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6139B1 - 다세대주택의 다전선 배선박스의 위치조절구조 - Google Patents

다세대주택의 다전선 배선박스의 위치조절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6139B1
KR100616139B1 KR1020060047848A KR20060047848A KR100616139B1 KR 100616139 B1 KR100616139 B1 KR 100616139B1 KR 1020060047848 A KR1020060047848 A KR 1020060047848A KR 20060047848 A KR20060047848 A KR 20060047848A KR 100616139 B1 KR100616139 B1 KR 1006161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wire
protrusions
main body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7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치호
Original Assignee
진치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치호 filed Critical 진치호
Priority to KR1020060047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61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6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61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8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or inl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2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covered by H02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세대주택의 천장이나 바닥부에 내설되어 다세대주택에 배선되는 각종 전선들을 배전하고, 이를 정리 및 정돈할 수 있도록 하는 다전선 배선박스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다전선 배선박스의 설치위치를 건축설계에 따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다전선 배선박스의 위치조절구조에 관한 것으로, 측벽을 따라 상방이 개구되도록 절개되어 형성된 다수의 인입홈과,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상방으로 돌출되 차단돌부와, 상기 측벽과 차단돌부 사이 바닥면에 형성된 배수구멍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저면 가장자리를 따라 고정 배치되는 사각의 테두리를 가지며 내측에는 십자형상으로 되어 중심에는 내주면에 돌출된 걸림턱을 갖는 끼움홈이 형성된의 제1안착대를 갖는 상층틀과, 상기 제1안착대의 저면에 하방으로 돌출된 다수의 가이드바아와, 상기 상층틀에 상응하는 사각의 테두리를 가지면 내측에는 십자형상으로 되어 중심에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구멍을 갖고 상기 가이드바아가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제2안착대를 갖는 하층틀을 포함하는 지지대; 외주면이 상기 걸림턱과 회전가능하게 맞물려 상기 끼움홈에 고정되고 상면에 조임홈이 형성된 확장대와, 상기 확장대의 하방으로 돌출되며 외주면에는 상기 구멍의 나사산과 맞물리는 나사산이 형성되어서 상기 상층틀과 하층틀을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결속하는 스크류; 상기 제1안착대의 상면에 수평하게 안착되어서, 상기 본체의 저면부를 덮어 막는 한편, 상기 배수구멍으로 배수되는 습기를 흡수하여 상기 지지대로 둘러싸인 공간에 배수할 수 있도록 다공성 재질로 된 차단막; 상기 측벽과 차단돌부 사이에서 가요성을 갖는 다수의 돌부가 상기 차단돌부를 따라 나란하게 입설되되, 상기 돌부는 솔 형태로 촘촘히 박혀 이루어지는 펜스; 상기 인입홈을 통해 상기 본체로 인입된 전선의 말단이 접속하도록, 베이스와, 상면에는 상기 전선의 말단이 삽입되는 홈을 갖추고 상기 베이스 상에 8개가 정렬되되 두 개가 한 쌍을 이루며 한 면을 이루면서 사각으로 배치되는 안착블록과, 상기 홈으로 상하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되며 전도성 재질로 되는 통전블록과, 상호 대각선 방향에 위치하는 각 4개의 통전블록 상면과 맞물려 압력을 가하는 4개의 돌부를 구비하는 전도성 제2전극과, 상호 대각선 방향에 위치하는 남은 4개의 통전블록 상면과 맞물려 압력을 가하는 4개의 돌부를 구비하면서 상기 제1전극과 교차하면서 중간부는 절곡되어 상호 접촉하지 않도록 배치되는 전도성 제1전극과, 상기 제1전극 및 제2전극의 상방에서 압력을 가해 고정하는 커버를 갖는 분전용 커넥터; 및, 상기 인입홈에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서 맞물림 시 상기 인입홈을 인입된 전선을 잡아 고정하는 고정홈을 둘레면에 갖추고, 상기 본체의 상면을 덮는 덮개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다세대주택의 다전선 배선박스의 위치조절구조{Centering control structure of Switch box laid on the ceil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전선 배선박스의 위치조절구조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전선 배선박스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전용 커넥터의 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분전용 커넥터의 사용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전선 배선박스의 설치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용어설명 -
10 ; 전선 20 ; 관
100 ; 배선박스 110 ; 덮개
111 ; 고정홈 120 ; 펜스
130 ; 본체 131 ; 차단돌부
132 ; 인입홈 133 ; 배수구멍
140 ; 분전용 커넥터 141 ; 베이스
142 ; 안착블록 143 ; 통전블록
144, 145 ; 전극 146 ; 커버
150 ; 차단막 160 ; 지지대
161 ; 상층틀 162 ; 하층틀
170 ; 완충부재 180 ; 스크류
본 발명은 다세대주택의 천장이나 바닥부에 내설되어 다세대주택에 배선되는 각종 전선들을 배전하고, 이를 정리 및 정돈할 수 있도록 하는 다전선 배선박스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다전선 배선박스의 설치위치를 건축설계에 따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다전선 배선박스의 위치조절구조에 관한 것이다.
다세대주택과 같이 한 동에 다수의 세대 또는 상가가 입주하는 건물에는 외부로부터 단선으로 인입되는 전선을 수용하여 각 세대 또는 상가별로 배전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배전 및 배선은 외부에 드러난 다전선 배선박스에서 이루어진다. 이는 각 세대 또는 상가별로 유입되는 전기를 총괄하여 필요에 따라 선택적인 전기공급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관리 및 유지보수에 유리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럴 경우 수많은 전선들이 상기 다전선 배선박스으로부터 인출되면서 다세대주택의 구조물 내에 상기 전선이나 상하수관 등을 배선 및 배관하기 위해 설계한 공간 내에 복잡하게 배선되고, 특히, 이러한 공간 내에 전선이 장기간 위치 하게 되면 풍화 및 마모 등으로 상기 전선의 피복이 헤지게 되어, 합선 및 누전의 위험성을 증가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소하기 위해 천장 또는 바닥에 시멘트 몰탈 등을 타설하여 바닥면을 구성할 경우, 상기 전선들을 시멘트 몰탈 등과 함께 매설하는 공법이 적용되었다. 그러나, 상기 전선을 그대로 매설하더라도 수많은 전선이 시멘트 몰탈 구조물 내에 불규칙하게 배치되면서 시멘트 몰탈과도 쉽게 결합되지 못하여, 시멘트 몰탈 구조물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시멘트 몰탈 구조물 내 불필요한 공간형성은 시멘트 몰탈 구조물의 습기 및 각종 부식물질 등의 침투를 유발하여, 매설된 전선의 부식 진행이 가속화될 수도 있고, 이는 상기 전선의 수명을 단축하는 원인이 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전선을 시멘트 몰탈 구조물에 매설할 시 매설되는 전선의 수를 최소화하고 안정적인 매설을 가능하게 함으로서, 시멘트 몰탈 구조물 내에 매설되는 전선의 수명을 크게 연장할 수 있고, 특히 전선들 간의 이음이 이루어지는 구간에는 습기 및 각종 부식물질과 전선 간의 접촉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다세대주택의 다전선 배선박스의 위치조절구조의 제공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측벽을 따라 상방이 개구되도록 절개되어 형성된 다수의 인입홈과, 내측 가 장자리를 따라 상방으로 돌출되 차단돌부와, 상기 측벽과 차단돌부 사이 바닥면에 형성된 배수구멍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저면 가장자리를 따라 고정 배치되는 사각의 테두리를 가지며 내측에는 십자형상으로 되어 중심에는 내주면에 돌출된 걸림턱을 갖는 끼움홈이 형성된의 제1안착대를 갖는 상층틀과, 상기 제1안착대의 저면에 하방으로 돌출된 다수의 가이드바아와, 상기 상층틀에 상응하는 사각의 테두리를 가지면 내측에는 십자형상으로 되어 중심에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구멍을 갖고 상기 가이드바아가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제2안착대를 갖는 하층틀을 포함하는 지지대;
외주면이 상기 걸림턱과 회전가능하게 맞물려 상기 끼움홈에 고정되고 상면에 조임홈이 형성된 확장대와, 상기 확장대의 하방으로 돌출되며 외주면에는 상기 구멍의 나사산과 맞물리는 나사산이 형성되어서 상기 상층틀과 하층틀을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결속하는 스크류;
상기 제1안착대의 상면에 수평하게 안착되어서, 상기 본체의 저면부를 덮어 막는 한편, 상기 배수구멍으로 배수되는 습기를 흡수하여 상기 지지대로 둘러싸인 공간에 배수할 수 있도록 다공성 재질로 된 차단막;
상기 측벽과 차단돌부 사이에서 가요성을 갖는 다수의 돌부가 상기 차단돌부를 따라 나란하게 입설되되, 상기 돌부는 솔 형태로 촘촘히 박혀 이루어지는 펜스;
상기 인입홈을 통해 상기 본체로 인입된 전선의 말단이 접속하도록, 베이스와, 상면에는 상기 전선의 말단이 삽입되는 홈을 갖추고 상기 베이스 상에 8개가 정렬되되 두 개가 한 쌍을 이루며 한 면을 이루면서 사각으로 배치되는 안착블록과, 상기 홈으로 상하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되며 전도성 재질로 되는 통전블록과, 상호 대각선 방향에 위치하는 각 4개의 통전블록 상면과 맞물려 압력을 가하는 4개의 돌부를 구비하는 전도성 제2전극과, 상호 대각선 방향에 위치하는 남은 4개의 통전블록 상면과 맞물려 압력을 가하는 4개의 돌부를 구비하면서 상기 제1전극과 교차하면서 중간부는 절곡되어 상호 접촉하지 않도록 배치되는 전도성 제1전극과, 상기 제1전극 및 제2전극의 상방에서 압력을 가해 고정하는 커버를 갖는 분전용 커넥터; 및,
상기 인입홈에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서 맞물림 시 상기 인입홈을 인입된 전선을 잡아 고정하는 고정홈을 둘레면에 갖추고, 상기 본체의 상면을 덮는 덮개;
를 포함하는 다세대주택의 다전선 배선박스의 위치조절구조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배선박스의 위치조절구조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하단을 따라 고정되며, 소정의 탄성 및 연성을 갖는 다공성 재질의 완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전선 배선박스의 위치조절구조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전선 배선박스의 분해 사시도인바, 이를 참조 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선박스(100)은 건물의 바닥부 또는 천장 등에 매설된다. 또한, 다수의 전선(10)을 수용하여 배전하는데, 이를 위해 상기 배선박스(100)은 하나 이상의 분전용 커넥터(140)을 포함한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배선박스(100)은 전선(10)의 통전을 위해 서로 접하게 되는 이음부를 보호하기 위해 분전용 커넥터(140)을 감싸 보호하는 본체(130)와, 상기 본체(130)를 덮는 덮개(11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30) 및 덮개(110)는 절연성을 가지면서 타설되는 시멘트 몰탈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재질로 된다. 한편, 상기 본체(130)의 측벽에는 다수의 인입홈(132)이 형성된다. 상기 인입홈(132)는 전선(10)이 인입 및 인출되는 출입구로, 배선되는 전선(10)의 수에 상응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입홈(132)에 상응하여 상기 덮개(110)에는 고정홈(111)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홈(111)은 인입홈(132)의 형성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면서, 상기 덮개(110)를 본체(130) 상에 덮을 경우 인입홈(132) 내에 삽입되는 전선(10)이 흔들림없이 단단히 고정되도록 한다.
이를 위한 상기 인입홈(132)은 상부가 개구된 홈 형태를 이루어야 할 것이다.
계속해서, 상기 분전용 커넥터(140)이 안착되는 본체(130) 내에는, 안착된 분전용 커넥터(140)의 둘레부를 막는 펜스(120)가 위치한다.
상기 펜스(120)는 가요성을 갖는 다수의 돌부가 솔 형태로 촘촘히 입설된 것 으로, 인입홈(132)을 통해 본체(130)로 삽입된 전선(10)의 외주면을 긴밀하게 감싸면서 상기 인입홈(132)을 통해 안쪽으로 유입되는 각종 먼지 및 습기 등의 이물질을 걸른다.
상기 펜스(120)와 분전용 커넥터(140) 사이에는 차단돌부(131)가 형성된다. 상기 차단돌부(131)는 인입홈(132)을 통해 내입된 습기가 상기 펜스(120)에 의해 걸리면서 응결된 후 본체(130)로 유입하는 것을 차단하는 것으로,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본체(130)의 저면에는 중간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시키기 위한 지지대(16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지지대(160)는 상기 본체(130)의 저면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어서 본체(130)를 지지한다. 한편, 상기 지지대(160)는 위 아래로 배치되는 상층틀(161)과 하층틀(162)을 포함하고, 상기 상층틀(161)은 하층틀(162)을 기준으로 상하이동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를 위해, 상기 상층틀(161)은 상하를 연통하는 공간을 갖는 제1안착대(163)를 포함하며, 이에 상응하여 상기 하층틀(162) 또한 상하를 연통하는 공간을 갖는 제2안착대(167)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2안착대(163, 167)는 사각의 테두리만을 갖는 상층틀(161)의 내측에 십자형상으로 형성 배치되는 것이다.
즉, 상기 십자형상과 사각의 테두리 사이에 상기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1안착대(163)의 중심에는 상하를 관통하는 원형의 끼움홈(164)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164)은 내측에 걸림턱(164a)을 구비한다.
계속해서, 상기 제1안착대(163)의 저면에는 가이드바아(165)가 하방으로 돌 출되게 고정된다.
상기 제2안착대(167)의 중심에는 상기 끼움홈(164)에 상응하는 구멍(168)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구멍(168)은 내주면에 나사산(168a)을 갖는다.
한편, 상기 제2안착대(167)의 소정위치 즉, 상기 가이드바아(165)와 나란한 위치에는 상기 가이드바아(165)가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는 가이드홈(169)이 형성된다.
이상 설명한 상기 상층틀(161)가 하층틀(162)은 상기 가이드바아(165)를 매개로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렇게 결합된 상기 상층틀(161)과 하층틀(162)은 상기 끼움홈(164)과 구멍(168)으로 순차 삽입되는 스크류(180)에 의해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고정된다. 즉, 상기 스크류(180)가 상기 끼움홈(164)을 관통한 후 그 말단이 상기 구멍(168)으로 삽입되 맞물리면서, 상기 상층틀(161)과 하층틀(162)이 상호 단단히 결속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구멍(168)의 내주면에는 나사산(168a)이 형성되므로, 상기 스크류(180)와 맞물려 조여지거나 풀릴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스크류(18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182)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조임홈(181a)을 갖는 확장대(181)를 갖춘다. 따라서, 시공자가 드라이버와 같은 조임기구(미도시함)를 이용해 상기 확장대(181)에 회전력을 가하면, 상기 나사산(182)이 상기 구멍(168)의 나사산(168a)과 맞물려 상기 스크류(180)를 상기 구멍(168)으로부터 조이거나 풀 수 있게 되고, 결국 상기 스크류(180)는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스크류(180)의 상하이동과 더불어 상기 상층틀(161) 또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확장 대(181)는 상기 끼움홈(164)에 회전가능하면서 고정되도록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끼움홈(164)에는 상기 확장대(181)의 외주면에 맞물리는 걸림턱(164a)을 두어 상기 스크류(180)를 상기 상층틀(161)과 고정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다세대주택의 설계는 매우 다양하게 변할 수 있다. 즉, 상기 다세대주택에 따라 벽의 두께, 상층과 하층을 경계하는 층간바닥의 두께 등의 설계구조가 변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배선박스(100)를 다세대주택의 다양한 설계변화에 맞춰 개별적으로 제작한다는 것은 생산성은 물론 경제성을 저해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160)를 상하로 이동가능한 상층틀(161)과 하층틀(162)로 분리한 후, 상기 본체(13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충분한 고정성을 갖는 스크류(180)를 적용하여 상기 상층틀(161)과 하층틀(162)의 상하이동을 가능하게 하였다. 물론, 상기 스크류(180)는 상층틀(161)과 하층틀(162)의 정밀한 상하이동을 제어할 수 있어, 다세대주택들의 설계변화에 따른 상기 배선박스(100)의 융통성이 있는 적용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구멍(168)에는 탄발체(166)가 삽입된다. 상기 탄발체(166)는 상기 스크류(180)를 탄발하여 상기 나사산들(168a, 182)의 맞물림과 상기 확장대(181)와 걸림턱(164a) 간의 맞물림을 긴밀하게 유지하여, 일단 정지된 상기 스크류(180)의 높이가 그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상층틀(161)에 형성된 제1안착대(163)는 상층틀(161)의 사각 테두리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어서, 상기 제1안착대(163) 상에 안착되는 차단막(150)이 상기 상층틀(161)의 상방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차단막(150) 은 상기 공간에 정체할 수 있는 각종 습기의 상승을 차단하고 상기 본체(130) 내 안착된 분전용 커넥터(140)을 보온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차단막(150)은 스펀지와 같은 다공성 구조를 이루는 합성수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대(160)의 저면에는 완충부재(170)가 구비된다. 상기 완충부재(170)는 상기 차단막(150)과 유사한 스펀지 구조를 갖는 재질로, 본 발명에 따른 배선박스(100)을 천장 또는 바닥에 매설할 시에, 상기 천장 또는 바닥에 배관되는 온수관 또는 상하수관이나 상기 천장 또는 바닥을 견고히 하기 위해 배근된 철근 등과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완충부재(170)는 배선박스(100)이 매설되는 천장 또는 바닥 등에 배관 및 배근된 관(20) 또는 철근의 크기와 배관 위치에 관계없이, 탄성 및 연성을 갖는 상기 완충부재(170)가 상기 관(20) 또는 철근의 외주면을 안정적으로 감싸면서 지지하여 상기 배선박스(100)의 안정적인 배치를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 관(20) 또는 철근은 전도체이므로, 배선박스(100)에 안착된 분전용 커넥터(140)에서의 누전류가 흘러가 예기치 못한 사고를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완충부재(170)는 전도체일 수 있는 상기 관(20) 또는 철근과 배선박스(100) 간 절연을 이룬다.
상기 지지대(160)와 안충부재(170) 간의 결합은 상기 지지대(160)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다수의 고정핀(162)을 통해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핀(162)은 스펀지 구조를 이루는 완충부재(170)에 박혀 들어가 지지대(160)와 완충부재(170)을 고정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전선 배선박스의 설치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선박스(100)은 본체(130) 내에 분전용 커넥터(140)이 안착되고, 상기 분전용 커넥터(140)의 상면은 덮개(110)가 씌워져 보호된다. 또한, 상기 본체(130)의 하방에는 지지대(160)가 형성되어 소정의 공간을 이루면서, 상기 공간의 습기가 상승하여 상기 본체(130) 안쪽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막는 차단막(150)이 구성된다.
한편, 상기 차단돌부(131)의 외곽 바닥면에는 배수구멍(133)이 형성된다. 상기 배수구멍(133)은 상기 인입홈(132)을 통해 유입된 응결된 습기가 상기 지지대(160)에 의해 형성된 공간으로 배수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배수되는 습기는 우선적으로 상기 차단막(150)에 흡수되면서, 본체(130) 내 배수가 원활히 이루어진다.
또한, 도시한 바와 같이, 분전용 커넥터(140, 140')는 그 높이를 달리하여 배선 높이를 분류함으로서, 본체(130) 내에 인입된 다수의 전선(10)이 복잡하게 얽히는 문제를 줄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분전용 커넥터(140, 140')의 높낮이는 베이스(141)의 높이로 결정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전용 커넥터의 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분전용 커넥터의 사용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 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선박스(100)은 시멘트 몰탈에 매몰되는 전선(10)을 보호하는 동시에, 상기 전선(10)으로 인한 시멘트 몰탈 내 중공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시멘트 몰탈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를 위해서는 시멘트 몰탈에 매설되는 전선(10)의 수를 줄여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시멘트 몰탈 내에 매설되는 배선박스(100)에서 분전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분전은 상기 분전용 커넥터(140)를 통해 이루어진다.
상기 분전용 커넥터(140)는 베이스(141)와, 상기 베이스(141) 상에 형성되는 다수의 안착블록(142)과, 상기 안착블록(142)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통전블록(143)과, 상기 통전블록(143)을 상방에서 눌러 전선(10)을 고정하는 제1전극(144) 및 제2전극(145)을 포함하며, 필요에 따라 상기 제1전극(144) 및 제2전극(145)을 고정하는 커버(14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에 따른 분전용 커넥터(140)의 일실시예를 통해 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전용 커넥터(140)의 일실시예는 하나의 전선(10)을 세 전선으로 분전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전선의 접속이 용이하고 컴팩트하면서 안정된 구조로 되어서, 필요한 경우 상기 본체(130)에 긴밀하게 정렬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공간활용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를 위해 상기 분전용 커넥터(140)는 8개의 안착블록(142)이 방사형으로 배치되면서 사각형상으로 배열되되, 두 개의 안착블록(142)이 일면을 이루게 한다.
상기 안착블록(142)의 상면에는 소정의 홈(142a)이 형성된다.
상기 홈(142a)에는 전도성을 갖는 재질의 통전블록(143)이 삽입된다. 이때, 상기 통전블록(143)은 상기 홈(142a)으로 상하이동이 가능하게 고정되며, 필요한 경우 상기 통전블록(143)을 상기 안착블록(142)으로부터 탄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통전블록(143)의 탄발을 위해서는 홈(142a) 내에 스프링(미 도시함)과 같은 탄발부재를 삽입한다.
상기 통전블록(143)은 전선과 통전하는 동시에 상기 전선을 고정하도록 된 것으로, 상기 통전블록(143)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서 상기 홈(142a) 안으로 삽입된 전선(10)을 통전블록(143)이 상방에서 힘을 가해 눌러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통전블록(143) 자체가 도체이므로 전선(10)과 통전된다.
한편, 상기 통전블록(143)에 가해지는 압력은 제1전극(144) 및 제2전극(145)에 의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전선(10)은 전선(10)으로 흐르는 전류가 교류든 직류든 간에 정상적인 회로구성을 위해 두 개의 전선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전선(10)을 분전할 경우에도 이러한 두 극성을 고려하여 분전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전용 커넥터(1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안착블록(142)이 베이스(141) 상에 사각으로 정렬할 시, 두 개가 한 쌍을 이루는 안착블록이 각각의 일면을 이루도록 하여서, 상기 일면을 이루는 두 개의 안착블록(142)이 양 극성을 갖게 한다. 즉, 사각의 일면을 이루는 한 쌍의 안착블록(142)이 하나의 전선(10)과 통전하는 것이다.
계속해서, 상술한 안착블록(142)을 통한 분전을 위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두 개의 안착블록이 한 쌍을 이루면서 사각의 일면을 이룰 경우, 두 개의 안착블록 내 통전블록은 남은 3면의 안착블록들의 각 하나들과 전체적으로 통전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네 면에 각각 배치된 두 개의 안착블록 내 통전블록 중 하나씩이 두 개의 제1전극(144) 및 제2전극(145)을 통해 각각 통전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제1전극(144)과 제2전극(145)은 상호 합선이 일어나지 않도록 다음과 같은 형상을 이룬다.
우선, 제1전극(144)은 상기 안착블록(142)의 상면에 안착되면서 통전블록(143)에 압력을 가할 수 있는 평판형상을 한 4개의 돌부(144a)를 각 말단에 포함하고, 중간부는 상기 안착블록(142)으로 둘러싸인 베이스(141)의 중심부로 절곡된 절곡부(144b)를 이룬다.
한편, 제2전극(145)은 상기 제1전극(144)과 마찬가지로 4개의 돌부(145a)를 각 말단에 포함하나, 상기 절곡부(144b)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는, 상기 절곡부(144b)가 상기 제1전극(144)과 제2전극(145)이 교차할 때 서로 접하지 않도록 성형된 것으로, 상기 제1전극(144)의 절곡부(144b)로 인해 제2전극(145)은 절곡될 필요없이 그대로 교차 배치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 제1전극(144) 및 제2전극(145) 모두가 절곡부를 갖도록하여, 베이스(141) 상에서 교차 배치되는 두 전극(144, 145)의 접촉을 피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제1전극(144) 및 제2전극(145)은 전선(10)의 말단이 홈(142a)으로 삽입되면, 통전블록(143)을 눌러 전선(10)을 잡아 고정하면서 연결된 전선을 동일한 극성으로 통전시킨다.
결국,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하나의 전선(10)이 상기 분전용 커넥터(140)의 일면에 접속하면, 남은 3면에 접속된 전선들에 분전하면서 각 세대로 전기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전극(144, 145)을 일괄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커버(14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141)에는 고정부(147)를 두어 상기 커버(146)가 전극(144, 145)을 누르면서 덮을 수 있도록 한다.
이상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시멘트 몰탈에 매설되는 전선의 수를 최소화하여 시멘트 몰탈의 내구성 약화를 방지하는 한편, 합선 및 누전의 위험성을 최소화하면서도 견고하여 안전한 배선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다세대주택들의 다양한 구조에 따라 상기 배선박스의 배치 높낮이를 융통성 있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배선박스를 구조적으로 변경할 필요없이 시공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측벽을 따라 상방이 개구되도록 절개되어 형성된 다수의 인입홈과,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상방으로 돌출되 차단돌부와, 상기 측벽과 차단돌부 사이 바닥면에 형성된 배수구멍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저면 가장자리를 따라 고정 배치되는 사각의 테두리를 가지며 내측에는 십자형상으로 되어 중심에는 내주면에 돌출된 걸림턱을 갖는 끼움홈이 형성된의 제1안착대를 갖는 상층틀과, 상기 제1안착대의 저면에 하방으로 돌출된 다수의 가이드바아와, 상기 상층틀에 상응하는 사각의 테두리를 가지면 내측에는 십자형상으로 되어 중심에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구멍을 갖고 상기 가이드바아가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제2안착대를 갖는 하층틀을 포함하는 지지대;
    외주면이 상기 걸림턱과 회전가능하게 맞물려 상기 끼움홈에 고정되고 상면에 조임홈이 형성된 확장대와, 상기 확장대의 하방으로 돌출되며 외주면에는 상기 구멍의 나사산과 맞물리는 나사산이 형성되어서 상기 상층틀과 하층틀을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결속하는 스크류;
    상기 제1안착대의 상면에 수평하게 안착되어서, 상기 본체의 저면부를 덮어 막는 한편, 상기 배수구멍으로 배수되는 습기를 흡수하여 상기 지지대로 둘러싸인 공간에 배수할 수 있도록 다공성 재질로 된 차단막;
    상기 측벽과 차단돌부 사이에서 가요성을 갖는 다수의 돌부가 상기 차단돌부 를 따라 나란하게 입설되되, 상기 돌부는 솔 형태로 촘촘히 박혀 이루어지는 펜스;
    상기 인입홈을 통해 상기 본체로 인입된 전선의 말단이 접속하도록, 베이스와, 상면에는 상기 전선의 말단이 삽입되는 홈을 갖추고 상기 베이스 상에 8개가 정렬되되 두 개가 한 쌍을 이루며 한 면을 이루면서 사각으로 배치되는 안착블록과, 상기 홈으로 상하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되며 전도성 재질로 되는 통전블록과, 상호 대각선 방향에 위치하는 각 4개의 통전블록 상면과 맞물려 압력을 가하는 4개의 돌부를 구비하는 전도성 제2전극과, 상호 대각선 방향에 위치하는 남은 4개의 통전블록 상면과 맞물려 압력을 가하는 4개의 돌부를 구비하면서 상기 제1전극과 교차하면서 중간부는 절곡되어 상호 접촉하지 않도록 배치되는 전도성 제1전극과, 상기 제1전극 및 제2전극의 상방에서 압력을 가해 고정하는 커버를 갖는 분전용 커넥터; 및,
    상기 인입홈에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서 맞물림 시 상기 인입홈을 인입된 전선을 잡아 고정하는 고정홈을 둘레면에 갖추고, 상기 본체의 상면을 덮는 덮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세대주택의 다전선 배선박스의 위치조절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하단을 따라 고정되며, 소정의 탄성 및 연성을 갖는 다공성 재질의 완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세대주택의 다전선 배선박스의 위치조절구조.
KR1020060047848A 2006-05-27 2006-05-27 다세대주택의 다전선 배선박스의 위치조절구조 KR100616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7848A KR100616139B1 (ko) 2006-05-27 2006-05-27 다세대주택의 다전선 배선박스의 위치조절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7848A KR100616139B1 (ko) 2006-05-27 2006-05-27 다세대주택의 다전선 배선박스의 위치조절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6139B1 true KR100616139B1 (ko) 2006-08-25

Family

ID=37601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7848A KR100616139B1 (ko) 2006-05-27 2006-05-27 다세대주택의 다전선 배선박스의 위치조절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613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0419B1 (ko) * 2007-05-03 2009-06-01 (주)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조립식 건축물의 천장에 설치되는 전선분배함
KR101035975B1 (ko) 2011-03-25 2011-05-23 주식회사 맥이앤씨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다전선 배선박스의 위치조절장치
CN104022476A (zh) * 2014-05-22 2014-09-03 王秀云 一种防断安全接线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0419B1 (ko) * 2007-05-03 2009-06-01 (주)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조립식 건축물의 천장에 설치되는 전선분배함
KR101035975B1 (ko) 2011-03-25 2011-05-23 주식회사 맥이앤씨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다전선 배선박스의 위치조절장치
CN104022476A (zh) * 2014-05-22 2014-09-03 王秀云 一种防断安全接线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3457B1 (ko) 다량의 전선배선을 위한 아파트의 배전함
KR100626413B1 (ko) 공동주택의 천장에 내설되는 전기단자함
KR101199516B1 (ko) 다량의 전선배선을 위한 공동주택 전용 배전함
KR101293719B1 (ko)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
KR100616139B1 (ko) 다세대주택의 다전선 배선박스의 위치조절구조
KR101006837B1 (ko) 레벨링이 용이한 층간 진동 및 소음 방지장치
KR101223508B1 (ko) 파이프 고정장치
KR100761047B1 (ko) 공동주택 천정 전기 케이블 설치구조
KR100626412B1 (ko) 공동주택용 전선단자함의 고정구조
KR101170103B1 (ko) 조립식 트렌치 및 이를 이용한 트렌치 구조
KR100655881B1 (ko) 건축물 전기 단자함 고정구 구조
KR102244111B1 (ko) 기초부 앵커볼트에 절연체를 접목한 태양광 발전장치
KR101469845B1 (ko) 배관 고정용 지그
KR20090010869U (ko) 전선관 고정용 클램프
KR100917447B1 (ko) 온돌 구조체
KR20100005531U (ko) 일반장주 및 편창출장주 겸용 내장완철
KR101908692B1 (ko) 전기 온돌판넬 모듈 및 이를 갖는 전기 온돌시스템
KR100908581B1 (ko) 공동주택의 다전선 배선 박스 구조
KR100917448B1 (ko) 온돌마루
KR100681416B1 (ko) 공동주택의 케이블트레이용 받침구
KR200315204Y1 (ko) 조립식 건식 온돌패널구조
KR100722866B1 (ko) 조립식 온돌 패널
JP2009102896A (ja) Pc柱接続部における電気的接続構造とその接続方法
KR20010029276A (ko) 온돌배관 블록시스템
KR100643636B1 (ko) 공동주택의 바닥구조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