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7448B1 - 온돌마루 - Google Patents

온돌마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7448B1
KR100917448B1 KR1020070062237A KR20070062237A KR100917448B1 KR 100917448 B1 KR100917448 B1 KR 100917448B1 KR 1020070062237 A KR1020070062237 A KR 1020070062237A KR 20070062237 A KR20070062237 A KR 20070062237A KR 100917448 B1 KR100917448 B1 KR 100917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lower guide
finishing material
ondol floor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2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13578A (ko
Inventor
최영길
Original Assignee
최영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길 filed Critical 최영길
Priority to KR1020070062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7448B1/ko
Publication of KR20080113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35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7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7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22Details
    • F24D3/127Mechanical connections between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5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 E04C2/521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ventilating, heating or cooling
    • E04C2/525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ventilating, heating or cooling for heating or cooling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 구조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간의 조립공수를 줄일 수 있으며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량된 온돌마루에 관한 것이다.
그 온돌마루는, 콘크리트 바닥 슬라브의 상측에 횡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안착되고 상부면에 열 전달 매체가 수용되는 중공부가 형성된 전도체가 설치되는 복수개의 하부 가이드들과, 하부면에 축열재가 충진되어 그 충진된 축열재의 하부면이 전도체의 상면과 접촉되도록 하부 가이드에 대해 교차되는 방향으로 안착되는 상부 마감재와, 그 하부 가이드와 상부 마감재가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적층되어 일체화되도록 사방 테두리 부위가 상부 마감재의 양측 테두리와 하부 가이드의 양측 테두리에 각각 결합되는 클립부재를 갖는 록킹수단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하부 가이드가 각각 축열재 및 전도체부분과 일체화되어 클립부재로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공성이 대폭 향상될 뿐만 아니라, 다른 바닥재와의 연결구조에서 이중 록킹 구조를 갖게 되므로 보다 더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온돌마루{HYPOCAUST FLOOR}
도 1은 종래 온돌마루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온돌마루의 다른 예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종래 온돌 마루의 또 다른 예를 보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온돌마루의 일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하부 가이드와 상부 마감재 및 연결구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상부 마감재의 구성을 나타낸 도 5의 A-A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상부 마감재들간의 연결구조를 보인 도 5의 B-B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하부 가이드가 콘크리트 슬라브위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설치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상부 마감재들이 클립부재에 의해 종방향으로 연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결합상태도.
도 10a는 본 발명의 열 전달 매체가 온수일 경우 온수 파이프가 중공부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0b는 본 발명의 열 전달 매체가 히트 파이프일 경우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A : 상부 마감재 100B : 하부 가이드
102 : 록킹홈 104 : 걸림돌기
105 : 단턱부 110 : 돌기부
120 : 가이드홈 130 : 지지돌기
140 : 지지홈부 150 : 개구부
160 : 연결부 162 : 끼움홈
170 : 고정부 172 : 고정돌기
180 : 받침돌기 210 : 전도체
220 : 축열재 230 : 전도판
310 : 중공부 320 : 온수 파이프
330 : 히트 파이프 340 : 연결플러그
345 : 씰링재 350 : 연결구
355 : 체결너트 400 : 슬라브
500 : 차음재
600 : 클립부재 612,614 : 끼움부
622,624 : 걸림부 630 : 절곡부
640 : 고리부 650 : 걸고리
900 : 단열재
본 발명은 온돌마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열 전달매체가 수용되는 중공부와 축열재 및 마루 바닥재가 일체화되어 하나의 어셈블리화됨에 따라 마감재가 별도로필요하지 않도록 상면이 마감재의 기능을 갖도록 함과 아울러, 조립공수를 줄일 수 있으며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량된 온돌마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독주택이나 오피스텔, 아파트 등 주거가 가능한 주거지에는 바닥에 난방을 위한 온돌 난방 시스템이 구비되어 있으며, 그 온돌 난방 시스템은 슬라브 상측에 온수 파이프를 배열하고 그 온수 파이프내에 온수를 순환시켜 복사열을 이용한 난방을 주로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그 슬라브의 상측에 골재가 설치되고 그 골재위에 온수 파이프를 배열한 후에 모래와 시멘트를 혼합한 몰타르로 타설하고, 그 몰타르가 타설된 바닥면을 미장한 후에 장판을 덮는 적층식 온돌 바닥을 구성한 것이 통상적이다.
그 슬라브와 시멘트 몰타르 사이에 차음재가 개재되는 것이 통상적이다.
하지만, 기존 온돌 난방 시스템은 몰타르 내에 매설된 온수 파이프에 누수가 발생될 경우, 굳어져 고형화된 몰타르를 다시 걷어낸 후에 온수 파이프를 교체하고 다시 몰타르를 타설해야 하는 작업상의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비용 및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몰타르층을 이용한 습식 난방시스템이 아니라 시멘트 몰타 르를 사용하지 않는 건식 난방 시스템을 사용되고 있으며, 그 건식 난방시스템은 몰타르층 대신에 조립식 마루 패널을 설치하도록 되어 있으며, 그 조립식 마루 패널은 그 상측에 장판등의 마감재와 같이 구비하여 가정이나 사무실 및 공장 등의 실내 바닥에 설치되어 인테리어와 내구성 측면을 강화시킴과 아울러, 층간 소음이나 진동 등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그 종류는 석재, 목재등의 여러 소재를 채용하고 있다.
그 조립식 패널은 온돌 마루의 경우, 그 사용 소재에 따라 주로 원목 마루, 합판 마루, 강화 마루등으로 크게 구별되며, 또한 시공방식에 따라 현가식(직접깔기, 마루틀 깔기), 접착식 등으로 구분된다.
먼저, 그 소재들중 원목 마루의 경우에는 원목을 그대로 가공한 것으로 표면 질감으로 인해 외관이 미려하지만 유지 보수가 어려운 단점이 있으며, 합판 마루의 경우 합판을 중간의 코어재로 사용하고 표면측에 무늬 단판을 접착한 것으로서, 합판의 측면 테두리에 서로 대응되게 형성된 돌기부와 레일부가 결합되어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는 접착식 시공법만을 채용함으로 인해 하자 보수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시공작업시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모되며 인체에 유해한 접착제를 사용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한편 강화마루의 경우에는 표면 라미네이트층, 코어 목질층, 방습 라미네이트층이 접착되어 표면을 강화시킨 제품으로서, 현가식 시공방법을 채용하며 그 시공방법상의 특성상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는 장점을 갖는다.
종래 현가식 시공방법은 바닥면에 방수비닐과 폼재를 먼저 시공하고, 마루판 패널 양측 테두리에 각각 형성된 돌기부와 레일부가 끼워지도록 상호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이때 바닥의 가장자리에 마루판 조립체와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스페이서가 벽체의 내측면과 마루 패널 조립체의 테두리 사이에 각각 이격되도록 마련되어 여유공간을 확보한 후에, 이후 조립이 완료되면 각각의 스페이서들을 빼내는 작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이는 조립시공중에 마루판 조립체의 수축/팽창을 고려하여 여유공간을 두기 위함이다.
그 현가식 시공방법은 바닥면과의 이격된 공간이 발생됨에 따라, 열 손실이 많을 뿐만 아니라, 공간부를 딛고 있는 사용자의 감촉이 불량해지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기존 온돌마루의 조립과정시 다수개의 온돌 패널을 일자 형태로 배열하거나, 상호 엇갈리게 배열되도록 한 후에 돌기부와 레일부들을 상호 결합시켜 하나의 조립체로 형성시키는 과정을 통상적으로 갖는다.
종래 온돌 마루의 일 예로는,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 10-0650555호 "구조 일체형 바닥온돌 장치"에 개시되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재(210)와 차음재(220)가 서로 교차되게 수평배열되고 상,하부 브라켓(202,204) 사이에 고정되어 일체화된 상태로 슬래브(100)의 상측 바닥면재(110)에 일체로 시공되는 바닥판 패널심재(200)와; 그 바닥판 패널심재(200)의 상면인 상부브라켓(202)에 끼워 조립되고 단열재(210)의 상면 중앙에 위치되도록 하단면 적소에 온수배관이 일체로 배설되도록 온수배관용 배관공(310)이 형성된 패널마감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구조 일체형 바닥온돌 장치는,단순히 온수배관으로부터 발생된 난방 열이 패널 마감재를 통해 실내공간으로 전달되는 난방방식으로 되어 있으므로, 열 손실의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축열의 개념이 없기 때문에 난방에 요구되는 에너지가 많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종래 온돌 마루의 다른 예로는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10-0664463호 "온수 순환마루를 이용한 바닥의 시공방법"에 개시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온수가 순환하는 유로(13)가 관통되고, 상부의 양 측면으로 절곡부(12)가 형성된 플로링보드(11)과, 그 플로링보드의 양측면에 형성된 유로(13)를 막아 온수의 유출을 막고, 유로(13)로 온수를 공급하는 연결배관(15)이 연결되어 형성된 덮개부(14)가 플로링보드(11)의 양 측면으로 각각 접착되어 제조된 온수 순환마루를 이용한 난방이 가능한 바닥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바닥의 크기를 실측하여, 시공에 소요되는 단열재와 온수 순환마루를 준비하고, 바닥의 수평을 유지하는 자재준비 및 수평작업과, 준비된 단열재와 플로링보드(11)를 재단하고, 플로링보드(11)의 양측면에 덮개부(14)를 조립하여 접착해 온수 순환마루를 제조하는 자재재단 및 1차 조립작업과, 바닥의 벽면으로 온수 순환마루에 온수를 주입하는 급수구와 배출하는 배수구를 연결하기 위한 천공을 형성하는 천공 형성작업과, 덮개부가 삽입될 공간을 유지하면서 바닥에 단열재를 설치하는 단열재 설치작업과, 조립된 온수 순환마루의 연결배관(15)의 양측면에 끼움결합이 가능한 연결부(16)를 각각 연결하고 호스를 연결하는 호스 연결작업, 호스가 연결된 온수 순환마루를 바닥에 차례로 설치하면서, 이웃하여 접하는 온수 순환마루의 절곡부(12)를 함께 묶어 결합 가능한 결합용 클립(20)를 이용하여 결합 고정하는 온수 순환마루 설치작업과, 바닥에 설치된 온수 순환마루 내로 온수가 지그재그로 순환하도록 각 온수 순환마루를 호스와 마개로 연결하고, 온수가 주입 배출되도록 온수 순환마루에 급수구와 배수구를 호스로 연결하는 온수 순환마루 및 급배수구 연결작업과, 바닥에 설치된 온수 순환마루의 유동과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판을 온수 순환마루와 접하는 벽면을 따라 부착하는 마감작업을 통해 바닥에 온수 순환마루를 시공하는 단계들로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시공시간이 짧고 시공이 간편하다는 이점을 갖는 반면에, 바닥에 적합하도록 단열재를 배열하는 과정에서 재단하는 과정이 별도로 요구되고, 각 단열재들이 밀착되어 바닥과 대응되도록 설치하는 과정에서 많은 양의 단열재가 요구되며, 앞서 설명한 기존 일 예와 동일하게 축열의 개념이 없기 때문에 난방 에너지가 많이 소모되는 단점이 있을 수 있다.
도 3은 종래 온돌 마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 0675813호 "발포성 인조목재를 이용한 바닥용 패널"에 개시된 바와 같이, 패널 내부에 난방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파이프가 설치된 온돌패널과 온돌패널을 연결하여 난방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는 바닥용 패널에 있어서, 발포성 우레탄이 70~80%와 액상의 아스팔트30~20%를 교반하여 혼합한 혼합물 A에 화력발전소 석탄재, 연탄재, 제지회사 슬러지 중 선택된 하나로써 분말 직경이 100~150mesh 범위인 폐재료를 분말로 분쇄하여 혼합하는 생성된 혼합물B에 가교제를 첨가하여 혼합 후 발포하여 만든 인조목재(1)의 본체(10) 내부에 다수의 파이프(20)가 연결되어 구비된 것이다.
또, 그 본체(10)의 양측에 연결부가 형성되며 측면으로 연결홈부(11)와 돌기(12)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또 다른 실시예는, 자재의 경량화 및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으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축열 기능을 갖지 못할 뿐만 아니라, 내부에 파이프가 연결된 인조목재로 된 본체들이 연결홈부와 돌기에 의해 단순 끼움 결합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외부 요인에 의해 팽창 수축에 의해 쉽게 이탈될 우려가 있었다.
기존의 슬라브층 위에 안착되도록 배열되는 마루 패널들은 파이프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축열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축열에 의한 난방이 이루어지도록 별도의 축열재가 구비되어야 하며, 그 축열재는 주로 마루 바닥용 패널과 콘크리트 슬라브 사이에 마련된다.
그런데, 기존 축열재와 마루 패널과의 설치작업에서 별도의 시공과정을 거쳐 시공해야 하므로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며 이로 인해 작업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종래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 20-223666호 "건축용 발열패널"에 개시된 바와 같이, 그 발열패널이 상부에서 하부로 피막층, 전도층, 단열층이 판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전도층이 피막층과 단열층 사이에 위치하여 공간부를 형성하기 위해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인 형태를 갖고, 피막층 하면에 위치하는 판상의 제1전도체, 단열층의 상면에 위치하여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인 파형을 이루는 제2전도체 및 제1,2전도체 사이에 위치하고 이들 사이의 간격을 결정하면서 파형을 이루는 제3전도체를 포함하며, 제1,2전열체 사이에 충진되는 축열체 및 축열체 사이에 위치하여 외부전원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도층 과 전기적으로 비접촉되는 발열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이러한 구조의 발열패널은 난방 파이프가 아닌 축열체와 발열체를 이용한 전기 난방 시스템을 채용하여 난방을 수행하도록 된 것으로서, 대체적으로 보일러 난방식보다 값비싼 전기 에너지를 채용함에 따라 난방비용이 상승될 수 있다.
또한, 그 발열체와 축열체가 충진되는 제 1,2,3전도체 사이의 내부 구조가 복잡하여 가공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그리고, 조립식 구조가 아니라 판형태로 구성되어 권회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으므로 운반시 무게가 무거워서 작업자가 쉽게 피로해지고, 이로 인해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을 뿐만 아니라, 실내 공간의 환경에 따라 설치상의 제약이 있을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온돌 마루 조립체는 상부면에 최종 마감재(일 예로 장판)가 별도로 요구되는 구조이므로, 최종 마감재를 별도로 구입해야 하는 비용 및 조립공수가 늘어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기존의 온돌 난방시스템을 채용하면서 축열재가 일체화되는 단순구조로조립공수를 감축하여 시공성이 대폭 향상되도록 함과 아울러, 설치가 완료된 후의 보수 및 유지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온돌마루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자체 하중이 가벼운 조립식 구조를 채용함에 따라 작업자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온돌마루를 제공하는 데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부면이 슬라브 바닥면의 상측에 서로 이격되도록 안착되고 상부면에 열 전달 매체가 수용되는 중공부가 형성된 전도체가 설치되는 복수개의 하부 가이드와,
상기 하부 가이드들중 적어도 둘이상의 상측에 안착되어 상기 전도체의 상부면과 면접촉되는 축열재가 하부에 충진되고 각 테두리들중 일측과 타측 부위에 돌기부와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상부 마감재와,
각 테두리부위가 상기 상부 마감재와 하부 가이드의 측면 테두리부위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상부 마감재와 하부 가이드를 일체화시키는 클립부재를 갖는 록킹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하부 가이드에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이상의 개구부가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 마감재는 상기 돌기부의 하측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지지돌기와, 상기 가이드홈의 하측에 상기 지지돌기와 대응되도록 형성된 지지홈부를 더 구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열 전달매체는 히트 파이프인 것과, 온수를 이용한 온수 파이프가 중공부내에 설치된 것을 채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하부 가이드의 하부면에 다수개의 받침돌기들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면이 상기 슬라브 바닥면과 이격되도록 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각 중공부의 단부에 일체로 마련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연결플러그와,
양단부가 서로 인접된 하부 가이드의 연결플러그에 각각 끼워져 상기 열 전달매체가 통과되도록 연결되고 양단부 외주면에 상기 연결플러그의 나사산과 대응되는 암나사산을 갖는 체결너트가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연결구와,
상기 연결플러그와 연결구의 결합부위 사이에 서로 연결된 양측 부위의 기밀을 위해 개재되는 씰링재를 구비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록킹수단은 상기 상부 마감재의 측면 테두리 양측에 상기 클립부재의 테두리중 일부가 수용되도록 록킹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가이드의 측면 테두리 양측 부위에 상기 클립부재의 테두리 나머지 일부가 끼워져 결합되도록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클립부재에 의해 상기 상부 마감재가 상기 하부 가이드의 상부면에 교차되도록 안착되어 일체로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클립부재는 상기 상부 마감재의 록킹홈에 수용되고 서로 이격된 양측으로 대향되게 형성되는 끼움부와, 상기 끼움부의 하측에 가로방향으로 이격되어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고 상기 하부 가이드의 걸림돌기와 간섭되도록 록킹 결합되는 걸림부와, 상기 끼움부와 걸림부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끼움부와 걸림부의 각 단부가 서로 연결되도록 복수회 절곡되게 형성되는 절곡부들과, 상기 절곡부들중 서로 대응되는 절곡부의 외측으로 각각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호 결합 가능한 걸고리와 고리부를 구비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온돌마루는, 도 4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그 구조는 콘크리트 바닥 슬라브(400)의 상측에 횡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안착되고 상부면에 열 전달 매체가 수용되는 중공부(310)가 형성된 전도체(210)가 설치되는 복수개의 하부 가이드(100B)들과, 하부면에 축열재(220)가 충진되어 그 충진된 축열재(220)의 하부면이 전도체(210)의 상면과 접촉되도록 하부 가이드(100B)에 대해 교차되는 방향으로 안착되는 상부 마감재(100A)와, 그 하부 가이드(100B)와 상부 마감재(100A)가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적층되어 일체화되도록 사방 테두리 부위가 상부 마감재(100A)의 양측 테두리와 하부 가이드(100B)의 양측 테두리에 각각 결합되는 클립부재(600)를 갖는 록킹수단으로 구성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그 상부 마감재(100A)의 일측과 타측의 테두리에 형성된 돌기부(110)와 가이드홈(120)은 일반적인 공지의 록킹 결합을 갖는 구조로서, 그 돌기부(110)와 가이드홈(120)의의 하측에 각각 지지돌기(130)와 지지홈부(140)가 서로 대응되게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즉, 본 발명의 상부 마감재(100A)들은 양측 테두리가 가이드홈(120)과 돌기부(110)의 연결구조외에 하측에 마련된 지지돌기(130)와 지지홈부(140)를 통해 이중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 상부 마감재(100A)는 그 선단부에 하부와 단턱지고 하측면에 끼움홈(162)이 형성된 연결부(160)가 형성되고, 후단부에 연결부(160)와 대응되는 형태로 하부가 연장 형성되고 단부에 끼움홈(162)과 대응되는 고정돌기(172)가 상측으로 형성된 고정부(170)가 형성되어, 종방향으로 상부 마감재(100A)들이 밀착되어 조립될 때 끼움 결합에 의해 결속 가능하도록 된 구조를 갖는다.
그 돌기부(110)는 연결된 상부 마감재(100A)들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단부에 쇄기 형태의 걸림턱(112)이 형성되고, 그 가이드홈(120)에는 돌기부(110)의 걸림턱(112)과 대응되는 걸림홈(12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 중공부(310)에는 온수가 흐르는 온수 파이프(320)가 내장되도록 설치되어 열 전달 매체로 온수를 채용하거나, 열 전달 매체의 다른 예로 기존 공지된 히트 파이프(heat pipe;330)가 중공부(310)내에 설치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그 상부 마감재(100A)와 하부 가이드(100B)는 강도 및 외관상 미려함을 부여하도록 그 소재로서 고분자 목재, 인조목, 원목등을 채용할 수 있고, 전도체(210)는 열 전달성이 우수하고 중공부(310)의 가공이 용이한 구리, 알루미늄등의 금속재를 채용할 수 있으며, 축열재(220)는 황토,석분, 숯가루등의 물질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굳이 그 소재들에만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그 하부 가이드(100B)는 전도체(210)가 상부에 안착되어 일체화되도록 상부 중간부위에 수용홈(106)이 형성되고, 그 수용홈(106)내에 전도체(210)의 중간부위가 수용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 그 상부 마감재(100A)의 하부면에는 축열재(220)가 충진되도록 충진홈(107)이 하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되어 있다.
그 상부 마감재(100A)의 충진홈(107) 하부에는 축열재(220)와 전도체(210) 사이에 개재되도록 전도판(230)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전도판(230)은 하측의 전도체(210)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상측의 축열재(220)측으로 열을 전달하는 기능을 갖는다.
그리고, 그 하부 가이드(100B)에는 자중을 경감시키고 소음 발생을 차단하며 단열 기능을 갖도록 중공부(310)와 이격된 위치에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이상의 개구부(15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 하부 가이드(100B)들이 이격되도록 설치됨에 따라 그 사이의 빈 공간에 단열재(900)가 충진되며, 그 단열재(900)는 전도체(210)의 열이 사방으로 분산 및 확산되어 열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외에, 상부 마감재(100A)의 하측에 마련되어 상부 마감재(100A)를 딛고 있는 사용자의 하중을 받치는 받침대로서의 기능도 가질 수 있다.
또, 그 하부 가이드(100B)의 하부면에는 콘크리트 슬라브(400) 층과의 간격을 이격시키도록 받침돌기(180)가 다수개 형성되어 슬라브(400)와 이격된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층간 소음이나 외부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그 록킹수단은 상부 마감재(100A)의 양측 테두리 하부측에 홈 형태의 록킹홈(102)이 형성되고, 하부 가이드(100B)의 양측 테두리 상부에 걸림돌기(104)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그 록킹홈(102)과 걸림돌기(104)에 클립부재(600)의 사방 테두리가 각각 록킹 결합되는 것이다.
그 클립부재(600)의 구조는 상부 마감재(100A)의 록킹홈(102)에 수용되고 서로 이격된 양측으로 대향되게 형성되는 환봉 형태의 끼움부(612)(614)와, 그 끼움 부(612)(614)의 하측에 가로방향으로 이격되어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고 하부 가이드(100B)의 걸림돌기(104)와 간섭되도록 록킹 결합되는 환봉 형태의 걸림부(622)(624)와, 끼움부(612)(614)와 걸림부(622)(624) 사이의 모서리 부위에 마련되고 끼움부(612)(614)와 걸림부(622)(624)의 각 단부가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결되도록 복수회 절곡되게 형성되어 끼움부(612)(614)와 걸림부(622)(624)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절곡부(630)들과, 그 절곡부(630)들중 선단부와 후단부에 해당되는 양측 절곡부들의 외측으로 서로 대응되어 결합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걸고리(650)와 고리부(640)로 구성된 것이다.
즉, 일측 절곡부(630)의 외측으로는 라운드진 형상의 걸고리(650)가 연장 형성되고, 타측 절곡부의 외측으로는 고리를 갖는 고리부(640)가 연장 형성되어, 클립부재(600)의 일측 부위가 다른 클립부재(600)의 타측에 결합되어 후크 결합방식 또는 끼움 결합방식(걸고리(650)의 일부가 고리부(640)의 고리 내에 탄력적으로 끼워지는 방식)에 의해 연결되도록 상호 대응되는 형태를 갖는다.
이때, 록킹홈(102)과 걸림돌기(104)는 상부 마감재(100A)와 하부 가이드(100B)의 양측 테두리에 형성되어 클립부재(600)의 끼움부(612)(614)와 걸림부(622)(624)에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지만, 그 록킹홈(102)과 걸림돌기(104)가 서로 상반되는 위치에 형성되거나, 록킹홈(102) 또는 걸림돌기(104)만으로 상부 마감재(100A)와 하부 가이드(100B)의 양측 테두리에 형성되어 클립부재(600)와 결합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 상부 마감재(100A)는 일측 테두리의 상부에 하부면과 단턱지도록 단턱부 (105)가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그 연장된 단턱부(105)의 단부가 다른 상부 마감재(100A)의 상부면과 밀착되도록 조립함으로써, 그 단턱부(105)의 하측에 위치하는 하부 가이드(100B)들간의 이격된 부위 사이에 발생되는 틈새 부위를 외관상 노출되지 않도록 마감할 수 있는 기능을 갖게 된다.
또, 그 상부 마감재(100A)와 하부 가이드(100B)는 설치되는 실내 환경에 따라 그 외곽 형태가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하부 가이드들(100B)의 중공부(310)를 연결시키기 위해 작업자의 손이 들어갈 정도의 공간을 갖도록 하부 가이드(100B)의 단부 일부가 절개된 상태로 단턱지게 절개부(108)가 형성되고, 그 중공부(310)의 단부에 일체로 마련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열 전달 매체가 통과되도록 중앙에 유체 통과공(341)이 형성되는 연결플러그(340)와, 그 연결플러그(340)에 단부가 삽입되거나 외주면을 감싸도록 커플링 결합되며 단부 외주면에 연결플러그(340)의 나사산과 체결되는 암나사산을 갖는 체결너트(355)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연결구(350)와, 그 연결구(350)와 연결플러그(340)의 접촉 부위에 개재되도록 마련되어 열 전달 매체의 누설을 방지하여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씰링재(345)가 구비된다.
그 연결플러그(340)는 전도체(210)의 중공부(310) 단부에 압입되거나, 용접 또는 나사 체결에 의해 일체로 체결되는 결합방식을 가질 수 있다.
그 하부 가이드(100B)의 단부가 벽체 부위와 근접된 위치에서 인접된 다른 하부 가이드(100B)의 중공부와 연결구(350)를 매개로 연결하는 과정에서 나사식 체결에 의한 커플링 결합구조를 채택하고 있으나 그 연결방식에만 한정하지는 않으 며, 그 연결구(350)는 플렉서블한 소재의 고무호스나, 하나의 형태로 정형화된 금속재 파이프등이 채용될 수 있으므로, 소재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또, 씰링재(345)는 연결구(350)와 연결플러그(340)중 하나에 홈을 형성하고 그 홈에 외주연 일부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으며, 기밀을 위해 복원력이 있는 링 형태의 소재(일 예로 고무)를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 연결구(350)는 열 전달 매체의 종류에 따라 생략(히트 파이프의 경우)될 수 있다.
미설명부호 "500"은 콘크리트 슬라브(400)와 하부 가이드(100B) 사이에 개재되도록 설치되는 차음재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온돌마루는, 실내 바닥 슬라브(400)의 상측에 차음재(500)를 설치하고, 그 차음재(500)의 상측에 하부 가이드(100B)들을 횡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열한 후에, 그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된 하부 가이드(100B)들중 서로 인접한 것들의 연결 플러그(340)측에 연결구(350)를 매개로 서로 연통되도록 연결시키고, 그 연결 부위에 해당되는 절개부(108)의 상측으로 마감편을 끼워서 마감한다.
그 횡방향으로 배열되는 하부 가이드(100B)들의 단부를 서로 연결하기 위해서 연결플러그(340)의 나사산에 연결구(350)의 체결너트(355)를 체결하면, 연결구(350)의 양측 단부가 서로 인접된 하부 가이드(100B)의 연결플러그(340)측에 각각 연결되면서, 각 하부 가이드(100B)의 중공부(310)가 지그재그형의 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이어서, 전도체(210)로부터 열 전달이 분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각 하부 가이드(100B) 사이의 이격된 공간내에 단열재(900)를 충진시킨 다음에, 상부 마감재(100A)를 클립부재(600)를 매개로 하부 가이드(100B)의 상측에 종방향으로 안착시킨다.
이때, 전도판(230)이 전도체(210)에 면접촉되도록 상부 마감재(100A)를 하부 가이드(100B)의 상측으로 적층시키고, 그 하부 가이드(100B)에 적층된 상부 마감재(100A)에 종방향으로 다른 상부 마감재(100A)를 밀착시킨 후에 연속적으로 연결시키면, 그 상부 마감재(100A)들은 횡방향으로 배열되는 하부 가이드(100A)의 상부에 교차되는 종방향으로 적층된다.
이때, 종방향으로 연결되는 상부 마감재(100A)들은 연결과정에서 연결부(160)의 끼움홈(162)에 다른 상부 마감재(100A)의 고정돌기(172)가 수용되어 록킹 결합됨에 따라 종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결합된다.
그 하부 가이드(100B)들에 일렬의 종방향으로 적층되도록 조립된 상부 마감재(100A)들의 조립이 완료된 후에는, 그 상부 마감재(100A)에 대해 다른 열의 횡방향으로 또 다른 상부 마감재(100A)들이 하부 가이드(100B)에 적층된 상태로 종방향으로 배열된다.
이때, 각각의 열을 갖도록 배치된 상부 마감재(100A)들은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측면 테두리가 돌기부(110)와 가이드홈(120) 및 지지돌기(130)와 지지홈부(140)에 의해 각각 이중으로 결합되면서 횡방향 유동 및 이동력에 대해 일체로 같이 움직이도록 조립되고, 이 조립과정이 완료되면 전도체(210)의 중공부(310)에 설 치된 열 전달 매체를 통해 난방을 수행하게 된다.
그 횡방향으로 배열된 하부 가이드(100B)들은 측면이 서로 이격되더라도 상부에 상부 마감재(100A)가 클립부재(600)에 의해 90°방향으로 교차되도록 결합되므로 외관상 하부 가이드(100B)가 상부 마감재(100A)에 의해 가려지게 된다.
이때, 그 클립부재(6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끼움부(612)(614)가 상부 마감재(100A)의 록킹홈(102)내에 수용되고, 걸림부(622)(624)가 하부 가이드(100B)의 걸림돌기 하부에 걸려 간섭되는 구조로 록킹 결합되어 상부 마감재(100A)와 하부 가이드(100B)를 일체화시키게 된다.
또한, 그 클립부재(600)의 걸고리(650)가 다른 상부 마감재(100A)에 결합된 클립부재(600)의 고리부(640)에 후크 결합 또는 끼움 결합방식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도록 결합됨에 따라 상부 마감재(100A)들간의 횡방향 이동 및 유동이 방지된다.
즉, 상부 마감재(100A)는 열 변화에 의한 팽창 수축 작용이나 기타 다른 외부 충격에 의해 이동력이 발생될 경우, 클립부재(600)에 의해 하부 가이드(100B)에 대해 횡방향으로 결합되어 있고, 걸고리(650)와 고리부(640)에 의해 횡방향 이동 및 유동이 제한될 뿐만 아니라, 다른 상부 마감재(100A)와 측면 테두리가 이중으로 끼워지도록 조립되므로 횡방향 이동 및 유동이 방지되어 들뜸 현상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그 유로를 형성하는 중공부(310)에 열 전달 매체가 이송되는 온수 파이프(320) 또는 히트 파이프(330)등을 삽입시켜 조립할 수 있으나, 전도체의 중공부 자체가 유로의 기능을 갖고 있으므로, 굳이 기존의 온수 파이프나 히트 파이프 를 별도로 채용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열 전달매체가 온수일 경우에는, 지그재그형의 유로를 형성하는 중공부(310) 내부 유로를 따라 순환하게 되므로, 실내 공간 전체에 골고루 난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 난방이 이루어지게 되면, 중공부(310)의 열 전달 매체로부터 열이 전도체(210)와 전도판(320)을 통해 상측의 축열재(220)측으로 전달되며, 그 축열재(220)에서 온수의 열을 축열하면서 지속적으로 상부 가이드를 통해 상측의 실내공간으로 전달하는 난방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열 전달 매체로 히트 파이프(330)를 채용할 경우에는 연결구(350)가 별도로 요구되지 않으므로 생략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본 발명은 하나의 어셈블리화된 바닥재들의 상면이 최종 마감재의 기능을 갖게 되므로 마감재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을 갖게 된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조립공수를 줄일 수 있으며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량된 온돌마루에 관한 것인 바,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부 마감재와 하부 가이드가 각각 축열재 및 전도체부분과 일체화되어 클립부재로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공성이 대폭 향상될 뿐만 아니라, 다른 바닥재와의 연결구조에서 이중 록킹 구조를 갖게 되므로 보다 더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또, 상부 마감재와 하부 가이드들로 각각 분할되어 조립되고, 바닥재에 개구 부가 형성되어 자체 하중을 경감시킬 수 있으므로, 기존의 바닥재들보다 가벼운 하중을 갖게 되어 작업자의 피로도를 경감시켜 안전사고의 위험요소를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해 조립이 용이하므로 바닥 구조체로 설치된 후에 상부 마감재를 들어낸 후에 하부 가이드를 간편하게 교체 또는 수리할 수 있으므로, 유지 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부 마감재의 상부에 연장된 단턱부가 형성된 경우에는 하부 가이드들간의 연결과정에서 발생되는 틈새를 마감할수 있다.
또한, 열 전달 매체에 관계없이 중공부가 전도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열 전달 매체의 종류에 따라 연결구와 단턱부를 선택적으로 활용하여 연결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연결수단을 구비하지 않고도 열 전달 매체를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 하부 가이드 사이의 공간에 단열재들이 각각 충진되어 하부 가이드로부터 전달되는 난방 열이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여 상부 가이드측으로 전달되도록 열 전달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그외에도, 하부 가이드의 하부면에 받침돌기가 형성되어 차음재 또는 슬라브와의 간격을 이격시킬 수 있으므로, 층간 소음등을 억제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Claims (12)

  1. 하부면이 슬라브(400) 바닥면의 상측에 서로 이격되도록 안착되고 상부면에 열 전달 매체가 수용되는 중공부(310)가 형성된 전도체(210)가 설치되는 복수개의 하부 가이드(100B)와,
    상기 하부 가이드들중 적어도 둘이상의 상측에 안착되어 상기 전도체(210)의 상부면과 면접촉되는 축열재(220)가 하부에 충진되고 각 테두리들중 일측과 타측 부위에 돌기부(110)와 가이드홈(120)이 형성되는 상부 마감재(100A)와,
    각 테두리부위가 상기 상부 마감재(100A)와 하부 가이드(100B)의 측면 테두리부위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상부 마감재(100A)와 하부 가이드를 일체화시키는 클립부재(600)를 갖는 록킹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상부 마감재(100A)의 선단부에 하부와 단턱지고 하측면에 끼움홈(162)이 형성된 연결부(160)가 형성되고,
    후단부에 상기 연결부(160)와 대응되는 형태로 하부가 연장 형성되고 단부에 상기 끼움홈(162)과 대응되는 고정돌기(172)가 상측으로 형성된 고정부(170)가 형성되어서,
    종방향으로 상부 마감재(100A)들이 밀착되어 조립될 때 끼움 결합에 의해 결속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돌마루.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가이드(100B)에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이상의 개구부(15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돌마루.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마감재(100A)는 상기 축열재(220)의 하부면에 열 전도를 위한 전도판(23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돌마루.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마감재(100A)는 상기 돌기부(110)의 하측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지지돌기(130)와,
    상기 가이드홈(120)의 하측에 상기 지지돌기(130)와 대응되도록 형성된 지지홈부(140)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돌마루.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310)의 단부에 일체로 마련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연결플러그(340)와,
    상기 양단부가 서로 인접된 하부 가이드(100B)의 연결플러그(340)에 각각 끼워져 상기 열 전달매체가 통과되도록 연결되고 양단부 외주면에 상기 연결플러그 (340)의 나사산과 대응되는 암나사산을 갖는 체결너트(355)가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연결구(350)와,
    상기 연결플러그(340)와 연결구(350)의 결합부위 사이에 서로 연결된 양측 부위의 기밀을 위해 개재되도록 마련되는 씰링재(345)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돌마루.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가이드(100B)들의 이격된 공간 사이에 단열재(900)가 각각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돌마루.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마감재(100A)는 상부면 일부가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단턱부(105)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돌마루.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가이드(100B)의 하부면에 다수개의 받침돌기(180)들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면이 상기 슬라브(400) 바닥면과 이격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돌마루.
  10. 청구항 1,청구항 2,청구항 3,청구항 4,청구항 6,청구항 7,청구항 8,청구항 9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상부 마감재(100A)의 측면 테두리 양측에 상기 클립부재(600)의 테두리중 일부가 수용되도록 록킹홈(102)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가이드(100B)의 측면 테두리 양측 부위에 상기 클립부재(600)의 테두리 나머지 일부가 끼워져 결합되도록 걸림돌기(104)가 형성되며,
    상기 클립부재(600)에 의해 상기 상부 마감재(100A)가 상기 하부 가이드(100B)의 상부면에 교차되도록 안착되어 일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돌마루.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클립부재(600)는 상기 상부 마감재(100A)의 록킹홈(102)에 수용되고 서로 이격된 양측으로 대향되게 형성되는 끼움부(612)(614)와,
    상기 끼움부(612)(614)의 하측에 가로방향으로 이격되어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고 상기 하부 가이드(100B)의 걸림돌기(104)와 간섭되도록 록킹 결합되는 걸림부(622)(624)와,
    상기 끼움부(612)(614)와 걸림부(622)(624)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끼움부(612)(614)와 걸림부(622)(624)의 각 단부가 서로 연결되도록 복수회 절곡되게 형성되는 절곡부(630)들과,
    상기 절곡부(630)들중 서로 대응되는 절곡부의 외측으로 각각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호 결합 가능한 걸고리(650)와 고리부(64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돌마루.
  12. 청구항 1,청구항 2,청구항 3,청구항 4,청구항 6,청구항 7,청구항 8,청구항 9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 전달매체는 히트 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돌마루.
KR1020070062237A 2007-06-25 2007-06-25 온돌마루 KR1009174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2237A KR100917448B1 (ko) 2007-06-25 2007-06-25 온돌마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2237A KR100917448B1 (ko) 2007-06-25 2007-06-25 온돌마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3578A KR20080113578A (ko) 2008-12-31
KR100917448B1 true KR100917448B1 (ko) 2009-09-14

Family

ID=40370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2237A KR100917448B1 (ko) 2007-06-25 2007-06-25 온돌마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74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4416B1 (ko) 2011-02-09 2013-05-13 주식회사 이지서브 난방을 위한 조립식 바닥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2804B1 (ko) * 2013-03-08 2014-03-13 주식회사 신한플라스틱 난방용 온수패널의 체결부재
KR102171145B1 (ko) * 2019-05-22 2020-10-28 김구민 조립식 건식 난방 패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8813Y1 (ko) 2001-04-26 2001-10-31 공호영 방열기를 내장한 냉난방 판넬
KR200397739Y1 (ko) * 2005-07-26 2005-10-06 주식회사 평온하이텍 온돌마루용 방열부재
KR100684637B1 (ko) 2005-03-07 2007-02-20 정관선 히트파이프를 내장하는 방열패널 및 이의 받침대
KR20070031071A (ko) * 2005-09-14 2007-03-19 주식회사 엘지화학 상부 마감재 및 바닥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8813Y1 (ko) 2001-04-26 2001-10-31 공호영 방열기를 내장한 냉난방 판넬
KR100684637B1 (ko) 2005-03-07 2007-02-20 정관선 히트파이프를 내장하는 방열패널 및 이의 받침대
KR200397739Y1 (ko) * 2005-07-26 2005-10-06 주식회사 평온하이텍 온돌마루용 방열부재
KR20070031071A (ko) * 2005-09-14 2007-03-19 주식회사 엘지화학 상부 마감재 및 바닥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4416B1 (ko) 2011-02-09 2013-05-13 주식회사 이지서브 난방을 위한 조립식 바닥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3578A (ko) 2008-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83793C (en) Permanent non-removable insulating type concrete wall forming structure
CA2619575A1 (en) A flooring system of sandwich-like floor elements having a core of insulating material
KR100917447B1 (ko) 온돌 구조체
RU2713779C2 (ru) Нагревательный модуль и способ его производства
CN106662340A (zh) 供热系统
KR100917448B1 (ko) 온돌마루
KR100633457B1 (ko) 다량의 전선배선을 위한 아파트의 배전함
KR20140037701A (ko) 난방용 조립식 열전달패널
KR100698848B1 (ko) 바닥패널
US20070017656A1 (en) Heating system with heat transmission fluid distributed in finished floor boards
KR100698410B1 (ko) 공동주택의 층간 완전건식구조
KR101764160B1 (ko) 조립식 온돌패널
KR200195502Y1 (ko) 난방 시공용 판넬
KR100319645B1 (ko) 샌드위치형 콘크리트 패널
KR20190002018U (ko) 결합핀을 구비한 건식 난방패널
KR100455607B1 (ko) 난방을 위한 조립식 바닥재
EP3805649B1 (en) Construction panel
KR102149492B1 (ko) 건식 및 습식 시공이 가능한 온수 온돌 조립체
CN204678457U (zh) 新型干式地暖系统
KR102056758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소음방지 바닥 시공 방법
KR100722866B1 (ko) 조립식 온돌 패널
KR20050021749A (ko) 조립식 온돌 패널 및 그 설치방법
CN104964330A (zh) 新型干式地暖系统
KR101170414B1 (ko) 개량형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열 전달매체용 분배 공급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온돌장치
KR20160100773A (ko) 조립식 벽체유닛의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