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9455B1 - 강, 약전 일체형 분전반 - Google Patents

강, 약전 일체형 분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9455B1
KR100809455B1 KR1020070102986A KR20070102986A KR100809455B1 KR 100809455 B1 KR100809455 B1 KR 100809455B1 KR 1020070102986 A KR1020070102986 A KR 1020070102986A KR 20070102986 A KR20070102986 A KR 20070102986A KR 100809455 B1 KR100809455 B1 KR 100809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ion
distribution chamber
chamber
power distribution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2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태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영이시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영이시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영이시티
Priority to KR1020070102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94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9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94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2Mounting of devices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 약전 일체형 분전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강전 분전반과 약전 분전반이 별도 구비됨으로 인하여 설치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고 많을 설치공간을 점유하며 배전파이프가 벽 구조물의 점유로 인한 벽 구조물의 내구력을 약화시키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분전반에 있어서, 분전실을 상하로 분할하여 상부 분할분전실과 하부 분할분전실을 형성하고, 상부 분할분전실의 측벽에는 하부 배전덕트를 형성하고, 하부 분할 분전실의 측벽에는 상부 배적덕트를 하부 배전덕트의 반대 측에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하로 분할분전실을 형성함으로써 강전분전반과 약전분전반이 하나의 분전반으로 이루어져 그 설치시간 및 비용과 설치면적이 최소화되며, 배전파이프가 집중됨으로써 벽 구조물의 내구력 약화도 최소화되는 것이다.
분전반

Description

강, 약전 일체형 분전반{A distribution power box}
본 발명은 강, 약전 일체형 분전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분전반에 있어 분전실을 상하로 분할하여 상부 분할분전실과 하부 분할분전실을 형성하고, 상부 분할분전실의 측벽에는 하부 배전덕트를 그리고, 하부 분할 분전실의 측벽에는 상부 배적덕트를 하부 배전덕트의 반대 측에 형성하도록 하여 건축물에 설치되는 강전 분전반과 약전 분전반을 하나의 분전반에 일체로 구비함이 가능하도록 하고 또한 그 설치 면적을 최소화 함은 물론 시공 원가를 크게 절감시킬 수 있는 강전과 약전 배관이 집중 배관되도록 하는 강, 약전 일체형 분전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전반은 건축물의 시공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인입된 전원 및 통신을 각 층 및 방으로 분전하며 그 분전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분전반은 통상 전등 및 각종 전열기구의 전원으로 사용되는 전원을 분전하는 강전 분전반과, 전화와 방송 및 인터넷과 같은 통신을 분전하는 약전 분전반으로 구분되는 것으로서, 각 건축물마다 강전 분전반과 약전 분전반이 분리 구비되어서 설치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분리 설치되는 강전 분전반과 약전 분전반은 각기 독립적인 설치공간을 점유하고, 각 분전반으로 선로를 안내하기 위한 배전파이프가 구비되며, 상기 배전파이프는 벽 구조물을 일정량 점유하여 설치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분전반은 강전 분전반과 약전 분전반으로 구분되어서 별도 설치됨으로 인하여 그 설치에 상대적으로 많은 시간가 비용이 소요되고 넓은 설치면적을 점유함으로 넓은 설치공간이 요구되며 각 분전반으로 선로를 안내하는 배전파이프로 인하여 벽 구조물의 점유를 통하여 내구력의 약화를 유발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강전 분전반과 약전 분전반이 별도 구비됨에 따라 설치에 많은 시간과 비용의 소모 그리고 설치 공간의 점유하게 되고 또한 배전파이프에 의한 벽 구조물의 점유로 벽 구조물의 내구력을 약화시키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분전반에 있어 분전실을 상하로 분할하여 상부 분할분전실과 하부 분할분전실을 형성하고, 상부 분할분전실의 측벽에는 하부 배전덕트를 형성하고, 하부 분할 분전실의 측벽에는 상부 배적덕트를 하부 배전덕트의 반대 측에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하로 분할분전실을 형성함으로써 강전분전반과 약전분전반이 하나의 분전반으로 이루어져 그 설치시간 및 비용과 설치면적이 최소화되며, 배전파이프가 집중됨으로써 벽 구조물의 내구력 약화도 최소화 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강전 분전반과 약전 분전반을 하나의 분전반으로 구성하여서 그 설치비용과 시간 및 설치면적을 최소화하고, 설치로 인한 벽 구조물의 약화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분전을 위한 설치공간이 분전실을 형성하고 분전실의 개폐를 위한 분전 도어(400)를 구비한 분전반에 있어서, 상기 분전실을 상하로 분할하여 상부 분할분전실(110)과 하부 분할분전실(120)을 분할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 분할분전실(110)의 측벽에는 상부 분할분전실(110)의 상부 외측에서 하부 분할분전실(120)로 연통되는 하부 배전덕트(220)를 형성하고, 하부 분할분전실(120)의 측벽에는 하부 분할분전실(120)의 하부에서 상부 분할분전실(110)로 연통되는 상부 배전덕트(210)를 하부 배전덕트(220)의 반대 측에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 분할분전실(110)의 상측 벽면과 하부 분할분전실(120)의 하측 벽면에는 배선파이프(510)가 결속되는 파이프결속구(340)를 형성한다.
또한,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배전덕트(210)의 하부와 하부 배전덕트(220)의 상부에는 시공과정에 있어 각 배전덕트로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할 수 있게 차폐판(310)을 구비하고 상기 차폐판(310)에는 배전파이프(510)가 결속되는 파이프결속구(311)를 구비한다.
또한,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배전덕트는 위치한 분할배전실에서 개방할 수 있게 피스 결속 또는 경첩 결속되는 덕트개폐판(330)을 구비한다.
또한,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배전덕트에는 유입된 선로를 분배할 수 있게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분배판(320)을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분배판(320)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전덕트에 끼움홈(230)을 형성하여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분전 도어(400)는 하나로 형성하여 한번에 상부 분할분전실(110)과 하부 분할분전실(120)를 모두 개폐하게 구성하거나,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분할분전실(110)과 하부 분할분전실(120)에 각기 독립적으로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사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내부에 분전을 위한 설치공간이 분전실을 형성하고 분전실의 개폐를 위한 분전 도어(400)를 구비한 분전반에 있어서, 상기 분전실을 상하로 분할하여 상부 분할분전실(110)과 하부 분할분전실(120)을 분활 형성하며, 상기 상부 분할분전실(110)의 측벽에는 상부 분할분전실(110)의 상부 외측에서 하부 분할분전실(120)로 연통되는 하부 배전덕트(220)를 형성하고, 하부 분할분전실(120)의 측벽에는 하부 분할분전실(120)의 하부에서 상부 분할분전실(110)로 연통되는 상부 배전덕트(210)를 하부 배전덕트(220)의 반대 측에 형성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그 시공과정에 있어서 하나의 분전반을 설치함으로써 강전 분전반과 약전 분전반이 모두 최소의 점유면적과 벽 내구력을 최소화 한 상태로 설치가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통상 높이가 낮은 쪽의 하부 분할분전실(120)에 상대적으로 위험도가 낮은 약전 분전반을 형성하고, 높이가 높은 쪽의 상부 분할분전실(110)에 위험도가 높은 강전 분전반을 형성하여 실시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전반의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하부 측에서 유입되는 강전 인입선을 하부 배전덕트(220)를 통하여 상부 분할분전실(110) 로 안내하여 결선하고, 상기 상부 분할분전실(110)의 상부에 형선된 파이프결속구(340)에 배선파이프(510)를 결속하여서 전원이 각 층과 각 방으로 전달되게 한다.
또한 하부에서 인입된 통신선은 하부 분할분전실(120)의 하부에 구비된 파이프결속구(340)에 연결된 배선파이프(510)를 통하여 하부 분할분전실(120)로 통신선을 입인한 후 분전한 후 상부 배전덕트(210)를 통하여 각 층과 각 방으로 분전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와 같이 상부 배전덕트(210)와 하부 배전덕트(220)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있게 차폐판(310)을 구비하고 상기 차폐판(310)에 파이프결속구(311)를 구비함으로써 각 배전덕트로의 이물질 유입이 방지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사를 실시 예와 같이 각 배전덕트에 덕트개폐판(330)을 구비함으로써 배전덕트에 배전된 각 배전선로를 점검 및 정리가 가능하고, 특히 배적덕트에 분배판(320)을 구비함으로써 선로의 인입 또는 인출이 분할되어 설치됨으로서 상호 간섭으로 인한 단락 또는 통신음질의 저하와 같은 현상이 방지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하로 분할분전실을 형성함으로써 강전분전반과 약전분전반이 하나의 분전반으로 이루어져 그 설치시간 및 비용과 설치면적이 최소화되며, 배전파이프가 집중됨으로써 벽 구조물의 내구력 약화도 최소화되는 것 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로
배전덕트에 차폐판을 구비한 것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로
분전도어를 상하로 분할 형성한 것을 보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로
배전덕트에 분배판을 구비한 것을 보인 부분 상세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로 배전덕트에
분배판의 결합을 위한 끼움홈을 구비한 것을 보인 부분 상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상부 분할분전실
120 : 하부 분할분전실
210 : 상부 배전덕트
220 : 하부 배전덕트
230 : 끼움홈
310 : 차폐판
320 : 분배판
330 : 덕트개폐판
311,340 : 파이프결속구
400 : 분전 도어
510 : 배선파이프

Claims (6)

  1. 내부에 분전을 위한 설치공간인 분전실이 형성되고 이 분전실이 분전 도어(400)에 의해 개폐되는 분전반에 있어서;
    상기 분전실을 상하로 분할하여 상부 분할분전실(110)과 하부 분할분전실(120)을 분활 형성하며,
    상기 상부 분할분전실(110)의 측벽에는 상부 분할분전실(110)의 상부 외측에서 하부 분할분전실(120)로 연통되는 하부 배전덕트(220)를 형성하고, 하부 분할분전실(120)의 측벽에는 하부 분할분전실(120)의 하부에서 상부 분할분전실(110)로 연통되는 상부 배전덕트(210)를 하부 배전덕트(220)의 반대 측에 형성하며,
    상기 상부 분할분전실(110)의 상측 벽면과 하부 분할분전실(120)의 하측 벽면에는 배선파이프(510)가 결속되는 파이프결속구(340)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 약전 일체형 분전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배전덕트(210)의 하부와 상기 하부 배전덕트(220)의 상부에는 시공과정에 있어 상기 상하부 배전덕트(210)(220)로 이물질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차폐판(310)을 구비하고, 상기 차폐판(310)에는 상기 배전파이프(510)가 결속되는 파이프결속구(311)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 약전 일체형 분전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배전덕트(210)(220)는 상기 상하부 분할배전실(110)(120)에서 각각 개방할 수 있도록 피스에 의하여 결속되는 덕트개폐판(330)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 약전 일체형 분전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배전덕트(210)(220)에는 유입된 선로를 분배할 수 있게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분배판(320)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 약전 일체형 분전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판(320)은 상기 상하부 배전덕트(210)(220)에 끼움홈(230)을 형성하여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 약전 일체형 분전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전 도어(400)는 상부 분할분전실(110)과 하부 분할분전실(120)에 각기 독립적으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 약전 일체형 분전반.
KR1020070102986A 2007-10-12 2007-10-12 강, 약전 일체형 분전반 KR1008094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2986A KR100809455B1 (ko) 2007-10-12 2007-10-12 강, 약전 일체형 분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2986A KR100809455B1 (ko) 2007-10-12 2007-10-12 강, 약전 일체형 분전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9455B1 true KR100809455B1 (ko) 2008-03-06

Family

ID=39397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2986A KR100809455B1 (ko) 2007-10-12 2007-10-12 강, 약전 일체형 분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945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232B1 (ko) * 2009-03-03 2009-09-28 주식회사 베스텍 분전반
KR200465224Y1 (ko) 2011-07-25 2013-02-07 주식회사 뉴영이시티 전력 및 통신 통합분전반
CN104989239A (zh) * 2015-06-29 2015-10-21 汪贤女 一种带led闪烁灯的配电柜
CN111082339A (zh) * 2019-12-10 2020-04-28 蓝贝湾(广东)科技有限公司 强弱电箱及嵌入式电箱施工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93405A (ja) * 1988-09-29 1990-04-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赤外用光ファイバの製造方法
JPH0356698A (ja) * 1989-07-26 1991-03-12 Kanehiro Metaraijingu:Kk バレルメッキ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93405A (ja) * 1988-09-29 1990-04-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赤外用光ファイバの製造方法
JPH0356698A (ja) * 1989-07-26 1991-03-12 Kanehiro Metaraijingu:Kk バレルメッキ装置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93405호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56698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232B1 (ko) * 2009-03-03 2009-09-28 주식회사 베스텍 분전반
KR200465224Y1 (ko) 2011-07-25 2013-02-07 주식회사 뉴영이시티 전력 및 통신 통합분전반
CN104989239A (zh) * 2015-06-29 2015-10-21 汪贤女 一种带led闪烁灯的配电柜
CN111082339A (zh) * 2019-12-10 2020-04-28 蓝贝湾(广东)科技有限公司 强弱电箱及嵌入式电箱施工方法
CN111082339B (zh) * 2019-12-10 2024-03-12 蓝贝湾(广东)科技有限公司 强弱电箱及嵌入式电箱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9455B1 (ko) 강, 약전 일체형 분전반
ATE478229T1 (de) Elektrisch mit seiner tür verbundener elektrischer schaltschrank
KR101127551B1 (ko) 세대 통합형 단자함
JP2008510286A (ja) 電源分配パネル
CN209675917U (zh) 一种电缆槽盒连箱
KR200465224Y1 (ko) 전력 및 통신 통합분전반
KR101077243B1 (ko) 세대 통합형 단자함
CN105873395A (zh) 一种空调壁挂机及其电器盒
KR101648911B1 (ko) 벽체 매입형 통합분전반용 박스
KR101364755B1 (ko) 다수의 분리 섹터가 형성된 가입자 통합단자함
KR200287656Y1 (ko) 단자대
JP6349160B2 (ja) 電気接続箱
CN102217155A (zh) 一种制造开关设备面板的方法
CN203850750U (zh) 走线单元、走线装置以及柜组
CN208078568U (zh) 一种集成式阴角布线装置
KR101455294B1 (ko) 원격검침 계량기함
AU2006231036B2 (en) Electrical switchgear
CN215733268U (zh) 一种桥架连接箱
KR100918232B1 (ko) 분전반
KR200497502Y1 (ko) 다용도 브라켓 장치
CN215645930U (zh) 一种通信线路分布组件
CN108711794A (zh) 一种集成式阴角布线装置
KR102202241B1 (ko) 세대통합단자함
CN201766321U (zh) 五类线分线盒
JPH078085B2 (ja) 床用配線機器収納ボック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