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8408Y1 - 조립식 칸막이 - Google Patents

조립식 칸막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8408Y1
KR200438408Y1 KR2020070012018U KR20070012018U KR200438408Y1 KR 200438408 Y1 KR200438408 Y1 KR 200438408Y1 KR 2020070012018 U KR2020070012018 U KR 2020070012018U KR 20070012018 U KR20070012018 U KR 20070012018U KR 200438408 Y1 KR200438408 Y1 KR 2004384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power
connection
unit
parti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20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우
Original Assignee
이명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우 filed Critical 이명우
Priority to KR20200700120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84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84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840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4Partition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식 칸막이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칸막이본체와 칸막이 본체를 지지하는 본체지지부로 이루어진 칸막이에 있어서,
상기 본체지지부 내에 모듈화 된 전원공급구조를 구비시켜 외부전기기구를 칸막이에 직접 전원연결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전원연결을 위한 별도의 배선작업이 필요없고 배선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주변환경이 정리될 뿐만 아니라 배선의 노출에 의한 전기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전원연결구조가 구비된 칸막이에 관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각 칸막이를 상호 연결하여 각 칸막이가 전원을 공유하도록 함에 있어서 각 칸막이가 수직방향으로 연결될 경우에도 칸막이 간에 안정적인 전원의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는 연결구조를 갖는 칸막이에 관한 것이다.
더불어 별도의 연결프레임을 통해 각 칸막이를 연결할 경우 상기 연결프레임에도 전원연결구조를 구비시켜 각 칸막이 간에 보다 안정적인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구조 설치가 가능하여 단순히 칸막이 기능외에 다양한 기능이 부가된 전원연결구조가 구비된 칸막이에 관한 것이다.
칸막이, 전원부, 직접연결

Description

조립식 칸막이{Assembling type partition}
도 1 은 본 고안의 전체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분해도면
도 2 는 본 고안 중 본체지지부 내에 설치된 전원부의 구조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3a와 도 3b는 본 고안 중 전원연결부를 통해 각 칸막이의 연결형태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4 는 칸막이본체와 본체지지부간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 는 칸막이의 조립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6a 및 도 6b 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별도의 연결케이블 없이 각 칸막이를 직접연결하는 모습을 나타낸 평단면도
도 7 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각 칸막이가 별도의 연결프레임을 통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칸막이본체 200 : 본체지지부
300 : 전원부 310 : 전원입력부
320 : 전원연결부 322 : 피 연결단자
324 : 연결케이블 330 : 전원출력부
340 : 통신연결부 342 : 통신포트
344 : 통신케이블 400 : 연결프레임
410 : 보조전원부 412 : 보조전원입력부
413 : 보조전원연결부 414 : 보조전원출력부
420 : 모니터 430 : 스피커
500 : 영상 및 음성신호 발신부
일반적으로 사무실에서는 각 책상주변마다 일명 '파티션'(partition)이라 불리는 칸막이를 설치하여 각 직원마다 각각 독립된 작업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집중력 향상 및 사생할 보호를 위한 칸막이, 일명 '파티션'(partition)이 각 책상주변마다 설치된다.
이러한 일반적인 칸막이를 사용할 경우 상기한 장점들 외에 다른 여러 문제점이 수반되는데,
먼저 각 책상마다 구비된 컴퓨터등과 같은 전기기구에 전원선을 연결할 경우 각 책상은 칸막이에 상호 차단되어 있으므로 각 책상마다 별도의 콘센트를 배설한 후 전원을 연결할 수밖에 없어 전체적으로 콘센트 선의 배설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 제점이 있다.
더구나 해당 칸막이에 의해 각 책상의 전면 및 좌우면이 막혀있기 때문에 이러한 콘센트선의 배설공간을 충분히 확보 할 수가 없어 배설에 어려움이 발생된다.
또한 칸막이 설치 외에 칸막이 구조에 맞게 콘센트 배선작업을 별도로 실시해야 함으로 작업이 번거로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콘센트를 구비시키더라도 칸막이에 의해 일반적으로 책상 밑 구석에 위치될 뿐만 아니라 콘센트를 비롯한 콘센트선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위치되므로, 사용자의 발에 수시로 치이거나 먼지등에 의해 전기안전사고 발생우려가 클 수밖에 없다.
더구나 칸막이를 설치한 상태에서는 칸막이를 분해하지 않는 이상 책상을 둘러싸고 있는 칸막이에 의해 칸막이와 책상사이 공간은 청소가 힘들어 상기와 같은 전기안전사고 우려가 더 커질 수밖에 없다.
또한 해당 책상으로 공급되는 콘센트 선에 문제가 발생되어 전원공급이 불가능 할 경우 다른 책상의 콘센트선에 연결할 수밖에 없는데, 이 때에도 칸막이에 공간확보가 어려워 콘센트선의 배선이 어렵다.
또한 이렇게 콘센트가 노출되어 외부충격에 의해 위치가 수시로 바뀜에 따라 콘센트에 연결된 각종 전원선, 통신선들이 서로 꼬여 번잡한 상태가 될 수밖에 없다.
더구나 최근에는 네트워크 시스템에 의해 각 검퓨터가 LAN(Local Area Network)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기 때문에 사무실 내 배선의 복잡함은 더욱 가중 될 수밖에 없다.
물론 별도의 배선덕트를 설치하여 모든 배선정리를 할 수도 있지만 덕트설치에 따른 작업의 번거로움 및 비용문제가 발생될 뿐만 아니라, 한번 설치된 배선턱트는 구조변경이 어렵기 때문에 책상배치를 다시 할 경우 모든 배선덕트를 철거하여 다시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더불어 배선덕트는 대부분 외부로 노출되므로 보행에 방해가 되고 파손 우려가 크다.
마지막으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칸막이는 단순히 작업자의 외부차단기능만 있을 뿐, 기타 다른 기능은 전혀 갖고 있지 않다.
일예로 칸막이의 외부면은 모두 노출되는데 이러한 노출된 면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칸막이는 전혀 제안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조립식 칸막이를 사용함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칸막에 자체 내부에 모듈화된 전원연결구조를 구비시켜 외부기기를 칸막이에 직접 전원연결 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로 콘센트 배설작업이 필요없는 전원부가 구비된 칸막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와 같이 칸막이에 전원부를 구비시킴에 따라 책상배치를 달리하더라도 별도의 배선작업 없이 손쉽게 전원연결이 가능한 조립식 칸막이의 제공을 목적 으로 한다.
그리고 별도로 콘센트를 비롯한 콘센트선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부 충격이나 먼지유입등이 최소화 되어 전기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립식 칸막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콘센트의 위치가 고정됨에 따라 콘센트에 연결되는 각종 전기선이 꼬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립식 칸막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칸막이 자체에 전원부를 구비시킴으로써 별도의 배선덕트가 필요없어 배선덕트 설치에 따른 시간 및 비용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조립식 칸막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각 칸막이간에 전원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따라 각 책상마다 별도로 콘센트 선을 구비시킬 필요가 없는 조립식 칸막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렇게 전원부가 구비된 각 파티션을 연결할 때 연결각도에 상관없이 원활한 전원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별도의 전원연결수단이 구비된 조립식 칸막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더불어 외부차단 기능외에 멀티미디어 디스플레이 기능을 부가시켜 사용분야를 넓힐 수 있는 조립식 칸막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고안 조립식 칸막이는,
판재형태의 칸막이 본체 및 상기 칸막이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본체지지부 를 포함한 것을 기본 구성으로 하고,
상기 기본구성 중 본체지지부 내에 외부전원과 연결되는 전원입력부 및 상기 전원입력부와 연결되어 외부기기로 전원을 출력하기 위한 전원출력부를 포함한 전원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별도의 전원연결부를 통해 각 칸막이를 연결함에 따라 칸막이 간의 연결각도에 상관없이 원활한 전원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전원연결부에 별도의 디스플레이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에 예시된 구성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체적인 구성 및 그 작용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고안 조립식 칸막이는 기본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칸막이본체(100)와 본체지지부(200), 전원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칸막이본체(100)는 칸막이 본연의 기능, 즉 외부차단기능을 위한 것으로 전체적으로 판재형태를 갖되, 기본 베이스프레임(110)에 차단판(120)이 결합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칸막이본체(100)는 이러한 특정구조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일체형 판재형태로도 구현이 가능하다.
이러한 칸막이본체(100)의 하단부에는 본체지지부(200)가 결합되는데,
상기 본체지지부(200)는 바닥에 위치된 상태로 칸막이본체(100)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전면프레임(210)과 후면프레임(2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전면프레임(210)과 후면프레임(220)은 동일한 판재형태로 칸막이본체(100)의 가로폭과 동일한 길이를 갖으며 상호 전후 일정간격을 두고 위치되되 각 상부면이 별도의 연결대(230)를 통해 연결된다.
이때 상기 연결대(230)는 전면 및 후면프레임(210)(220)의 양단부에 위치되되 각 연결대(230)의 상부면에는 칸막이본체(100)의 하단부와 체결을 위한 체결공(230a)이 상호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상기 본체지지부(200)의 구조는 위에서 설명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전체를 사방이 막힌 하나의 각관 형태로 제작할 수도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전면프레임(210)과 후면프레임(220)을 별도로 제작하여 조립하게 되면 본체지지부(200) 내에 후술하는 전원부(300) 각 구성요소들의 설치가 용이 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와 같은 전면프레임(210)과 후면프레임(220) 일단부에는 각각 전원부(300) 중 전원입력부(310)의 설치를 위한 제1설치공(211)이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전원연결부(320)의 설치를 위한 제2설치공(212)이 형성되며, 상기 제1설치공(211)과 제2설치공(212) 사이에는 전원출력부(330)의 설치를 위한 제3설치공(213)이 관통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3설치공(213)의 일측에는 통신연결부(340)의 설치를 위한 통신포트설치공(214)이 형성된다.
이러한 각 설치공(211)(212)(213)(214)은 칸막이의 설치환경에 따라 전면프레임(210)과 후면프레임(220) 모두에 형성하거나 둘 중 선택적으로 형성시킬 수도 있다.
또한 각 설치공(211)(212)(213)(214)들은 해당 전원부(300) 각 구성요소(310)(320)(330)(340)의 구비개수 에 따라 복수개로 형성이 가능하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체지지부(200)에는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전원부(300)가 설치되는데,
상기 전원부(300)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전원입력부(310)와 전원출력부(330), 전원연결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전원입력부(310)는 외부메인전원이 인가되어 후술하는 전원출력부(330) 및 전원연결부(32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적인 3P 접지콘센트를 사용한다. 물론 접지콘센트를 사용하지 않고 일반 단상콘센트로도 구현은 가능하나, 접지콘센트를 사용함으로써 전원선간의 직접접촉에 의한 감전이나 전기유도현상에 의해 본체지지부(200)자체에 전기가 유도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전원입력부(310)는 상기 본체지지부(200)에 형성된 제1설치공(211)에 삽입설치되는데, 이때 전면프레임(210)과 후면프레임(220) 사이를 통해 설치되어 플러그삽입구가 제1설치공(21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상태가 된다.
참고로 상기 전원입력부(310)를 콘센트 형태인 것으로만 설명하였지만 콘센트가 아닌 접지플러그 형태로도 얼마든지 변형 적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전원입력부(310)를 접지방식으로 구현함에 따라 전원입력부(310)에는 전원선과 하나의 접지선이 연결되며, 상기 각 전원선은 다시 전원출력부(330)와 전원연결부(320)에 연결된다.
이때 사용되는 전원선은 전원입력부(310)와 후술하는 전원연결부(320)간의 직접연결을 위한 20A(Ampere)이상의 대용량 전선(350)과, 전원입력부(310) 또는 전원연결부(320)와 전원출력부(330)와의 연결을 위한 10~15A의 소용량 전선(36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원선을 통해 전원입력부(310)와 연결된 전원출력부(330)는 전원입력부(310)를 통해 입력된 메인전원을 컴퓨터와 같은 외부전기기기(C)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적인 단상콘센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지지부(200)의 제3설치공(313)에 삽입설치된다, 이때 상기 전원입력부(310)와 마찬가지로 전면프레임(210)과 후면프레임(220)사이를 통해 삽입되어 플러그삽입구가 제3설치공(313)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형태로 위치된다.
이러한 전원출력부(330)는 멀티탭(multi-tap)과 같이 플러그삽입구가 여러개 형성된 것을 사용하여 복수의 외부기기를 동시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불어 자체 전원 온오프기능이 구비된 것을 사용하여 메인전원과는 개별적으로 외부기기로의 출력전원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원출력부(330)도 콘센트 형태인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전원입렵부(310)와 마찬가지로 플러그 형태로도 변형구현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콘 센트와 플러그를 동시에 설치할 수도 있다.
이렇게 전원입력부(310)와 전원출력부(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전원부(300)는 전원연결부(320)가 더 포함되는데,
상기 전원연결부(3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칸막이를 복수개로 연결할 때 연결된 각 칸막이(P1)(P2) 간에 전원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피(被) 삽입단자(322)와 연결케이블(324)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단자(322)는 일반적인 접지 또는 단상 콘센트 형태로 본체지지부(200)의 제2설치공(212)에 삽입 설치되는데, 이때 상기 전원입력부(310)및 전원출력부(330)와 마찬가지로 플러그 삽입구가 제2설치공(212)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형태로 위치되며, 전원입렵부(310)와 대용량 전선(350)을 통해 직접 연결된다.
물론 이러한 연결단자(322) 또한 콘센트가 아닌 플러그 형태로도 변형적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연결케이블(324)은 일반적인 플러그형태로 전선 양단부에 플러그가 구비되며, 일단부의 플러그는 상기 피 연결단자(322)에 끼워지고 타단부의 플러그는 타 칸막이(P2) 본체지지부(200)에 구비된 전원입력부(310)에 끼워진다.
물론 연결케이블(324)의 플러그 또한 연결단자(322)의 형태에 따라 콘센트방식으로 변형적용이 가능하다.
더불어 상기 연결케이블(324)의 전선은 코일형으로 구현하여 길이변경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 3a]와 같이 본체지지부(200)간에 간격이 형성되도록 위치되거나 [도 3b]와 같이 상호 직각방향으로 위치되더라도 각 칸막 이(P1)(P1)의 연결단자(322)와 전원입력부(310)의 연결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 설명한 전원연결부(320)의 구성은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는데 그 변형실시예는 후술하는 제2실시예에서 설명하겠다.
이와 같이 전원입력부(310), 전원출력부(330), 전원연결부(320)로 이루어진 전원부(300)는 통신연결부(34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는데, 상기 통신연결부(340)는 컴퓨터간의 네트워크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 본체지지부(200)에 형성된 통신포트설치공(214)에 설치되는 통신포트(342)와 상기 통신포트(342)및 외부기기(C)를 연결하는 통신케이블(344)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통신포트(342)는 별도의 네트워크서버나 허브 등에 연결되는데, 만일 본체지지부(200)에 이러한 통신연결부(340)를 여러 개 구비시켜 상호 연결할 경우, 각 본체지지부(200)가 네트워크시스템의 허브(hurb)역활을 하게 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체지지부(200)에 상기 전원부(300)의 설치가 완료되면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본체지지부(200) 상에 칸막이본체(100)를 올려놓은 후 본체지지부(200)의 연결부(230)와 칸막이본체(100) 바닥을 볼트 체결하여 칸막이의 조립이 완료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구조로 전원부(300)의 설치가 이루어짐에 따라 현장에서 조립이 가능하기 때문에 설치현장에서 칸막이의 배치구조에 맞게 전원출력부(330)와 전원연결부(320) 개수나 형태를 정하여 적용할 수 있으므로 설치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작용 및 그로 인한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현장에서 상기와 같이 전원부(300)의 조립이 완료된 각 칸막이(P1)(P2)를 원하는 위치에 배치하고, [도 3a]와 같이 한쪽 칸막이(P1)의 전원입력부(310)에 메인전원선(M)을 연결하여 외부전원이 입력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본체지지부(200) 내에서 전원선을 통해 전원입력부와(310) 연결된 각 전원출력부(330) 및 전원연결부(320)에도 전원이 공급된다.
이 상태에서 전원연결부(320), 즉 연결케이블(324)의 한쪽 플러그를 연결단자(322)에 끼우고 다른쪽 플러그를 타 칸막이(P2)의 전원입력부(310)에 끼우면 연결케이블(324)을 통해 타 칸막이(P2)의 전원부에도 전원이 연결된다.
이러한 방식의 연결을 통해 각 칸막이를 연결하게 되면 [도 5]와 같이 해당 책상(D)의 전측과 양측에 위치된 칸막이(P1)(P2)(P3)에 모두 전원연결이 가능하게 되어 전원연결을 위한 외부기기(C)의 위치가능 범위가 넓어지게 된다.
이렇게 메인전원의 입력에 의해 상기 전원연결부(320)와 더불어 전원출력부(330)에도 전원이 연결됨에 따라, 연결하고자 하는 외부기기(C)의 해당 전원선을 통해 전원출력부(330)에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이때 전원출력부(330)에 전원 온오프기능을 부가할 경우 해당외부기기의 전원차단 시 전원출력부(330)에서 출력되는 전원만 차단할 수 있으므로 타 칸막이로 공급되는 전원공급에는 전혀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또한 통신케이블(344)을 통해 각 통신포트(342)와 각 컴퓨터(C)를 연결함에 따라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칸막이 자체 내에 모듈화된 전원공급 구조를 구비시켜 외부기기를 직접 칸막이에 전원연결 시킬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별도의 외부콘센트를 구비시킬 필요 없기 때문에 콘센트 배설작업에 따른 번거로움 및 배설 구조의 복잡함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 본 고안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이다.
또한 책상배치를 변경하더라도 별도의 전원연결을 위한 배설작업 없이도 손쉽게 전원연결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이다.
더불어 외부기기와의 전원연결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전기안전사고등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칸막이의 설치현장에서 설치구조에 맞게 전원부의 설치형태를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이 손쉽고 작업시간이 단축될 수 있도록 한 것이 또 다른 특징이다.
또한 각 칸막이마다 모듈화된 전원공급구조를 구비시키고 이러한 각 칸막이를 전원연결 시킴에 따라 외부기기와의 전원 연결구조가 더욱 간소화 될 수 있는 것이 또 다른 특징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은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데, [도 6a]와 [도 6b]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관한 도면으로,
본체지지부(200)내에 전원입력부(310)와 전원출력부(330), 전원연결부(320)로 이루어진 전원부(300)를 구비시킨 기본구성은 동일하나, 상기 전원연결부(320) 중 연결케이블을 생략한 상태에서 각 칸막이(P1)(P2) 간의 전원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에 구성적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연결부(320)의 연결단자(322)와 전원입력부(310)가 본체지지부(200)전면 또는 후면에 설치된 앞의 실시예와는 달리 연결단자(322)와 전원입력부(310)를 본체지지부(200) 측면에 설치하되, 상호 연결되는 각 칸막이(P1)(P2)의 연결단자(322)와 전원입력부(310)를 플러그와 콘센트 형태로 구현하여 상호 직접 연결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별도의 연결케이블 없이도 각 칸막이 간의 전원연결이 가능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본체지지부(200)는 전후좌우면이 모두 막힌 박스형태로 제작하여 전원입력부(310)를 비롯한 연결단자(322)의 측면설치가 가능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연결단자(322)는 앞의 실시예와는 달리 [도 6a]에 도시된 것처럼 볼트를 통해 본체지지부(200)에 고정되지 않고 본체지지부(200)에 형성된 설치홈()에 단순히 끼워지도록 설치되어 본체지지부(200)로부터 외부로의 인출 및 삽입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각 칸막이(P1)(P2)를 조립할 때 먼저 연결단자(322)를 인출시켜 타 칸막이(P2)의 전원입력부(310)에 결합시킨 후 각 칸막이(P1)(P2)를 접합시키는 순서로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만일 연결단자(322)가 본체지지부(200)에 고정된 상태에서 각 칸막이(P1)(P2)를 연결할 경우에는 칸막이(P1)(P2)간의 접합과 동시에 연결단자(322)와 전원입력부(310)간의 연결도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연결단자(322)의 단자와 전원입력부(310)의 단자삽입구멍을 정확히 일치시키기 힘들 수밖에 없다.
하지만 본 실시예와 같은 구성을 통해서는 각 칸막이(P1)(P2) 간의 접합 이전에 연결단자(322)의 인출을 통해 전원입력부(310)와 정확한 결합이 가능하므로 설치가 손쉬워지는 장점이 있다.
이때 연결단자(322)에 연결된 전원선들은 길이를 넉넉하게 형성시키거나 도면과 같이 전원선(350)(360) 일부를 신축성이 있는 코일형태(352)로 형성시켜 연결단자()가 인출되었을 때 팽팽하게 당겨져 끊어지는 현상을 방지해야 한다.
또한 도면과 같이 코일형태로 형성시킬 경우 연결단자(322)의 위치복귀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본체지지부(200) 밖으로 인출된 전원선(350)(360)이 다시 안쪽으로 쉽게 들어가게 되어 작업자가 직접 전원선을 본체지지부 안으로 넣을 필요가 없게 된다.
그리고 전원입력부(310)도 연결단자(322)처럼 인출 가능하도록 구비시킨 다면, 설치환경에 따라 전원입력부(310)와 연결단자(322)를 선택적으로 인출하여 연결할 수 있으므로 설치가 보다 손쉬워지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연결단자 또는 전원입력부의 인출을 위한 구조는 상기한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적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청소기의 전선 권치장치와 같은 구조로도 변형이 가능하다.
더불어 만일 [도 6b]와 같이 상기 전원입력부(310)와 연결단자(322)를 전후 면과 측면 중 어느 한 곳에 한정하여 설치하지 않고, 본체지지부(200)의 전후면 과 측면에 모두 구비시킨다면 각 칸막이(P1)(P2)간의 연결형태에 구애받지 않고 연결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설치환경에 다라 연결케이블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각 칸막이(P1)(P2)를 직각으로 연결하고자 할 경우 본체지지부(200) 측면에 설치된 연결단자(322)를 타 칸막이(P2) 중 본체지지부 후면 또는 전면에 설치된 전원입력부(310)에 삽입시켜 연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제2실시예 외에 [도 7]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각 칸막이(P1)(P2)에 전원부(300)가 구비된 기본구성은 앞의 두 실시예와 동일하나, 각 칸막이(P1)(P2) 간의 연결에 있어서, 별도의 연결프레임(400)을 사용하되 상기 연결프레임(400)에도 전원부(410)를 구비시킨 것에 구성적 특징이 있다.
즉 도면과 같이 각 칸막이(P1)(P2)와 동일한 높이의 수직연결프레임(400)의 내부에 칸막이의 전원부(300)와 동일한 구성의 보조전원부(410)를 구비시킨 것인데,
구체적으로는 연결프레임(400) 일단부에는 보조전원입력부(412)가 설치되고 타단부에는 보조전원연결부(413)가 설치된다.
이러한 연결프레임(400)을 각 칸막이(P1)(P2) 사이에 위치시키되, 상기 보조전원입력부(412)는 한쪽 칸막이(P1)의 전원연결부()와 연결되고, 보조전원연결 부(413)는 타 칸막이(P2)의 전원입력부(310)와 연결시킴으로써, 상기 연결프레임(400)을 매개로 각 칸막이(P1)(P2)의 전원연결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별도의 연결프레임(400)을 사용함에 따라 각 칸막이(P1)(P2) 간의 연결부위의 외관마감이 가능하여 외관상 미려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전원부(410)에 외부기기와의 전원연결을 위한 보조전원출력부(414)를 더 구비시켜 칸막이 외에 연결프레임(400)을 통해서도 외부기기의 전원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구성 외에 상기 연결프레임(400)상에 LCD모니터(420)나 스피커(430)를 구비시키고 보조전원부(410) 및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및 음성신호발신부(500)와 연결되도록 하여 사내방송이나 기타 영상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별도의 디스플레이 수단을 칸막이에 부가시킴에 따라 기존 외부차단기능만 갖는 칸막이와는 달리 전혀 다른 기능이 부가된 칸막이의 구현이 가능하다.
참고로 도면에서는 전원부가 칸막이의 본체지지부(200) 내에만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전원부의 설치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들어 칸막이본체를 상하 분리 제작하고 그 사이에 별도의 설치프레임을 구비켜 상기 설치프레임에 전원부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본 고안 조립식 칸막이의 여러 특징들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 게 변형되고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지만, 이러한 변형 및 조합들이 칸막이 내부에 전원부를 구비시켜 외부기기를 칸막이에 직접 연결하여 전원공급할 수 있도록 한 구성 및 목적과 관련이 있을 경우에는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하여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칸막이는,
칸막이 자체 내부에 모듈화된 전원공급구조를 구비시킴에 따라 별도의 콘센트선의 배설없이 외부기기를 칸막이에 직접 전원연결시킬 수 있기 때문에 콘센트선 배설에 따른 번거로움을 해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각 칸막이마다 전원공급구조가 구비되기 때문에 칸막이의 배치구조를 변경하더라도 변경된 배치에 맞게 전원연결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각 전원입력부와 전원출력부, 전원연결부가 칸막이 내부에 수용되기 때문에 외부충격에 의한 파손이나 그로 인한 전기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칸막이의 설치환경에 맞게 현장에서 전원부의 구조변경이 가능하므로 설치장소에 맞는 최적의 전원연결구조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각 칸막이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 상에 영상 및 음성 출력수단을 구비시킴에 따라 기존 칸막이에 비해 활용분야를 넓힐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7)

  1. 삭제
  2. 판재형태의 칸막이 본체와,
    상기 칸막이본체 하단부에 결합되는 본체지지부를 포함한 조립식칸막이에 있어서,
    상기 본체지지부와 칸막이 본체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는 외부전원이 인가되는 전원입력부와,
    상기 전원입력부와 연결되어 전원을 외부기기로 출력하기 위한 전원출력부를 포함한 전원부가 구비되며,
    상기 전원부는,
    상기 전원입력부와 연결되어 타 칸막이와의 전원연결을 위한 전원연결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칸막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연결부는 플러그와 콘센트 중 어느 한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단자와,
    상기 연결단자 및 타 칸막이의 전원입력부에 삽입되어 상호 연결하는 연결케이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칸막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단자와 전원입력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칸막이로부터 외부로 인출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칸막이.
  5.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외부기기와의 통신연결을 위한 통신포트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칸막이.
  6.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칸막이와 칸막이 사이에는 연결프레임이 더 구비되되,
    상기 연결프레임에는 어느 한 칸막이의 전원연결부와 연결되는 보조 전원입력부 및 타 칸막이의 전원입력부와 연결되는 보조 전원연결부를 포함한 보조전원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칸막이.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에는 상기 보조전원부 및 별도의 외부신호출력부와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입력된 영상 및 음성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칸막이.
KR2020070012018U 2007-07-20 2007-07-20 조립식 칸막이 KR2004384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2018U KR200438408Y1 (ko) 2007-07-20 2007-07-20 조립식 칸막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2018U KR200438408Y1 (ko) 2007-07-20 2007-07-20 조립식 칸막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8408Y1 true KR200438408Y1 (ko) 2008-02-13

Family

ID=41339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2018U KR200438408Y1 (ko) 2007-07-20 2007-07-20 조립식 칸막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840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9084B1 (ko) 2015-11-09 2017-06-08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측단부 각도 조절이 가능한 파티션
CN115306056A (zh) * 2022-08-25 2022-11-08 浙江力唯装饰设计工程有限公司 一种内墙安装结构
CN115349742A (zh) * 2022-08-31 2022-11-18 保盈有限公司 一种隔断屏风内部通讯与控制系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9084B1 (ko) 2015-11-09 2017-06-08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측단부 각도 조절이 가능한 파티션
CN115306056A (zh) * 2022-08-25 2022-11-08 浙江力唯装饰设计工程有限公司 一种内墙安装结构
CN115349742A (zh) * 2022-08-31 2022-11-18 保盈有限公司 一种隔断屏风内部通讯与控制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8408Y1 (ko) 조립식 칸막이
US11530539B2 (en) Modular wall assembly using solenoid
KR100771423B1 (ko) 벽면에 매입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US5451714A (en) Telephone and data signal distribution system and raceway and panel associated therewith
US805367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igh-density power distribution unit with integrated cable management
KR100745197B1 (ko) 배선용 덕트
JP4494608B2 (ja) 埋め込み形分電盤ユニット
JP3567627B2 (ja) ネットワーク集線装置
CN212462272U (zh) 一种扩展式电插座
CN112096005A (zh) 一种踢脚线
JP2002078119A (ja) 埋め込み形分電盤と縦型分電盤ユニット
JP2010097916A (ja) 情報機器用配線システム
CN213742112U (zh) 一种踢脚线
KR200256927Y1 (ko) 다기능 전선지지대
KR20030010438A (ko) 다기능 전선지지대
KR101201094B1 (ko) 구조 개선된 멀티 전원 분배 장치용 케이스
KR102250149B1 (ko) 누전 방지 연결형 책상
KR20020004691A (ko) 배선덕트용 코너연결장치
KR930004537Y1 (ko) 분전함
JPS61121705A (ja) 分電盤付着脱自在隔壁
JP2001078317A (ja) 分電盤
JP3002185B1 (ja) 配線内蔵ボックス
US6384330B1 (en) Modular distributing frame for supporting telephone connector blocks
JP3729397B2 (ja) 引出しユニット
JP3125999U (ja) 配電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