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3037B1 - 공공주택의 전기배전 선로구조 - Google Patents

공공주택의 전기배전 선로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3037B1
KR100723037B1 KR1020070018533A KR20070018533A KR100723037B1 KR 100723037 B1 KR100723037 B1 KR 100723037B1 KR 1020070018533 A KR1020070018533 A KR 1020070018533A KR 20070018533 A KR20070018533 A KR 20070018533A KR 100723037 B1 KR100723037 B1 KR 100723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pipe
input
power line
branch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8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광일
Original Assignee
신한전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한전설(주) filed Critical 신한전설(주)
Priority to KR1020070018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30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3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30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공주택의 전기배전 선로구조에 관한 것으로, 하나의 입력관(111)에 다수의 출력관(112)이 상호 연통되어진 분기관(110)와 ; 분기관(110)의 입력관(111)에 내설되는 입력단자(120) ; 분기관(110)의 출력관(112)에 개별적으로 내설되어 입력관(111)의 입력단자(120)에 전기적으로 병렬연결되는 출력단자(130) ; 분기관(110)의 출력관(112) 외부로 노출되는 복귀스위치(141)를 갖추고서 출력관(112)에 내설되어, 입력단자(120)로부터 출력단자(130)로의 전력공급을 차단하는 차단유닛(140) ; 차단유닛(140)으로부터 출력단자(130)로의 누전을 감지하는 누전감지센서(150) ; 분기관(110)의 출력관(112)에 설치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발광유닛(160) 및 ; 누전감지센서(150)로부터의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차단유닛(140)과 발광유닛(16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170)으로 배선연결기구(100)가 이루어지되, 벽체(3)에 수용부(A)가 구비되고, 입력전력선보호관(10)과 다수의 출력전력선보호관(20)이 벽체(3)에 매립되어 이들 보호관의 한쪽 선단이 수용부(A)로 노출되며, 배선연결기구(100)가 벽체(3)의 수용부(A)에 배치되어 벽체(3)의 수용부(A)로 노출된 입력전력선보호관(10)의 선단에 배선연결기구의 입력관(111)이 관연결부재(B)를 매개로 착탈가능하게 체결되고, 벽체(3) 수용부(A)로 노출된 출력전력선보호관(20)의 선단에 배선연결기구(100)의 출력관(112)이 관연결부재(B)를 매개로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며, 입력전력선보호관(10)에 삽입된 입력전력선(30)이 배선연결기구(100)의 입력단자(120)에 연결되고, 출력전력선보호관(20)에 삽입된 출력전력 선(40)이 배선연결기구(100)의 출력단자(130)에 연결되는 구조를 이루므로, 누전이 발생 되지 않은 다른 가구로의 전력공급은 전혀 영향을 받지 않는다. 또한 누전 발생 전력라인의 신속한 보수교체가 가능하므로, 누전발생시 빠른 시간 내에 전력라인을 복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공주택의 전기배전 선로구조{Wiring structure}
도 1은 종래의 공공주택에 전기 선로의 배치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배전 선로구조의 배선연결기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선연결기구가 벽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배전 선로구조의 회로도이다.
-첨부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용어설명-
3 ; 벽체 10 ; 입력전선보호관
20 ; 출력전선보호관 30 ; 입력전력선 40 ; 출력전력선 100 ; 배선연결기구
110 ; 분기관 111 ; 입력관 112 ; 출력관 120; 입력단자 130 ; 출력단자 140 ; 차단유닛 141 ; 복귀스위치 150 ; 누전감지센서 160 ; 발광유닛 170 ; 제어유닛 B ; 관연결부재
본 발명은 공공주택의 전기배전 선로구조에 관한 것이다.
공공주택 내로 들어가는 전기 선로는 통상적으로 누전차단기를 구비한다.
누전차단기는 전기 선로 상에 사고전류가 발생하였을 때 또는 누설전류가 발생하였을 때 자동으로 회로를 차단하여 선로 및 부하기기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종래의 공공주택에 전기 선로의 배치를 나타낸 개략도로서, 도 1를 참조하여 공공주택의 전기 선로 배치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변압기로부터 분전 된 전선은 공공주택의 메인누전차단기(1)로 연결된다. 메인누전차단기(1)로부터 출력된 전력라인은 분기점(D) 상에서 각 가구로 분기 되어, 각 가정에 설치된 가구별누전차단기(2)로 입력되고, 가구별누전차단기(2)로부터 출력된 전력라인이 각 가구에서 필요한 부분으로 입력된다.
상기 종래의 선로구조에 있어서, 각 가구에서의 누전은 가구별누전차단기(2)가 제어를 하고 메인누전차단기(1)로부터 가구별누전차단기(2) 사이의 전력라인 상 에서의 누전은 메인누전차단기(1)가 제어를 한다.
상기와 같은 배선구조는, 메인누전차단기(1)로부터 각 가구의 가구별누전차단기(2)로 통하는 다수의 전력라인 중에서 어느 한곳이라도 누전이 발생하게 되면, 메인누전차단기(1)가 각 가구별누전차단기(2)로 통하는 전력공급을 모두 차단하기 때문에 모든 가구에 정전이 발생하게 되어, 모든 가구가 불편을 느끼게 된다.
또한, 누전된 위치를 정확히 찾기 힘들어 보수가 용이하지 않고, 보수시 벽체에 손상을 입혀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다가구로 이루어진 공동주택에 있어서 메인누전차단기로부터 가구별누전차단기로의 전력라인에 누전 발생시 누전 발생 전력라인만을 선별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공공주택의 전기배전 선로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나의 입력관에 다수의 출력관이 상호 연통되어진 분기관 ; 분기관의 입력관에 내설되는 입력단자 ; 분기관의 출력관에 개별적으로 내설되어 입력관의 입력단자에 전기적으로 병렬연결되는 출력단자 ; 분기관의 출력관 외부로 노출되는 복귀스위치를 갖추고서 출력관에 내설되어, 입력단자로부터 출력단자로의 전력공급을 차단하는 차단유닛 ; 차단유닛으로부 터 출력단자로의 누전을 감지하는 누전감지센서 ; 분기관의 출력관에 설치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발광유닛 ; 누전감지센서로부터의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차단유닛과 발광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으로 배선연결기구가 이루어지되, 벽체에 수용부가 구비되고, 입력전력선보호관과 다수의 출력전력선보호관이 벽체에 매립되어 이들 보호관의 한쪽 선단이 수용부로 노출되며, 배선연결기구가 벽체의 수용부에 배치되어 벽체의 수용부로 노출된 입력전력선보호관의 선단에 배선연결기구의 입력관이 관연결부재를 매개로 착탈가능하게 체결되고, 벽체 수용부로 노출된 출력전력선보호관의 선단에 배선연결기구의 출력관이 관연결부재를 매개로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며, 입력전력선보호관에 삽입된 입력전력선이 배선연결기구의 입력단자에 연결되고, 출력전력선보호관에 삽입된 출력전력선이 배선연결기구의 출력단자에 연결되어 진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배전 선로구조의 배선연결기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선연결기구가 벽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배전 선로구조의 회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배전 선로구조는, 하나의 입력관(111)에 다수의 출력관(112)이 상호 연통되어진 분기관(110)과 ; 분기관(110)의 입력관(111)에 내설되는 입력단자(120) ; 분기관(110)의 출력관(112)에 개별적으로 내설되어 입력관(111)의 입력단자(120)에 전기적으로 병렬연결되는 출력단자(130) ; 분기관(110) 의 출력관(112) 외부로 노출되는 복귀스위치(141)를 갖추고서 출력관(112)에 내설되어, 입력단자(120)로부터 출력단자(130)로의 전력공급을 차단하는 차단유닛(140) ; 차단유닛(140)으로부터 출력단자(130)로의 누전을 감지하는 누전감지센서(150) ; 분기관(110)의 출력관(112)에 설치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발광유닛(160) 및 ; 누전감지센서(150)로부터의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차단유닛(140)과 발광유닛(16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170)으로 배선연결기구(100)가 이루어지되, 벽체(3)에 수용부(A)가 구비되고, 입력전력선보호관(10)과 다수의 출력전력선보호관(20)이 벽체(3)에 매립되어 이들 보호관의 한쪽 선단이 수용부(A)로 노출되며, 배선연결기구(100)가 벽체(3)의 수용부(A)에 배치되어 벽체(3)의 수용부(A)로 노출된 입력전력선보호관(10)의 선단에 배선연결기구의 입력관(111)이 관연결부재(B)를 매개로 착탈가능하게 체결되고, 벽체(3) 수용부(A)로 노출된 출력전력선보호관(20)의 선단에 배선연결기구(100)의 출력관(112)이 관연결부재(B)를 매개로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며, 입력전력선보호관(10)에 삽입된 입력전력선(30)이 배선연결기구(100)의 입력단자(120)에 연결되고, 출력전력선보호관(20)에 삽입된 출력전력선(40)이 배선연결기구(100)의 출력단자(130)에 연결되어 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장방형의 케이스(C)가 벽체(3)에 형성된 수용부(A)에 매설되고, 입력전력선보호관(10)과 다수의 출력전력선보호관(20)이 케이스(C)의 내주면으로 노출된다. 또한, 케이스(C)는 도어가 설치되어 개폐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벽체(3)에 매설된 입력전력선보호관(10)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단부에 체결부(11)가 구비되며, 메인누전차단기(1)로부터 출력되어 입력전력선보호 관(10) 내부로 삽입된 입력전력선(30)을 외력 등의 외부요인으로부터 보호한다.
상기 벽체(3)에 매설된 출력전력선보호관(20)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단부에 체결부(21)가 구비되며, 가구별누전차단기(2)로부터 출력되어 출력전력선보호관(20) 내부로 삽입된 출력전력선(40)을 외력 등의 외부요인으로부터 보호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선연결기구(100)는 분기관(110)과, 분기관(110)의 입력관(111)에 내설되는 입력단자(120), 분기관(110)의 출력관(112)에 내설되는 출력단자(130), 분기관에 설치되는 차단유닛(140), 누전을 감지하는 누전감지센서(150), 차단유닛(140)을 작동제어하는 제어유닛(170) 및, 제어유닛(170)의 작동제어를 받아 발광하는 발광유닛(160)으로 구성된다.
상기 분기관(110)은 입력관(111)과 이와 연통되는 다수의 출력관(112)로 구성되어 벽체(3)의 수용부(A)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출력관(112)를 구비한 T자형의 분기관(110)을 적용하기로 한다.
상기 입력관(111)은 관 형상을 이루며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단부에 입력전력선보호관(10)과 체결을 위한 체결부(111a)가 형성되어 별도의 관연결부재(B)를 매개로 입력전력선보호관(10)의 체결부(11)에 연결된다.
상기 출력관(112)은 관 형상을 이루며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입력관(111)으로부터 분기되어 T자형을 이루고, 단부에 출력전력선보호관(20)과 체결을 위한 체결부(112a)가 형성되어 관연결부재(B)를 매개로 출력전력선보호관(20)의 체결부(21)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관연결부재(B)를 너트를 사용하여 출력관(112)과 출력 전력선보호관(20)을 체결하기로 한다.
상기 입력단자(120)는 입력관(112)에 내설되며, 메인누전차단기(1)로부터 출력되는 입력전력선(30)의 일단이 연결된다.
상기 출력단자(130)는 다수의 출력관(112)에 개별적으로 내설되어 입력단자(120)와 전기적으로 병렬연결되며, 가구별누전차단기(2)로부터 출력된 출력전력선(40)과 연결된다.
상기 차단유닛(140)은 출력관(112)의 내부에 설치되고, 차단유닛(140)과 연동하는 복귀스위치(141)가 출력관(112)의 외면에 설치되어 외부로 노출되며, 제어유닛(170)에 의해 작동제어된다.
상기 누전감지센서(150)는 출력관(112)에 내설되어, 누전의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발광유닛(160)은 출력관(112)의 외부에 설치되며, 제어유닛(170)이 차단유닛((140)을 작동시켜 전력공급을 중단시킴과 동시에 발광되도록 제어유닛(170)에 의해 작동제어된다. 발광유닛(160)은 통상의 LED를 사용하기로 한다.
상기 제어유닛(170)은 출력관(112)에 내설되며, 누전감지센서(150)로부터 누전감지 신호를 받아 차단유닛(140)을 작동시켜 전력공급을 차단하며, 이와 동시에 발광유닛(160)을 점등시킨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제어유닛(170)이 다수의 차단유닛(140), 발광유닛(160)을 제어하게 하였지만, 차단유닛(140) 및 발광유닛(160)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다수의 제어유닛(170)을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차단유닛((140)과, 누전감지센서(150), 제어유닛(170) 및, 발광유닛(160)은 이미 널리 공지되어 다양한 분야에서 공연실시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공주택의 전기배전 선로구조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각 가구로 전력공급라인이 분기되는 분기점(D)에 케이스(C)가 내설되고, 배선연결기구(100)가 케이스(C) 내부로 노출된 입력전력선보호관(10)과 출력전력선보호관(20)에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입력전력선보호관(10)과 출력전력선보호관(20)에 삽입된 각각의 입력전력선(30)과 출력전력선(40)이 입력단자(120)와 출력단자(130)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분기관(110)에서 분기되어 각 가정의 가구별누전차단기(2)로 연결된 출력전력선(40) 내에서 누전이 발생 되면 누전감지센서(150)가 누전을 감지하고, 이와 동시에 제어유닛(170)이 배선연결기구(100)와 가구별누전차단기(2) 사이에 누전이 발생하였다는 신호를 받는다.
상기 누전감지센서(150)로부터 누전신호를 받은 제어유닛(170)은 차단유닛(140)을 작동시켜 누전이 발생한 출력전력선(40)으로 통하는 전력공급을 중단시키고, 이와 동시에 발광유닛(160)을 점등시켜 어느 가구로 통하는 출력전력선(40) 상에서 누전이 발생 되었는지를 외부로 표지한다.
한편, 정전신고를 접수받은 작업자는 케이스(C)의 도어를 열고 개별적으로 설치된 발광유닛(160)을 확인하여 어느 가구로 연결되는 출력전력선(40) 상에서 누전이 발생하였는지를 알 수 있다. 누전의 위치를 확인한 작업자는 누전이 발생한 출력전력선(40)과 연결되는 차단기(140)의 복귀스위치(141)를 눌러 모든 전력라인을 원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고, 보수가 필요할 시 보수작업을 시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가구로 이루어진 공동주택에 있어서 메인누전차단기(1)로부터 가구별누전차단기(2)로의 전력라인에 누전 발생시 해당가구의 전력라인으로의 전력공급을 선별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누전으로 인한 문제점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더불어 누전 발생확인 및 원인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메인누전차단기(1)로부터 가구별누전차단기로(2)의 이상 발생시 벽체(3)의 큰 손상 없이 신속한 처리가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보다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입력관(111)와 출력관(112)으로 구성된 분기관(110)과, 입력관(111)에 내설되는 입력단자(120), 출력관(112)에 내설되는 출력단자(130), 누전시 전류를 차단하는 차단유닛(140), 누전을 감지하는 누전감지센서(150), 누전이 발생하였을 시 발광하는 발광유닛(160) 및, 차단유닛(140)과 발광유닛(160)을 작동제어하는 제어유닛(170)으로 배전연결기구(100)가 이루어지되, 입력관(111)이 입력전선호보관(10)에 체결되고 다수의 출력관(112)이 출력전력선보호관(20)에 연결되는 구조를 이루므로, 누전이 발생 되지 않은 다른 가구로의 전력공급은 전혀 영향을 받지 않는다. 또한 누전 발생 전력라인의 신속한 보수교체가 가능하므로, 누전발생시 빠른 시간 내에 전력라인을 복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하나의 입력관(111)에 다수의 출력관(112)이 상호 연통되어진 분기관(110)과 ; 분기관(110)의 입력관(111)에 내설되는 입력단자(120) ; 분기관(110)의 출력관(112)에 개별적으로 내설되어 입력관(111)의 입력단자(120)에 전기적으로 병렬연결되는 출력단자(130) ; 분기관(110)의 출력관(112) 외부로 노출되는 복귀스위치(141)를 갖추고서 출력관(112)에 내설되어, 입력단자(120)로부터 출력단자(130)로의 전력공급을 차단하는 차단유닛(140) ; 차단유닛(140)으로부터 출력단자(130)로의 누전을 감지하는 누전감지센서(150) ; 분기관(110)의 출력관(112)에 설치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발광유닛(160) 및 ; 누전감지센서(150)로부터의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차단유닛(140)과 발광유닛(16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170)으로 배선연결기구(100)가 이루어지되,
    상기 벽체(3)에 수용부(A)가 구비되고, 입력전력선보호관(10)과 다수의 출력전력선보호관(20)이 벽체(3)에 매립되어 이들 보호관(10, 20)의 한쪽 선단이 수용부(A)로 노출되며, 배선연결기구(100)가 벽체(3)의 수용부(A)에 배치되어 벽체(3)의 수용부(A)로 노출된 입력전력선보호관(10)의 선단에 배선연결기구의 입력관(111)이 관연결부재(B)를 매개로 착탈가능하게 체결되고, 벽체(3) 수용부(A)로 노출된 출력전력선보호관(20)의 선단에 배선연결기구(100)의 출력관(112)이 관연결부재(B)를 매개로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며, 입력전력선보호관(10)에 삽입된 입력전력선(30)이 배선연결기구(100)의 입력단자(120)에 연결되고, 출력전력선보호관(20) 에 삽입된 출력전력선(40)이 배선연결기구(100)의 출력단자(13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공주택의 전기배전 선로구조.
KR1020070018533A 2007-02-23 2007-02-23 공공주택의 전기배전 선로구조 KR100723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8533A KR100723037B1 (ko) 2007-02-23 2007-02-23 공공주택의 전기배전 선로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8533A KR100723037B1 (ko) 2007-02-23 2007-02-23 공공주택의 전기배전 선로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3037B1 true KR100723037B1 (ko) 2007-06-07

Family

ID=38358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8533A KR100723037B1 (ko) 2007-02-23 2007-02-23 공공주택의 전기배전 선로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30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7007B1 (ko) 2016-11-15 2017-04-14 이광우 공공주택의 전기배전 선로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0198A (ko) * 1989-11-16 1991-06-29 도가미 하지메 단선자동 검출장치
KR200257061Y1 (ko) 2001-09-14 2001-12-22 삼성물산 주식회사 통신 통합 분전함
KR20030064548A (ko) * 2002-01-28 2003-08-02 디지털파워넷 주식회사 분전반 감시 시스템 및 감시방법
KR100534588B1 (ko) 2005-01-29 2005-12-08 (주)제일피앤피 전력장치용 차단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0198A (ko) * 1989-11-16 1991-06-29 도가미 하지메 단선자동 검출장치
KR200257061Y1 (ko) 2001-09-14 2001-12-22 삼성물산 주식회사 통신 통합 분전함
KR20030064548A (ko) * 2002-01-28 2003-08-02 디지털파워넷 주식회사 분전반 감시 시스템 및 감시방법
KR100534588B1 (ko) 2005-01-29 2005-12-08 (주)제일피앤피 전력장치용 차단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7007B1 (ko) 2016-11-15 2017-04-14 이광우 공공주택의 전기배전 선로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15115155A (ru) Системы и способы пожаротушения
CN100530875C (zh) 电气设备保护装置
CA2717953A1 (en) String and system employing direct current electrical generating modules and a number of string protectors
US8305222B2 (en) Device for detecting and signalling malfunctions in the use of electrical appliances
KR101181934B1 (ko) 접지선 도난 방지장치
KR100754023B1 (ko) 공동주택용 배전선의 안전사고 방지구조
KR100723037B1 (ko) 공공주택의 전기배전 선로구조
KR101205048B1 (ko) 전기 안전 모니터링 장치
KR101040179B1 (ko) 지중배전선의 합선방지용 배선패널
KR20150001232A (ko) 저항성 누전 측정 및 경보기가 장착된 배전 및 분전반
KR101298559B1 (ko) 불꽃감지기가 구비된 태양전지판넬의 모니터링 장치
CN104810784B (zh) 用于电气安装的电保护装置以及相关的方法
KR100764102B1 (ko) 배선관리를 위한 배선구조
US20140035369A9 (en) Power supply appliance and power supply system with an appliance such as this
KR100442326B1 (ko) 자기진단형 안전 계전기
KR200218273Y1 (ko) 변성기부 전력량계용 시험용 단자대
CN101743674A (zh) 用于故障指示的电路装置
KR101822620B1 (ko) 콘센트 접지 확인 장치
CN106329464B (zh) 具有故障区分指示的断路器
KR101905154B1 (ko) 지중배전선로 변압기의 무정전 연결패널시스템
CN109546613A (zh) 电源线泄漏电流检测保护装置
JP2013182821A (ja) 開閉器
ITTO990828A1 (it) Sistema di linee bus.
KR100684822B1 (ko) 전기 판넬의 누전감지용 보호덮개
Kadyrov et al. NSLS-II Booster Interlock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