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7739Y1 - 온돌마루용 방열부재 - Google Patents

온돌마루용 방열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7739Y1
KR200397739Y1 KR20050021753U KR20050021753U KR200397739Y1 KR 200397739 Y1 KR200397739 Y1 KR 200397739Y1 KR 20050021753 U KR20050021753 U KR 20050021753U KR 20050021753 U KR20050021753 U KR 20050021753U KR 200397739 Y1 KR200397739 Y1 KR 2003977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heat dissipation
floor
heat sink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00217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평온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평온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평온하이텍
Priority to KR200500217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77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77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77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22Details
    • F24D3/127Mechanical connections between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4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incorporated in a ceiling, wall or floor
    • F24D3/148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incorporated in a ceiling, wall or floor with heat spreading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방열부재는, 단열재의 요홈에 삽입 장착되는 부분인 방열파이프와, 상기 방열파이프의 상면에 형성되며, 단열재의 상부면과 마루바닥재의 하부면 사이에 개재되도록 납작한 판형태로 형성되는 부분인 방열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방열판은, 상기 방열파이프의 길이 방향에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 교차되는, 다수개의 좁고 긴 형태의 횡 방열판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방열부재를 포함하여 온돌마루를 시공할 경우, 높은 열전도율을 유지하면서도 방열판과 마루바닥재 사이의 밀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단위 마루의 조립 작업이 한층 간단해지므로, 작업 단계의 간소화 및 재료, 비용 절감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온돌마루용 방열부재 {Radiant Heating Parts for Hypocaust Floor}
본 고안은 온돌마루용 방열부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열재에 형성된 요홈에 삽입 장착되는 방열파이프와 상기 방열파이프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방열판을 갖추어, 구획 단위별 모듈화 조립 작업이 가능한 온돌마루에 사용되는 방열부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통상적인 온돌마루 시공 방법은, 양면이 평평하게 형성된 판형태의 단열재를 바닥 전체에 깔고, 그 위에 방열부재로서 사용되는 파이프를 배치한 후, 상술한 바와 같이 놓인 단열재 및 파이프 상부에 마루바닥재를 마감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통상적인 온돌마루에 사용되는 방열부재는, 단순한 파이프 형태이며, U자형 파이프, 니플 등을 이용하여 다수개를 접속함으로써 바닥면 전체에 균일하게 위치되도록 단열재와 마루바닥재 사이에 개재되어 설치되는데, 이러한 파이프 시공 작업을 비롯한 종래 온돌마루의 시공시에는 앞서 언급한 구성요소들을 각각 별도로 시공 현장에 가지고 와서 시공 순서에 따라 현장에서 일일이 작업해 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따랐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자, 본 실용신안등록출원 출원인의 특허등록출원 제2005-36768호에는, 요홈이 형성된 단열재; 양측에 결합홈과 결합돌기가 형성된 온돌마루바닥재; 상기 단열재와 상기 온돌마루바닥재 사이에 개재되는 방열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방열부재는 상기 요홈에 삽입 장착되는 방열파이프와, 상기 방열파이프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방열판으로 구성된 온돌마루가 개시되어 있다.
즉, 상기 온돌마루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가장자리에 각각 결합돌기(51) 및 결합홈(56)이 형성되어 이를 통해 인접한 마루바닥재와 상호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 일 단위의 마루바닥재(50), 상기 마루바닥재(50)의 하부면과 대략 동일한 폭의 면을 가지며, 방열부재(30)가 삽입될 수 있는 요홈(11)이 형성된 단열재(10), 상기 단열재(10)의 요홈(11)에 삽입, 장착되는 방열파이프(31) 및 상기 방열파이프(31)의 상부면에 일체로 결합되어, 마루바닥재(50)가 위치하는 상부쪽으로 열을 전달하는 방열판(36)으로 구성된 방열부재(30)를 포함하여 일 단위 마루를 구성함으로써, 모듈화된 작업이 가능한 형태로 제공되므로, 시공자는 구획 단위별로 미리 완성되어 있는 단위 마루들을 시공 현장에 가지고 와서 각각의 단위 마루에 포함된 방열부재(30)를, 니플(100)을 경유하여 인접하여 배치된 단위 마루의 방열부재(30)에 접속하는 것만으로 간단히 시공이 마무리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 때, 상기 특허에 사용되는 방열부재(30)는 대략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도 5에서 방열파이프(31)는 온수 등이 흐르는 관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방열파이프(31)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된 방열판(36)은 마루바닥재(50)에 열을 전달하기 위해 마루바닥재(50)의 하면에 대략 밀착되는 판 형태로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도면에 도시된 방열파이프(31)의 하면에 형성된 고정판(40)의 형태 및 기능에 대해서는 후에 상술한다).
도 5에 도시된 방열판(36)은, 방열파이프(31)의 길이에 대략 일치하는 길이와 일정한 폭을 가지는, 한 개의 직사각 판 형태로 방열파이프(31) 상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형태를 가지는 방열부재(30)는 압출 성형 방식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형태로 제조되는 도 5에 도시된 직사각 판 형태의 방열판(36)은, 상기 방열판(36)을 마루바닥재(50)의 하부면과 균일하게 밀착시키는 과정에서 종종 문제점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었다. 즉, 열전달 효율을 높이고 바닥면 전체에 균일하게 열을 전달하기 위해서는, 방여판(36)의 폭을 가급적 넓게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방열판(36)의 상부면 및 마루바닥재(50)의 하부면을 아무리 평평하게 성형하였더라도, 양 면이 완전 밀착되도록 성형하는 것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방열판(36)의 상부면 및/또는 마루바닥재(50)의 하부면이 미세한 정도로만 휘어져 있는 경우에도, 이들 면을 상호 완전 밀착되게 시공하는 것이 매우 어려워지고, 이러한 경우 방열판(36)의 열이 마루바닥재(50)에 고르게 효율적으로 전달되지 않으므로, 방열판(36)과 마루바닥재(50)의 밀착 작업을 포함한 단위 마루의 조립 작업에 큰 어려움이 따랐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열 전도율을 높이기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열판(36)과 마루바닥재(50) 사이에 열 전도율이 높은 열전도판(70)을 개재함으로써, 방열판(36)으로부터 마루바닥재(50)로의 열전달을 보완하는 구성이 추가될 수 있으나, 이러한 구성 역시 작업 공정의 추가 및 작업 재료의 추가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시공상의 번거로움, 제품 원가 상승 등의 요인이 되었다.
상기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단위 마루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별도의 열전도판 등의 추가적 구성이 없이도 마루바닥재에 고르고 효율적으로 열을 전달할 수 있으며, 재료 절감 효과 역시 얻을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된 방열판을 구비한 방열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단열재 내에 삽입이 용이하며 삽입된 후에는 단열재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는 형태의 상기 방열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방열부재는, 요홈이 형성된 단열재, 마루바닥재 및 상기 요홈에 삽입 장착되어 상기 단열재와 상기 마루바닥재 사이에 개재되는 방열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구획 단위별 모듈화 조립 작업이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온돌마루의 방열부재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재는, 상기 요홈에 삽입 장착되는 부분인 방열파이프와, 상기 방열파이프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단열재의 상부면과 상기 마루바닥재의 하부면 사이에 개재되도록 납작한 판형태로 형성되는 부분인 방열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방열판은, 상기 방열파이프의 길이 방향에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 교차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좁고 긴 형태의 횡 방열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더욱이, 상기 횡 방열판은, 상기 방열파이프의 상면 상에 상호 2 내지 10㎝의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가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방열파이프의 하면에는 상기 요홈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판이 더 형성되고, 상기 고정판의 양측 단부는 외측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절곡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술한 본 고안에 따른 방열부재의 구성을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열부재(30)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방열부재(30)는, 도 5에 도시된 방열부재(30)와는 달리, 좁고 긴 형태의 다수개의 횡 방열판(37)들이 방열파이프(31)의 길이 방향에 대략 수직하게 교차하도록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구성된 방열판(36)이 방열파이프(31)의 상면 상에 형성되어 있다.
즉, 본 고안에 따른 방열부재(30)는, 한 개의 방열파이프(31) 상에 다수개의 횡 방열판(37)들이 직교하는 형태로 결합됨으로써, 도시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파이프(31) 위에 다수개의 날개(횡 방열판을 의미함)가 일정 간격으로 달린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방열부재(30)의 방열판(36)이 본 고안에 따른 형태로 형성될 경우에는, 동일한 폭을 가정할 경우, 도 5에 도시된 직사각 형태 방열판(36)에 비해 마루바닥재(50)와의 전체적인 접촉 면적은 줄어듦에도 불구하고 열 전달 효율은 그대로 유지되는데, 그 이유는 방열판이 접촉된 부분으로부터 대략 5㎝ 정도의 반경 내의 마루바닥재(50)에는 방열판에 직접 접촉된 부분과 거의 동일한 정도의 열전달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동일한 열전달 효과가 이루어지는 범위 내에서 횡 방열판(37) 사이의 간격을 조정, 선택함으로써, 방열판(36)이 하나의 큰 판 형태로 마루바닥재(50)에 밀착된 경우와 대등한 열 전달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즉, 본 고안에 따른 횡 방열판(37)의 날개 길이와 동일한 폭을 가진 직사각 형태 방열판(36)의 경우와 대등한 열전달 효과를 얻을 수 있음). 이를 위한 방열판(36)들 사이의 간격은 대략 2 내지 10㎝ 정도 범위 내인 것이 적당하다.
즉, 본 고안에 따른 방열판(36)은, 상술한 바와 같은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도 5에서와 같이 하나의 큰 판 형태로 되어 있는 방열판(36)의 경우에 비해, 열 전달 효율은 유지하면서도, 별도의 밀착 작업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간단한 작업 만으로 각각의 방열판(36)들이 마루바닥재(50)의 하부면에 고르고 균일하게 밀착될 수 있으며, 맞닿는 양면 중 어느 한 면 이상이 미세하게 휘어지기만 해도 발생하는 접촉면의 들뜸 현상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이로 인해 발생하는 열 전달 효율의 급격한 저하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열부재(30)를 제조하기 위해 소요되는 재료를 극단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상술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형태의 방열판(36)을 포함한 방열부재(30)는, 사출 성형 등의 방법으로 일체로 제조될 수도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방열 파이프(31) 길이 방향에 나란하고 폭이 좁은 긴 직사각 형태의 방열판을 포함하도록 압출 성형한 후, 별도로 성형된 횡 방열판(37)들을 기 성형된 방열판의 일면에 결합하는 방식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또한, 도 5의 방열판(36)에 비해 현격히 얇은 두께를 가지도록 성형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상술한 형태의 방열판(36)을 구비한 방열부재(30)는 도 3a 또는 도 3b에서와 같은 구조로 단위 마루의 구성에 포함될 수 있으며, 도 3a 또는 도 3b를 통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열전도판(70) 등의 구성을 생략하는 것 또한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3a는 횡 방열판(37)이 별도 성형된 후 결합된 형태의 방열부재(30)를 도시하며, 도 3b는 횡 방열판(37)이 일체로 성형된 방열부재(30)를 도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방열부재(30)의 특수한 구성에 의하여, 시공 전 단위 마루의 조립 시 난이성이 극복되고, 재료 절감의 효과가 발생하며, 시공 완료 후 난방 등의 작동시 열전달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특징적인 이점이 있는 반면, 단위 마루를 미리 조립된 상태에서 시공 현장으로 가져와 적절히 배치, 결합함으로써 온돌 마루를 시공하는 방법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기술의 그것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방열부재(30) 역시 방열파이프(31)의 하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판(4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판(40)은, 단열재(10)의 요홈(11)에 삽입 고정되는 부분으로서, 양 단부 변이 상향 경사진 판 형태로 형성되어, 방열부재(30)의 단열재(10) 요홈(11)으로의 삽입 시 안내 가이드의 기능을 할 뿐만 아니라, 삽입된 후 스티로폼 등의 단열재 내에서는 단열재에 양 단부변이 걸리도록 하며, 모르타르나 흙 등의 단열재 내에서는 그 속에 파묻힘으로써 방열부재(30)를 요홈(11) 내에 단단히 고정하는 역할 또한 수행한다.
한편, 상기 방열파이프(31)의 내면에는 니플(100)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입구부의 내주면이 비스듬히 깎인 면취부(31a)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니플(100)의 중심부에는 방열파이프(31)와의 접속 깊이를 적절히 조절하기 위한 턱으로서 스토퍼(15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면에 의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도시되고 설명된 실시예에 의한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고안에 따른 방열부재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하나의 큰 판 형태로 방열판이 형성된 것이 아니라, 다수의 좁고 긴 판 형태의 횡 방열판이 특정 간격으로 방열파이프 상부면 상에 나란히 결합 되어 있는 형태의 방열판을 포함하므로, 종래에 비해 열전달 효율을 유지하면서도 방열판과 마루바닥재 사이의 밀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따라서 단위 마루의 조립 작업 또한 한층 간단해진다.
둘째, 방열부재 중 방열판으로 형성되는 부분의 실제 면적이, 큰 판 형태의 방열판을 채택할 경우에 비해 현격히 줄어들고, 방열판의 두께를 종래에 비해 얇게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비용 및 재료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셋째, 열 전도판 등의 구성 추가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단위 마루의 조립 작업 단계의 간소화 및 재료, 비용 절감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열부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방열부재의 평면도,
도 3a 내지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방열부재를 포함한 단위 마루의 조립도,
도 4는 종래 단위 마루의 구조도,
도 5는 도 4의 단위 마루에 사용된 통상적 형태의 방열부재.
<도면 주요 부호의 설명>
10: 단열재 11: 요홈
30: 방열부재 31: 방열파이프
36: 방열판 37: 횡 방열판
40: 고정판 50: 마루바닥재
51: 결합돌기 56: 결합홈

Claims (3)

  1. 요홈(11)이 형성된 단열재(10), 마루바닥재(50) 및 상기 요홈(11)에 삽입 장착되어 상기 단열재(10)와 상기 마루바닥재(50) 사이에 개재되는 방열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구획 단위별 모듈화 조립 작업이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온돌마루의 방열부재(30)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재(30)는, 상기 요홈(11)에 삽입 장착되는 부분인 방열파이프(31)와, 상기 방열파이프(31)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단열재(10)의 상부면과 상기 마루바닥재(50)의 하부면 사이에 개재되도록 납작한 판형태로 형성되는 부분인 방열판(36)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방열판(36)은, 상기 방열파이프(31)의 길이 방향에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 교차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좁고 긴 형태의 횡 방열판(37)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돌마루용 방열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횡 방열판(37)은, 상기 방열파이프(31)의 상면 상에 상호 2 내지 10㎝의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돌마루용 방열부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파이프(31)의 하면에는 상기 요홈(11)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판(40)이 더 형성되고, 상기 고정판(40)의 양측 단부는 외측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돌마루용 방열부재.
KR20050021753U 2005-07-26 2005-07-26 온돌마루용 방열부재 KR2003977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21753U KR200397739Y1 (ko) 2005-07-26 2005-07-26 온돌마루용 방열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21753U KR200397739Y1 (ko) 2005-07-26 2005-07-26 온돌마루용 방열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7739Y1 true KR200397739Y1 (ko) 2005-10-06

Family

ID=42102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021753U KR200397739Y1 (ko) 2005-07-26 2005-07-26 온돌마루용 방열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773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448B1 (ko) * 2007-06-25 2009-09-14 최영길 온돌마루
WO2009131412A2 (ko) * 2008-04-25 2009-10-29 Choi Youngkil 히트 파이프, 열 전달매체용 분배 공급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온돌장치
KR101014371B1 (ko) * 2008-04-25 2011-02-16 최영길 히트 파이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448B1 (ko) * 2007-06-25 2009-09-14 최영길 온돌마루
WO2009131412A2 (ko) * 2008-04-25 2009-10-29 Choi Youngkil 히트 파이프, 열 전달매체용 분배 공급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온돌장치
WO2009131412A3 (ko) * 2008-04-25 2009-12-23 Choi Youngkil 히트 파이프, 열 전달매체용 분배 공급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온돌장치
KR101014371B1 (ko) * 2008-04-25 2011-02-16 최영길 히트 파이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6923B1 (ko) 층간소음방지 온수난방시스템
KR200432475Y1 (ko) 난방용 가장자리 패널
KR200397739Y1 (ko) 온돌마루용 방열부재
KR20130002812U (ko) 개량된 열 교환기 시스템 및 방법
AU685256B2 (en) Floor heating system
CN102575855B (zh) 炕取暖板组装体
KR101816114B1 (ko) 벽체용 단열재 고정구
KR200339260Y1 (ko) 열전도를 향상시킨 방열패널을 이용한 난방시스템
KR100674668B1 (ko) 온돌마루
CN212773278U (zh) 一种地热节能地板
KR100680878B1 (ko) 조립식 온돌 시스템용 단위 구조물
KR100853561B1 (ko) 조립식 온돌판
CN203364226U (zh) 一种地热模板
KR200291237Y1 (ko) 온돌 패널 조립용 연결구와 이를 구비한 조립식 난방시스템
KR20190008607A (ko) 건식 온돌 바닥재
KR200248814Y1 (ko) 난방 파이프 시공용 온돌판넬
CN112066441B (zh) 一种铜管干法水暖结构及安装方法
KR200445966Y1 (ko) 난방용 바닥재
KR200204241Y1 (ko) 온수보일러용 온돌시공판넬
TWI651509B (zh) 熱管與導熱座之限位組配結構
CN214468870U (zh) 一种支撑保温一体式采暖架空模块
CN103987231A (zh) 散热器及其制造方法
JP2002276959A (ja) 床暖房パネル、そのヘッダー、そのヘッダーとの接続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438490B1 (ko) 온수순환마루용 패널
KR20110121873A (ko) 벽체 및 그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