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8073B1 - 안정적인 배선이 가능한 배전선로 구조 - Google Patents

안정적인 배선이 가능한 배전선로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8073B1
KR100728073B1 KR1020070032445A KR20070032445A KR100728073B1 KR 100728073 B1 KR100728073 B1 KR 100728073B1 KR 1020070032445 A KR1020070032445 A KR 1020070032445A KR 20070032445 A KR20070032445 A KR 20070032445A KR 100728073 B1 KR100728073 B1 KR 1007280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ng
groove
distribution line
electrically connected
distrib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2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용모
Original Assignee
(주)우인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인기술단 filed Critical (주)우인기술단
Priority to KR1020070032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80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8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80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02B1/202Cable lay-ou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2Intermediate parts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in parallel, e.g. split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4Mounting thereon of switches or of other devices in general, the switch or device having, or being without, casing
    • H02B1/052Mounting on rails
    • H02B1/0523Mounting on rails locked into position by a sliding member

Abstract

본 발명은 안정적인 배선이 가능한 배전선로 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면 개구된 승강홈을 구비하면서 매설되며 지중에 매설된 다수의 배전선로가 측면으로 연결 고정되는 함체로, 상기 배전선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어뎁터와, 상방으로 돌출되며 다수 개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끼움돌부와 상기 끼움돌부의 외면에 구비되고 상기 어뎁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일면은 경사지고 상기 끼움돌부와 탄발부재를 매개로 유동가능하게 지지되는 통전체를 구비한 지지대와, 상기 승강홈의 내벽에 상하로 길게 형성된 레일을 갖는 하우징; 상기 승강홈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입면체로, 하부에는 상기 끼움돌부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다수의 통전홈과, 상기 통전체의 경사진 일면과 접하는 일면은 경사지고 상기 통전홈 내에서 탄발체를 매개로 유동가능하게 지지되는 통전부재와, 상방으로 개구되고 내면에는 걸림턱이 형성되며 바닥에는 오목부를 가지면서 상기 통전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통전대를 구비한 다수의 삽입홈과, 상기 레일과 이동가능하게 맞물리도록 외벽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갖는 승강대; 상기 삽입홈으로 삽입되도록 하방으로 돌출된 바아형상이고 말단에는 상기 오목부로 삽입되면서 통전대와 전기적으로 접하는 통전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걸림턱에 걸려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보호관을 구비한 돌출단자를 갖추되, 상기 통전부재를 통해 유입된 전기를 변압하여 배전처리하는 배전기기; 및 상기 승강대와 배전기기의 하중 이상의 압력에만 압축되면서, 상기 승강홈 내에 설치되는 탄발체로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안정적인 배선이 가능한 배전선로 구조{Supply of electric power structure able to distributing wire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가 연결되는 배전기기가 케이스에 내설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배전기기와 배전선로 간의 통전을 위한 구조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대와 하우징 간의 물리적인 결합모습 및 그 과정을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대와 하우징 간의 전기적인 결합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용어설명 -
100 ; 배전기기 110 ; 돌출단자
111 ; 안내홈 120 ; 보호관
200 ; 하우징 300 ; 승강대
310 ; 삽입홈 311 ; 걸림턱
312 ; 오목부 313 ; 통전대
320 ; 통전홈 330 ; 통전부재
331 ; 탄발체 340 ; 가이드홈
400 ; 하우징 410 ; 승강홈
420 ; 인입구 421 ; 어뎁터
430 ; 레일 440 ; 지지대
441 ; 끼움돌부 442 ; 통전체
443 ; 탄발부재 500, 500' ; 배전선로
700 ; 탄발체
본 발명은 안정적인 배선이 가능한 배전선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지하에 매설된 지중전선은 배전을 위해 지상에 설치된 배전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배전이라 하면, 발전소로부터 전송된 고압의 전기를 소비자가 사용할 수 있는 전압으로 변압한 후 이를 분전하는 것으로, 변압기 및 개폐기 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배전기기는 배전선로가 지중에 설치되더라도 그 관리 및 사용이 용이하도록 지상에 설치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지중의 배전선로를 지상의 배전기기로 인출해야 한다.
그런데, 지중에 매설된 배전선로와 배전기기는 한번 설치가 이루어지면 배전선로 환경을 쉽게 변경할 수 없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술한 구조에서 전기 사용의 변화에 따라 요구되는 환경에 맞춰 배전선로와 배전기기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매설된 배전선로를 파내야 하고, 뒤이어 배전기기를 요구되는 사용용량에 맞게 교체해야 하는 것이다. 물론, 배전선로와 배전기기의 전기적인 연결공사는 별도로 이루어져야 한다.
결국, 배전선로 및 배전기기의 교체공사는 적지 않은 시간과 노동력을 필요로 한다.
도시환경과 문화 등이 급격히 바뀌면서 요구되는 전기사용량의 변화 또한 빈번하다. 이에 발맞춰 배전선로와 배전기기의 개조 및 변경이 용이한 구조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지중에 배전선로가 설치되는 환경에서 전기사용량에 따라 배전기기의 교체를 신속하고 안전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정적인 배선이 가능한 배전선로 구조의 제공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면 개구된 승강홈을 구비하면서 매설되며 지중에 매설된 다수의 배전선로가 측면으로 연결 고정되는 함체로, 상기 배전선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어뎁터와, 상방으로 돌출되며 다수 개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끼움돌부와 상기 끼움돌부의 외면에 구비되고 상기 어뎁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일면은 경사지고 상기 끼움돌부와 탄발부재를 매개로 유동가능하게 지지되는 통전체를 구비한 지지대와, 상기 승강홈의 내벽에 상하로 길게 형성된 레일을 갖는 하우징;
상기 승강홈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입면체로, 하부에는 상기 끼움돌부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다수의 통전홈과, 상기 통전체의 경사진 일면과 접하는 일면은 경사지고 상기 통전홈 내에서 탄발체를 매개로 유동가능하게 지지되는 통전부재와, 상방으로 개구되고 내면에는 걸림턱이 형성되며 바닥에는 오목부를 가지면서 상기 통전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통전대를 구비한 다수의 삽입홈과, 상기 레일과 이동가능하게 맞물리도록 외벽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갖는 승강대;
상기 삽입홈으로 삽입되도록 하방으로 돌출된 바아형상이고 말단에는 상기 오목부로 삽입되면서 통전대와 전기적으로 접하는 통전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걸림턱에 걸려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보호관을 구비한 돌출단자를 갖추되, 상기 통전부재를 통해 유입된 전기를 변압하여 배전처리하는 배전기기; 및
상기 승강대와 배전기기의 하중 이상의 압력에만 압축되면서, 상기 승강홈 내에 설치되는 탄발체;
로 이루어진 안정적인 배선이 가능한 배전선로 구조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가 연결되는 배전기기가 케이스에 내설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배전기기와 배전선로 간의 통전을 위한 구조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지상에 배치되는 배전기기(100)는 케이스(200) 내에 설치되어 보호받는다. 상기 케이스(200)는 내구력 및 내부식성이 우수한 재질로 되며, 내부 환기를 위한 환기구(210)를 갖출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배전기기(100)는 지하에 메설된 하우징(400)의 숭강홈(410)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된 승강대(300) 상에 안착되며, 지중에 설치된 배전선로(500, 500')와의 전기적인 연결을 목적으로 승강대(300) 상면에는 다수의 삽입홈(310)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배전기기(100)의 저면에는 돌출단자(110)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단자(110)는 견고한 재질로 되어 내측에는 배전기기(100)와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통전구조가 형성된다.
결국, 상기 돌출단자(110)는 승강대(300)의 삽입홈(310)에 끼워지고, 내측에 형성된 통전구조는 승강대(300)의 내측에 형성된 통전구조와 연결되어서, 상기 승강대(300)는 배전기기(100)를 지지하는 동시에 상호 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이룬다.
계속해서, 상기 승강대(300)는 지하에 매설된 하우징(400)의 승강홈(410)으로 삽입되되,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때, 상기 승강대(300)의 상하이동방향을 정확히 안내하기 위해, 승강대(300)의 외면에는 세로방향으로 가이드홈(340)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하우징(400)의 승강홈(410) 내벽에는 세로방향으로 레일(430)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승강대(300)는 레일(430)을 따라 흔들림없는 안정적인 상하이동이 가능하다.
상기 하우징(400)은 지중에 매설되기 위해 절개지(600) 안에 위치한다. 따라서, 하우징(400)의 측면으로 인입 및 인출되는 배전선로(500, 500')는 지중에 매 설될 것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대와 하우징 간의 물리적인 결합모습 및 그 과정을 도시한 단면 사시도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지중에 매설된 하우징(400)은 측면에 인입 및 인출 배전선로(500, 500')가 물리적으로 끼워지는 다수의 인입구(420)를 갖추고, 상기 배전선로(500, 500')를 수용한다.
상기 인입구(420) 내에는 어뎁터(421)가 구비되고, 상기 어뎁터(421)는 배전선로(500, 500')의 말단에 위치한 통전단자(5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서, 하우징(400)과 배전선로(500, 500') 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이룬다.
상기 어뎁터(421)는 승강홈(410)의 바닥부에 위치한 통전체(44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통전체(442)는 단단한 재질의 지지대(440) 상단에 위치한다. 상기 지지대(440)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지지대(440)는 상방으로 돌출되어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다수의 끼움돌부(441)와, 상기 끼움돌부(441)의 말단에서 외부로 드러나도록 배치되는 통전체(442)로 된다.
계속해서, 상기 승강홈(410)의 내측에는 승강홈(410)으로 삽입된 승강대(300)를 탄발지지하는 탄발체(700)가 위치한다. 상기 탄발체(700)는 배전기기(100)가 갖는 하중 이상에만 압축되는 탄성계수를 갖는다. 즉, 배전기기(100)의 하중보다 작은 질량의 물체가 승강홈(410)으로 들어오면, 상기 탄발체(700)는 압축되지 않아 해당 물체를 위로 밀어올리게 된다.
상기 탄발체(700)는 일종의 안전장치로, 배전기기(100)가 아닌 다른 물체가 고압의 전류가 흐르는 통전체(442)가 드러난 승강홈(410) 안으로 들어오더라도 상기 통전체(442)가 위치한 깊이까지 들어오지 못하도록 밀어내어 감전사고의 발생위험을 최소화한다.
상기 승강대(300)는 승강홈(410)으로 삽입되고, 그 저면은 탄발체(700)와 맞닿아 지지를 받는다. 물론, 약속된 배전기기(100)를 얹은 승강대(300)가 승강홈(410)으로 삽입되면, 탄발체(700)는 그 하중으로 밀려 내려갈 것이다.
상기 승강대(300)의 저면에는 통전부재(330)가 배치된 통전홈(320)이 다수 형성된다. 상기 통전홈(320)은 끼움돌부(441)와 맞물려서, 통전체(442)와 통전부재(330)가 서로 맞닿는다.
계속해서, 상기 승강대(300)에 형성된 상기 삽입홈(310)의 바닥에는 통전대(313)가 배치되는데, 상기 통전부재(313)는 통전대(3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하우징(400)의 인입구(420)로 삽입된 배전선로(500)의 전기는 상기 배전선로(500)의 통전단자(510)로부터 흘러나와 인입구(420)의 어뎁터(421)를 통해 통전체(442)로 흘러가고, 끼움돌부(441)가 통전홈(320)과 맞물림으로서 통전체(442)의 전기는 통전부재(330)로 흘러가며, 통전부재(330)의 전기는 통전대(313)로 흘러간다.
배전기기(100)의 저면에 돌출 형성된 돌출단자(110)의 말단에는 통전부재(112)가 형성된다. 이는 삽입홈(310)의 바닥에 배치된 통전대(313)에 대응한 것으로, 상기 통전부재(112)가 정확히 맞물리도록 통전대(313)는 오목한 형상의 오목부(312)를 이룬다.
상술한 바와 같이, 통전부재(112)는 돌출단자(110)의 하단에 위치하고 외부로 드러나 있으므로 이를 보호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상기 통전부재(112)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덮는 보호관(120)이 돌출단자(110)에 고정된다. 이렇게 고정된 보호관(120)은 돌출단자(110)의 외벽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안내홈(111)을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되고, 상기 삽입홈(310)의 내벽은 보호관(120)을 지지하는 걸림턱(311)이 형성되어서, 보호관(120)을 포함한 돌출단자(110)가 승강대(300)의 삽입홈(310)으로 삽입되면, 보호관(120)은 일정깊이까지 돌출단자(110)와 함께 삽입되다가 상기 걸림턱(311)에 걸리면서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해 정지된다. 물론, 상기 돌출단자(110)는 아무런 간섭없이 계속 하방이동하여 보호관(120)으로 감싸인 통전부재(112)가 외부로 드러나고, 결국에는 상기 통전부재(112)와 통전대(313)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상 설명한 기계적, 전기적인 연결구조에 따라 다수의 배전선로(500, 500')가 배전기기(100)와 상호 통전하고, 배전기기(100)는 변압 및 개폐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배전기기(100)와 지중에 매설된 배전선로와의 전기적인 연결이 배전기기(100)의 안착만으로 안전하면서 신속히 이루어지므로, 배전기기(100)의 교체 및 수리가 용이해진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대와 하우징 간의 전기적인 결합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배전기기(100)와의 안정적인 연결을 가능하게 한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구조는 배전기기(100) 자체의 안착 및 해체 등으로 배전선로(500, 500')와 배전기 기(100) 간의 통전 여부가 결정된다.
즉, 배전기기(100)를 승강대(300) 상에 얹으면 그 하중으로 승강대(300)가 하우징(400)에서 하방이동하여 배전선로(500, 500')와의 전기적인 연결을 이루고, 배전기기(100)를 승강대(300)로부터 해체하면 배전기기(100)의 하중이 소멸하면서 승강대(300)는 탄발체(700)의 탄발력으로 상방이동하여 배전선로(500, 500')와의 전기적인 연결이 해제되는 것이다.
따라서, 하우징(400)의 통전체(442)와 승강대(300)의 통전부재(330)는 상호 간의 접촉 및 이격 등에 의한 단순한 구조로서 통전여부가 결정된다. 따라서, 안정적인 전기의 흐름을 위해 상기 통전체(442)와 통전부재(330)가 서로 접촉할 경우에는 항시 긴밀한 접촉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통전체(442)의 측면을 경사지게 형성하고, 이에 상응하여 상기 통전체(442)의 경사진 측면과 맞닿는 통전부재(330)의 측면도 동일한 경사를 이룬다. 또한, 상기 끼움돌부(441)와 통전체(442) 간의 결합은 탄성재질의 탄발부재(443)를 매개로 이루어져서, 상기 통전체(442)가 외력을 받으면 그 압력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더불어, 상기 통전홈(320)의 내벽과 통전부재(330) 간의 결합도 탄성재질의 탄발체(331)를 매개로 이루어져서, 상기 통전부재(330)가 외력을 받으면 그 압력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끼움돌부(441)가 통전홈(320)에 끼워져 맞물리면, 상기 통전체(442)와 통전부재(330)는 탄발부재(443) 및 탄발체(331)의 연성 및 탄발력으로 밀리면서 서로 긴밀하게 맞닿게 된다.
이상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지중에 매설된 배전선로와 지상에 배치되는 배전기기와의 전기적, 물리적 연결이 용이하면서도 그 연결을 안전하면서 신속히 진행할 수 있고, 작업 중 발생할 수 있는 감전사고의 발생위험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상면 개구된 승강홈을 구비하면서 매설되며 지중에 매설된 다수의 배전선로가 측면으로 연결 고정되는 함체로, 상기 배전선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어뎁터와, 상방으로 돌출되며 다수 개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끼움돌부와 상기 끼움돌부의 외면에 구비되고 상기 어뎁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일면은 경사지고 상기 끼움돌부와 탄발부재를 매개로 유동가능하게 지지되는 통전체를 구비한 지지대와, 상기 승강홈의 내벽에 상하로 길게 형성된 레일을 갖는 하우징;
    상기 승강홈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입면체로, 하부에는 상기 끼움돌부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다수의 통전홈과, 상기 통전체의 경사진 일면과 접하는 일면은 경사지고 상기 통전홈 내에서 탄발체를 매개로 유동가능하게 지지되는 통전부재와, 상방으로 개구되고 내면에는 걸림턱이 형성되며 바닥에는 오목부를 가지면서 상기 통전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통전대를 구비한 다수의 삽입홈과, 상기 레일과 이동가능하게 맞물리도록 외벽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갖는 승강대;
    상기 삽입홈으로 삽입되도록 하방으로 돌출된 바아형상이고 말단에는 상기 오목부로 삽입되면서 통전대와 전기적으로 접하는 통전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걸림턱에 걸려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보호관을 구비한 돌출단자를 갖추되, 상기 통전부재를 통해 유입된 전기를 변압하여 배전처리하는 배전기기; 및
    상기 승강대와 배전기기의 하중 이상의 압력에만 압축되면서, 상기 승강홈 내에 설치되는 탄발체;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적인 배선이 가능한 배전선로 구조.
KR1020070032445A 2007-04-02 2007-04-02 안정적인 배선이 가능한 배전선로 구조 KR1007280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2445A KR100728073B1 (ko) 2007-04-02 2007-04-02 안정적인 배선이 가능한 배전선로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2445A KR100728073B1 (ko) 2007-04-02 2007-04-02 안정적인 배선이 가능한 배전선로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8073B1 true KR100728073B1 (ko) 2007-06-15

Family

ID=38359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2445A KR100728073B1 (ko) 2007-04-02 2007-04-02 안정적인 배선이 가능한 배전선로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807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0778B1 (ko) 2010-02-05 2010-07-16 성지파워 주식회사 매설형 지중송전선 커넥터
KR100970775B1 (ko) 2010-02-05 2010-07-16 성지파워 주식회사 송전용 특고압 지중전선 접속단자
KR100970774B1 (ko) 2010-02-05 2010-07-16 성지파워 주식회사 지중송전선의 보호함체
KR101200517B1 (ko) 2010-05-18 2012-11-13 (주)고려호이스트 지중 매설식 전기장치 수용시스템
KR101602677B1 (ko) 2015-10-27 2016-03-14 김호이앤씨(주) 배전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배전선로 구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0542A (ko) * 1996-07-29 1997-01-21 정규현 증발식 냉각기용 패드의 제조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0542A (ko) * 1996-07-29 1997-01-21 정규현 증발식 냉각기용 패드의 제조방법 및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997-0000542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0778B1 (ko) 2010-02-05 2010-07-16 성지파워 주식회사 매설형 지중송전선 커넥터
KR100970775B1 (ko) 2010-02-05 2010-07-16 성지파워 주식회사 송전용 특고압 지중전선 접속단자
KR100970774B1 (ko) 2010-02-05 2010-07-16 성지파워 주식회사 지중송전선의 보호함체
KR101200517B1 (ko) 2010-05-18 2012-11-13 (주)고려호이스트 지중 매설식 전기장치 수용시스템
KR101602677B1 (ko) 2015-10-27 2016-03-14 김호이앤씨(주) 배전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배전선로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8073B1 (ko) 안정적인 배선이 가능한 배전선로 구조
KR102045759B1 (ko) 배전 및 변전용 케이블 보호기구
US10273687B1 (en) Panel power connector
KR101624726B1 (ko) 배전용 가공전선의 절연식 애자
KR101079244B1 (ko) 특고압 송배전선의 장력조절용 애자링커
CN101901968A (zh) 分断端子
KR101727007B1 (ko) 공공주택의 전기배전 선로구조
CN209516034U (zh) 具有汇流条的端子装置
KR100746787B1 (ko) 안전 잠금 장치를 구비한 분전함
KR100735912B1 (ko) 지중 배전형 변압기 설치구조
KR101041732B1 (ko) 엘보 접속재 분리장치
KR101602677B1 (ko) 배전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배전선로 구조
KR101082328B1 (ko) 스탭 커넥터 일체형 차단기를 이용한 축소형 고강도 mcc
KR102047357B1 (ko) 이상확인기능을 갖춘 지중배전라인 지지기구
EP2264845A3 (de) Elektrische Hausinstallationsverteilung mit einem einen Stromzähler aufweisenden Zählerplatz
KR100725989B1 (ko) 패드기기 설치구조
KR101290048B1 (ko) 중간 전압 또는 고 전압 스위치기어를 작동시키기 위한 스위치 캐비넷
KR101609148B1 (ko) 배전선로의 분산전원 제어장치
CN205452054U (zh) 自动断电器
KR100933936B1 (ko) 가공배전선용 절연형 배전체
CN106233148A (zh) 电量计用端子装置及电量计
KR100969264B1 (ko) 수배전반의 전력용 퓨즈
CN206931872U (zh) 一种开关柜的定位装置
CA3111900A1 (en) Luminaire connector and luminaire strip
KR20160051969A (ko) 진공 차단기의 호환용 커넥터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