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6927Y1 - 다기능 전선지지대 - Google Patents

다기능 전선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6927Y1
KR200256927Y1 KR2020010022626U KR20010022626U KR200256927Y1 KR 200256927 Y1 KR200256927 Y1 KR 200256927Y1 KR 2020010022626 U KR2020010022626 U KR 2020010022626U KR 20010022626 U KR20010022626 U KR 20010022626U KR 200256927 Y1 KR200256927 Y1 KR 2002569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wire
wire support
duct
bulk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26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삼
Original Assignee
김홍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홍삼 filed Critical 김홍삼
Priority to KR20200100226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69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69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6927Y1/ko

Links

Landscapes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력시설물의 시설장소와 보수과정에서 형성되는 전력선 또는 정보배선 등을 덕트에 내장시키거나 각종 분배전반 또는 전기배선이나 정보배선 등을 노출되는 장소에서 회로별 또는 전선의 종류별로 분류해서 간편하게 구성시킬 수 있는 다기능전선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전기시설의 신설 또는 유지보수시에는 케이블트레이나 덕트내의 고정대(Rung)에 케이블타이 또는 포박사로 결속시킴에 있어서, 협소한 공간내에서 포박작업이 이루어져 많은 노력과 원자재의 낭비 및 미관을 해치는 단점이 있어 왔다.
본원은 전선배선용 3방수직형 보호덕트에 체결하여 가능하고 일반적인 콘센트류나 정보배선류의 고정나사공 체결위치와 같은 규격의 형태로 구성되어 다양한 장소에 채택되어 전선의 배선을 미려하게 하며 유지보수 또한 용이한 다기능전선지지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다기능 전선지지대 {Multi-purpose cable supporter}
본 고안은 전력시설물의 신설장소와 옥내배선 공사실행시 형성 전력선 또는 정보배선 등을 덕트에 내장시키거나 외부에 노출되는 장소에 회로별 또는 전선의 종류별로 분류해서 간편하게 구성시킬 수 있는 다기능 전선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전기공사시에 덕트 또는 각종 분배전반에 다수의 전선이 인입출되는 바, 이러한 다수개의 전선은 상호 접착되어 있으나 접착제의 접착강도 한계로 말미암아 상호 엉키거나 회로별 구분이 잘 되지 않아 전기설비의 운용과 유지보수에 많은 문제점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미관상 바람직스럽지 못한 실정이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다수의 전선을 덕트에 내장시키거나 벽면 또는 평면상에서 전선의 종류별로 배선할 수 있는 전선 정리대의 기능을 구현함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 전력선과 약전류 전선간의 혼촉을 방지하고 경우에 따라 전선분리벽을 이용하여 고주파의 발생 억제 및 전선의 처짐을 방지하는 다기능 전선지지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다기능전선지지대의의 사시도.
도 2은 본 고안의 다기능전선지지대의의 단면도.
도 3는 본 고안의 다기능전선 정리대와 배선덕트가 결합된 상태의 결합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기능전선 정리대가 다른 실시예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결합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다기능전선지지대 본체 11 : 상부체결돌기
12 : 하부체결돌기 13 : 송이형 격벽
14 : 새부리형 격벽 15 : 수직지주격벽
20 : 수평보강대 21 : 연결나사공
22 : 힌지돌기 24 : 지지대 고정바
31 : 브라킷체결홈 32 : 브라킷지지 돌출턱
33 : 지주 체결홈 40 : 벽부용 브라킷상부재
41 : 벽부용 브라킷하부재 50 : 전선60 : 브라킷 70 : 보조격벽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와 제2도는 본 고안의 전선배선용 보호덕트의 분해 사시도 및 보호덕트에 관한 결합단면도이고, 제3도는 다기능전선 정리대와 배선덕트가 결합된 상태의 결합단면도이며, 제4도는 본 고안의 다기능전선 정리대가 적용된 다른 실시예에 대한 결합단면도이다.
제1도 내지 제2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다기능 전선지지대는 다수의 수직지주격벽(15)으로 이루어진 본체(10)와 힌지돌기(22) 및 수평보강대(20)로 구성된다.
본체(10)의 상기 수직지주격벽(15)은 송이형격벽(13)과 새부리형격벽(14)으로 구성되고 내부공간은 전선 포설 공간과 별도의 보조격벽(70)을 끼울 수 있는 공간(80)으로 이루어지며, 본체 하단 좌우측에는 상·하부체결돌기(11)(12)가 형성되어 본체를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본체와 일체로 형성된 수평보강대(20)의 상단에는 요철구조로 형성된 2개의 버팀턱(23)이 존재하는데, 이의 구성은 본 고안의 다기능 전선지지대의 재질이 PVC인 점을 감안하여 수평보강대 자체의 이도현상에 따른 늘어짐을 방지하기 위함이고, 본체와 수평보강대(20)를 연결하는 힌지돌기(22)는 수평보강대(20)의 개폐작용에 따른 자체 복원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형성된 구성요소이다. 본 고안의 다기능 전선지지대가 덕트내의 전선을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실시예의 경우에 있어서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체결돌기(11)가 덕트 내의 브라킷체결홈(31)에 안착되고 하부체결돌기(12)는 브라킷 지지 돌출턱(32) 하단에 밀접되어 상호 견인력으로 지지토록 하며 이 때, 2개의 하부체결돌기(12)의 수평치수가 상호장단의 형태(hh'또는h〈h')로 구성되어져서 덕트내의 착탈시에 편의성을 증대시키도록 구성되어진다. 한편, 하부체결돌기(12)의 상향의 요홈은 지지금구류가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지지대 고정바(24) 일측에 형성된 연결나사공(21)을 통해 준비된 나사를 이용하여 덕트내 지주 체결홈(33)과 결합하는 공정을 거쳐 상기 지지대 고정바(24)는 덕트내에 체결되는 것이다.
제4도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다기능 전선지지대가 벽면 또는 도면상의 노출 시공시에는 일측 하부체결돌기(12)의 상향부분은 연결나사공(21)의 구성이 벽부용 브라킷 상부재(40)와 결합되어지고 하향부분은 벽부용 브라킷 하부재(41)에 의하여 체결되며, 타측은 하부체결돌기만 체결구로 결합하는 구성이다.
양 실시예 모두에 걸쳐, 상기 다기능 전선지지대가 설치가 된 상태에서 전선(50)을 전원의 종류별로 구분해서 각각의 수직격벽 홈에 정리하여 수평선상에 설치하되, 새부리형격벽(14) 사이의 공간에는 전선 대신 보조격벽(70)을 장착하여 차폐효과 및 전선의 늘어짐을 보다 더 효율적으로 방지하므로써 전선수용량의 극대화와 유지보수의 간편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종래의 단점을 개선함과 동시에 덕트 내부나 분전반 배선 정리용, 벽면 또는 평면의 노출장소에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장소에 적용되어 전선의 배선을 미려하게 하며 전선의 엉킴 또는 흐트러짐을 방지하며, 제작 및 시공을 용이하게 하는 각별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다수의 수직지주격벽(15)으로 이루어진 본체(10)와 수평보강대(20)의 개폐작용에 따른 자체 복원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힌지돌기(22) 및 상단에는 요철구조로 형성된 2개의 버팀턱(23)이 존재하는 수평보강대(20)로 구성되어지며, 본체 하단 좌우측에는 본체를 고정시키기 위한 상·하부체결돌기(11)(12)와 연결 나사공(21)이 형성된 지지대 고정바(24)로 구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전선지지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지주격벽은 송이형격벽(13)과 새부리형격벽(14)으로 구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전선지지대.
  3. 제1항에 있어서, 2개의 하부체결돌기(12)의 수평치수를 상호장단의 형태로 구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전선지지대.
  4. 제2항에 있어서, 새부리형격벽(14) 사이의 공간(80)에는 전선 대신 보조격벽(70)을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전선지지대.
KR2020010022626U 2001-07-25 2001-07-25 다기능 전선지지대 KR2002569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2626U KR200256927Y1 (ko) 2001-07-25 2001-07-25 다기능 전선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2626U KR200256927Y1 (ko) 2001-07-25 2001-07-25 다기능 전선지지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3073A Division KR20030010438A (ko) 2001-08-30 2001-08-30 다기능 전선지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6927Y1 true KR200256927Y1 (ko) 2001-12-24

Family

ID=73105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2626U KR200256927Y1 (ko) 2001-07-25 2001-07-25 다기능 전선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692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4684B1 (ko) * 2003-04-11 2006-05-29 강은숙 전선 수납이 가능한 전선수납용 몰딩
KR100701792B1 (ko) * 2006-11-29 2007-04-06 (주)선진전력기술단 전기설비 누전방지 닥트 설치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4684B1 (ko) * 2003-04-11 2006-05-29 강은숙 전선 수납이 가능한 전선수납용 몰딩
KR100701792B1 (ko) * 2006-11-29 2007-04-06 (주)선진전력기술단 전기설비 누전방지 닥트 설치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79994B2 (en) Low voltage electrical box
KR200256927Y1 (ko) 다기능 전선지지대
KR200485280Y1 (ko) 시공 및 조립이 용이한 공동건물의 케이블 배선용 배전박스
KR20030010438A (ko) 다기능 전선지지대
KR200396733Y1 (ko) 케이블 트레이
KR20080005068U (ko) 턱트 겸용 케이블 트레이
JP7067647B2 (ja) パワーコンディショナ
KR20090128076A (ko) 단자함
KR20060131594A (ko) 배선용 덕트
KR100360752B1 (ko) 배선덕트용 코너연결장치
KR100744465B1 (ko) 건축물 층간 바닥 전기 케이블 보호관 구조
KR200438500Y1 (ko) 분전반 내부 전선용 지지바
JP2566432Y2 (ja) 分電盤
KR100694487B1 (ko) 배선용 덕트의 접속 구조
KR200438408Y1 (ko) 조립식 칸막이
KR19990019928U (ko) 조립건물용 패널
KR200300938Y1 (ko) 간격조절 기능을 갖는 옥내 배선용 접속함
KR19980062575U (ko) 배선박스용 연결박스
KR20030010439A (ko) 전선배선용 보호덕트(3방수직형)
JP2005312267A (ja) 母線バーの接続部
KR200169453Y1 (ko) 전선 배관용 덕트
KR102294621B1 (ko) 시공 및 조립이 용이한 공동건물의 케이블 트레이 입상슬리브
JP3180009B2 (ja) 分電盤
JP6958848B1 (ja) 制御盤ボックス及びこれを用いた制御盤
EP0860922B1 (en) Duct j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3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