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0575B1 - 스위치 기어 - Google Patents

스위치 기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0575B1
KR101070575B1 KR1020097012097A KR20097012097A KR101070575B1 KR 101070575 B1 KR101070575 B1 KR 101070575B1 KR 1020097012097 A KR1020097012097 A KR 1020097012097A KR 20097012097 A KR20097012097 A KR 20097012097A KR 101070575 B1 KR101070575 B1 KR 1010705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main
bus bar
cable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2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0123A (ko
Inventor
히로츠구 고바야시
고지 사노
스스무 고즈루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80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01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0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05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 Gas-Insulated Switchgears (AREA)
  • Trip Switchboards (AREA)

Abstract

<과제> 스위치 기어의 케이스의 치수를 크게 하는 일이 없이, 게다가 점검과 배선등의 작업성이 뛰어난 스위치 기어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스위치 기어(1)의 케이스(100)에, 주(主) 모선(母線) 실(室)(30)과 차단기 실(室)(20)과의 사이에 위치하고 대략 수직을 이루는 제 1의 벽체(101)와, 주 모선 실(30)의 내부 공간을 통하여 제 1의 벽체(101)에 대향하는 제 2의 벽체(102)와, 주 모선 실(30)과 케이블 실(40)과의 사이에 위치하고 제 2의 벽체 측으로부터 제 1의 벽체로 아래쪽으로 경사하여 뻗는 경사부(1031)를 갖는 제 3의 벽체(103)를 마련하고, 복수 상(相)의 주 모선 중 적어도 하나의 상의 주 모선(301)을 제 1의 벽체에 대략 수평 방향으로 연신하도록 고정하고, 다른 상의 주 모선(302,303)을 제 2의 벽체에 대략 수평 방향으로 연신하도록 고정했다.

Description

스위치 기어{SWITCHGEAR}
본 발명은, 차단기를 케이스 안에 수납한 스위치 기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런 종류의 스위치 기어는, 차단기를 수납하는 차단기 실(室)과, 이 차단기 실(室)의 후방에 배치되며 부하에 접속되는 케이블을 수납하는 케이블 실(室)과, 이 케이블 실의 위쪽에 배치되어 전원에 접속되는 주 모선(主 母線)을 수납하는 주 모선 실(室)을 구비하며, 이들 실(室)은 칸막이 판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주 모선 실 내에 수납된 삼상(三相)의 각각의 모선(母線)은, 동일의 칸막이 판의 측면에 수직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수평 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차단기와 케이블 실에 수납된 케이블과의 접속은 부하측 접속 도체에 의해 행해지지만, 이 분기(分岐) 도체는, 차단기의 아래쪽에 설치되어 있는 부하측 단자와의 접속 위치로부터 차단기의 후방으로 연신(延伸)하고, 다시금 케이블과의 접속 거리를 확보하기 위해서 일단 위쪽으로 연신한 후에 케이블에 접속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 일본국 특개 2004-350442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이상과 같이 구성된 종래의 스위치 기어는, 각각의 상(相)의 주(主) 모선(母線)을 수직 방향의 간격을 통하여 수평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주 모선을 수납하는 주 모선 실은 그 주 모선의 배치를 위한 수직 방향의 소정의 치수가 필요하다. 따라서, 스위치 기어의 케이스의 수직 방향의 치수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주 모선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차단기는, 케이스의 바닥면 부근에 설치하지 않으면 안되며, 차단기 실의 뒤편에 위치하는 케이블 실 내의 점검이나 배선등의 작업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케이스의 바닥면으로부터 차단기를 일단 케이스 밖으로 반출해도 케이블 실에 액세스(access) 할 수 없기 때문에, 케이스 후면의 커버를 벗겨서 케이스의 후면으로부터 실시할 필요가 있어 수고를 요한다. 또, 점검 등의 작업성을 고려하여 차단기를 케이스의 중단(中段) 부근에 설치하면, 케이스의 수직 방향의 치수가 커지게 되는 등의 과제를 가진다.
본 발명은, 종래의 스위치 기어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스위치 기어의 케이스의 치수를 크게 하는 일이 없이, 게다가 점검이나 배선 등의 작업성이 뛰어난 스위치 기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스위치 기어는, 전원에 접속되는 복수 상(相)의 주 모선을 수납하는 주 모선 실(室)과, 부하(負荷)에 접속되는 케이블을 수납하는 케이블 실(室)과, 상기 주 모선과 상기 케이블과의 사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전원으로부터 상기 부하에의 전로(電路)를 개폐하는 차단기를 수납하는 차단기 실을 구비한 케이스를 갖는 스위치 기어로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주 모선 실과 상기 차단기 실과의 사이에 위치하고 대략 수직을 이루는 제 1의 벽체와, 상기 주 모선 실의 내부 공간을 통하여 상기 제 1의 벽체에 대향하는 제 2의 벽체와, 상기 주 모선 실과 상기 케이블 실과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 2의 벽체 측으로부터 상기 제 1의 벽체 측으로 아래쪽으로 경사하여 뻗는 경사부를 갖는 제 3의 벽체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 상(相)의 주 모선 중 적어도 하나의 상의 주 모선은 상기 제 1의 벽체에 대략 수평 방향으로 연신(延伸) 하도록 고정되며, 다른 상의 주 모선은 상기 제 2의 벽체에 대략 수평 방향으로 연신 하도록 고정된 것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한 스위치 기어에 의하면, 스위치 기어의 케이스는, 주 모선 실과 차단기 실 사이에 위치하여 대략 수직을 이루는 제 1의 벽체와, 주 모선 실의 내부 공간을 통하여 제 1의 벽체에 대향하는 제 2의 벽체와, 주 모선 실과 케이블 실과의 사이에 위치하여 제 2의 벽체 측으로부터 제 1의 벽체 측으로 아래쪽으로 경사하여 뻗는 경사부를 갖는 제 3의 벽체를 구비하고, 복수 상(相)의 주 모선 중 적어도 하나의 상의 주 모선은 제 1의 벽체에 대략 수평 방향으로 연신 하도록 고정되고, 다른 상(相)의 주 모선은 제 2의 벽체에 대략 수평 방향으로 연신 하도록 고정되어 있으므로, 제 1의 벽체에 고정된 주 모선 중 적어도 하나의 상(相)의 주 모선과 제 2의 벽체에 고정된 주 모선 중 적어도 하나의 상(相)의 주 모선을, 수평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분이 겹치도록 대향하여 배치할 수 있으며, 스위치 기어의 케이스의 수직 방향의 치수를 크게 하는 일이 없이, 케이스 안의 스페이스를 크게 할 수 있어 점검이나 배선 등의 작업성이 뛰어난 스위치 기어를 얻을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스위치 기어의 단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스위치 기어의 주 모선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스위치 기어의 주 모선 실 및 그 근방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스위치 기어의 케이블 실 및 그 근방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스위치 기어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스위치 기어의 주 모선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스위치 기어의 주 모선 실 및 그 근방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스위치 기어의 케이블 실 및 그 근방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 내지 도 4 에 있어서, 스위치 기어(1)는, 금속제의 대략 상자형 의 케이스(100)를 구비하고, 이 케이스(100)의 내부에는, 인출형 차단기(202)를 수납하는 차단기 실(20)과, 삼상(三相) 전원에 접속되는 제 1 상(相)의 주 모선(301), 제 2 상의 주 모선(302), 제 3 상의 주 모선(303)을 수납하는 주 모선 실(30)과, 부 하(負荷)에 접속되는 제 1 상의 케이블(403), 제 2 상의 케이블(404), 제 3 상의 케이블(405)를 수납하는 케이블 실(40)과, 도시하지 않은 보호 릴레이, 미터(meter) 등을 수납하는 제어실(50)이 설치되어 있다. 차단기 실(20), 케이블 실(40), 제어실(50)의 전면부에는, 각각 개폐 가능한 차단기 실 문(201), 케이블실 문(401), 및 제어실 문(501)이 설치되어 있다.
차단기 실(20)은, 대략 수직인 벽면을 갖는 금속제의 칸막이 판(101, 104)에 의해 주 모선 실(30) 및 케이블 실(40)로부터 구획되어 있다. 또, 차단기 실 (20)은, 케이스(100)의 수직 방향의 대략 중단부(中段部)에 인출형 차단기(202)를 지지하는 차단기 지지체(205)를 구비하고 있다. 이 차단기 지지체(205)는, 차단기 실(20)과 케이블 실(40)과의 칸막이를 겸하고 있다.
차단기 실(20)에 수납된 인출형 차단기(202)는, 복수의 차바퀴(203, 204)를 통하여 차단기 지지체(205) 위에 설치되어 있다. 인출형 차단기(202)는, 삼상 각 극의 전원측 단자(도 1에 1 극분(極分)만을 표시)(207)와, 삼상 각 극(極)의 부하측 단자(도 1에 1 극분만을 표시)(208)를 구비하고, 이들 단자(207,208) 사이에 삼상(三相) 각 극의 진공 스위치(도시하지 않음)가 직렬로 접속된다.
칸막이 판(102)에는, 인출형 차단기(202)의 삼상 각 극의 전원측 단자(207)에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의 부싱(bushing)(도 1에 1 상분(相分)만을 표시)(2013)을 통해 전원측 고정단자(도 1에 1 상분만을 표시)(2011)가 고정되고, 또, 인출형 차단기(202)의 삼상 각 극의 부하측 단자(208)에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의 부싱(도 1에 1 상분만을 표시)(2014)을 통해 부하측 고정단자(도 1에 1 상분만을 표 시)(2012)가 고정되어 있다.
인출형 차단기(202)는, 도시하지 않은 핸들에 의해 스크류(206)를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인출형 차단기(202)를 도 1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전원측 단자(207) 및 부하측 단자(208)를 전원측 고정단자(2011) 및 부하측 고정단자(2012)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또, 인출된 상태의 인출형 차단기(202)를, 스크류(206)를 상기와는 역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도면의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전원측 단자(207) 및 부하측 단자(208)를 각각 대응하는 전원측 고정단자(2014) 및 부하측 고정단자(2012)에 접속할 수 있다.
각 상의 전원측 고정단자(2011)에 대응하여 설치된 각 상의 전원측 셔터(209) 및 각 상의 부하측 고정단자(2012)에 대응하여 설치된 각 상의 부하측 셔터(210)는 인출형 차단기(202)가 도면의 좌측 방향으로 인출된 때에, 각각의 부싱(2013,2014)의 개구부를 폐색(閉塞)하고, 각 상의 전원측 고정단자(2011) 및 부하측 고정단자(2012)가 차단기 실(20) 내에 노출하지 않도록 차폐한다. 전원측 셔터(209) 및 부하측 셔터(210)는, 각각, 삼상분(三相分)의 단자를 일괄하여 가리도록 삼상분 일체로 형성된 차폐판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주 모선 실(30)에 수납된 삼상의 주 모선(301,302,303)은, 각각 평각(平角) 도체(導體)에 의해 구성되고, 이들 주 모선 가운데, 제 1 상의 주 모선(301)은, 칸막이 판(101)의 벽면에 애자(碍子)(304)를 통하여 수평 방향으로 연신(延伸)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또, 제 2상의 주 모선(302) 및 제 3상의 주 모선(303)은, 주 모선 실(30)과 케이블 실(40)을 구획하는 대략 수직인 벽면을 갖는 금속제의 칸막이 판(102)의 벽면에, 애자(305 및 306)를 통해 각각 수평 방향으로 연신하도록 고정되어 있고, 제 3상의 주 모선(303)은, 제 2상의 주 모선(302)에 대해서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아래쪽에 설치되어 있다. 칸막이 판(101)에 고정되어 있는 제 1상의 주 모선(301)과 칸막이 판(102)에 고정되어 있는 제 2상의 주 모선(302)은 주 모선 실(30) 내의 공간을 통해 대향하고, 또한 수직 방향의 동일 위치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수평 방향으로 서로 겹치는 배치로 되어 있다.
또, 주 모선 실(30) 내에는, 각 상의 주 모선(301,302,303)과 이것에 대응하는 각 상의 전원측 고정단자(2011)를 각각 접속하는 평각 도체로 이루어지는 전원측 접속도체(3011,3021,3031)가 수납되어 있다. 이들 전원측 접속도체(3011,3021,3031)는 애자(도 1에 1 상분만을 표시)(307)를 통해 칸막이 판(101)에 고정되어 있다.
금속제의 칸막이 판(103)은, 주 모선 실(30)과 케이블 실(40)과의 사이에 설치되고, 일단이 칸막이 판(102)에 연결되어 있고, 칸막이 판(102) 측으로부터 칸막이 판(101,104) 측에 아래쪽으로 경사하여 뻗는 경사부(1031)를 구비하고 있다. 칸막이 판(103)의 타단 측은 칸막이 판(104)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칸막이 판 (102)와 (103)은 일체의 금속판에 의해 구성해도 좋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 칸막이 판(101)은 제 1의 벽체를 구성하고, 칸막이 판(102)은 제 2의 벽체를 구성하며, 칸막이 판(103)은 제 3의 벽체를 구성하고 있다.
케이블 실(40)에 수납된 삼상의 각 상의 케이블(403,404,405)은, 도시하지 않은 부하에 접속되고, 스위치 기어의 케이스(100)의 바닥면(411)에 설치된 관통 구멍으로부터 케이블 실(40) 내에 도입되고, 케이블 지지체(도 1에 1 상분만을 표시)(409)에 의해 지지 되고 있다. 이들 각 상의 케이블(403,404,405)은 케이블 단자(도 1에 1 상분만을 표시)(406)를 통해 평각 도체에 의해 구성된 각 상의 부하측 접속 도체(481,482,483)에 각각 접속되고 있다. 또, 각 상의 부하측 접속 도체(481,482,483)는 대응하는 상의 부하측 고정단자(2012)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각 상의 부하측 접속 도체(481,482,483)는 애자(471,472,473)에 의해 케이스(100)의 내벽에 고정되고, 수직 방향으로 연신하는 수직 연신부(4811,4821, 4831)와, 칸막이 판(103)의 경사부(1031)에 대략 평행으로 연신하는 경사 연신부(도 1에 1 상분만을 도시)(4832)를 구비하고 있다.
각 상(相)의 CT(계기용 변류기)(491,492,493)는, 부하측 접속 도체(481,482,483)의 수직 연신부(4811,4821,4831)에 의해 관통되어 있다. 접지 스위치(도 1에 1 상분만을 표시)(410)는, 부하측 접속 도체(481,482,483)에 각각 접속되어 있고, 스위치 기어(1)의 점검 등의 작업을 위하여 인출형 차단기(202)를 도면의 좌측 방향으로 인출한 때에, 안전을 위해서 부하측 접속 도체(481,482,483) 등을 접지하는 것이다.
차단기 실(20)이 케이스(100)의 수직 방향의 중단(中段)보다 위쪽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작업원이 케이블 실 문(401)을 열고, 내부 커버(402)를 벗기는 것에 의해 케이블 실(40) 내의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스위치 기어(1)는, 제어 실(50) 내에 수납되고 있는 제어장치에 의해, 인출형 차단기(202)에 내장된 진공 스위치의 개폐를 실시하고, 주 모선(301,302,303)으로부터 케이블(403,404,405)을 통해 부하에 공급하는 전력의 개폐 제어를 실시한다. 또, 스위치 기어(1)의 케이스(100)에 수납되어 있는 기기의 보수, 점검, 혹은 고장 수리 등의 작업을 실시하는 경우는, 작업에 필요한 제어실 문(501), 차단기실 문(201), 케이블 실 문(401)의 어느 하나, 혹은 모두를 열어, 그 실내에 수납되어 있는 기기에 대한 작업을 실시한다.
케이블 실(40) 내에서 작업을 실시하는 경우는, 먼저, 인출형 차단기(202)를 스크류(206)를 회동(回動)시키는 것에 의해 도 1의 좌측 방향으로 인출하고, 인출형 차단기(202)의 전원측 단자(207)와 부하측 단자(208)를, 전원측 고정단자(2011)와 부하측 고정단자(2012)로부터 떼어내어, 주 모선(301,302,303)과 케이블(403,404,405)과의 접속을 차단한다. 또, 이와 병행하여 접지 스위치(410)를 투입하고, 케이블(403,404,405) 및 부하측 접속 도체(481,482,483) 등을 접지한다. 다음에, 이 상태에서 케이블 실(40) 내에 있어서, 그 내부에 있어서의 필요한 작업을 실시한다.
이상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스위치 기어에 의하면, 제1의 벽체인 칸막이 판(101)에 고정된 주 모선(301)과, 제 2의 벽체인 칸막이 판(102)에 고정된 주 모선(302)을, 수평 방향으로 겹쳐지도록 대향하여 배치하고 있으므로, 스위치 기어(1)의 케이스(100)의 수직 방향의 치수를 크게 하는 일 없이, 인출형 차단기(202)를 케이스(100)의 수직 방향의 중단부(中段部)에 배치할 수 있으며, 따 라서 케이스(100)의 전면 측으로부터 케이블 실(40)의 바닥면(411)을 통해, 케이블 실(40) 내의 케이블, 그 외의 기기에 대한 필요한 작업을 실시할 수 있어 작업성이 뛰어난 스위치 기어를 얻을 수 있다.
또, 가령, 칸막이 판(103)에 경사부(1031)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고 한다면, 케이블 실(40)의 상부 공간이 칸막이 판(103)의 수직벽 및 수평벽에 의해 크게 차단되는 것으로 되어 케이블 실(40)의 스페이스(space)가 좁아지게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하면, 칸막이 판(103)에, 칸막이 판(102) 측으로부터 칸막이 판(101,104) 측으로 아래쪽으로 경사하여 뻗는 경사부(1031)를 마련하고 있으므로, 케이블 실(40)의 상부 공간이 넓어지게 되고, 케이블(403,404,405)과 인출형 차단기(202)와의 접속을, 칸막이 판(103)의 경사부(1031)와 대략 평행으로 연신(延伸)하는 경사 연신부(4832)를 갖는 접속 도체를 통해 행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케이블 실(40)의 깊이, 즉 케이스(100)의 전후방향의 치수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스위치 기어(1)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스위치 기어는, 중전(重電) 분야 등에 있어서, 전력 계통에 접속된 주 모선으로부터 부하에의 전력 공급을 개폐 제어하는 차단기를 구비한 스위치 기어로서 이용된다.

Claims (5)

  1. 전원에 접속되는 삼상(三相)의 주 모선(母線)을 수납하는 주 모선 실(室)과, 상기 주 모선 실의 수직 방향 하측에 설치되어 부하(負荷)에 접속되는 케이블을 수납하는 케이블 실(室)과, 상기 주 모선과 상기 케이블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전원으로부터 상기 부하에의 전로(電路)를 개폐하는 차단기를 수납하는 차단기 실을 구비한 케이스를 갖는 스위치 기어로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주 모선 실과 상기 차단기 실과의 사이에 위치하고 수직을 이루는 제 1의 벽체와, 상기 주 모선 실의 내부 공간을 통하여 상기 제 1의 벽체에 대향하며, 상기 주 모선 실의 일부분을 구성하는 제 2의 벽체와, 상기 주 모선 실과 상기 케이블 실과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주 모선 실의 일부분을 구성하고, 상기 제 2의 벽체 측으로부터 상기 제 1의 벽체 측으로 아래쪽으로 경사하여 뻗는 경사부를 갖는 제 3의 벽체를 구비하며,
    상기 삼상의 주 모선은 각각 평행하고 또한 수평 방향으로 연신(延伸)하여 배치된 제 1의 주 모선과 제 2의 주 모선과 제 3의 주 모선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의 주 모선은 상기 제 1의 벽체에 고정되며,
    상기 제 2의 주 모선은 상기 주 모선 실의 내부 공간을 통하여 상기 제 1의 주 모선에 적어도 일부분이 수평 방향으로 겹치도록 상기 제 1의 주 모선에 대향하여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제 2의 벽체에 고정되고,
    상기 제3 주 모선은 상기 제 2의 주 모선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상기 제2의 벽체에 고정되며,
    상기 차단기 실은 상기 주 모선 실과 상기 케이블 실에 대하여 상기 케이스의 수평 방향 전면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의 벽체는 상기 제 1의 벽체를 관통하여 상기 차단기 실과 상기 주 모선 실에 걸쳐서 배치된 전원측 부싱(bushing)을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전원측 부싱에 대하여 아래쪽에 위치해 상기 제 1의 벽체를 관통하여 상기 차단기 실과 상기 케이블 실에 걸쳐서 배치된 부하측 부싱을 고정하며,
    상기 전원측 부싱은 일단이 상기 주 모선에 대하여 아래쪽에 위치하여 상기 주 모선 실 내로 돌출하는 전원측 고정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부하측 부싱은 일단이 상기 케이블 실 내로 돌출하는 부하측 고정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차단기는 상기 전원측 고정단자의 타단에 대하여 접리가 가능하게 설치된 전원측 단자와, 상기 부하측 고정단자의 타단에 대하여 접리가 가능하게 설치된 부하측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주 모선은 상기 주 모선 실 내에 배치된 전원측 접속 도체를 통하여 상기 전원측 고정단자의 일단에 접속되며,
    상기 케이블은 상기 케이블 실 내에 배치된 부하측 접속 도체를 통하여 상기 부하측 고정단자의 일단에 접속되고,
    상기 부하측 접속 도체는 일단이 상기 부하측 고정단자에 접속되어 상기 제3 벽체의 경사부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신하는 경사 연신부와, 수직 방향으로 연신하고 또한 일단이 상기 경사 연신부의 타단에 접속되어 타단이 상기 케이블에 접속된 수직 연신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기어.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차단기 실은 상기 케이스의 중단부(中段部)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블 실은 상기 차단기 실에 대하여 아래쪽에 위치하는 공간부를 통하여 상기 케이스의 상기 수평 방향 전면 측으로 개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기어.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전원측 접속 도체는 일단이 상기 제 1의 주 모선에 접속된 제1 전원측 접속 도체와, 일단이 상기 제 2의 주 모선에 접속된 제2 전원측 접속 도체와, 일단이 상기 제3 주 모선에 접속된 제3 전원측 접속 도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전원측 접속 도체는 상기 일단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아래로 늘어뜨려 타단이 상기 전원측 고정단자의 일단에 접속되며,
    상기 제2 전원측 접속 도체와 상기 제3 전원측 접속 도체는 각각 일단이 상기 제 2의 주 모선과 상기 제3 주 모선에 접속되고, 상기 각각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 1의 주 모선의 수직 방향 하측의 위치로 변위하며 또한 상기 변위한 위치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아래로 늘어뜨려 타단이 상기 전원측 고정단자에 각각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기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실에서의 반(反)차단기 실 측의 내벽에 고정되고, 상기 부하측 접속 도체에서의 상기 수직 연신부에 의해 관통된 계기용 변류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기어.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기는 인출형 차단기로서, 상기 제 1의 벽체 측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삼상의 주 모선과 상기 케이블에 접속되고, 상기 제 1의 벽체 측으로부터 인출되었을 때 상기 접속이 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기어.
KR1020097012097A 2007-01-18 2007-05-31 스위치 기어 KR1010705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009239 2007-01-18
JPJP-P-2007-009239 2007-01-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0123A KR20090080123A (ko) 2009-07-23
KR101070575B1 true KR101070575B1 (ko) 2011-10-05

Family

ID=39635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2097A KR101070575B1 (ko) 2007-01-18 2007-05-31 스위치 기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852109B2 (ko)
KR (1) KR101070575B1 (ko)
CN (1) CN101617449B (ko)
WO (1) WO20080877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08508A (zh) * 2017-03-13 2018-11-13 涂瑞强 一种使用方便的基于物联网家庭用弱电箱、配置方法
KR102208227B1 (ko) * 2018-11-21 2021-01-27 주식회사 대홍전기 메탈 클레드 스위치기어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30330A (ko) * 1974-09-06 1976-03-15 Fuji Electric Co Ltd
JPS58168810A (ja) * 1982-03-29 1983-10-05 Hitachi Ltd 微粉炭ボイラの燃焼空気制御方式
JPS58168810U (ja) * 1982-05-08 1983-11-10 株式会社東芝 閉鎖配電盤
JPH0667060B2 (ja) * 1983-04-08 1994-08-24 日新電機株式会社 閉鎖配電盤の放圧装置
JPH0529209U (ja) * 1991-09-24 1993-04-16 株式会社明電舎 断路器付電気機器の引出し装置
JPH1146412A (ja) * 1997-07-24 1999-02-16 Fuji Electric Co Ltd 放圧装置付き配電盤
JP4423598B2 (ja) * 2004-08-17 2010-03-0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真空スイッチギヤの単相モジュールおよび真空スイッチギ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8087752A1 (ja) 2010-05-06
CN101617449A (zh) 2009-12-30
JP4852109B2 (ja) 2012-01-11
WO2008087752A1 (ja) 2008-07-24
CN101617449B (zh) 2012-01-18
KR20090080123A (ko) 2009-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8245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нтроля плавного пуска и остановки трехфазных электродвигателей (софтстартер)
JP5484638B2 (ja) ガス絶縁開閉装置
KR101336969B1 (ko) 다적재 멀티 모터 컨트롤 센터
US9124077B2 (en) Meter socket and load center combination apparatus, electrical distribution systems, and methods of assembly
KR100984143B1 (ko) 다중도체 접속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분전반
KR101907952B1 (ko) 배전반
KR101336968B1 (ko) 다적재 멀티 배전반
KR101079984B1 (ko) 금속폐쇄형 스위치기어
JP5602977B1 (ja) ガス絶縁スイッチギヤ
TW201145737A (en) Switchgear
KR101070575B1 (ko) 스위치 기어
KR100942103B1 (ko) 배전반
JP2011142746A (ja) 金属閉鎖型スイッチギヤ用試験治具
RU21254U1 (ru) Комплектное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5971924B2 (ja) スイッチギヤ
JP6352055B2 (ja) スイッチギヤ
US3229058A (en) Cubicle unitary molding for upper and lower terminal assembly and current transformers
KR102648597B1 (ko) 배전반의 아크 배출 시스템
JP2013215062A (ja) 金属閉鎖形スイッチギヤ
JP3081949B2 (ja) 多段積引出型閉鎖配電盤
RU52275U1 (ru) Комплектное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ерии к-104 ат
JP6270552B2 (ja) 金属閉鎖形スイッチギヤ
JP5618652B2 (ja) 金属閉鎖形スイッチギヤ
JP2022172767A (ja) スイッチギヤ
JP2013121227A (ja) 金属閉鎖形スイッチギ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