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8821Y1 - 케이블 지지구조를 갖는 노출형 콘센트 - Google Patents

케이블 지지구조를 갖는 노출형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8821Y1
KR200478821Y1 KR2020150003503U KR20150003503U KR200478821Y1 KR 200478821 Y1 KR200478821 Y1 KR 200478821Y1 KR 2020150003503 U KR2020150003503 U KR 2020150003503U KR 20150003503 U KR20150003503 U KR 20150003503U KR 200478821 Y1 KR200478821 Y1 KR 2004788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guide hole
lower case
fix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35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병희
Original Assignee
강병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병희 filed Critical 강병희
Priority to KR20201500035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88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88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882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5Grip increasing with strain 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케이블 지지구조를 갖는 노출형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케이블측과 접속되는 접속단자부가 구비되고, 일측에 케이블을 안내하는 안내공이 형성된 하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에 결합되며 일면에 전원플러그를 꽂기 위한 플러그삽입구가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된 상부케이스로 이루어진 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안내공이 형성된 하부케이스의 내측 방향으로 안내공을 지나는 케이블을 홀딩하기 위한 케이블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고정부에는 케이블을 가압 지지하는 고정부재가 체결나사로서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접속단자부에 케이블을 연결하여 콘센트의 케이스측 안내공 외측으로 케이블을 인출시킴에 있어, 케이블고정부를 하부케이스측 안내공과 인접한 부분에 마련하여 고정부재의 결합으로써 케이블의 피복부위를 다지점 가압하는 형태로 조합함으로써, 각종 장비의 전원플러그를 플러그삽입구에 접속시켜 사용하는 과정에서 장비의 이동으로 하여금 케이블에 발생하는 장력을 충분히 견질 수 있는 지지력으로 케이블을 콘센트에서 지지시켜 주어 특히 각종 산업현장에서 장비연결용으로 사용되는 콘센트 케이블 사용시 케이블 장력에 의한 접속단자부로부터 단락되거나 쇼트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케이블 지지구조를 갖는 노출형 콘센트{Exposure type having cable supporting structure}
본 고안은 케이블 지지구조를 갖는 노출형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작업 현장에서 각종 장비사용을 위해 사용하고 있는 콘센트의 케이싱 및 내부구조를 개선하여 콘센트 단자와 연결된 케이블에 장력발생시 콘센트 케이싱측에서 견고하게 케이블을 지지토록 하여 전선 단락현상으로 인한 각종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케이블 지지구조를 갖는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원플러그를 꽂아 사용할 있도록 된 콘센트(concent)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러그를 꽂을 수 있도록 제작되어 있고, 이는 벽면 매립타입 혹은 단독적인 콘센트 케이싱에 구비된 단자접속부에 케이블을 연결하고, 그 케이블의 반대측 단부에는 또 다른 콘센트측에 접속시킬 수 있는 전원플러그가 구비된 형태가 대부분이다.
후자와 같은 타입은 케이블의 길이별로 제작되거나, 콘센트측에는 과전압방지기능이 탑재된 콘센트가 가정 혹은 사무실에서 연장하여 사용하거나 작업현장에서 각종 장비사용 목적에서 사용되고 있다.
혹은 상기 외에 현장에서 벽 부착형으로 노출형 콘센트가 사용되는바, 상기 노출형 콘센트의 경우는, 연결제작된 제품 외에 현장 상황에 맞게 직접 전선 케이블을 콘센트에 연결하여 용도에 맞게 사용하는 경우가 맞다.
가령, 벽 외부로 노출형태로 배선되는 케이블과 연결하는 벽 부착식으로 사용하던지 또는 현장사용에 맞게 케이블을 직접 작업자가 피복을 일부 분리한 다음 콘센트를 분리하여 그 내부에 마련된 접속단자부에 연결 사용하는 경우이다.
상기와 같은 노출형 콘센트제품은 케이블이 미리 직접 연결 제작된 완제품에 비해 작업자가 요구하는 길이의 케이블을 별매로 판매되는 노출형 콘세트에 직접 연결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상기 노출형이 아닌 완제품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콘센트를 연결사용하는 가정이나 사무실의 경우는 콘센트를 거의 움직이지 않고, 가전제품의 플러그를 꽂아 사용하기 때문에 특별히 케이블의 장력이 가해지지 않고, 대부분 가정생활가전용품에 맞게 설계되어 현장사용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상기와 같이 노출형 콘센트는 각종 작업 현장에서 콘센트가 일체로 구비된 코드 릴선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케이블을 풀고 감아 들이는 불편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현장 작업자들은 대부분 직접 케이블과 조합하여 관련장비의 플러그를 꽂아 사용한다.
이러한 작업환경에서의 노출형 콘센트의 사용은 주로 작업자가 이동하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무심코 콘센트와 연결된 케이블에 장력이 가해지는 경우가 많아 접속단자부로부터 케이블의 접점이 강제로 단락되면서 쇼트(Short)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53220호(명칭: 전원 케이블의 고정구조, 등록일자: 1999년 05월 06일)가 선행문헌으로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문헌은 전자제품의 전원케이블에 장력이 가해져 단락되는 방지하는 구조로서, 첨부된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제품의 후면패널(10)의 내측 적소에 소정높이를 갖고 일측에 상기 전원 케이블(K)이 통과되기 위한 인출공(24)이형성된 보호박스(20)의 바닥에 ⊃형 격벽(26)과 ∪형 격벽(28) 및 ⊂형 격벽(30)을 돌출형성하고 보호박스(20)의 양측벽에 걸림공(22)을 천공하여 커버(32)의 양측단 걸림턱(34)이 삽입고정되게 하여서 구성된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은 구조는 케이블이 일직선이 아닌 굴곡진 형태로 격벽을 경유하여 설치됨으로써, 케이블의 장력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나,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콘센트 케이싱에 적용하기에는 많은 공간을 차지하는 단점과, 굵은 케이블을 구부리기에 무리가 따른다.
더욱이 현장용으로 사용하는 케이블은 고전류에 대비하여 주로 현장에서 사용되는 케이블은 그 내부에 +선, -선 및 접지선을 포함되어 피복되며, 그 피복 직경은 8mm의 케이블을 주로 사용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는 콘센트에 더욱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작업 현장에서 각종 장비사용을 위해 사용하고 있는 콘센트의 케이싱 및 내부구조를 개선하여 콘센트 단자와 연결된 케이블에 장력발생시 콘센트 케이싱측에서 견고하게 케이블을 지지토록 하여 전선 단락현상으로 인한 각종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케이블 지지구조를 갖는 노출형 콘센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하면, 케이블측과 접속되는 접속단자부가 구비되고, 일측에 케이블을 안내하는 안내공이 형성된 하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에 결합되며 일면에 전원플러그를 꽂기 위한 플러그삽입구가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된 상부케이스로 이루어진 노출형 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안내공이 형성된 하부케이스의 내측 방향으로 안내공을 지나는 케이블을 홀딩하기 위한 케이블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고정부에는 케이블을 가압 지지하는 고정부재가 체결나사로서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케이블고정부는 안내공을 통해 케이블이 안내되어 안치되는 안내홈 및 안내홈과 상기 안내공 사이의 내측 바닥면에는 케이블의 저부를 가압하는 라운드형으로 함몰된 제1날개편이 형성되고, 상기 제1날개편이 형성된 양측에는 상기 고정부재 고정을 위한 체결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고정부재는 케이블의 상부를 덮기 위한 아치형으로 그 저부에는 상기 케이블 상부를 가압하여 지지하는 라운드형으로 함몰된 지지편이 복수개 형성되고, 양측에는 상기 체결나사의 관통을 위한 결합공이 형성된 고정편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안내공은 U자형으로 그 내주면에 케이블의 저부와 양측을 가압하기 위한 제2날개편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노출형 콘센트는, 접속단자부에 케이블을 연결하여 콘센트의 케이스측 안내공 외측으로 케이블을 인출시킴에 있어, 케이블고정부를 하부케이스측 안내공과 인접한 부분에 마련하여 고정부재의 결합으로써 케이블의 피복부위를 다지점 가압하는 형태로 조합함으로써, 각종 장비의 전원플러그를 플러그삽입구에 접속시켜 사용하는 과정에서 장비의 이동으로 하여금 케이블에 발생하는 장력을 충분히 견질 수 있는 지지력으로 케이블을 콘센트에서 지지시켜 주어 특히 각종 산업현장에서 장비연결용으로 사용되는 콘센트 케이블 사용시 케이블 장력에 의한 접속단자부로부터 단락되거나 쇼트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가전제품의 케이블 설치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케이블 고정구조를 갖는 콘센트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콘센트의 하부케이스에 케이블을 접속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4의 (a)(b)sms 본 고안에 따른 고정부재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이 콘센트측 고정부 및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이 콘센트측 고정부 및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 3의 B-B선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콘센트의 하부케이스측 안내공에 케이블 고정을 위한 제2날개편을 더 형성된 상태를 보여주는 일부분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제2날개편에 의해 케이블이 고정을 더 보강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케이블(C)측과 접속되는 접속단자부가 구비되고, 일측에 케이블(C)을 안내하는 안내공(111)이 형성된 하부케이스(110) 및 하부케이스에 결합되며, 일면에 전원플러그를 꽂기 위한 플러그삽입구(121)가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된 상부케이스(120)로 이루어진 공지기술의 노출형 콘센트(100)에 있어서,
상기 안내공(111)이 형성된 하부케이스(110)의 내측 방향으로 안내공(111)을 지나는 케이블(C)을 홀딩하기 위한 케이블고정부(112)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고정부(112)에는 케이블(C)을 가압 지지하는 고정부재(130)가 체결나사(S)로서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케이블고정부(112)는 안내공(111)을 통해 케이블(C)이 안내되어 안치되는 안내홈(112a) 및 안내홈(112a)과 상기 안내공(111) 사이의 내측 바닥면에는 케이블(C)의 저부를 가압하는 라운드형으로 함몰된 제1날개편(112b)이 형성되고, 상기 제1날개편(112b)이 형성된 양측에는 상기 고정부재(130)의 고정을 위한 체결공(112c)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재(130)는 케이블(C)의 상부를 덮기 위한 아치형으로 그 저부에는 상기 케이블(C) 상부를 가압하여 지지하는 라운드형으로 함몰된 지지편(131)이 복수개 형성되고, 양측에는 상기 체결나사(S)의 관통을 위한 결합공(132a)이 형성된 고정편(132)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안내공(111)은 U자형으로 그 내주면에 케이블(C)의 저부와 양측을 가압하기 위한 제2날개편(111a)이 돌출 형성된다.
참고로 상기 제1날개편(122b), 제2날개편(111a), 지지편(131)은 1~1.5mm의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 케이블을 가압시 케이블의 피복 튜브(C1)에 홈 자리를 내면서 가압되어 케이블의 홀딩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케이블 지지구조를 갖는 노출형 콘센트의 사용상에 따른 작용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준비된 콘센트(100)에 케이블(C)의 연결은 상부케이스(120)를 하부케이스(110)로부터 분리시키면, 그 내부의 접속단자부가 드러나게 되고, 통상적으로 케이블(C)의 피복 튜브(C1)를 일부 벗겨낸 상태에서 각 선의 심선을 드러내어 상기 접속단자부 측에 고정나사로서 접속시켜준다.
이후 상기 케이블(C)의 피복 튜브(C1)부분은 하부케이스(110)측 안내공(111)과 케이블고정부(112)의 안내홈(112a)에 일직선상으로 안치시켜 준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고정부재(130)를 첨부된 도 2에서와 같이 케이블고정부(112)의 체결공(112c) 위치에 맞게 위치시킨 다음, 고정편(132)의 결합공(132a)을 통해 체결나사(S)로 체결하면, 상기 고정부재(130)는 체결나사(S)의 체결됨에 따라 그 저부측 라운드형으로 함몰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지지편(131)이 케이블(C) 상부를 가압하게 된다.
이때 케이블(C)은 상기 고정부재(130)에 의해 가압되면서 상기 안내공(111)과 안내홈(121) 사이에 위치한 제1날개편(112b)에 의해 상대적으로 가압되어 케이블(C)의 피복 튜브(C1)부분을 강하게 눌러 지지시키게 된다.
즉, 상기 고정부재(130)의 지지편(131)은 복수개로서 케이블(C)의 피복 튜브(C1)의 상부측을, 또한 상기 제1날개편(112b)은 피복 튜브(C1)의 저부를 가압하여 케이블(C)을 지지하게 됨으로써, 외부로부터 케이블(C)에 가해지는 장력발생시 접속단자부와 연결된 케이블이 접속부분 단락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제1날개편(112b)은 첨부된 도 5 및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복수개의 지지편(131) 사이의 하부측에서 상대적으로 받쳐짐과 동시에 피복 튜브(C1)를 가압 지지함으로서, 가압 지지되는 부분은 모두 3지점 지지되어 장력에 의해 케이블(C)이 콘센트(100)의 접속단자부에서 단락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첨부된 도 7 및 도 8은 하부케이스(110)의 안내공(111)에 제2날개편(111a)을 더 형성한 것으로, 이는 안내공(111)에 케이블(C)을 안내시킴에 있어, 제2날개편(111a)에 의해 케이블(C)의 피복 튜브(C1) 양측 및 저부측 국소부분이 강압적으로 가압 지지되는 것으로, 이는 상기 제2날개편(111a)으로 하여금 모두 4지점 케이블(C)의 피복 튜브(C1)를 견고하게 지지하여 줌으로써, 콘센트(100)로부터 강압적인 장력발생으로 단락을 방지해 줄 수 있게 한다.
이는 특히 각종 작업현장에서 이동하면서 장비 측의 전원플러그를 상기 상부케이스(120)측 플러그삽입구(121)에 꽂아 사용함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장력발생시 순간적으로 케이블(C)이 접속단자부로부터 이탈되거나 이로 인한 쇼트발생 등의 사례를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특히 8mm정도의 굵은 직경으로 제작된 케이블(C)을 주로 사용하는 콘센트(100) 적용에 있어, 케이블(C)을 구부리지 않은 상태로 하부케이스(110)측 안내공(111)을 통해 일직선상으로 콘센트 측에서 인출시키되, 상기와 같이 제1날개편(112b), 제2날개편(111a), 지지편(131)에 의해 다 지점 가압고정은 충분히 케이블의 장력발생에 의한 콘센트(100)의 접속단자부의 연결부위 보호, 콘센트와 접속된 장비측의 플러그를 보호할 수 있는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고안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콘센트 110: 하부케이스
111: 안내공 111a: 제날개편
112: 케이블 고정부 112a: 안내홈
112b: 제1날개편 112c: 체결공
120: 상부케이스 121: 플러그삽입구
130: 고정부재 131: 지지편
132: 고정편 132a: 결합공
C: 케이블 C1: 피복튜브
S: 체결나사

Claims (4)

  1. 케이블측과 접속되는 접속단자부가 구비되고, 일측에 케이블(C)을 안내하는 안내공(111)이 형성된 하부케이스(110) 및 하부케이스에 결합되며, 일면에 전원플러그를 꽂기 위한 플러그삽입구(121)가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된 상부케이스(120)로 이루어진 콘센트(100)에 있어서,
    상기 안내공(111)이 형성된 하부케이스(110)의 내측 방향으로 안내공(111)을 지나는 케이블(C)을 홀딩하기 위한 케이블고정부(112)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고정부(112)에는 케이블(C)을 가압 지지하는 고정부재(130)가 체결나사(S)로서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지지구조를 갖고,
    상기 케이블고정부(112)는 안내공(111)을 통해 케이블(C)이 안내되어 안치되는 안내홈(112a) 및 안내홈(112a)과 상기 안내공(111) 사이의 내측 바닥면에는 케이블(C)의 저부를 가압하는 라운드형으로 함몰된 제1날개편(112b)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130)는 케이블(C)의 상부를 덮기 위한 아치형으로 그 저부에는 상기 케이블(C) 상부를 가압하여 지지하는 라운드형으로 함몰된 지지편(131)이 형성되며,
    상기 제1날개편(112b)과 상기 지지편(131)은 상기 케이블(C)에 대하여 서로 지그재그로 맞물릴 수 있도록 각각의 위치가 서로 비켜지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지지구조를 갖는 콘센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고정부(112)는 상기 제1날개편(112b)이 형성된 양측에 상기 고정부재(130)의 고정을 위한 체결공(112c)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지지구조를 갖는 콘센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130)는 상기 지지편(131)이 형성된 양측에 상기 체결나사(S)의 관통을 위한 결합공(132a)이 형성된 고정편(1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지지구조를 갖는 콘센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공(111)은 U자형으로 그 내주면에 케이블(C)의 저부와 양측을 가압하기 위한 제2날개편(111a)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지지구조를 갖는 노출형 콘센트.
KR2020150003503U 2015-06-01 2015-06-01 케이블 지지구조를 갖는 노출형 콘센트 KR2004788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3503U KR200478821Y1 (ko) 2015-06-01 2015-06-01 케이블 지지구조를 갖는 노출형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3503U KR200478821Y1 (ko) 2015-06-01 2015-06-01 케이블 지지구조를 갖는 노출형 콘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8821Y1 true KR200478821Y1 (ko) 2015-11-18

Family

ID=54868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3503U KR200478821Y1 (ko) 2015-06-01 2015-06-01 케이블 지지구조를 갖는 노출형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882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9326B1 (ko) * 2018-08-14 2020-02-19 동양전자산업 주식회사 고전압용 멀티콘센트
KR200494149Y1 (ko) * 2020-03-18 2021-08-13 조경군 간섭 방지 플러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0016A (ja) * 2000-02-14 2001-08-2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プラ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0016A (ja) * 2000-02-14 2001-08-2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プラ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9326B1 (ko) * 2018-08-14 2020-02-19 동양전자산업 주식회사 고전압용 멀티콘센트
KR200494149Y1 (ko) * 2020-03-18 2021-08-13 조경군 간섭 방지 플러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96241B2 (en) Integrated opposite hook wire clamp
US10777948B2 (en) Modular extendable outlet assembly
CN203691823U (zh) 一种用于机柜的理线单元
US20090224423A1 (en) Elastomeric portable electrical outlet box
KR101832214B1 (ko) 케이블 설치가 용이한 공동주택용 케이블트레이
KR200478821Y1 (ko) 케이블 지지구조를 갖는 노출형 콘센트
US7164083B1 (en) Electrical outlet covering apparatus
US20150000972A1 (en) Modular electrical junction box and method of use
KR101317908B1 (ko) 지중배전선로 보호형 접속기구
US7897869B2 (en) Retractable electrical cord box
KR101994193B1 (ko) 전선 권취부를 구비한 멀티탭용 케이스
KR20150010355A (ko) 배선관용 커넥터
KR101553026B1 (ko) 배선 닥트
EP2960699B1 (en) Installation box having movable support member
CA2071132C (en) Telephone protector including removable fuse holder
KR100359301B1 (ko) 전원공급장치
CN216488694U (zh) 一种多卡位暗装底盒
CN211719793U (zh) 一种使用方便的电源线连接盒
CA1161815A (en) Portable drum reel
CN215499899U (zh) 一种麦芽糖生产用送风机控制装置
KR101345260B1 (ko) 전선의 접속 단자
JP5711611B2 (ja) 給電ポール
KR200285097Y1 (ko) 배선 덕트용 커버
CN219739411U (zh) 一种带有防护盖板的五金开关插座
CN218216548U (zh) 一种电力安全施工用线头防漏电保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