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8273Y1 - 변성기부 전력량계용 시험용 단자대 - Google Patents

변성기부 전력량계용 시험용 단자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8273Y1
KR200218273Y1 KR2020000028780U KR20000028780U KR200218273Y1 KR 200218273 Y1 KR200218273 Y1 KR 200218273Y1 KR 2020000028780 U KR2020000028780 U KR 2020000028780U KR 20000028780 U KR20000028780 U KR 20000028780U KR 200218273 Y1 KR200218273 Y1 KR 2002182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lock
transformer
meter
phase
termi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87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명수
Original Assignee
수목기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수목기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수목기전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287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82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82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8273Y1/ko

Links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전압이상의 전력거래용 적산장치인 변성기와 전력량계의 부속장치로써 변성기와 전력랑계의 사이에 부설 접속하여 변성기 또는 적력량계의 결상으로 인한 고장 및 역상(상바뀜)등으로 인한 전기적산의 오류를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변성기로부터 전력량계로 공급되는 중간 단자대로서 정전하지 않은 상태에서 전력량계 교체 및 시험을 할 수 있는 3상 4선식 190-110V용 변성기부 전력량계용 시험용단자대(TTB)에 관한 것으로, 변성기와 전력랑계의 사이에 결상으로 인한 고장 및 역상(상바뀜)등으로 인하여 전력량계의 오동작을 방지하도록 설계된 전자회로기판이 내장되는등의 특수하게 구성된 시험용단자대(TTB)를 부설 접속하여 시험용단자대(TTB)에 구비된 전자회로기판이 결상이나 역상 그리고 일시적인 단선,무전압,무전류,10[mA]의 저전류의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감지하여 이상이 있는 해당 상의 LED램프를 소등시키거나 경보기를 작동시켜 경보음을 울려주도록 함은 물론, 상기 전자회로기판은 3개의 전압공급단자(P1, P2, P3)와 중성단자(P0)를 혼합 구성하여 별도의 전원공급 없이 전압공급 단자(P1, P2, P3, P0)중 1개의 상이 결상 되었다 하더라도 정상 가동되도록 함으로써, 변성기 또는 적력량계의 결상으로 인한 고장 및 역상(상바뀜)등으로 인한 전기적산의 오류가 완벽하게 방지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이상 발생시 전기적산의 오류발생시 전원공급을 끊어 정전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이를 고장수리를 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시험용단자대는 외부에서 관찰하기 용이하도록 투명카바가 구비된 별도의 단자박스내에 고정 설치한다음 봉인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봉인용볼트는 끝 부분을 나사산 없이 매끄럽게 가공함으로써,단자대 카바 및 봉인용 나사를 쉽게 결합할 수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은 결국 변성기와 전력량계의 연결설치작업을 특수하게 구성된 본 고안의 시험용단자대를 이용하여 한치의 오차도 없이 빠르고 정확하게 시행할 수 있음은 물론 설치후에는 이상이 있는 상부분을 전자회로기판에서 감지하여 LED램프의 점등이나 경보기의 경보음을 통해 시각적 및 청각적으로 알려줌으로써 필요시 특정장소에서도 즉각적인 이상유무의 확인을 할 수 있도록 하며, 3개의 상중 어느하나의 상에 이상이 있더라도 전자회로기판이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하여 제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전력량계의 교체시 전력을 차단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전력량계의 교체 및 시험을 할 수 있는 등 매우 획기적인 고안이다.

Description

변성기부 전력량계용 시험용 단자대{The regeneration a coulometer a test terminal}
본 고안은 고전압이상의 전력거래용 적산장치인 변성기와 전력량계의 부속장치로써 변성기와 전력랑계의 사이에 부설 접속하여 변성기 또는 적력량계의 결상으로 인한 고장 및 역상(상바뀜)등으로 인한 전기적산의 오류를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변성기로부터 전력량계로 공급되는 중간 단자대로서 정전하지 않은 상태에서 전력량계 교체 및 시험을 할 수 있는 3상 4선식 190-110V용 변성기부 전력량계용 시험용단자대(TTB)에 관한 것이다.
소비 전력량을 적산하기 위한 조건으로는 이에 적합하게 제작된 전력량계에 전압과 전류를 통과하여야하고 통과된 전압과 전류를 합성한 만큼 그 양을 적산하여 기록하여야 하는데, 고전압이상의 높은 전압은 직접통전 할 수 있는 전력량계를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별도의 변성기를 전력량계와 연계설치하여, 상기 변성기를 이용하여서 고전압 및 전류를 2차적으로 변성하여 저전압과 미소전류로 변화시킨 다음 이를 전력량계로 송전하여 적산한다.
그러나, 종래의 경우에는 변성기 또는 적력량계의 결상으로 인한 고장 및 역상(상바뀜)등으로 인한 전기적산의 오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없었다,
또한, 변성기 또는 적력량계의 결상으로 인한 고장 및 역상(상바뀜)등으로 인한 전기적산의 오류가 발생시 이를 수리하기 위해서는 전원공급을 차단 즉, 정전 시킨상태에서 수리작업을 하여야만 했다.
이에 전력을 공급하는 공급자인 한전에서는 그 만큼 손해를 보았음은 물론 전력소비자들의 경우도 정전으로 인한 전기단전으로 인하여 매우 불편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 변성기와 전력랑계의 사이에 결상으로 인한 고장 및 역상(상바뀜)등으로 인하여 전력량계의 오동작을 방지하도록 설계된 전자회로기판이 내장되는등의 특수하게 구성된 시험용단자대(TTB)를 부설 접속하여, 상기 시험용단자대(TTB)를 이용하여 변성기 또는 적력량계의 결상으로 인한 고장 및 역상(상바뀜)등으로 인한 전기적산의 오류를 방지토록 함은 물론 상기한 바와같이 결상으로 인한 고장 및 역상(상바뀜)등으로 전기적산의 오류발생시 전원공급을 끊어 정전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이를 고장수리를 할 수 있도록 하여 전력공급자는 물론 사용자의 경우가 모두 만족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을 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회로도.
도2는 본 고안의 전제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3은 본 고안의 정면도.
도4는 본 고안의 배면도.
도5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도.
도6은 본 고안의 블럭도.
도7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P1, P2, P3, P0):전압단자 (1S. 2S, 3S):전류단자
(1L, 2L, 3L):전류시험용단자
10:변성기 20:단자대
21:요홈 22:도체부스
23:전선삽입구 25:봉인용볼트
30:전력량계 40:전자회로기판
41,42,43,51,52,53:LED램프 60:고장LED램프
70:역상LED램프 80:경보정지스위치 81:경보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시험용단자대(TTB)는 첨부도면 도1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같이 변성기(10)로부터 공급되는 단자대(20) 하부의 전압단자(P1, P2, P3, P0), 전류단자(1S. 2S, 3S)와 전류 시험용 단자(1L, 2L, 3L)를 구성하고,
전력량계(30)로 공급하기 위한 단자대(20) 상부의 전압단자(P1, P2, P3, P0)와, 전류단자(1S, 1L. 2S, 2L, 3S, 3L)를 구성하며,
정전없이 전력량계(30)의 교환 및 시험을 위하여 변성기(10)측의 전류단자(1S, 1L, 2S, 2L, 3S, 3L)를 서로 단락(연결)시킬 수 있는 시험용 조작단자를 구비하여서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 고안은 시험용단자대(TTB)는 전력량계(30)측의 전류단자 중 전력량계(30)의 출력(2차측)단자 (1L, 2S, 3L)를 서로 연결하여 접지할 수 있도록 전력량계(30)측 방향 몸체 측면에 도체부스연결용 요홈(21)을 형성하고, 상기 요홈(21)에 도체부스(22)를 결합하여 이들을 서로 연결토록 구성된다.
또한, 단자대(20) 케이스 내부에는 결상으로 인한 고장 검출 및 상 바뀜으로 인하여 계량의 오동작을 방지하기위한 전자회로기판(40)이 내장되는데, 상기 전자회로기판(40)은 3개의 전압공급단자(P1, P2, P3, P0)를 혼합 구성하여, 별도의 전원공급 없이 전압공급 단자(P1, P2, P3, P0)중 2개의 상이 결상 되었다 하더라도 정상 가동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전자회로기판(40)에는 전력량계(30)측 단자 위에는 다수의 LED램프(41)(42)(43)(51)(52)(53)(60)(70)와 경보기(81)및 경보정지스위치(80)를 구비하여, 단자대(20) 내부의 전자회로기판(40)에서 검출된 이상신호를 받아 각 상의 고장에 대한 구분을 LED램프(41)(42)(43)(51)(52)(53)(60)(70)의 점,소등 상태로 알 수 있도록 구성하며, 또한 경보기(81)에서 경보음을 발생토록 하여 청각적으로 이상발생 유무를 알수 있도록 구성하되, 필요시 외부의 특정장소에서 이상발생 유무를 알 수 있도록 경보접점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자들은 전선삽입구(23)를 접시모양으로 가공하여 전선의 삽입을 용이하도록 하였으며, 전선접속 후 풀림 방지를 위하여 두 개의 볼트(24)로 조일 수 있는 구조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계기측 단자에는 색별전선을 접속하여 전력량계(30)와 연결 할 수 있도록 하였는데, 이들 전선을 구성하고 있는 소선 가닥의 흐트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선 단말 부위를 납으로 코팅 처리하였으며, 전선을 색별로 구분하였기 때문에 시공 현장에서 선 바뀜 등의 혼란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단자대(20) 본체 양측에는 봉인용볼트(25)를 설치하여 단자대카바(26)를 덮은 후 나비날개 모양을 가진 봉인용 나사를 체결하여 전기공급자 이외에 타인이 임의로 해체하지 못하도록 하였다. 여기서 단자대(20) 본체의 봉인용볼트(25)는 단자대카바(26) 및 봉인용 나사가 쉽게 결합될 수 있도록 봉인용볼트(25)의 끝 부분이 나사산 없는 가공부(25a)가 매끄럽게 가공되어 있다.
단자대카바(26)는 투명한 재질로서 단자대(20)에 단자대카바(26)를 체결하였을 경우에도 단자의 상태 및 고장 검출 유무를 관찰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단자대카바(26) 표면에는 각 상별로 구분하여 단자의 기호가 지워지지 않도록 각인 표시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변성기(10)와 전력량계(30)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을 경우에는 단자대(20)의 전압단자(P1, P2, P3)의 LED램프(41)(42)(43)와 전류단자(1S, 2S, 3S)의 LED램프(51)(52)(53)는 점등되어 있으며, 고장LED램프(60)와 역상LED램프(70)는 소등된 상태이고, 따라서 고장 또는 역상으로 인한 경보기(81) 또한 작동을 하지 않는 상태이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변성기(10)의 전압공급선(P1, P2, P3, P0)중 두 개의 선이 단선 되거나, 전압이 80볼트 이하가 되면 단선 또는 전압이 80볼트 이하가 된 상의 LED램프가 소등되며 이와 동시에 고장LED램프(60)가 점등되고 경보기를 작동시킨다.
그리고 변성기(10)의 전류공급선(1S, 2S, 3S) 중 한 개 이상의 선이 단선 되거나, 이 중 1선 이상의 전류가 10[mA] 이하가 되면 단선 또는 10[mA]이하가 된 상의 LED램프가 소등되며 이와 동시에 고장LED 램프(60)가 점등되고 경보기를 작동시킨다.
또한, 역상의 경우 즉, 변성기(10)의 전압공급선(P1, P2, P3, P0)중 (P1)을 기준으로 (P2, P3)의 위상 순서가 바뀌면 즉, 역상이 되면 (P2, P3)의 LED 램프(42)(43)가 소등되며 이와 동시에 역상LED램프(70)가 점등되고 경보기(81)를 작동시킨다.
그리고, 변성기(10)의 전류공급선(1S, 2S, 3S)중 (1S)가 전압 공급선 (P1)과 위상이 맞지 않을 경우에는 전류공급선(1S, 2S, 3S)의 LED램프(51)(52)(53) 모두가 소등되며 이와 동시에 역상LED램프(70)가 점등되고 경보기(81)를 작동시킨다.
한편, 일시적으로 단선, 무전압 또는 무전류, 10[mA]의 저전류의 현상이 발생 했을 경우에는 각 해당 LED 램프와 경보기(81)가 작동하였다가 이러한 상태가 복귀됨과 동시에 모든 LED램프는 정상 복귀되며 경보기의 작동은 멈추게 됩니다.
상기와 같은 현상 즉 결상이나 역상 그리고 일시적인 단선,무전압,무전류,10[mA]의 저전류의 현상이 발생하는 것이 지속적으로 발생하여 경보기가 작동하였을 경우에는 계속되는 경보소음으로 부터 벗어나기 위하여 경보정지스위치(80)를 눌러서 경보를 멈추게 할 수 있다.
이때, 각 해당 LED램프의 작동은 이상발생을 제거할 때까지 이상 발생 이후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되다가 고장수리작업을 완료하면 이상발생이전의 초기상태로 자동으로 전환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변성기와 전력랑계의 사이에 결상으로 인한 고장 및 역상(상바뀜)등으로 인하여 전력량계의 오동작을 방지하도록 설계된 전자회로기판이 내장되는 등의 특수하게 구성된 시험용단자대(TTB)를 부설 접속하여 시험용단자대(TTB)에 구비된 전자회로기판이 결상이나 역상 그리고 일시적인 단선,무전압,무전류,10[mA]의 저전류의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감지하여 이상이 있는 해당 상의 LED램프를 점,소등시키거나 경보기를 작동시켜 경보음을 울려주도록 함은 물론, 상기 전자회로기판은 3개의 전압공급단자(P1, P2, P3)와 중성단자(P0)를 혼합 구성하여, 별도의 전원공급 없이 전압공급 단자(P1, P2, P3, P0)중 2개의 상이 결상 되었다 하더라도 정상 가동되도록 함으로써, 변성기 또는 적력량계의 결상으로 인한 고장 및 역상(상바뀜)등으로 인한 전기적산의 오류가 완벽하게 방지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이상 발생시 전기적산의 오류발생시 전원공급을 끊어 정전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이를 고장수리를 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시험용단자대는 외부에서 관찰하기 용이하도록 투명커버체가 구비된 별도의 단자박스내에 고정 설치한다음 봉인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봉인용볼트는 끝 부분을 나사산 없이 매끄럽게 가공함으로써,단자대 카바 및 봉인용 나사를 쉽게 결합할 수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은 결국 변성기와 전력량계의 연결설치작업을 특수하게 구성된 본 고안의 시험용단자대를 이용하여 한치의 오차도 없이 빠르고 정확하게 시행할 수 있음은 물론 설치후에는 이상이 있는 상부분을 전자회로기판에서 감지하여 LED램프의 점,소등이나 경보기의 경보음을 통해 시각적 및 청각적으로 알려줌으로써 필요시 특정장소에서도 즉각적인 이상유무의 확인을 할 수 있도록 하며, 3개의 상중 어느하나의 상에 이상이 있더라도 전자회로기판이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하여 제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전력량계의 교체시 전력을 차단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전력량계의 교체 및 시험을 할 수 있는 등 매우 획기적이 고안이다.

Claims (5)

  1. 공급전원을 변성기를 통하여 전력량계로 공급함에 있어서,
    몸체하부에 변성기로부터 인출되는 전선과 연결되도록 전압단자(P1, P2, P3, P0), 전류단자(1S, 2S, 3S)와 전류 시험용 단자(1L, 2L, 3L)를 구성하고,
    몸체상부에는 전력량계로부터 인출되는 전선과 연결되도록 전압단자(P1, P2, P3, P0)와, 전류단자(1S, 1L, 2S, 2L, 3S, 3L)를 구성하며,
    정전없이 전력량계 교환 및 시험을 위하여 변성기측의 전류단자(1S, 1L, 2S, 2L, 3S, 3L)를 서로 단락(연결)시킬 수 있는 시험용 조작단자를 구비하여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변성기부 전력량계용 시험용 단자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량계측의 전류단자 중 전력량계의 출력(2차측)단자 (1L, 2L, 3L)를 서로 연결하여 접지할 수 있도록 전력량계측 방향 몸체 측면에 도체부스연결용 요홈을 형성하고, 상기 요홈에 도체부스를 결합하여 이들을 서로 연결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변성기부 전력량계용 시험용 단자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대몸체 내부에 결상으로 인한 고장 검출 및 상 바뀜으로 인하여 계량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하여 3개의 전압공급단자(P1, P2, P3)와 중성단자(P0)를 혼합 설치하여 별도의 전원공급 없이 전압공급 단자(P1, P2, P3, P0)중 2개의 상이 결상 되었다 하더라도 정상 가동되도록 전자회로기판을 설치하되, 상기 전자회로기판에는 발광다이오드와 경보기 및 경보정지 스위치를 구비하여, 단자대몸체 내부에서의 결상 및 상바뀜으로 인한 이상신호를 전자회로기판에서 검출하여 각 상의 고장에 대한 구분을 발광다이오드의 소등 상태 및 경보음발생으로 이상발생 유무를 알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변성기부 전력량계용 시험용 단자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대몸체 양측에는 봉인용볼트체결부를 형성하여 단자대 카버체를 덮은 후 나비날개 모양을 가진 봉인용너트를 봉인용볼트체결부에 체결하여 전기공급자 이외에 타인이 임의로 해체하지 못하도록 하되, 상기 단자대몸체의 봉인용볼트는 봉인용너트가 쉽게 결합될 수 있도록 봉인용볼트의 끝 부분을 나사산 없는 가공부를 매끄럽게 가공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변성기부 전력량계용 시험용 단자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들은 전선의 삽입을 용이하도록 전선삽입구의 전방을 넓게 가공하여 접시형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변성기부 전력량계용 시험용 단자대.
KR2020000028780U 2000-10-16 2000-10-16 변성기부 전력량계용 시험용 단자대 KR2002182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8780U KR200218273Y1 (ko) 2000-10-16 2000-10-16 변성기부 전력량계용 시험용 단자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8780U KR200218273Y1 (ko) 2000-10-16 2000-10-16 변성기부 전력량계용 시험용 단자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8273Y1 true KR200218273Y1 (ko) 2001-03-15

Family

ID=73090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8780U KR200218273Y1 (ko) 2000-10-16 2000-10-16 변성기부 전력량계용 시험용 단자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8273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4489B1 (ko) * 2005-09-09 2007-04-09 김동수 전력량 계측 시스템 및 그 계측 방법
KR100772207B1 (ko) 2007-01-26 2007-11-01 박대우 무정전 전력량계용 단자대
KR200445350Y1 (ko) * 2007-09-28 2009-07-22 한국전력공사 오결선 방지용 단자대
KR200454242Y1 (ko) 2009-06-30 2011-06-23 한국전력공사 고압 전자식 전력량계 무정전 교체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4489B1 (ko) * 2005-09-09 2007-04-09 김동수 전력량 계측 시스템 및 그 계측 방법
KR100772207B1 (ko) 2007-01-26 2007-11-01 박대우 무정전 전력량계용 단자대
KR200445350Y1 (ko) * 2007-09-28 2009-07-22 한국전력공사 오결선 방지용 단자대
KR200454242Y1 (ko) 2009-06-30 2011-06-23 한국전력공사 고압 전자식 전력량계 무정전 교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1366B2 (en) Meter socket bypass disconnect device
US20070159738A1 (en) Receptacle providing sustained excessive voltage protection
US20040024545A1 (en) Device for monitoring a neutral and earth break and electrical switchgear apparatus comprising such a device
CN101855787B (zh) 接地端子座故障指示器
KR200218273Y1 (ko) 변성기부 전력량계용 시험용 단자대
JP5106579B2 (ja) 端子台装置
KR101395091B1 (ko) 케이블 접속 단자대 및 이를 포함하는 가로등주용 접속 단자함
KR100904562B1 (ko) 바이패스 스위치를 이용한 무정전 전력량계 교체용 단자대
US9565740B2 (en) Lighting control module
KR200217828Y1 (ko) 무정전 교체형 전력량계
JP2001208778A (ja) 検出電流合成装置、および分電盤
KR101225449B1 (ko) 통합형 고저항 접지장치
KR200359402Y1 (ko) 순간절체형 3로식 온-로드 루프 절체 고압개폐기를내장한 무정전공사용 변압기
JP4620240B2 (ja) 漏電警報機能付き配線用遮断器
JPH047572Y2 (ko)
US6125023A (en) Circuit breaker receptacle
KR100750858B1 (ko) 무정전 교환용 시험용 단자대
KR200456217Y1 (ko) 설치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는 무정전식 전력량계
KR100723037B1 (ko) 공공주택의 전기배전 선로구조
KR200299521Y1 (ko) 램프 표시형 누전차단기
KR200332394Y1 (ko) 활선체크가 가능한 차단기
KR101539318B1 (ko) 자동 및 계장 제어반용 부스바지지대를 이용한 결상감지장치
KR200248257Y1 (ko) 시험단자장치의 커버 결합구조
JP2007143242A (ja) 分電盤
KR200227819Y1 (ko) 전력량계 및 계기용변성기 발광다이오드에 의한 결상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