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2245B1 - 세대통합단자함 - Google Patents

세대통합단자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2245B1
KR102202245B1 KR1020200076342A KR20200076342A KR102202245B1 KR 102202245 B1 KR102202245 B1 KR 102202245B1 KR 1020200076342 A KR1020200076342 A KR 1020200076342A KR 20200076342 A KR20200076342 A KR 20200076342A KR 102202245 B1 KR102202245 B1 KR 102202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box body
power cable
space
partition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6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근태
Original Assignee
김근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근태 filed Critical 김근태
Priority to KR1020200076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22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2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22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46Boxe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48Mounting of devices therei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4Mounting thereon of switches or of other devices in general, the switch or device having, or being without, casing
    • H02B1/052Mounting on rai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8Hinged covers or do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6Cooling; Venti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대 내 전원공급을 위한 분전반과 통신망 공급을 위한 각종 커플러 및 분배기가 내장되는 세대통합단자함에 관한 것으로서, 박스본체의 내측 좌,우측 벽체에 슬라이드레일이 형성되고, 좌우 양단부가 상기 슬라이드레일을 따라 삽입되며 일단부에 개방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개방공에 이웃하여 제2 슬라이드레일이 형성되는 수평격벽패널과; 상단부가 상기 제2 슬라이드레일을 따라 삽입되어 상하로 연장되는 수직격벽부와, 상기 수직격벽부의 하단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이루는 박스본체의 후면판에 체결되는 수평격벽부가 형성되는 전원케이블격벽패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박스본체의 수용공간은, 상측의 분전반배치공간과 하측의 통신기기배치공간에 더하여 상기 전원케이블격벽패널의 수직격벽부와 상기 수평격벽패널의 일단부와 만나는 상기 박스본체의 일측 벽체 사이에 전원케이블배치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Description

세대통합단자함{INTEGRATED HOUSEHOLD TERMINAL BOX}
본 발명은 세대 내 전원공급을 위한 분전반과 통신망 공급을 위한 각종 커플러 및 분배기가 내장되는 세대통합단자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과 같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종래의 세대통합단자함(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순 박스형태로 제공되어 그 속에 분전반이나 TV분배기, 통신분배기, TV증폭기, 데이터 허브 등의 통신기기가 구분없이 설치되었다.
그러던 것이, 특허등록 제1127551호 등에 이르러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 내 공간을 공간분할패널(26)로 수직 및 수평으로 구획하여 분전반은 전기전용선(12)이 인입되는 전기전용선로배치공간(14)에 통신기기는 통신전용선(13)이 인입되는 통신전용선로배치공간(15)에 설치되도록 개선됨으로써 장비 간 배선의 얽힘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통신전용선로배치공간(15)에는 다양한 통신케이블이 인입되더라도 해당 공간 내에서 배치를 달리하여 구분 정리할 수 있어 점검 및 보수가 비교적 용이한 반면, 전기전용선로배치공간(14)에 인입되는 전원케이블은 비교적 굵고 단단하며 부피도 많이 차지하는 관계로 통신케이블과 달리 손쉽게 감아묶어 정리한다든지 안전상의 이유로 인해 꺾은 상태로 보관할 수도 없어 공간 내 배치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
나아가, 상기와 같은 세대통합단자함이 아파트 현관입구의 신발장이나 유리벽면과 같이 벽면에 노출되는 형태로 설치되는 경우를 고려하여 외관상의 개선 또한 필요하다는 요구가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실용신안등록 제0335906호(등록일자:2003.12.02.)
특허등록 제1127551호(등록일자:2012.03.09.)
특허등록 제1187783호(등록일자:2012.09.26.)
특허등록 제1077243호(등록일자:2011.10.20.)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통신전용선로배치공간의 조정을 최소화하면서도 전원케이블의 정리공간을 확보해줄 수 있으며 나아가 단자함의 설치공간에 따른 노출을 고려하여 외관까지 개선한 세대통합단자함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장방형의 박스본체와, 상기 박스본체 전면(前面)을 덮어 개폐가능하게 결합하는 커버도어를 포함하는 세대통합단자함에 있어서, 상기 박스본체는 상기 수용공간을 이루는 좌,우측 벽체에 슬라이드레일이 형성되고, 좌우 양단부가 상기 슬라이드레일을 따라 삽입되며, 일단부에 개방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개방공에 이웃하여 제2 슬라이드레일이 형성되는 수평격벽패널과; 상단부가 상기 제2 슬라이드레일을 따라 삽입되어 상하로 연장되는 수직격벽부와, 상기 수직격벽부의 하단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이루는 박스본체의 후면판에 체결되는 수평격벽부가 형성되는 전원케이블격벽패널을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박스본체의 수용공간은, 상기 수평격벽패널에 의해 상측의 분전반배치공간이 확보되고, 상기 전원케이블격벽패널의 수직격벽부와 상기 수평격벽패널의 일단부와 만나는 상기 박스본체의 일측 벽체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그 사이에 전원케이블배치공간이 확보되되, 상기 전원케이블배치공간은 상단이 상기 개방공을 통해 상기 분전반배치공간과 연결되고 하단이 상기 수평격벽부와 상기 수용공간을 이루는 박스본체의 하부 벽체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전원케이블진입로와 연결되고, 상기 수평격벽패널의 하측에서 상기 수평격벽패널의 타단부와 만나는 상기 박스본체의 타측 벽체가 상기 전원케이블격벽패널과 함께 형성하는 통신기기배치공간이 확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대통합단자함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커버도어는 표면이 거울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박스본체는 상기 분전반배치공간을 이루는 좌,우측 벽체의 외측면에 각각 방열핀이 돌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대통합단자함에 의하면 박스본체의 내측 수용공간이 수평격벽패널에 의해 상측의 본전반배치공간과 하측의 통신기기배치공간이 확보됨과 아울러,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전원케이블격벽패널에 의해 일측공간이 전원케이블배치공간으로써 확보될 수 있다. 이로부터 상기 통신기기배치공간의 축소조정을 최소화하면서도 전원케이블의 정리공간 확보하고 이로 인한 전기장의 영향은 상기 전원케이블격벽패널에 의해 차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세대통합단자함의 커버도어의 표면을 거울면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세대통합단자함이 아파트 현관입구의 신발장이나 유리벽면과 같이 벽면에 노출되는 형태로 설치되는 경우를 고려하여 외관상의 개선을 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종래기술에 따른 세대통합단자함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대통합단자함의 개방사시도,
도 4는 도 3의 세대통합단자함의 주요부 확대도,
도 5는 도 3의 세대통합단자함을 아랫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6은 도 3의 세대통합단자함을 측면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세대통합단자함의 측면에 형성된 방열핀의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대통합단자함(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 수용공간(S)이 형성되는 장방형의 박스본체(110), 이 박스본체(110)의 전면(前面)을 덮어 개폐가능하게 힌지 결합하는 커버도어(120)를 포함한다.
박스본체(110)의 수용공간을 이루는 좌,우측 벽체(111, 112)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레일(112a, 112b)이 하부 벽체(113)로부터 상부 벽체(도 3의 114)에 이르기까지 1/3 및 2/3 지점에 각각 형성된다.
슬라이드레일(112a, 112b)에는 수평격벽패널(130)이 선택적으로 삽탈 가능하도록 결합한다. 수평격벽패널(130)은 좌우 양단부가 슬라이드레일(112a)을 따라 삽입되며, 양단부에 개방공(131, 132)이 형성되고 이에 이웃하여 제2 슬라이드레일(130a)이 형성된다. 이러한 수평격벽패널(130)에 의해 박스본체(110)의 내부공간(S)은 상측의 분전반배치공간(도 3의 S1)과 하측의 통신기기배치공간(S2)으로 구획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수평격벽패널(130)에 더하여 전원케이블격벽패널(140)이 더 구비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원케이블격벽패널(140)은 상하로 연장되는 수직격벽부(141)와 그 하단으로부터 비교적 짧게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격벽부(142)를 형성한다. 수직격벽부(141)는 그 상단부가 수평격벽패널(130)측 제2 슬라이드레일(130a)을 따라 삽입되어 결합하고, 수평격벽부(142)는 수용공간(S)을 이루는 후면판(115)에 볼트체결된다.
이와 같은 전원케이블격벽패널(140)의 추가 설치에 따라, 수평격벽패널(130)의 하측에 배치되는 상기 통신기기배치공간(S2)은 박스본체(110)의 좌측 벽체(111)와 전원케이블격벽패널(140)의 사이공간으로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원케이블격벽패널(140)의 수직격벽부(141)와 박스본체(110)의 우측 벽체(112)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그 사이에 별도의 전원케이블배치공간(S3)이 확보된다. 전원케이블배치공간(S3)의 상단은 수평격벽패널(130)의 개방공(131)을 통해 상측의 분전반배치공간(S1)과 연결된다(도 5 참조).
또한, 전원케이블격벽패널(140)의 하단을 이루는 수평격벽부(142)는 박스본체(110)의 하부 벽체(113)와의 사이에 전원케이블진입로(S4)를 형성한다. 전원케이블진입로(S4)는 전원케이블배치공간(S3)의 하단과 연결된다.
이에 따라,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박스 본체(110)의 하부 벽체(113)에 형성된 케이블인입관(113a)으로부터 인입되는 전원케이블(도면 미도시)은 전원케이블진입로(S4)를 거쳐 전원케이블배치공간(S3)에 배치되고 그 인입단부는 수평격벽패널(130)의 개방공(131)을 통해 상측의 분전반배치공간(S1)에 설치된 분전반(200)에 접속된다.
한편, 전원케이블격벽패널(140)을 사이에 두고 이웃한 통신기기배치공간(S2)에는 통신기기설치보드(150)가 후면판(115) 상에 설치됨으로써 각종 통신기기(도면 미도시)가 공간 내 어느 위치에도 설치될 수 있게 해준다.
한편, 수평격벽패널(130)의 표면에는 제2 슬라이드레일(130a)에 더하여 하나 이상의 슬라이드레일(130b,c,d)이 더 형성되고, 앞서 설명된 박스본체(110)의 우측 벽체(112)측 복수의 슬라이드레일(도 4의 112a,b)과 함께 수평격벽패널(130)과 전원케이블격벽패널(140)의 간의 다양한 배치와 조합을 구현함으로써 배치공간들(S1,S2, S3)을 서로 다른 크기로 구획지을 수 있다. 물론, 우측 벽체(112)의 슬라이드레일(112a,b)에 맞추어 2가지의 전원케이블격벽패널(140)이 구비되어야 하고, 통신기기설치보드(150) 또한 몇가지 규격으로 구비되어야 한다.
도 6은 커버도어(120)로 박스본체(110)의 전면(前面)을 덮어 닫힌 모습으로서 도어의 표면에 거울면(121)을 코팅함으로써 단자함(100)의 실내설치로 인한 거부감을 줄이고 신발장에 이웃하여 현관에 주로 배치되는 경우를 고려하여 출입자의 복장을 체크할 수 있게 해주어 실생활에의 활용도를 부가한 것이다.
한편, 박스본체(110)의 좌우 양측면에는 내부의 분전반배치공간(도 3의 S1)에 맞추어 방열핀(160)을 가로세로 일정한 배열로 돌출되게 형성함으로써 분전반(200)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이를 통해 비교적 원활하게 외부로 발산될 수 있게 도와준다. 발산효과를 높이기 위해 방열핀(160)의 표면에 별도의 방열용 금속부재(도면 미도시)가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세대통합단자함(100)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균등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지 기술적 범위는 상기 설명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100: 세대통합단자함 110: 박스본체
111: 좌측 벽체 112: 우측 벽체
112a,b: 슬라이드레일 113: 하부 벽체
114: 상부 벽체 115: 후면판
120: 커버도어 121: 거울면
130: 수평격벽패널 130a: 제2 슬라이드레일
130b,c,d: 슬라이드레일 131, 132: 개방공
140: 전원케이블격벽패널 141: 수직격벽부
142: 수평격벽부 150: 통신기기설치보드
160: 방열핀

Claims (1)

  1.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장방형의 박스본체(110)와, 상기 박스본체(110) 전면(前面)을 덮어 개폐가능하게 결합하는 커버도어(120)를 포함하는 세대통합단자함(100)에 있어서,
    상기 박스본체(110)는 상기 수용공간을 이루는 좌,우측 벽체(111,112)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슬라이드레일(112a,112b)이 형성되고, 좌우 양단부가 상기 복수의 슬라이드레일(112a,112b) 중 하나를 따라 삽입됨으로써 상기 박스본체(110)의 수용공간을 상측의 공간이 하측의 공간보다 좁게 마련되도록 상,하간 구획하며, 일단부에 관통 형성되는 개방공(131,132)이 형성되고, 상기 개방공(131,132)과 이웃하게 제2 슬라이드레일(130a)이 형성되는 수평격벽패널(130)과;
    상단부가 상기 제2 슬라이드레일(130a)을 따라 삽입되어 상하로 연장되는 수직격벽부(141)와, 상기 수직격벽부(141)의 하단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이루는 박스본체(110)의 후면판(115)에 체결되는 수평격벽부(142)가 형성되며, 상기 수직격벽부(141)와 상기 수평격벽부(142)의 판면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지 않은 전원케이블격벽패널(140)을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박스본체(110)의 수용공간은, 상기 수평격벽패널(130)에 의해 상기 상측의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분전반배치공간(S1)이 확보되고,
    상기 전원케이블격벽패널(140)의 수직격벽부(141)와 상기 수평격벽패널(130)의 일단부와 만나는 상기 박스본체(110)의 일측 벽체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그 사이에 전원케이블배치공간(S3)이 확보되되, 상기 전원케이블배치공간(S3)은 상단이 상기 개방공(131)을 통해 상기 분전반배치공간(S1)과 연결되고 하단이 상기 수평격벽부(142)와 상기 수용공간을 이루는 박스본체(110)의 하부 벽체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전원케이블진입로(S4)와 연결되고,
    상기 수평격벽패널(130)의 하측에서 상기 수평격벽패널(130)의 타단부와 만나는 상기 박스본체(110)의 타측 벽체가 상기 전원케이블격벽패널(140)과 함께 형성하는 통신기기배치공간(S2)이 확보되되, 상기 통신기기배치공간(S2)은 상기 수직격벽부(141)와 상기 수평격벽부(142)의 판면에 관통공이 형성되지 않은 전원케이블격벽패널(140)로 인해 상기 박스본체(110)의 하부 벽체를 통과하여 인입되어 상기 전원케이블진입로(S4)와 상기 전원케이블배치공간(S3)에 배치되는 전원케이블로 인한 전기장의 영향이 차단되고, 상기 전원케이블은 상기 수평격벽패널(130)의 개방공을 통과하여 상기 분전반배치공간(S1) 내에 설치되는 분전반에 접속되며,
    상기 수평격벽패널(130)의 표면에는 상기 제2 슬라이드레일(130a)에 더하여 하나 이상의 슬라이드레일(130b,c,d)이 더 형성되고, 상기 박스본체(110)의 우측 벽체(112)측 복수의 슬라이드레일(112a,112b)과 함께 수평격벽패널(130)과 전원케이블격벽패널(140)의 간의 배치와 조합을 통해 상기 배치공간(S1,S2, S3)들을 서로 다른 크기로 구획지을 수 있으며,
    상기 세대통합단자함(100)은, 상기 커버도어(120)의 표면이 거울면으로 형성됨으로써 아파트 현관입구의 신발장 내지 유리벽면에 노출되게 설치됨으로써 거울의 용도를 겸비하며, 상기 박스본체(110)는 상기 분전반배치공간(S1)을 이루는 좌,우측 벽체(111,112)의 외측면에 각각 방열핀(160)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슬라이드레일(112a,112b)은 상기 박스본체(110)의 하부 벽체(113)로부터 상부 벽체(114)의 이르기까지 1/3 지점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수평격벽패널(130)이 선택적으로 삽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세대통합단자함.
KR1020200076342A 2020-06-23 2020-06-23 세대통합단자함 KR1022022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6342A KR102202245B1 (ko) 2020-06-23 2020-06-23 세대통합단자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6342A KR102202245B1 (ko) 2020-06-23 2020-06-23 세대통합단자함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8741A Division KR102202241B1 (ko) 2020-02-17 2020-02-17 세대통합단자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2245B1 true KR102202245B1 (ko) 2021-01-12

Family

ID=74129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6342A KR102202245B1 (ko) 2020-06-23 2020-06-23 세대통합단자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224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5166Y1 (ko) * 2001-07-30 2001-12-13 이성균 벽면 매설용 콘센트 박스
KR20080001208U (ko) * 2006-11-16 2008-05-21 (주)푸른전기 분전반용 덕트
KR101187783B1 (ko) * 2010-08-31 2012-10-05 남영기전 주식회사 세대 통합형 단자함
KR101239872B1 (ko) * 2012-04-12 2013-03-06 주식회사 리폼테크 침수시 조작이 가능한 방수형 분전반
KR101648911B1 (ko) * 2014-11-05 2016-08-18 파워에이스 주식회사 벽체 매입형 통합분전반용 박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5166Y1 (ko) * 2001-07-30 2001-12-13 이성균 벽면 매설용 콘센트 박스
KR20080001208U (ko) * 2006-11-16 2008-05-21 (주)푸른전기 분전반용 덕트
KR101187783B1 (ko) * 2010-08-31 2012-10-05 남영기전 주식회사 세대 통합형 단자함
KR101239872B1 (ko) * 2012-04-12 2013-03-06 주식회사 리폼테크 침수시 조작이 가능한 방수형 분전반
KR101648911B1 (ko) * 2014-11-05 2016-08-18 파워에이스 주식회사 벽체 매입형 통합분전반용 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61021B2 (ja) エンクロージャ装置
KR101777405B1 (ko) 공동주택 통신선 보호박스
US8240785B2 (en) Control box arrangement
KR101127551B1 (ko) 세대 통합형 단자함
KR20130132311A (ko) 전기 패널용 셔터 도어 조립체
KR101636343B1 (ko) 금속폐쇄형 스위치기어
KR102202245B1 (ko) 세대통합단자함
KR102202241B1 (ko) 세대통합단자함
US6392141B1 (en) Electrical enclosure having dedicated wiring compartment
US5175673A (en) Distributor for use in communication systems
US20230327415A1 (en) Back-to-back two-gang electrical box
KR101077243B1 (ko) 세대 통합형 단자함
KR200465224Y1 (ko) 전력 및 통신 통합분전반
JP4494608B2 (ja) 埋め込み形分電盤ユニット
KR101648911B1 (ko) 벽체 매입형 통합분전반용 박스
JP4732936B2 (ja) 配電用変圧器装置
JPH0479706A (ja) 閉鎖配電盤
KR101302429B1 (ko) 3중구조 함체
JP2002078119A (ja) 埋め込み形分電盤と縦型分電盤ユニット
KR100918232B1 (ko) 분전반
RU174939U1 (ru) Ящик электротехнический
CN220066511U (zh) 一种用于室外电气基础设施的低压电气柜
US20140049881A1 (en) Electrical Equipment Cabinet Having Improved Thermal Characteristics and Cable Management
KR100749723B1 (ko)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양방향 통합 전선 보호덕트
US1522926A (en) Electric terminal cabin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