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1208U - 분전반용 덕트 - Google Patents

분전반용 덕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1208U
KR20080001208U KR2020060029748U KR20060029748U KR20080001208U KR 20080001208 U KR20080001208 U KR 20080001208U KR 2020060029748 U KR2020060029748 U KR 2020060029748U KR 20060029748 U KR20060029748 U KR 20060029748U KR 20080001208 U KR20080001208 U KR 2008000120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duct
breaker
distribution board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97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석
Original Assignee
(주)푸른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푸른전기 filed Critical (주)푸른전기
Priority to KR20200600297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1208U/ko
Publication of KR200800012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120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4Mounting thereon of switches or of other devices in general, the switch or device having, or being without, casing
    • H02B1/056Mounting on plugboar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02B1/202Cable lay-ou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02B1/207Cross-bar layou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분전반용 덕트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분전반에 사용되는 케이블의 설치 공사시 케이블을 용이하고 간단하고 빠르게 배선할 수 있고 케이블의 정리를 깨끗하게 함으로서 분전반의 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는 분전반용 덕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모선 부스바가 구비된 주 차단기와 보조 차단기가 설치되는 분전반에 있어서, 상기 역니은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측면에 상부가 개구되고 하부가 사각형상으로 형성된 케이블 인출공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부가 개구된 장공 형상의 지선 케이블공이 형성되며 하부 후측에는 상부가 개구되고 하부가 사각형상으로 형성된 주 케이블 인입공이 형성되는 하부 몸체와; 상기 하부 몸체의 상부에 끼워져서 고정되고 보조 차단기와 케이블의 연결 시 케이블이 이탈되지 않도록 덮어주도록 형성되는 니은자 형상의 상부 덮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분전반함에 일정한 크기의 덕트를 케이블과 함께 설치함으로서 작업시간이 빨라지고 숙련자 뿐만 아니라 초보자도 쉽게 시공할 수 있고, 유지 보수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분전반함에 설치되는 케이블을 깨끗하게 정리하고 외관 및 내관을 미려하게 꾸밀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설치가 간단하고 용이하여 작업시간이 단축됨과 동시에 시공이 자유롭고 생산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분전반, 차단기, 부스바, 덕트, 상부 덮개, 차단기 덮개, 고정홈, 인출공, 인입공, 방열공

Description

분전반용 덕트{A DUCT WITH DISTRIBUTION SWITCHBOARD}
도 1은 본 고안의 분전반의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분전반용 덕트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분전반용 덕트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분전반용 덕트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분전반용 덕트의 구조를 보여주는 우측면도
도 6 은 본 고안의 분전반용 덕트의 구조를 보여주는 좌측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분전반용 덕트의 보조 차단기를 덮어주는 차단기 커버의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분전반용 덕트의 상부덮개를 보여주는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부몸체 12,14 : 케이블 인출공
16 : 지선 케이블공 18 : 방열공
20 : 전부 결합홈 22 : 후부 결합홈
24 : 주케이블 인입공 26 : 상부덮개
28 : 결합돌기 30 : 커버 고정홈
32 : 모따기부 34 : 고정턱
100 : 분전반용 덕트 102 : 보조 차단기 커버
200 : 분전반 202 : 고정판넬
204 : 체결공 206 : 메인 차단기
208,210 : 보조 차단기 212 : 모선 부스바
214 : 자선 부스바
본 고안은 분전반용 덕트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분전반에 사용되는 케이블의 설치 공사시 케이블을 용이하고 간단하고 빠르게 배선할 수 있고 케이블의 정리를 깨끗하게 함으로서 분전반의 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는 분전반용 덕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전반은 각종 차단기 및 개폐기를 분전반 함체 내부에 장착하여 외부로부터 전력을 끌어 배분하는 동시에 전력의 공급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선로가 외부에 노출됨을 방지하여 감전 및 각종 전기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케이스로 구성되어 있다.
분전반은 주 입력 터미널을 통하여 외부에 인입되는 주전원을 각각의 전기 부하로 분산 공급함에 있어서, 과부하 발생시 전류 공급을 차단하는 메인 차단기와 보조 차단기가 분전반 케이스의 내부에 부스바에 의해 연결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분전반의 경우에는 메인 차단기와 보조 차단기들로 공급되는 전기 케이블의 굵기가 굵고 분전반 함체 하측 외부에서 인입되어 메인 차단기 및 보조 차단기에 각각 연결되도록 이루어져 있으므로 케이블이 어지럽게 연결되고 분전반이 깔끔하지 못하였으며, 케이블의 설치 시공시에도 복잡하고 작업 시간이 오래 걸려서 숙련된 작업자가 시공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분전반 내에 설치된 메인 차단기와 케이블을 연결함과 동시에 각각의 보조 차단기에 케이블을 각각 연결해야 하므로 작업이 복잡했고, 좁은 공간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케이블이 복잡하게 얽혀 있어서 선을 찾기가 어렵고 케이블을 풀고 다시 묶을 때 등 케이블의 설치가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케이블 덕트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분전반으로 들어가는 케이블이 케이블공을 통과하지 못하고 케이블이 통과한다고 하여도 직접 설치하기가 어렵고 덕트가 비틀리거나 굽혀져서 변형이 발생하거나 덕트의 설치 작업시간이 오래 소요되는 시공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보조 차단기들과 연결되는 케이블 사이에 각종 이물질이 쌓이거나 부착되어 누전 또는 단락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에 본 출원인은 분전반의 케이블 시공시 숙련된 작업자뿐만 아니라 누구나가 손쉽게 조립하고 내부가 깨끗하게 정리될 수 있는 분전반용 덕트를 고안하기에 이르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분전반의 차단기와 연결되는 내부의 케이블을 신속하고 빠르게 연결 설치함과 동시에 유지, 보수 관리가 용이한 분전반용 덕트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분전반 내부의 차단기와 연결되는 케이블을 덕트에 인입시켜서 설치한 후, 분전반 함체 내부에 체결 조립하여서 분전반을 빠르게 생산 제조할 수 있는 분전반용 덕트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은 분전반 내부에 설치된 각각의 차단기들과 각각 대응하여 설치되도록 케이블 공이 형성하여 좁은 공간에서도 각각의 차단기와 간단하고 손쉽게 연결 설치하여 시공성이 우수하게 향상되는 분전반용 덕트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분전반 내부에 케이블의 설치시 시공작업을 빠르게 할 수 있고, 분전반 내외부를 미려하고 깔끔하며 깨끗하게 정리할 수 있는 분전반용 덕트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보조 차단기들과 연결되는 케이블이 이물질에 의해 누전 또는 단락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분전반용 덕트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모선 부스바가 구비된 주 차단기와 보조 차단기가 설치되는 분전반에 있어서, 상기 역니은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측면에 상부가 개구되고 하부가 사각형상으로 형성된 케이블 인출공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부가 개구된 장공 형상의 지선 케이블공이 형성되며 하부 후측에는 상부가 개구되고 하부가 사각형상으로 형성된 주 케이블 인입공이 형성되는 하부 몸체와; 상기 하부 몸체의 상부에 끼워져서 고정되고 보조 차단기와 케이블의 연결 시 케이블이 이탈되지 않도록 덮어주도록 형성되는 니은자 형상의 상부 덮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 몸체에는 상기 보조 차단기와 케이블 및 분전반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하기 위한 방열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상부 덮개의 일측면에 상기 보조 차단기와 케이블의 접속 연결부에 이물질이 묻지 않도록 차단기 커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전반의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분전반용 덕트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분전반용 덕트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고안의 분전반용 덕트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분전반용 덕트의 구조를 보여주는 우측면도이며, 도 6 은 본 고안의 분전반용 덕트의 구조를 보여주는 좌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고안의 분전반용 덕트의 보조 차단기를 덮어주는 차단기 커버의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분전반용 덕트의 상부덮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먼저, 도 1 및 도 8에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은 사각형의 함체로 이루어진 분전반(200)의 내측 바닥면에 고정 판넬(202)이 얹혀져서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판넬(202)의 사각 귀퉁이에는 체결공(204)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분전반(200)의 바닥면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판넬(202)의 상부측에는 메인 차단기(206)가 고정 설치되어 있고, 상기 메인 차단기(206)의 좌우측부에는 다수개의 보조 차단기(208) 및 보조 차단기(210)가 각각 고정되어 있다.
상기 메인 차단기(206)에는 다수의 모선 부스바(212)가 전기적으로 접속 연결되어 하방향으로 길게 인출되어 있고, 상기 모선 부스바(212)의 가로방향으로 교차하여서 자선 부스바(214)의 일단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자선 부스바(214)는 그 일단이 상기 모선 부스바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보조 차단기(208) 및 보조 차단기(210)들과 전기적으로 접속 연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 보조 차단기들(208,210)의 후부에는 분전반용 덕트(100)가 상기 고정 판넬(202)의 상면에 체결 고정되어 있다.
상기 분전반용 덕트(100)는 니은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조 차단기(208,210)들의 좌,우측부와 하부를 둘러싸도록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분전반용 덕트(100)에는 상기 보조 차단기들(208,210)의 상부 를 덮어 줄 수 있도록 차단기 덮개(10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차단기 덮개(102)는 상기 분전반용 덕트(100)와 동일한 형상의 니은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분전반용 덕트(100)에 내측부에서 끼워져서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보조 차단기(208,210)의 상부를 덮어서 이물질에 의해 누전 또는 단락을 방지한다.
상기 차단기 덮개(102)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을 사용하고 나아가서는 고무 또는 플라스틱 등의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여 보면, 본 고안의 분전반용 덕트(100)는 니은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좌우 한 쌍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분전반용 덕트(100)는 상기 보조 차단기(208,210)와 분전반(200) 사이에 대칭으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 분전반용 덕트(100)는 니은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단면이 디귿자 형상의 요홈으로 형성된 하부몸체(10)와, 상기 하부 몸체(10)의 상부에 덮여짐과 동시에 끼움 고정되는 상부 덮개(26)와, 상기 상부 덮개(26)의 일측에 끼워져서 고정되고 보조 차단기(208,210)와 케이블의 접속부분을 보호하는 차단기 커버(102)로 구성되어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하부 몸체(10)의 일측 내면에는 - 보조 차단기측 면 - 복수개의 케이블 인출공(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복수개의 케이블 인출공(12)은 상방향으로는 개구되고 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됨과 동시에 하부에는 좌우측방향으로 넓게 직사각형을 이루도록 형성된 역티(T)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복수개의 케이블 인출공(12)은 3상 또는 4상의 보조 차단기용으로 직사각형이 좀 더 넓게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케이블 인출공(14)은 3상 또는 2상의 보조 차단기용으로 점 더 좁은 형태의 직사각형 또는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로 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정사각형으로 케이블 인출공을 형성하였으나 더 나아가서는 원형의장공, 타원형, 마름모꼴, 삼각형 등 다각형으로 형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부 몸체(10)의 아래쪽 부분에는 보조 차단기(208,210)들과 연결되는 지선 케이블이 인입되는 지선 케이블공(1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선 케이블공(16)은 상방향으로 개구되고 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 몸체(10)의 전,후면에는 상기 분전반(200) 또는 보조 차단기(208,210)에서 발생되는 열 및 케이블에서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키고 방열시키기 위한 원형의 방열공(18)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부 몸체(10)는 상방향으로 개구된 디귿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 바, 상기 하부 몸체(10) 양날개의 전,후면-보조 차단기측- 상부에는 내측으로 오목하도록 전부 결합홈(20) 및 후부 결합홈(22)이 상기 하부 몸체(10)를 따라 횡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하부 몸체(10)의 아래쪽 후부에는 주 케이블 인입공(24)이 형성 되어 있다.
상기 주 케이블 인입공(24)은 상방향으로는 개구되고 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됨과 동시에 하부에는 좌,우측방향으로 넓게 직사각형을 이루도록 형성된 역티(T)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방열공(18)은 하부 몸체(10)에 형성된 케이블 인출공(12,14) 및 지선 케이블공(16) 그리고 주 케이블 인입공(18)이 형성된 사이에 복수 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 몸체(10)의 상부에는 상부 덮개(26)가 끼워져서 덮여진다.
상기 상부 덮개(26)는 하부 몸체(10)와 동일한 역니은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단면이 하부가 개구된 디귿자 형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디귿자 형상의 양날개부에는 안쪽방향으로 전후면에 걸쳐서 결합돌기(28)가 상부 덮개(26)를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결합돌기(28)는 상기 전부 결합홈(22) 및 후부 결합홈(24)과 결합되어 고정된다.
상기 상부 덮개(26)의 모서리부에는 고정홈(29)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돌기(28)의 상부 전면에는 커버 고정홈(30)이 상부 덮개(26)를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 덮개(26)에 형성된 커버 고정홈(30)에는 상기 전술된 차단기 커버(102)가 끼워져서 고정되고 상기 보조 차단기(208,210)들과 케이블과의 연결 접속부를 덮어서 보호하게 된다.
도 7은 본 고안의 분전반용 덕트의 보조 차단기를 덮어주는 차단기 커버의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로서, 상부 덮개(26)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니은자 형상의 차단기 커버(10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모서리 부분에는 모따기부(3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모따기부(32)의 양단부에는 계단 형상의 고정턱(3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계단 형상의 고정턱(34)은 상기 상부 덮개(26)의 모서리부에 형성된 고정홈(29)에 끼워져서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본 고안의 분전반용 덕트(100)는 분전반(200)에 설치되어 케이블을 간단하고 깨끗하게 정리할 수 있고, 보조 차단기와 연결되는 케이블에 이물질이 부착되어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기술된 본 고안은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은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실시는 본 고안의 핵심요소로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고 할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분전반함에 일정한 크기의 덕트를 케이블과 함께 설치함으로서 작업시간이 빨라지고 숙련자 뿐만 아니라 초보자도 쉽게 시공할 수 있고, 유지 보수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분전반함에 설치되는 케이블을 깨끗하게 정리하고 외관 및 내관을 미려하게 꾸밀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설치가 간단하고 용이하여 작업시간이 단축됨과 동시에 시공이 자유롭고 생산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모선 부스바가 구비된 주 차단기와 보조 차단기가 설치되는 분전반에 있어서,
    상기 역니은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측면에 상부가 개구되고 하부가 사각형상으로 형성된 케이블 인출공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부가 개구된 장공 형상의 지선 케이블공이 형성되며 하부 후측에는 상부가 개구되고 하부가 사각형상으로 형성된 주 케이블 인입공이 형성되는 하부 몸체와;
    상기 하부 몸체의 상부에 끼워져서 고정되고 보조 차단기와 케이블의 연결 시 케이블이 이탈되지 않도록 덮어주도록 형성되는 니은자 형상의 상부 덮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용 덕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몸체에는 상기 보조 차단기와 케이블 및 분전반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하기 위한 방열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용 덕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덮개의 일측면에 상기 보조 차단기와 케이블의 접속 연결부에 이 물질이 묻지 않도록 차단기 커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용 덕트.
KR2020060029748U 2006-11-16 2006-11-16 분전반용 덕트 KR2008000120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9748U KR20080001208U (ko) 2006-11-16 2006-11-16 분전반용 덕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9748U KR20080001208U (ko) 2006-11-16 2006-11-16 분전반용 덕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1208U true KR20080001208U (ko) 2008-05-21

Family

ID=49298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9748U KR20080001208U (ko) 2006-11-16 2006-11-16 분전반용 덕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1208U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5587B1 (ko) * 2012-07-23 2014-02-21 (주) 호창이앤씨 전기 컨트롤 박스의 케이블 정리장치
KR20190094694A (ko) * 2018-02-05 2019-08-1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가스절연 개폐장치용 보호커버
KR102202241B1 (ko) * 2020-02-17 2021-01-12 김근태 세대통합단자함
KR102202245B1 (ko) * 2020-06-23 2021-01-12 김근태 세대통합단자함
KR20210114724A (ko) * 2020-03-11 2021-09-24 주식회사 포스코 광 점퍼 코드 안전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전력 계통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5587B1 (ko) * 2012-07-23 2014-02-21 (주) 호창이앤씨 전기 컨트롤 박스의 케이블 정리장치
KR20190094694A (ko) * 2018-02-05 2019-08-1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가스절연 개폐장치용 보호커버
KR102202241B1 (ko) * 2020-02-17 2021-01-12 김근태 세대통합단자함
KR20210114724A (ko) * 2020-03-11 2021-09-24 주식회사 포스코 광 점퍼 코드 안전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전력 계통 시스템
KR102202245B1 (ko) * 2020-06-23 2021-01-12 김근태 세대통합단자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5392B1 (ko) 분전반용 부스바 고정홀더
KR20080001208U (ko) 분전반용 덕트
KR100996857B1 (ko) 배선용 차단기의 직결 장착대 및 이를 구비한 배전반
KR20090006691U (ko) 부스바 연결용 컨넥터
KR200331163Y1 (ko) 배전반
EA029142B1 (ru) Предварительно изготовленная адаптируемая слоистая система сборных шин и способ адаптации длины указанной системы сборных шин
KR200395594Y1 (ko) 분전반
KR100711102B1 (ko) 측면 결선형 배선용 차단기
JP2012079586A (ja) 配線用遮断器の端子カバー
JP2007082363A (ja) 配電盤
JP6738065B2 (ja) 分電盤
KR20080038993A (ko) 멀티퓨즈를 구비한 퓨즈박스
KR20210001355U (ko) 전기 케이블 보호관의 체결구조
JP6774689B2 (ja) 分電盤
KR200466576Y1 (ko) 분전반의 안전 캡 장치
KR200477045Y1 (ko) 배전반의 부스바 고정구
JP6774688B2 (ja) 分電盤
KR200495360Y1 (ko) 배전반 외함 조립구조
KR100691432B1 (ko) 터미널 블록 조립체
KR101126493B1 (ko) 분전반
JP2005312267A (ja) 母線バーの接続部
KR200431486Y1 (ko) 분전반용 차단기
KR200256927Y1 (ko) 다기능 전선지지대
KR200191861Y1 (ko) 계량기함의 스위치고정 브래킷
KR200251128Y1 (ko) 배전 선로형 정션 유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