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7604B1 -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 Google Patents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7604B1
KR100687604B1 KR1020060126124A KR20060126124A KR100687604B1 KR 100687604 B1 KR100687604 B1 KR 100687604B1 KR 1020060126124 A KR1020060126124 A KR 1020060126124A KR 20060126124 A KR20060126124 A KR 20060126124A KR 100687604 B1 KR100687604 B1 KR 1006876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duct
opening
duct body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6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기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명 이에프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명 이에프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명 이에프씨
Priority to KR1020060126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76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7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7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8Installations of cables, lines, or separate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conduits or ducts pre-established in walls, ceilings or floors
    • H02G3/286Installations of cables, lines, or separate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conduits or ducts pre-established in walls, ceilings or floors in wa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through walls, floors or ceilings, e.g. into buil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6Installations of cables, lines, or separate protective tubing therefor directly on or in walls, ceilings, or flo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covered by H02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로 긴 박스형상으로 중심측이 좌측으로 절곡돌출되고, 돌출된 전방측에 개방부가 형성되며, 상하부에는 다수개의 전선유입공이 형성되고, 상하면 후방선단 양측에 승강공이 각각 형성되며, 상하면에 체결고정되어 승강공을 막는 마감판이 형성되는 덕트몸체와; 내부에 전선이 유입되는 관체로, 양단 외주연에는 패킹연결구의 내주연 체결돌부가 삽입고정되는 체결홈이 형성되어 상기 덕트몸체의 전선유입공에 체결고정되는 전선유입관과; 상기 덕트몸체의 상하면 후방선단 양측의 승강공 내부로 삽입되어 스프링이 감겨진 승강축이 축고정되되, 배근에 탄성고정되는 탄발요부가 형성되고, 양측선단이 승강축에 축고정되어 탄성으로 승강되는 배근고정구와; 일측단은 상기 덕트몸체의 개방부 선단에 체결고정되고, 타측단은 전방측으로 돌출되어 지지판에 체결고정되되, 지지판의 사방 모서리에는 신축피스톤의 일측단이 고정되고, 신축피스톤의 타측단은 탄성링이 고정되어 상기 덕트몸체에 고정된 신축실린더 내부로 유입되어서 다수개의 고정홈으로 이동되면서 길이가 신축되며, 지지판 선단에는 개폐뚜껑을 갖는 개폐판이 체결고정되는 개구신축케이스를 구비하는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세대간의 소음이 덕트를 통해 전달되는 현상을 최소화하고, 벽체의 두께에 따라 인출이 이루어지는 개구신축케이스가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연결설치되며, 덕트 후방에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시공상의 편의성을 향상시켜주고, 덕트 내부를 전선의 분할 배선을 가능토록 하여 배선의 편 의성과 실사용시의 절연특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덕트몸체, 전선유입관, 배근고정구, 개구신축케이스

Description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Duct for protected multi-electric line of apartmenthouse to being buried inwall}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의 시공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의 체결모습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의 신축실린더와 신축피스톤의 체결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의 전선유입관 체결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 예인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의 시공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 예인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의 시공모습을 보인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덕트몸체 11 : 개방부
12 : 전선유입공 13,13a : 승강공
14 : 마감판 20 : 전선유입관
21 : 체결홈 22 : 패킹연결구
23 : 체결돌부 30 : 배근고정구
31 : 탄발요부 32 : 승강축
33 : 스프링 40 : 개구신축케이스
41 : 지지판 42 : 신축피스톤
42a : 탄성링 43 : 신축실린더
43a : 고정홈 44 : 개폐판
44a : 개폐뚜껑 50 : 배근
60 : 콘크리트
본 발명은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세대간의 소음이 덕트를 통해 전달되는 현상을 최소화하고, 벽체의 두께에 따라 인출이 이루어지는 개구신축케이스가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연결설치되며, 덕트 후방에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시공상의 편의성을 향상시켜주고, 덕트 내부를 전선의 분할 배선을 가능토록 하여 배선의 편의성과 실사용시의 절연특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에 관한 것이다.
인구의 증가로 인해 주거 공간이 상대적으로 줄어들어 공동주택인 아파트가 늘어나고 있으며, 이러한 아파트는 실내에 모든 시설이 완비되어 있어 사용이 매우 편리하므로 대부분의 사람들이 살고 싶어하는 주택의 한 형태가 되고 있다.
종래에 아파트를 시공할 때에는 전기선만 배선되면 되었으나, 최근에는 매체의 활용이 다양화, 고속화되면서 아파트를 시공함에 있어서도 전화선, 초고속 인터넷 전용선, CATV/MATV용 케이블 등 전기선을 제외한 다양한 약전용 전선들의 설치가 필요하게 되었으며, 이를 위해 각 층마다 통신 EPS실이나 피트(PIT)를 마련하고 케이블 트레이를 이용하여 배선하는 방식으로 설계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통신 EPS실이나 피트(PIT)는 그 면적이 1.3×0.7(㎡) 정도로 매우 크므로 이로 인해 공용면적이 작아져 실질적인 주거공간이 좁아지는 원인이 되었으며, 좁은 공간에서의 조적 및 현장관리가 어렵고, 불필요한 건축비가 증가하였으며, 전화 세대 단자함에서 EPS실까지 배관시공이 어렵고 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바닥배관이 화장실 바닥을 통과하므로 하자 발생의 소지가 많은 문제가 있었다.
또한, 통신 EPS실이나 피트(PIT)를 설치하지 않고 시공하는 경우에는 각종 전선을 수용한 다량의 PVC 전선관을 골조에 매입하게 되는데, 이럴 경우에는 전선관 시공이 매우 어려움은 물론 구조적인 강도가 약하여 별도의 철근보강이 필요하며, 입선후 앙카 또는 드릴에 의해 파손될 염려가 있고, 파손시에는 보수가 거의 불가능하며, 자재비 및 인건비가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4각 파이프 형상을 가진 덕트의 하 부 일측에는 전면방향으로 내부공간이 노출되게 개구부가 형성되면서 그 양측면에 조인트홀을 갖는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부 일측에는 상기 덕트의 벽면 매입시 그 위치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돌출부와 동일방향으로 지지편을 부착하며, 상단부에는 다른 덕트를 수직방향으로 끼워 연결할 수 있도록 외부테두리가 타부위의 내부테두리와 동일하게 테두리축소부를 형성하여 건물의 일 벽면에 매입되게 수직으로 세워 건물 전체에서 상기 덕트 내부공간이 통하도록 시공하되, 상기 돌출부가 벽면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위치시키며, 상기 덕트의 내부공간에는 약전전용선인 전화선, 통신선, TV 케이블을 통합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에 매입되는 통합전선용 보호덕트가 2002년 3월 18일자로 실용신안등록 제20--0262291호로 등록공고된바 있었다.
그러나, 이런 종래의 통합전선용 보호덕트는 세대간의 소음이 덕트를 통해 전달되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설치되는 벽체의 두께에 따라서 인출되는 돌출부의 길이를 서로 다르게 형성하여야 되었고, 덕트 내부 배선시 배선의 색상이 동일할 때 구분이 되지 않아 동일 색상을 모두 통전시켜야 되는 배선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배선이 서로 근접되어 간섭되거나 누전이 일어날 소지가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세대간의 소음이 덕트를 통해 전달되는 현상을 최소화하고, 벽체의 두께에 따라 인출이 이루어지는 개구신축케이스가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연결설치되며, 덕트 후방에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시공상의 편의성을 향상시켜주고, 덕트 내부를 전선의 분할 배선을 가능토록 하여 배선의 편의성과 실사용시의 절연특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하로 긴 박스형상으로 중심측이 좌측으로 절곡돌출되고, 돌출된 전방측에 개방부가 형성되며, 상하부에는 다수개의 전선유입공이 형성되고, 상하면 후방선단 양측에 승강공이 각각 형성되며, 상하면에 체결고정되어 승강공을 막는 마감판이 형성되는 덕트몸체와;
내부에 전선이 유입되는 관체로, 양단 외주연에는 패킹연결구의 내주연 체결돌부가 삽입고정되는 체결홈이 형성되어 상기 덕트몸체의 전선유입공에 체결고정되는 전선유입관과;
상기 덕트몸체의 상하면 후방선단 양측의 승강공 내부로 삽입되어 스프링이 감겨진 승강축이 축고정되되, 배근에 탄성고정되는 탄발요부가 형성되고, 양측선단이 승강축에 축고정되어 탄성으로 승강되는 배근고정구와;
일측단은 상기 덕트몸체의 개방부 선단에 체결고정되고, 타측단은 전방측으로 돌출되어 지지판에 체결고정되되, 지지판의 사방 모서리에는 신축피스톤의 일측단이 고정되고, 신축피스톤의 타측단은 탄성링이 고정되어 상기 덕트몸체에 고정된 신축실린더 내부로 유입되어서 다수개의 고정홈으로 이동되면서 길이가 신축되며, 지지판 선단에는 개폐뚜껑을 갖는 개폐판이 체결고정되는 개구신축케이스를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의 시공모습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의 체결모습을 보인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의 신축실린더와 신축피스톤의 체결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의 전선유입관 체결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실시 예인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의 시공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실시 예인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의 시공모습을 보인 측단면도이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임은 물론이다.
본 발명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는, 상하로 긴 사각 관체인 덕트몸체(10)와, 덕트몸체(10) 상하단에 삽입고정되는 전선유입관(20)과, 덕트몸체(10)의 상하단 후방에 각각 고정되어 배근(50)에 걸림고정되는 배근고정구(30,30a)와, 덕트몸체(10)의 개방부(11)에 장착되어 전후방측으로 신축되는 개구신축케이스(40)로 구성된다.
상기 덕트몸체(10)는 상하로 긴 박스형상으로, 중심측이 좌측으로 절곡돌출되고, 돌출된 전방측에 개방부(11)가 형성되며, 상하부에는 다수개의 전선유입공(12)이 각각 형성되고, 상하면 후방선단 양측에 승강공(13,13a)이 각각 형성되며, 상하면에 체결고정되어 승강공(13,13a)을 막는 마감판(14)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전선유입관(20)은 내부에 전선이 유입되는 관체로, 양단 외주연에는 패킹연결구(22)의 내주연 체결돌부(23)가 삽입고정되는 체결홈(21)이 형성되어 상기 덕트몸체(10)의 전선유입공(12)에 체결고정된다.
상기 배근고정구(30,30a)는 상기 덕트몸체(10)의 상하면 후방선단 양측의 승강공(13,13a) 내부로 삽입되어 스프링이(33) 감겨진 승강축(32)이 축고정되되, 배근(50)에 탄성고정되는 탄발요부(31)가 형성되고, 양측선단이 승강축(32)에 축고정되어 탄성으로 승강된다.
상기 개구신축케이스(40)는 일측단은 상기 덕트몸체(10)의 개방부(11) 선단에 체결고정되고, 타측단은 전방측으로 돌출되어 지지판(41)에 체결고정되되, 지지판(41)의 사방 모서리에는 신축피스톤(42)의 일측단이 고정되고, 신축피스톤(42)의 타측단은 탄성링(42a)이 고정되어 상기 덕트몸체(10)에 고정된 신축실린더(43) 내부로 유입되어서 다수개의 고정홈(43a)으로 이동되면서 길이가 신축되며, 지지 판(41) 선단에는 개폐뚜껑(44a)을 갖는 개폐판(44)이 체결고정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덕트몸체(10)의 상하면 후방선단의 승강공(13,13a)에 배근고정구(30)의 양측선단을 승강축(32)에 결합시킨 다음, 마감판(14)으로 상하단면의 승강공(13,13a)을 마감처리한다.
이 상태에서 덕트몸체(10)의 상하측 전선유입공(12)에 전선유입관(20)을 패킹체결구(22)에 의해서 밀폐되게 삽입고정시킨다.
이 상태에서 배근(50)내측에서 스프링(33)의 탄성으로 배근고정구(30)의 탄발요부(31)를 걸림고정시킨 다음, 개폐판(44)을 거푸집(도시않음)에 의해 형성되는 내측벽면의 콘크리트(60)에 안착되도록 전후방측으로 개구신축케이스(40)를 이동시키면서 신축피스톤(42)의 탄성링(42a)을 신축실린더(43)의 고정홈(43a)에 고정시키면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세대간의 소음이 덕트를 통해 전달되는 현상을 최소화하고, 벽체의 두께에 따라 인출이 이루어지는 개구신축케이스가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연결설치되며, 덕트 후방에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시공상의 편의성을 향상시켜주고, 덕트 내부를 전선의 분할 배선을 가능토록 하여 배선의 편의성과 실사용시의 절연특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1)

  1. 상하로 긴 박스형상으로 중심측이 좌측으로 절곡돌출되고, 돌출된 전방측에 개방부가 형성되며, 상하부에는 다수개의 전선유입공이 형성되고, 상하면 후방선단 양측에 승강공이 각각 형성되며, 상하면에 체결고정되어 승강공을 막는 마감판이 형성되는 덕트몸체와;
    내부에 전선이 유입되는 관체로, 양단 외주연에는 패킹연결구의 내주연 체결돌부가 삽입고정되는 체결홈이 형성되어 상기 덕트몸체의 전선유입공에 체결고정되는 전선유입관과;
    상기 덕트몸체의 상하면 후방선단 양측의 승강공 내부로 삽입되어 스프링이 감겨진 승강축이 축고정되되, 배근에 탄성고정되는 탄발요부가 형성되고, 양측선단이 승강축에 축고정되어 탄성으로 승강되는 배근고정구와;
    일측단은 상기 덕트몸체의 개방부 선단에 체결고정되고, 타측단은 전방측으로 돌출되어 지지판에 체결고정되되, 지지판의 사방 모서리에는 신축피스톤의 일측단이 고정되고, 신축피스톤의 타측단은 탄성링이 고정되어 상기 덕트몸체에 고정된 신축실린더 내부로 유입되어서 다수개의 고정홈으로 이동되면서 길이가 신축되며, 지지판 선단에는 개폐뚜껑을 갖는 개폐판이 체결고정되는 개구신축케이스를 구비하는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KR1020060126124A 2006-12-12 2006-12-12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KR100687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6124A KR100687604B1 (ko) 2006-12-12 2006-12-12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6124A KR100687604B1 (ko) 2006-12-12 2006-12-12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7604B1 true KR100687604B1 (ko) 2007-02-27

Family

ID=38104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6124A KR100687604B1 (ko) 2006-12-12 2006-12-12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760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7013B1 (ko) 2007-08-24 2010-01-15 (주)진성테크 매입형 전선함의 연결박스
KR20170005339A (ko) 2015-07-03 2017-01-12 가온전선 주식회사 배선용 금속덕트 및 상기 배선용 금속덕트를 이용하여 건물 벽체를 형성하는 방법
CN106759849A (zh) * 2017-01-23 2017-05-31 上海市地下空间设计研究总院有限公司 一种带有通讯供电线缆的预制混凝土构件
KR102363076B1 (ko) * 2021-08-03 2022-02-15 주식회사 한국나이스기술단 롤형 정보통신용 케이블 트레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9546Y1 (ko) * 2002-09-25 2002-12-31 (주)토형이엔지건축사사무소 공동 주택용 방송 스피커의 배관 연결 박스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9546Y1 (ko) * 2002-09-25 2002-12-31 (주)토형이엔지건축사사무소 공동 주택용 방송 스피커의 배관 연결 박스 구조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실용신안공보 실1999-6949호('99.2.25. 공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299546호(2002.12.31. 공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7013B1 (ko) 2007-08-24 2010-01-15 (주)진성테크 매입형 전선함의 연결박스
KR20170005339A (ko) 2015-07-03 2017-01-12 가온전선 주식회사 배선용 금속덕트 및 상기 배선용 금속덕트를 이용하여 건물 벽체를 형성하는 방법
CN106759849A (zh) * 2017-01-23 2017-05-31 上海市地下空间设计研究总院有限公司 一种带有通讯供电线缆的预制混凝土构件
KR102363076B1 (ko) * 2021-08-03 2022-02-15 주식회사 한국나이스기술단 롤형 정보통신용 케이블 트레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9498B1 (ko) 벽면에 매입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KR100687604B1 (ko)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KR100596461B1 (ko) 공동주택용 벽면 매립형 조립식 통합전선 보호덕트
US20060010784A1 (en) Wall water panel
KR100607472B1 (ko)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 전선보호덕트
KR101749649B1 (ko) 정보통신 리모델링용 공동주택 세대단자함 장치
KR101640351B1 (ko) 공동주택용 전기, 통신 배관 겸용 무매립 덕트
KR100649390B1 (ko)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KR102035541B1 (ko)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고정장치
KR100779667B1 (ko) 벽면에 매입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KR100673541B1 (ko) 벽면에 매설되는 건축물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KR100679931B1 (ko) 건축물 내부벽체 전선보호관
KR100771423B1 (ko) 벽면에 매입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KR100608159B1 (ko) 건축물용 방송 스피커 케이스의 세대간 소음차단구조
KR100744466B1 (ko) 건축물의 벽면내부에 설치되는 통합전선 보호덕트 구조
KR100677655B1 (ko) 공동주택용 방송스피커 전기배선박스의 세대간 소음차단구조
KR200392746Y1 (ko) 에어댐퍼가 구비된 매입형 전선함
KR100629785B1 (ko) 공동주택용 조립식 통합전선 보호덕트
KR100805074B1 (ko)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KR100827603B1 (ko) 건축물의 벽면 내부에 설치되는 통합전선 보호덕트 구조
KR100648421B1 (ko) 건축물 내부 벽체 전선 보호관
KR100640712B1 (ko)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KR200262291Y1 (ko) 벽면에 매입되는 통합전선용 보호덕트
KR100632850B1 (ko)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KR100834777B1 (ko)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