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4691A - 배선덕트용 코너연결장치 - Google Patents

배선덕트용 코너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4691A
KR20020004691A KR1020000038833A KR20000038833A KR20020004691A KR 20020004691 A KR20020004691 A KR 20020004691A KR 1020000038833 A KR1020000038833 A KR 1020000038833A KR 20000038833 A KR20000038833 A KR 20000038833A KR 20020004691 A KR20020004691 A KR 200200046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ner
duct
wiring
connecting piece
connect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8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60752B1 (ko
Inventor
김경미
Original Assignee
김경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미 filed Critical 김경미
Priority to KR20200000194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7493Y1/ko
Priority to KR1020000038833A priority patent/KR100360752B1/ko
Publication of KR20020004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46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0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07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1Wall trunk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7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 컴퓨터의 프린터 케이블, 데이터 케이블, 전화선 또는 스피커 선과 같은 배선과 배선기구의 증설 시에 사용되는 배선덕트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천장에서 바닥으로 이어지는 곳 또는 벽과 벽간의 모서리부위에서 배선덕트를 상호 용이하게 이을 수 있도록 한 배선덕트용 코너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전선, 컴퓨터의 프린터 케이블, 데이터 케이블, 전화선 또는 스피커 선과 같은 배선과 배선기구의 증설 시에 사용하기 위해 접속막대(30)에 의해 상호 연결하여 사용하도록 한 접속홈(11)을 구비한 덕트본체(10)와, 상기 덕트본체(10)에 결합되는 덕트커버(20)로 구성된 배선덕트를 천장에서 바닥으로 이어지는 곳 또는 벽과 벽간의 모서리부위에서 상호 용이하게 이을 수 있도록 한 배선덕트용 코너연결장치에 있어서: 코너부재(200)의 내측면에는 상기 덕트본체(10)가 직각 방향으로 만나도록 상기 접속막대(30)의 일단부가 삽입 고정 되도록한 연결편을 설치하여서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이용되는 연결편은의 형상이 바람직하나,

Description

배선덕트용 코너연결장치{Corner connecting apparatus for distributing duct}
본 발명은 전선, 컴퓨터의 프린터 케이블, 데이터 케이블, 전화선 또는 스피커 선과 같은 배선과 배선기구의 증설 시에 사용되는 배선덕트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천장에서 바닥으로 이어지는 곳 또는 벽과 벽간의 모서리부위에서 배선덕트를 상호 용이하게 이을 수 있도록 한 배선덕트용 코너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무실 등에서 부서별로 칸막이(Partition)를 할 경우 컴퓨터, 프린터, 전화기나 복사기와 같은 사무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이나, 컴퓨터의 데이터 케이블 등을 배선하거나, 천장으로부터 전선을 분기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이들 케이블이나 전선 등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고, 미적 감각을 살리기 위해 전선 보호덕트를 사용하고 있는바, 이러한 전선 보호덕트는 통상적으로 본체 저면에 양면 테이프를 장착시켜 바닥 또는 벽면에 고정하고 내부에 전선을 넣어 전선을 보호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전선 보호덕트는 다수 가닥의 전선이나, 컴퓨터 케이블 또는 전화선을 내부에 넣을 수 있으나, 전기 콘센트, 전화의 플러그를 꽂을 수 있도록 한 전화 콘센트 또는 텔레비전 방송을 시청하거나 라디오방송을 청취하기 위한 TV/FM 콘센트 등을 내부에 설치할 수 없다. 다시 말하면, 이러한 전선 보호덕트는 그의 크기(폭 및 깊이)가 작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각종 콘센트를 설치할 수 없고, 단지 이들 콘센트를 제외한 전선이나 케이블만을 보호하게 되므로 이들 콘센트들은외부로 노출되어 고정되지 않게 되어 배선 후에는 반듯이 이들 콘센트들이 어지럽게 위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최근에는 알루미늄제의 배선덕트를 사용하고 있는바, 이러한 알루미늄제의 배선덕트는 사무실에서 이용되는 전기 케이블, 전기 콘센트나 컴퓨터의 프린터 케이블, 데이터 케이블, 통신케이블 또는 스피커선 등의 설치 및 분해 시 커버를 덕트본체에 결속할 수 있으며, 또한 배선덕트의 설치 후 케이블 등의 철수 시에 덕트본체로부터 커버를 용이하게 분리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손쉽게 배선기구나 전선을 증설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부에 수장되는 전선의 종류에 따라 분리 배선이 가능토록 한 것인데, 이에 대해 도1 및 도2를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1에는 천장에서 바닥으로 이어지는 곳 또는 벽과 벽간의 모서리부위에서 배선덕트가 상호 이어지도록 한 것이 도시되어 있는바, 예컨대 도1에 도시된 배선덕트는 덕트본체(10)와 덕트커버(20)로 구성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덕트본체(10)와 덕트커버(20)는 상호 착탈 가능하도록 한 결합구조를 가졌으나, 커버(20)에는 도시하지 않은 여러 가지 배선기구가 고정될 수 있고, 덕트본체(10)의 내부에는 다수의 전선들이 가지런하게 수장되도록 다양한 구조를 갖는 것일 수 있으며, 덕트본체(10) 및 덕트커버(20)는 다양한 길이로 잘라서 이어 쓸 수도 있도록 되어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덕트본체(10)에는 접속홈(11)이 형성되어 접속막대(30) 및 나사 (40)를 이용하여 상호 이을 수 있게되는 것이다.
그러나 도1에 도시된 종래의 코너연결장치는 2개의 덕트본체(10)의 끝단부를기계 가공하여 이들 부위를 용접함으로써 이루어지는바, 이 경우 용접부위(50)가 매끄럽지 아니하여 별도의 그라인딩 작업을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외관이 미려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도1에서와 같은 코너연결장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도2에서와 같은 코너연결장치가 제조, 판매되고 있는바, 이는 코너연결장치(100)의 외관을 라운딩처리하여 외관이 미려하도록 하였으나, 코너연결장치(100)의 양단부에 삽입되는 배선덕트본체(10)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전동드릴을 이용하여 다수의 나사못(110)을 박아야 하므로 작업공수가 늘어나며, 설치후에는 이러한 나사못에 의해 외관이 미려하지 않은 단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철거시에는 이러한 나사못(110)을 일일이 제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천장에서 바닥으로 이어지는 곳 또는 벽과 벽간의 모서리부위에서 배선덕트를 상호 용이하게 이을 수 있도록 하며 외부에서 나사못을 고정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용접과 같은 부위가 전혀 없으므로 외관이 미려토록 한 배선덕트용 코너연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1은 용접방식에 의해 배선덕트를 직각으로 연결하기 위한 종래기술에 따른 코너연결장치의 사시도,
도2는 나사못에 의해 배선덕트를 직각으로 연결하기 위한 다른 종래기술에 따른 코너연결장치의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선덕트용 코너연결장치의 분해사시도,
도4는 도3에서의 IV-IV선 단면도,
도5는 도4에서의 V-V선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코너연결편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코너연결편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덕트본체 20:덕트커버
30: 접속막대 40: 나사
50: 용접부 100,200: 코너부재
110: 나사못 210: 연결편
200a: 코너부재측벽 210a:고정면
210b: 경사면 210c:절첩선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선, 컴퓨터의 프린터 케이블, 데이터 케이블, 전화선 또는 스피커 선과 같은 배선과 배선기구의 증설 시에 사용하기 위해 접속막대에 의해 상호 연결하여 사용하도록 한 접속홈을 구비한 덕트본체와, 상기 덕트본체에 결합되는 덕트커버로 구성된 배선덕트를 천장에서 바닥으로 이어지는 곳 또는 벽과 벽간의 모서리부위에서 상호 용이하게 이을 수 있도록 한 배선덕트용 코너연결장치에 있어서: 코너부재의 내측면에는 상기 덕트본체가 직각 방향으로 만나도록 상기 접속막대의 일단부가 삽입 고정 되도록한 연결편을 설치하여서됨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연결편은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의 형상, 또는의 형상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배선덕트용 코너연결장치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바, 도3에 있어서 도1 및 도2와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부품을 나타내므로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덕트본체(10)의 형상과는 전혀 무관하며 단지 접속홈(11)이 형성되어 접속막대(30)를 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면 충분하다. 따라서 덕트본체(10)는 그의 측벽에 접속홈(11)을 구비한 것이면 어느 형상의 것이든 선택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접속홈(11)을 구비한 덕트본체(10)가 예컨대 천장에서 바닥으로 이어지는 곳 또는 벽과 벽간의 모서리부위에서 상호 직각으로 구부려지는 곳에 적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코너부재(200)의 내측면에는 덕트본체(10)가 직각 으로 만나 이어지도록 접속막대(30)의 일단부가 삽입 고정 되도록 한 연결편(210)을 구비하였다.
여기에서 도4 및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편(210)은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코너부재(200)의 안쪽에 적당한 방법, 바람직하기로는 스포트용접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연결편(210)이 고정된 코너부재(200)를 이용하여 2개의 덕트본체(10)를 상호 직각으로 연결하고자할 경우 덕트본체(10)의 내측면에 형성된 접속홈(11)에는 접속막대(30)를 삽입한뒤 접속막대(30)의 일부분이 덕트본체(10)로부터 돌출되도록 한뒤 나사(40)를 잡그게 되면 접속막대(30)가 접속홈(11)에 단단히 고정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각각의 덕트본체(10)에 대한 접속막대(30)의 돌출이유는 다음과 같다. 즉, 도4와 같이 접속막대(30)의 끝부분을 돌출시켜 돌출된 부분이 연결편(210)의 하측으로 삽입되어 이에 밀착 계합되도록 한 것이다.
한편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편(210)은 코너부재(200)의 평평한 측벽 (200a)에 고정되는 고정면(210a)과 이로부터 양측으로 경사진 경사면(210b)을 구비하였는바, 이 경사면(210b)은 절첩선(210c)을 중심으로 그의 자유단부가 들려져있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도4 및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너부재(200)의 평평한 측벽(200a)으로부터 연결편(210)의 선단부 간의 높이(H1)와, 코너부재(200)의 평평한 측벽(200a)으로부터 연결편(210)의 후단부 간의 높이(H2)가 차이가 있다는것이다. 다시 말하면 연결편(210)의 선단부의 높이(H1)가 연결편(210)의 후단부 간의 높이(H2)보다 높기 때문에 접속막대(30)를 연결편(210)밑으로 밀어 넣으면 넣을수록 접속막대(30)는 경사면(210b)에 더욱 압압되어 단단히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2와 같이 종래의 나사못을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외관이 매우 미려한 것이고, 더욱이 배선덕트의 분리시에는 코너부재(200)로부터 배선덕트본체(10)를 잡아당기면 되는 것으로서, 분리작업이 매우 간단하면서도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도6 및 도7에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연결편(210)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바, 이들에 대한 기능은 도3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천장에서 바닥으로 이어지는 곳 또는 벽과 벽간의 모서리부위에서 배선덕트를 상호 용이하게 이을 수 있도록 하며 외부에서 나사못을 고정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용접과 같은 부위가 전혀 없으므로 외관이 미려토록 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비록 본 발명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을 지라도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하기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많은 변경 및 수정이 있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연결편(210)은 3가지의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뿐 이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하는것이 아니며 기타의 형상의 것으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5)

  1. 전선, 컴퓨터의 프린터 케이블, 데이터 케이블, 전화선 또는 스피커 선과 같은 배선과 배선기구의 증설 시에 사용하기 위해 접속막대(30)에 의해 상호 연결하여 사용하도록 한 접속홈(11)을 구비한 덕트본체(10)와, 상기 덕트본체(10)에 결합되는 덕트커버(20)로 구성된 배선덕트를 천장에서 바닥으로 이어지는 곳 또는 벽과 벽간의 모서리부위에서 상호 용이하게 이을 수 있도록 한 배선덕트용 코너연결장치에 있어서:
    코너부재(200)의 내측면에는 상기 덕트본체(10)가 직각 방향으로 만나도록 상기 접속막대(30)의 일단부가 삽입 고정 되도록한 연결편(210)을 설치하여서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덕트용 코너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편(210)은 코너부재(200)의 평평한 측벽(200a)으로부터 연결편(210)의 선단부 간의 높이(H1)가 코너부재(200)의 평평한 측벽(200a)으로부터 연결편(210)의 후단부 간의 높이(H2)보다 높게 형성되어 상기 접속막대(30)를 연결편(210)밑으로 밀어 넣을 경우 접속막대(30)가 경사면(210b)에 의해 압압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덕트용 코너연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편(210)은의 형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덕트용 코너연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편(210)은의 형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덕트용 코너연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편(210)은의 형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덕트용 코너연결장치.
KR1020000038833A 2000-07-07 2000-07-07 배선덕트용 코너연결장치 KR1003607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9466U KR200207493Y1 (ko) 2000-07-07 2000-07-07 배선덕트용 코너연결장치
KR1020000038833A KR100360752B1 (ko) 2000-07-07 2000-07-07 배선덕트용 코너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8833A KR100360752B1 (ko) 2000-07-07 2000-07-07 배선덕트용 코너연결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9466U Division KR200207493Y1 (ko) 2000-07-07 2000-07-07 배선덕트용 코너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4691A true KR20020004691A (ko) 2002-01-16
KR100360752B1 KR100360752B1 (ko) 2002-11-13

Family

ID=1967677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8833A KR100360752B1 (ko) 2000-07-07 2000-07-07 배선덕트용 코너연결장치
KR2020000019466U KR200207493Y1 (ko) 2000-07-07 2000-07-07 배선덕트용 코너연결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9466U KR200207493Y1 (ko) 2000-07-07 2000-07-07 배선덕트용 코너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036075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3330B1 (ko) * 2004-11-24 2006-12-01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배선덕트의 단위 모듈별 접속 구조
KR100662080B1 (ko) * 2005-01-26 2006-12-27 김병길 통합전선용 매립덕트
KR100745191B1 (ko) * 2005-03-21 2007-08-01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배선용 덕트의 접속 구조
KR101027086B1 (ko) * 2008-07-08 2011-04-05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전등용 덕트의 접속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783Y1 (ko) * 2010-06-11 2012-08-09 주식회사 디엠에스 배선 보호 연결 덕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3330B1 (ko) * 2004-11-24 2006-12-01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배선덕트의 단위 모듈별 접속 구조
KR100662080B1 (ko) * 2005-01-26 2006-12-27 김병길 통합전선용 매립덕트
KR100745191B1 (ko) * 2005-03-21 2007-08-01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배선용 덕트의 접속 구조
KR101027086B1 (ko) * 2008-07-08 2011-04-05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전등용 덕트의 접속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60752B1 (ko) 2002-11-13
KR200207493Y1 (ko) 200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13787A (en) Communications conduit connector mounting device
US5479747A (en) Conduit connecting mechanism for a screen panel
US5354953A (en) Cable holding device
US7459633B2 (en) Wire management system
US6161803A (en) Expandable wiring trough for telecommunications equipment
KR100360752B1 (ko) 배선덕트용 코너연결장치
US7485805B1 (en) Two-gang recessed electrical box assembly
US6710244B1 (en) Base board system for installing wiring and method therefor
JP2988374B2 (ja) エッジ部材
WO2003102987A2 (en) Moveable utility receptacle system
KR100337281B1 (ko) 배선덕트
KR200236626Y1 (ko) 다목적배선덕트
KR200236523Y1 (ko) 배선덕트용 코너연결장치
KR200262590Y1 (ko) 전선배선용 보호덕트(4방수직형)
JP2922514B2 (ja) 配線ダクト装置
KR200182211Y1 (ko) 배선덕트
WO2001031759A1 (en) A method of providing a mounting frame for electrical components, a coupling frame for performing the method, and a concealed electrical installation system for cooperation with the coupling frame
KR200171331Y1 (ko) 배선덕트용 배선기구고정구
KR20030010440A (ko) 전선배선용 보호덕트(4방수직형)
KR200358856Y1 (ko) 배선덕트의 부자재 결합 구조
JP5840315B1 (ja) 情報通信ユニット及び情報コンセント
KR20030010439A (ko) 전선배선용 보호덕트(3방수직형)
KR200285097Y1 (ko) 배선 덕트용 커버
CN110067329B (zh) 一种多功能隔墙
JPH08302897A (ja) コンセント付き壁パネルおよびそ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7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