량계 함체(30)의 개방된 공간(310)은 전력량계(20)의 터미널부(220)와 교통신호 제어기의 제어장치 터미널부(도시되지 아니함)를 연결하는 전선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전력량계 함체(30)의 전면에는 도어(300)가 경첩(320, 320a)으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도어(300)의 뒷면에는 고정수단에 의해 전력량계(20)가 고정된다.
도어(300)는 전력량계 함체(20)에 닫혀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잠금장치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잠금장치는 공지된 다양한 장치가 적용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도시와 설명은 생략한다.
고정수단은 전력량계 함체(30)의 도어(300) 내측 뒷면 상부에 돌출 형성되는 하나의 결합돌기(330)와 내측 뒷면 하부에 수평상으로 형성되는 고정돌기(340, 340a), 그리고, 전력량계(20)의 뒷면 상부에 형성되어 결합돌기(300)와 결합되는 삽입공(230)과, 고정돌기(340, 340a)와 수평상으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체결공(250, 250a) 및 상기 체결공(250, 250a)을 통해 고정돌기(340, 340a)에 체결되는 나사(260, 260a)로 구성된다.
전력량계 함체(30)의 도어(300) 내측에 형성되는 결합돌기(330)의 선단에는 원판형의 확장단부(331)가 형성되며, 고정돌기(340, 340)는 중앙에 나사공이 형성된다.
전력량계(20)에 형성되는 삽입공(230)은 상기 확장단부(331)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의 원형으로 형성되면서, 내주면 상부에는 상기 결합돌기(330)가 삽입되는 고정공(231)이 형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전력량계 함체의 확대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에서 보듯이, 고정수단은 전력량계 함체(30)의 도어(300)가 열린 상태에서 전력량계(20)의 삽입공(230)에 확장단부(331)를 삽입시키고 전력량계(20)를 아래쪽으로 약간 이동시키면, 고정공(231)에 결합돌기(330)가 삽입되면서 확장단부(331)가 고정공(231)의 주변에 걸려지게 된다.
이때, 도어(300)의 고정돌기(340, 340a)와 전력량계(20)의 체결공(250, 250a)이 수평상에 일치하게 되면 나사(260, 260a)를 체결공(250, 250a)에 삽입하여 고정돌기(340, 340a)에 체결하면 전력량계(20)가 도어(30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도 7는 본 발명의 투시창 전면을 나타낸 확대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에서 보듯이, 위와 같이 도어(300)에 전력량계(20)가 고정된 상태에서 도어(300)를 닫으면 교통신호 제어기의 전면 패널(100)에 형성된 투시창(140)을 통해 전력량계의 디스플레이부(200)를 관측하면서 동시에 전력량계의 사양부(210)에 표시되어 있는 전력량계의 사양, 즉, 계기형식, 사용전압, 계기등급, 형식승인, 계기정수, 최대수효시한, 모델명, 제조자, 형식번호, 제조번호, 제조년월, 검정휴효기간, 품질보증기간, 고객상담전화번호 등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의 명세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것이고,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된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러한 많은 변형예 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의 균등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 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10: 교통신호 제어기 함체
100: 전면 패널 110, 110a: 경첩
120: 요홈부 130: 투시공
140: 투시창
20: 전력량계
200: 디스플레이부 210: 사양란
220: 터미널부 230: 삽입공
231: 고정공 250, 250a: 체결공
260, 260a: 나사
30: 전력량계 함체
300: 도어 310: 개방된 공간
320, 320a: 경첩 330: 결합돌기
331: 확장단부 340, 340a: 고정돌기

Claims (6)

  1. 교통신호 제어기의 전력량계 고정 장치에 있어서,
    투시공(130)이 형성되어 교통신호 제어기 함체(10)에 회전 개폐 가능하게 고정되는 전면 패널(100)과;
    전면 패널(100)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전력량계 함체(30)와;
    전력량계 함체(3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내측면에 전력량계(20)가 고정되는 도어(300)와;
    도어(300)에 전력량계(2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교통신호 제어기의 전력량계 고정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투시공(130)이 형성된 전면 패널(10)의 내측면에 투시창(140)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교통신호 제어기의 전력량계 고정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투시공(130)은 표준 규격에 따라 교통신호 제어기 함체(10)의 전면 패널(100)에 가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요홈부(120)에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교통신호 제어기의 전력량계 고정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도어(300)에 고정되는 전력량계(20)는 뒷면이 도어(300)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도어(300)가 전력량계 함체(30)에 닫혀질 때 전면이 교통신호 제어기 함체(10)의 전면 패널(100)을 향하게 되며 디스플레이부(210)가 투시공(130)이 형성하는 공간의 영역에 위치하게 되는 것을 포함하는 교통신호 제어기의 전력량계 고정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전력량계 함체(30)는 하부에 개방된 공간(310)이 형성되어, 전력량계(20)의 터미널부(220)와 교통신호 제어기의 제어장치를 연결하는 전선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포함하는 교통신호 제어기의 전력량계 고정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고정수단은 도어(300)의 내측면에 수평상으로 돌출형성되는 결합돌기(330)의 선단에 확장단부(331)가 형성되고, 나사(260, 260a)와 같은 체결구와 결합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전력량계(20)의 뒷면에는 상기 결합돌기(330) 및 확장단부(331)가 삽입될 수 있도록 원형으로 형성되는 삽입공(230)의 내주면 상부로부터 고정공(231)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체결구가 결합되는 체결공(250, 250a)이 형성되어 상기 확장단부(331)가 삽입공(230)에 삽입되고, 결합돌기(330)가 고정공(231)에 삽입되며 결합될 때 체결공(250, 250a)과 고정돌기(340, 340a)가 수평상으로 일치되어 체결구를 체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신호 제어기의 전력량계 고정 장치.
KR1020220018150A 2022-02-11 2022-02-11 교통신호 제어기의 전력량계 고정 장치 KR102402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8150A KR102402394B1 (ko) 2022-02-11 2022-02-11 교통신호 제어기의 전력량계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8150A KR102402394B1 (ko) 2022-02-11 2022-02-11 교통신호 제어기의 전력량계 고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2394B1 true KR102402394B1 (ko) 2022-05-26
KR102402394B9 KR102402394B9 (ko) 2022-07-18

Family

ID=81809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8150A KR102402394B1 (ko) 2022-02-11 2022-02-11 교통신호 제어기의 전력량계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2394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8016A (ko) * 2003-10-29 2003-11-15 양순이 전기계량기함의 구조
KR200430799Y1 (ko) * 2006-08-23 2006-11-10 주식회사 뉴영이시티 세대별 전기 계량기 함체
KR20080000659U (ko) * 2006-10-20 2008-04-24 김대규 전기 계량기함
KR200446125Y1 (ko) 2009-04-09 2009-09-30 주식회사 한진이엔씨 계량기가 내설된 교통신호제어기용 제어함
KR20100001124U (ko) * 2008-07-24 2010-02-03 김대규 케이블 트레이용 전기계량기함
KR20100112688A (ko) * 2009-04-10 2010-10-20 주식회사 삼중산업 적산전력계 수납함
KR20120006670U (ko) * 2011-03-15 2012-09-27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분전함과 통합된 계량기함
KR101744795B1 (ko) * 2016-09-06 2017-06-09 진우산전 주식회사 전력량계를 내장한 스마트 교통신호 제어기
KR101919369B1 (ko) 2017-12-04 2019-02-08 한국전기교통 주식회사 계량기를 구비하는 교통신호제어기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8016A (ko) * 2003-10-29 2003-11-15 양순이 전기계량기함의 구조
KR200430799Y1 (ko) * 2006-08-23 2006-11-10 주식회사 뉴영이시티 세대별 전기 계량기 함체
KR20080000659U (ko) * 2006-10-20 2008-04-24 김대규 전기 계량기함
KR20100001124U (ko) * 2008-07-24 2010-02-03 김대규 케이블 트레이용 전기계량기함
KR200446125Y1 (ko) 2009-04-09 2009-09-30 주식회사 한진이엔씨 계량기가 내설된 교통신호제어기용 제어함
KR20100112688A (ko) * 2009-04-10 2010-10-20 주식회사 삼중산업 적산전력계 수납함
KR20120006670U (ko) * 2011-03-15 2012-09-27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분전함과 통합된 계량기함
KR101744795B1 (ko) * 2016-09-06 2017-06-09 진우산전 주식회사 전력량계를 내장한 스마트 교통신호 제어기
KR101919369B1 (ko) 2017-12-04 2019-02-08 한국전기교통 주식회사 계량기를 구비하는 교통신호제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2394B9 (ko) 2022-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25790B1 (en) Liquid crystal module mounting structure
KR102402394B1 (ko) 교통신호 제어기의 전력량계 고정 장치
KR20050000374A (ko) 전기기구용 모듈 하우징 및 그 장착부재
CN105539307B (zh) 一种带有隐藏式安装支架的悬浮显示屏安装结构
CN205541053U (zh) 一种模块化彩票投注机
KR101919369B1 (ko) 계량기를 구비하는 교통신호제어기
CN205344751U (zh) 一种带有隐藏式安装支架的悬浮显示屏安装结构
US20080084658A1 (en) Casing assembly for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KR200446125Y1 (ko) 계량기가 내설된 교통신호제어기용 제어함
CN102278625B (zh) 一种led灯箱
CN205722627U (zh) 一种双向信息显示屏及含该显示屏的客车
KR200338581Y1 (ko) 엘이디 백라이트 장치를 갖는 도로표지판
CN207340015U (zh) 一种车底图像获取装置
CN214474207U (zh) 一种用于显微镜的防尘保护结构及其显微镜
CN206672582U (zh) 信息显示灯具
KR200438868Y1 (ko) 적산전력계의 별도 설치공간이 마련된 가로등 제어함
CN205490836U (zh) 拍照设备
CN204554532U (zh) 一种舞台灯
CN211628625U (zh) 一种消防应急疏散指示标志灯
CN220383224U (zh) 助听器盒
CN214251033U (zh) 一种广角感应器及应用其的灯具
CN213237284U (zh) 一种便于安装的组合式应急指示灯
CN209130583U (zh) 一种具有报警提示功能的壁灯
CN212845591U (zh) 一种具有多表集抄功能的集中器
CN209281503U (zh) 一种闸机及其人脸识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