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4537Y1 - 분전함 - Google Patents

분전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4537Y1
KR930004537Y1 KR2019910002212U KR910002212U KR930004537Y1 KR 930004537 Y1 KR930004537 Y1 KR 930004537Y1 KR 2019910002212 U KR2019910002212 U KR 2019910002212U KR 910002212 U KR910002212 U KR 910002212U KR 930004537 Y1 KR930004537 Y1 KR 9300045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ion box
enclosures
distribution
housing
wi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22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7257U (ko
Inventor
박성대
Original Assignee
박성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대 filed Critical 박성대
Priority to KR20199100022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4537Y1/ko
Publication of KR9200172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725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45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453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2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 H02G3/121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in plain wa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6Assembled 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분전함
제1도는 종래 분전함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 분전함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3a도는 분전함을 결합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3b도는 분전함을 분리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a, 2b : 함체 3 : 결합돌출부
4 : 결합홈 6a, 6b : 전면판
7 : 배선공 8a, 8b : 고리
13a, 13b : 통공
본 고안은 건물의 벽면 내부에 매설되는 분전함에 관련된 것으로서, 특히 다세대 주택이나 아파트 등과 같이 하나의 벽면에 의해 두세대를 인접하여 분리시킨 집합 건물에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두 개의 분전함을 결합하여 하나의 분전함으로 사용하거나 이들을 분리하여 두 개의 독립된 분전함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분리, 또는 결합하여 사용이 가능한 분전함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집합 건물에서 사용하는 분전함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벽면(1)을 기준하여 양측에 배치된 각각의 세대(A, B)에 한나씩의 분전함을 매치하기 위하여 2개의 독립된 분전함(2a, 2b)을 벽면(1)에 각각 설치하고, 상기 분전함(2a,2b)에 각각의 배선파이프(11a, 11b)를 연결하며, 상기 분전함(2a,2b)에 고정되는 브라켓트(5a,5b)에 누전차단기, 또는 배선용 차단기등을 각각 고정하고, 상기 브라켓트(5a, 5b)에 전면판(6a, 6b)을 각각 고정하여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각각의 세대별로 매설하여 사용하는 종래의 분전함은 여러 세대수에 대응하여 여러개의 분전함을 매설하여야 하기 때문에 시공시간이 오래 걸리고, 시공자재 또는 시공 인원등이 과다하게 사용되므로써 시공비용이 상승하여 실용적이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하나의 벽면을 기준하여 벽면의 양측에 배치된 두세대에서 동시에 사용할수 있는 하나의 분전함을 형성하거나 필요에 따라서 독립된 두 개의 분전함으로 사용할 수 있는 분전함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이를 위하여 누전차단기 또는 배선용 차단기를 고정하는 브라캣트를 설치하기 위하여 소정크기의 공간을 가지고 각각 분리된 2개의 함체를 구비하고, 상기 함체는 필요에 따라 결합하여 하나의 분전함으로 사용하거나, 분리하여 2개의 분전함으로 사용하도록 한 것으로서, 이를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함체(2a, 2b)로 이루어진다.
함체(2a, 2b)는 브라켓트(5a, 5b)를 함체(2a, 2b)에 고정할 때에 브라켓트(5a,5b)에 고정되는 누전차단기 또는 배선용 차단기를 수용할 수 있는 소정크기의 공간(10a, 10b)을 포함하고, 그 외주면에는 여러개의 배선공(7)을 밀폐된 상태로 형성하며, 함체(2a, 2b)를 콘트리트 시공을 위한 철근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리(8a, 8b)를 각각 형성한다.
그리고 함체(2b)의 배면(9b)에는 결합홈(4)을 형성하고, 또다른 함체(2a)의 배면(9a)에는 상기 결합홈(4)에 끼워질 수 있는 결합돌출부(3)를 형성하여 양 함체(2a, 2b)가 결합돌출부(3)와 결합홈(4)의 결합 또는 분리에 따라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양 함체(2a, 2b)의 배면(9a, 9b)에는 서로 상통하는 통공(13b)을 밀폐된 상태로 형성하여 양 함체(2a, 2b)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상기 통공(13a, 13b)을 파괴하고, 파괴도니 통공(13a, 13b)에 전선을 통과시키므로써 양 함체(2a, 2b)의 공간(10a, 10b)간에 전선이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므로, 하나의 벽면에 의해 분리되어 인접하는 두세대(A, B)가 동시에 사용하는 하나의 분전함을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3a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함체(2a)의 결합돌출부(3)를 결합홈(4)에 끼워 양 함체(2a, 2b)를 하나의 분전함으로 형성하고, 이어서 결합된 하나의 분전함은 고리(8a, 8b)를 이용하여 철사로써 벽면의 콘트리트 시공을 위한 철근에 고정한다.
그리고, 배선파이프(11)를 임의의 배선공(7)을 파괴한 후 해당 공간(10b)내에 연결하고, 이어서 배면(9a,9b)에 형성된 임의의 통공(13a, 13b)를 파괴하여 배선파이프(11)로부터 인출하는 배선을 공간(10a)에 연결한다.
그리고, 콘크리트 양생이 끝난 후 양 함체(2a, 2b)에 브라켓트(5a, 5b)와 전면판(6a, 6b)을 고정한다.
또한 함체(2a, 2b)의 여러 사용조건에 따라 양 함체(2a, 2b)를 분리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3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함체(2a, 2b)를 분리하여 철근에 고리(8a, 8b)를 이용하여 고정하고, 각각의 함체(2a, 2b)에는 각각의 배선파이프(11a, 11b)를 연결하며, 콘크리트 양생후 각각의 브라켓트(5a, 5b)와 전면판(6a, 6b)을 고정한다.
본 고안은 이와같이, 두 개의 함체(2a, 2b)를 손쉽게 결합하여 하나의 분전함을 형성하고, 이러한 하나의 분전함은 벽면(1)에 의해 분리되어 인접되는 두세대(A,B)의 분전함으로 동시에 사용할 수 있으므로 두세대를 동시에 시공할 수 있으며, 이로인해 공사시간의 단축이 가능하며, 공사 인원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선파이프(11) 및 배선의 사용을 절약할 수 있어 공사비를 절감시키는 작용효과가있다.

Claims (1)

  1. 누전차단기 또는 배선용 차단기등을 고정하는 분전함에 있어서, 독립적인 분전함으로 각각 사용할수 있는 함체(2a, 2b)를 구비하고 상기 함체(2a, 2b)의 배면(9a, 9b)에는 양 함체(2a, 2b)가 결합하는 경우 서로 상통하는 통공(13a, 13b)를 형성하며, 상기 함체(2a, 2b)를 필요에 따라 결합하여 하나의 분전함으로 사용할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함체(2b)의 배면(9b)에는 결합홈(4)을, 함체(2a)의 배면(9a)에는 상기 결합홈(4)에 끼워지는 결합 돌출부(3)를 각각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함.
KR2019910002212U 1991-02-13 1991-02-13 분전함 KR9300045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2212U KR930004537Y1 (ko) 1991-02-13 1991-02-13 분전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2212U KR930004537Y1 (ko) 1991-02-13 1991-02-13 분전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7257U KR920017257U (ko) 1992-09-17
KR930004537Y1 true KR930004537Y1 (ko) 1993-07-21

Family

ID=19310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2212U KR930004537Y1 (ko) 1991-02-13 1991-02-13 분전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453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73792A (ja) * 1998-03-26 1999-10-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ブレーカ付きコンセン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7257U (ko) 1992-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5711B2 (en) Support frame for wall mounting an electrical apparatus
MY131791A (en) Water-resistant busway with water drainage duct
CN104638584A (zh) 一种布线槽
US20040149475A1 (en) Cable entry box
KR930004537Y1 (ko) 분전함
KR20120020877A (ko) 세대 통합형 단자함
KR101010309B1 (ko) 단자함
KR200235025Y1 (ko) 공동주택 방송용 스피커 부위 세대간 소음차단 장치
KR200384158Y1 (ko) 통합형 단자함
KR100717423B1 (ko) 공동주택 단지 전기케이블 보호를 위한 구부러짐 방지시설
KR930004538Y1 (ko) 분전함
KR200438408Y1 (ko) 조립식 칸막이
KR101229964B1 (ko) 결로방지부재가 결합된 배선박스
KR102180771B1 (ko) 전선보호 기능을 갖는 공동주택의 벽체 설치용 전선보호장치
US20240097419A1 (en) Power cable system prefabricated in a building structure
KR101455294B1 (ko) 원격검침 계량기함
JP3347928B2 (ja) 外構電気設備
KR102190188B1 (ko) 공동주택 실내 전기의 벽체 케이블 단락 방지 시스템
KR200190907Y1 (ko) 조합구성되는 다목적 세대단자함
KR102178100B1 (ko) 공동주택 전기의 벽체 설치형 케이블 연결소켓장치
JP2001095113A (ja) 住宅用分電盤
JPS61121705A (ja) 分電盤付着脱自在隔壁
JPH04137413U (ja) 住宅用配電盤
JP2003171984A (ja) ユニット式建物の配線方法
JPH0556522A (ja) ビル用高圧配電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22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