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4591Y1 - 전기시설물 개방구 커버의 잠금구조 - Google Patents

전기시설물 개방구 커버의 잠금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4591Y1
KR200444591Y1 KR2020070010009U KR20070010009U KR200444591Y1 KR 200444591 Y1 KR200444591 Y1 KR 200444591Y1 KR 2020070010009 U KR2020070010009 U KR 2020070010009U KR 20070010009 U KR20070010009 U KR 20070010009U KR 200444591 Y1 KR200444591 Y1 KR 2004445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opening
facility
electrical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00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6457U (ko
Inventor
조중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중일전기
조중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중일전기, 조중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중일전기
Priority to KR20200700100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4591Y1/ko
Publication of KR200800064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645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45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459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6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having associated enclosures, e.g.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pa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8Hinged covers or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시설물의 유지 및 보수를 위해 마련된 개방구 커버의 개폐에 사용되는 보울트 또는 체결부재와 같은 비스의 수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커버가 개폐구에 보다 안정된 상태로 장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전기시설물 개방구 커버의 잠금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전기시설물 개방구 커버의 잠금구조는 전기시설물의 유지보수 및 점검을 위하여 전기시설물 일측에 개방구가 형성되고, 그 개방구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커버가 형성된 전기시설물에 있어서, 상기한 개방구의 내측 하부에는 커버의 하단 일부가 끼워지도록 하는 상향조립편이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한 커버의 내측 하단에는 개방구 내측의 상향조립편에 끼워지기 위한 하향조립편이 하향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며, 커버의 상부에는 커버의 외측에서 개방구 상측에 비스로써 나사체결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전기시설물, 안정기, 커버, 비스, 조립편, 분실방지끈

Description

전기시설물 개방구 커버의 잠금구조{Locking apparatus for a cover on the electric equipments}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전기시설물 개방구 커버의 잠금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전기시설물 개방구 커버의 잠금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전기시설물 개방구로부터 커버가 분리된 상태의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전기시설물 본체 110 : 개방구
120 : 상향조립편 122 : 삽입홈
200 : 커버 210 : 체결공
220 : 하향조립편 222 : 삽입홈
300 : 비스 400 : 인서트 탭
500 : 분실방지끈
본 고안은 전기시설물 개방구 커버의 잠금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시설물의 유지 및 보수를 위해 마련된 개방구 커버의 개폐에 사용되는 비스의 수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커버가 개폐구에 보다 안정된 상태로 장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전기시설물 개방구 커버의 잠금구조에 관한 것이다.
전기는 최고의 발명품으로 꼽힐 정도로 인간의 삶을 보다 편리하고 윤택하게 해주고 있는데, 이러한 전기는 발전소에서 생산되어 전선을 따라 흐르는 과정에서 변전소를 포함한 여러 단계를 거치면서 적절히 승압되거나 강압된 후에 각 가정이나 건물 등의 전기시설물로 공급되고 있다.
가정이나 건물 등의 전시시설물에 공급된 전기는 전력을 소비하는 가전제품이나 기계 등의 장치에 입력되기 전에 계량기, 퓨즈, 누전차단기, 온/오프 스위치 등이 구비된 제어반을 거치게 된다. 또한, 전력을 직접적으로 소비하는 가전제품이나 기계 등의 장치에는 별도의 제어반이 형성됨으로서 각 장치에 가장 알맞은 상태의 전력이 소비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실내공간은 밝게 해주는 형광등과 같은 조명시설에는 전선을 통해 입력된 전류가 형광등의 조명에 적절한 상태로 조절하여 주기 위한 안정기가 형광등 케이스의 내측 공간에 마련되어 있다.
전술한 예들에서와 같이 각종의 전기시설물에는 계기반, 제어반, 안정기 케이스 등으로 불리우면서 그 내부에는 여러 종류의 안정장치 및 제어장치가 구비되어 있고, 관리자가 일정한 간격으로 해당 장치들을 유지보수 및 점검을 하는 데 보다 편리할 수 있도록 커버로써 개폐되는 개방구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전기시설물 본체(10)의 개방구(12)에는 개방구의 면적에 맞추어 단순한 형태의 판형상으로 성형된 커버(20)가 조립되거나 분리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데, 해당 커버(20)를 개방구(12)에 부착시키기 위해서는 다수의 볼트 또는 비스(30)가 사용되어 왔다. 즉, 커버(20)를 개방구(12)에 맞춘 상태에서 작업관리자가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볼트 또는 비스(30)를 체결함으로서 개방구의 잠금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종래의 경우에는 개방구(12)로부터 커버(2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커버의 상하측에서 볼트 또는 비스(30)를 체결함으로서 다수의 볼트 또는 비스가 필요하게 되었고, 그 만큼 커버를 개폐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질 수밖에 없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작업관리리자가 전기시설물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볼트 또는 비스의 체결상태를 해제하여 개방구로부터 커버를 분리시킨 상태에서 필요한 작업을 실시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볼트 또는 비스가 분실될 확률이 높았을 뿐만 아니라 심할 경우에는 커버가 분실될 염려도 있었다.
또한 비스가 커버를 개방구의 주위에 고정하기 위해 많이 체결됨으로 인해 미관상 깔끔하지 못한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전기시설물의 유지 및 보수를 위해 마련된 커버의 개폐에 사용되는 비스의 수를 줄일 수 있어 미관상 깔끔해 보일 뿐만 아니라 커버가 개폐구에 보다 안정된 상태로 장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전기시설물 개방구 커버의 잠금구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는 것이다.
아울러, 작업관리자가 전기시설물을 관리하는 과정에서 전기시설물로부터 분리된 커버 또는 비스의 분실이 최대한으로 억제될 수 있도록 하는 전기시설물 개방구 커버의 잠금구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전기시설물의 유지보수 및 점검을 위하여 전기시설물 일측에 개방구가 형성되며, 상기 개방구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상부의 가 비스에 의하여 상기 개방구의 상측에 나사체결을 통해 결합되는 커버를 구비하는 전기시설물 개방구 커버의 잠금구조에 있어서, 상기 개방구의 내측 하부에는 상기 커버의 하단 일부가 끼워지도록 하는 상향조립편이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내측 하단에는 상기 개방구 내측의 상향조립편에 끼워지기 위한 하향조립편이 하향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커버의 내측 상부와 상기 개방구의 일측 사이에는 상기 커버의 분실방지를 위한 일정 길이의 분실방지끈이 나사에 의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전기시설물 개방구 커버의 잠금구조에서는 비스가 나사체결되는 위치의 개방구 상측의 전시시설물 본체에 비스의 나사체결을 위한 인서트 탭이 끼워진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시설물 개방구 커버의 잠금구조의 구성 및 작동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기시설물 개방구 커버의 잠금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시설물 개방구 커버의 잠금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이 적용된 전기시설물 개방구로부터 커버가 분리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면 중에 표시된 도면부호 100은 전기시설물 본체를 지시하는 것이며, 도면부호 200은 커버를 지시하는 것이다.
전기시설물 본체(100)에는 도면에 표시된 바와 같은 형태의 개방구(110)를 비롯하여 여러 형태의 개방구가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커버(200)는 개방구(110)의 형태에 맞추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인데,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개방구(110) 및 커버(200)의 전체적인 외형이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예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즉, 개방구(110) 및 커버(200)의 외형은 반드시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서는 원형이나 다각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커버(200)로써 개방구를 닫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비스(300)의 수를 최소(바람직하게는 1개)로 줄인 상태에서도 커버(200)가 보다 안정된 상태로 전기시설물 본체(100)에 부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음은 물론 미관상 깔끔해 보이도록 하기 위해서 개방구(110)의 하측과 커버(200)의 하측에는 각각 커버(200)가 하측으로 흘러내리지 못하게 하는 상향조립편(120) 및 하향조립편(220)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향조립편(120)과 하향조립편(220)은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붙여진 명칭인 것으로, 반드시 그 명칭에 따라서 전기시설물(100)에는 상향조립편(120)이 상향된 형태로 형성되어야 하며 커버(200)에는 하향조립편(220)이 하향된 형태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전기시설물 본체(100)의 상향조립편(120)에는 커버(200)의 하향조립편(220)이 끼워지기 위한 삽입홈(122)이 형성되어 있고, 커버(200)의 하향조립편(220)에는 개방구 하측의 테두리가 끼워지기 위한 삽입홈(222)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서, 작업관리자가 개방구(110)를 향하여 커버(200)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단순한 방식으로 상향조립편(120)과 하향조립편(220)의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방식으로 상향조립편(120)과 하향조립편(220)의 조립이 이루어지면, 커버(200)에서 작업관리자가 손을 떼더라도 커버(200)는 전기시설물 본체(100)에서 분리되어 스스로 낙하하게 되는 현상이 방지됨으로서, 비스(300)를 체결하는 과정을 보다 손쉽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커버(200)는 개방구(110)를 막은 상태에서 그 하단부가 상향조립편(120) 및 하향조립편(220)에 의해서 커버에 부착된 상태에 있기때문에 커버(200) 의 완전한 조립을 위한 비스(300)를 체결하는 위치는 1곳이면 족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커버의 면적에 따라서 커버의 조립에 사용되는 비스의 수는 조정될 수 있는 것이다.
커버의 상부측에는 비스(300)의 체결을 위한 체결공(210)이 관통된 형태로 형성된다.
커버(200)가 외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비스(300)가 나사체결되는 전기시설물 본체(100)의 위치에는 비스(300)의 체결을 안내하기 위한 인서트 탭(40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서트 탭(40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스 등으로써 나사체결되는 부분의 두께가 얇을 경우에 보다 안정적인 나사체결을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한편, 도 6에서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이고 있다. 즉, 전기시설물 본체(100)의 개방구(110) 일측과 커버(200) 사이에는 커버의 분실방지를 위한 분실방지끈(500)이 연결된 상태이다. 따라서 작업관리자가 전기시설물의 유지보수를 위해서 본체로부터 커버(200)를 분리시키더라도 커버(200)는 본체(100)로부터 분실방지끈(500)의 길이 범위 내에 위치하게 됨으로서 커버를 분실하게 되는 것을 방지될 수 있다. 분실방지끈(500)의 연결은 전기시설물 본체(100)와 커버(200)에 나사조립되는 별도의 나사(510,520)로써 이루어질 수 있고, 필요한 경우 분실방지끈의 양측 끝단에는 조립공이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은 전기시설물 구조에서 전기시설물 개방구를 커버로써 닫거나 개방하는 과정을 간단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작업관리가가 전기시설물을 점검하기 위해서 전기시설물 본체(100)의 개방구(110)를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에, 작업관리자는 커버(200)에 체결된 비스(300)의 체결상태를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해제하게 된다.
그런 다음, 작업관리자는 커버(200)를 상측으로 들어올리면서 상향조립편(120)으로부터 커버와 일체로 형성된 하향조립편(220)이 분리되도록 한다.
이때, 커버(200)와 전기시설물 본체(100) 사이에 분실방지끈(500)이 연결되어 있다면, 커버(200)는 분실방지끈(500)의 길이 범위 내에서 전기시설물 본체(100)에 매달린 상태에 있게 된다. 물론, 커버(200)와 전기시설물 본체(100) 사이에 분실방지끈(500)이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작업관리자는 커버(200)를 작업관리자의 작업반경 내에 내려 둘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분리된 상태의 커버(200)를 다시 전기시설물 본체(100)에 조립시키는 과정에서 작업관리자는 우선 커버(200)의 내측 하부에 마련된 하향조립편(220)을 전기시설물 본체(100)의 개방구(110) 내측에 형성된 상향조립편(120)에 우선 끼우게 된다.
그 상태에서 작업관리자는 커버(200)의 상부측에 마련된 체결공(110)을 통해서 비스(300)를 나사조립하게 됨으로서 커버(200)는 전기시설물 본체(100)에 보다 안정된 상태로 조립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커버(200)의 하향조립편(220)이 전기시설물 본체(120)의 상향조립편에 끼워진 상태에 있게 됨으로서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비스(300)를 체결하는 과정에서 작업관리자는 커버(200)가 전기시설물 본체(100)에 대하여 밀착된 상태가 되도록 하기 위한 노력을 덜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해서는 커버의 하단부와 전기시설물 본체의 개방구 하측에 하향조립편 및 상향조립편을 둠으로서, 커버의 조립에 필요한 비스의 수를 크게 줄일 수 있어 미관상 깔끔해 보일 뿐만 아니라, 커버를 장착하는 과정에서도 작업관리자가 보다 수월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커다란 장점이 있는 것이다. 아울러, 전기시설물 본체와 커버 사이에 별도의 분실방지끈이 연결될 경우에는 작업관리자가 커버를 분리한 상태에서 이후의 작업을 진행하게 되더라도 커버는 분실방지끈의 길이 범위 내에서 위치되어 있음으로서 커버가 분실될 염려를 덜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전기시설물의 유지보수 및 점검을 위하여 전기시설물 일측에 개방구가 형성되며, 상기 개방구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상부의 가 비스에 의하여 상기 개방구의 상측에 나사체결을 통해 결합되는 커버를 구비하는 전기시설물 개방구 커버의 잠금구조에 있어서,
    상기 개방구의 내측 하부에는 상기 커버의 하단 일부가 끼워지도록 하는 상향조립편이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내측 하단에는 상기 개방구 내측의 상향조립편에 끼워지기 위한 하향조립편이 하향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커버의 내측 상부와 상기 개방구의 일측 사이에는 상기 커버의 분실방지를 위한 일정 길이의 분실방지끈이 나사에 의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시설물 개방구 커버의 잠금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비스가 나사체결되는 위치의 개방구 상측의 전시시설물 본체에는 비스의 나사체결을 위한 인서트 탭이 끼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시설물 개방구 커버의 잠금구조.
  3. 삭제
KR2020070010009U 2007-06-19 2007-06-19 전기시설물 개방구 커버의 잠금구조 KR2004445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0009U KR200444591Y1 (ko) 2007-06-19 2007-06-19 전기시설물 개방구 커버의 잠금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0009U KR200444591Y1 (ko) 2007-06-19 2007-06-19 전기시설물 개방구 커버의 잠금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6457U KR20080006457U (ko) 2008-12-24
KR200444591Y1 true KR200444591Y1 (ko) 2009-05-25

Family

ID=41327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0009U KR200444591Y1 (ko) 2007-06-19 2007-06-19 전기시설물 개방구 커버의 잠금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459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5034B1 (ko) * 2012-12-03 2014-03-17 명호근 배전반용 손잡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6457U (ko) 2008-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89928B2 (en) Electrical box extender
CA2690900C (en) Weatherproof while-in-use electrical box cover with insertable hinge pin
KR200457588Y1 (ko) 케이블 트레이용 전기계량기함
US6775593B1 (en) Service panel with utility controller
US9819158B2 (en) Integrated electrical assembly for housing modular units and related components thereof
KR100647489B1 (ko) 가로등용 단자함
KR200444591Y1 (ko) 전기시설물 개방구 커버의 잠금구조
US6747206B1 (en) Junction box and ballast module assembly
US8779302B2 (en) System for fitting and electrically connecting lighting elements
US7903430B2 (en) Recessed light ballast mount
JP2011103719A (ja) 電力供給システム
KR100672800B1 (ko) 공동주택용 천정 전기단자함
KR100887420B1 (ko) 양문형 수배전반
JP2002054227A (ja) 下面被覆板の取付構造
US10281118B2 (en) Tool-less apparatus and method for securing lighting enclosure cover
CN211238907U (zh) 一种xl动力柜等高低压配电用组装柜
US9562627B2 (en) Luminaire and improved lighting system
KR102397689B1 (ko) 침투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전기 단자함
KR200444210Y1 (ko) 전구 소켓 고정구조
KR200236602Y1 (ko) 천정 매입형 분전반
JP2000248695A (ja) ルーフドレインの凍結防止装置
US20070151972A1 (en) Electrical box extender
KR200248263Y1 (ko) 배전함용 계량기 고정판의 고정구조
KR200451947Y1 (ko) 천정 보수용 커버
CA2047924C (en) Canopy mounting device for exit signs and the lik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