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2702B1 - 변전소의 배전 설비구조 - Google Patents

변전소의 배전 설비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2702B1
KR102222702B1 KR1020200105895A KR20200105895A KR102222702B1 KR 102222702 B1 KR102222702 B1 KR 102222702B1 KR 1020200105895 A KR1020200105895 A KR 1020200105895A KR 20200105895 A KR20200105895 A KR 20200105895A KR 102222702 B1 KR102222702 B1 KR 102222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buoyancy
main body
triangular
triangular incl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5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상호
Original Assignee
(주)사성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사성기술단 filed Critical (주)사성기술단
Priority to KR1020200105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27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2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2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1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cable chambers, e.g. in manhole or in handho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28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12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supported on or from floats, e.g. in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에 콘크리트로 이루어지고 홀이 형성되는 홀부; 정단면이 "┏┓'형상으로 상면에는 상기 홀부의 홀에서 일정높이 이격되는 평면인 상부설치면을 갖고 상부설치면 좌우측단에는 하부로 수직절곡되어 연장되는 좌우측지지면을 각각 갖으며 좌우측지지면 하단에는 외측으로 수직절곡되어 고정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좌우측고정날개를 각각 갖고 상부설치면에는 승강통공을 갖는 바닥이격고정판; 누운 삼각기둥체로 상기 바닥이격고정판의 상부설치면에 위치되는 직사각형상의 바닥면을 갖고 바닥면 후방선단에서 직상부로 연장되는 수직면체인 후방수직면을 갖으며 후방수직면 상단에서 바닥면 전방선단으로 연장이음되는 전방경사면을 갖고 좌우측에는 직각삼각형상인 좌우측직각삼각면을 각각 갖으며 내부에는 부력공간부를 갖고 수직기립된 볼트체로 바닥이격고정판의 상부설치면 하부에 위치되어 상단부의 체결나사부가 승강통공을 관통하여 바닥면에 체결고정되어 부력에 의한 상승시 서서히 상승되고 하단부의 머리부에 의해 상승멈춤되는 부력승강장볼트를 갖으며 전방경사면 좌우측에는 요부형성되어 내측폭이 확장되는 걸림요부를 각각 갖는 좌우측승강가이드요부를 갖는 삼각경사부력체; 상기 삼각경사부력체의 전방경사면에 밀착되어 삼각경사부력체와 더불어 직육면체를 이루는 누운 삼각기둥체로 수평면인 상면을 갖고 상면 전방선단에서 하부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전방수직면을 갖으며 전방수직면 하단에서 상면 후방선단까지 연장이음되는 후방경사면을 갖고 좌우측에는 역직각사각형상인 좌우측역직각삼각면을 각각 갖으며 내부에는 부력공간부를 갖고 상면 전방측에는 직하부로 요부형성되어 직육면체인 수배전반 본체가 밀페되게 보관되는 본체보관요부를 갖되 본체보관요부 최하단부에는 저수공간을 갖고 저수공간 상측에는 다수개의 완충고무와 통공을 갖는 본체받침판이 수평으로 걸림고정되는 하부받침단턱을 갖으며 본체보관요부 상단부에는 밀폐링과 커버가 안착되는 상단커버단턱을 갖고 우측역직각삼각면에는 본체보관요부와 관통되는 연결공을 갖으며 후방경사면 좌우측에는 상기 삼각경사부력체 전방경사면의 걸림요부를 갖는 좌우측승강가이드요부에 각각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걸림돌부를 갖는 좌우측승강돌부를 갖고 부력에 의해 삼각경사부력체 상에서 상하강하는 역삼각경사부력승강체; 상기 역삼각경사부력승강체 우측역직각삼각면의 연결공에 삽입되는 부도체인 원형관체로 중심부에는 관통공을 갖고 일측단 외측에는 나사부를 갖으며 타측 외주연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링돌부를 갖고 링돌부에는 고무링이 결합되며 연결공에 삽입되어 너트에 의해 연결공에 밀폐되게 체결고정되는 연결관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의 관통공에 삽입되어 공회동되는 도체인 바로 일측에는 본체보관요부에서 수배전반 본체의 연결선이 고정결합되는 통전볼트가 볼트결합되는 일측볼트공을 갖고 타측에는 통전볼트가 볼트결합되는 타측볼트공을 갖는 통전바가 형성되는 통전연결구; 상기 홀을 관통하여 홀부에서 상기 역삼각경사부력승강체의 최대높이까지 수직기립되는 관체인 방수관; 및 상기 방수관의 내부에 위치되어 외부로 인출되어서 선단이 상기 통전연결구 통전바의 통전볼트에 고정결합되어 타측볼트공에 볼트결합되어 수배전반 본체와 통전연결되는 지중전선을 구비하는 변전소의 배전 설비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홀에 물이 채워짐에 따라 홀부의 수위에 따라서 수배전반 본체가 1차, 2차에 걸쳐서 종래에 대비하여 배 이상으로 승하강됨에 따라 누전이나 감전의 위험을 크게 낮출 수 있고 홀부의 침수시에도 역삼각경사부력승강체 본체보관요부의 저수공간으로 인해 최대한 수배전반 본체가 침수되는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변전소의 배전 설비구조{Distribution facility structure of substation}
본 발명은 변전소의 배전 설비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홀에 물이 채워짐에 따라 홀부의 수위에 따라서 수배전반 본체가 1차, 2차에 걸쳐서 종래에 대비하여 배 이상으로 승하강됨에 따라 누전이나 감전의 위험을 크게 낮출 수 있고 홀부의 침수시에도 역삼각경사부력승강체 본체보관요부의 저수공간으로 인해 최대한 수배전반 본체가 침수되는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는 변전소의 배전 설비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 및 대규모의 공장 등에서 사용되는 전기는 각 지역별로 설비되어 있는 변전소를 통해 전기를 공급받게 된다. 이러한 변전소는 전압이나 전류의 변성 및 전력의 배분을 목적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력을 송전선로를 통해 수용가에게 보내준다.
상기 변전소는 지상에 설비되게 되는데, 이러한 변전소의 경우 고압의 전류를 이송시켜 주어야 하는바 고압전선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것이 대부분이고, 외부로 노출된 고압전선은 외부간섭으로 인한 누전 및 합선이 유발되기 쉬우며, 어지럽게 가설된 고압전선으로 인해 주변의 경관을 해치는 등의 문제가 있어 지중에 고압전선을 설치하게 된다.
지중에 고압전선을 매설하는 경우 크게 두 가지로 분류가 되는데, 한가지는 콘크리트 재질의 터널을 지중에 매설하고 지중배전선을 안치할 수 있도록 터널의 내부에 선반을 설치하여 선반의 상측으로 지중배전선을 고정하여 설치하는 방법과 다른 한가지는 콘크리트 재질 또는 합성수지로 된 보호관을 지중에 매설하고, 매설된 보호관의 내부에 지중배전선을 안치시켜 보관하는 방법이다.
양 방법 모두 지중에 외부의 접촉으로부터 분리된 공간에 지중배전선을 설치하게 되는바 집중호우나 홍수가 발생하는 경우 갑작스런 우수가 유입될 수 있으며 또한 지중터널이나 보호관의 파손으로 인한 물의 유입이 불균일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외부의 접촉으로부터 분리된 환경에 의해 유입된 물의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지중배전선이 물과 접촉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지중배전선이 물속에 잠기는 사태가 발생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전선과 물의 접촉으로 인해 누전이 발생할 수 있으며 사람이 감전되는 위험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지중배전선이 지중터널 내에 위치하는 관계로 지중배전선에 누전 기타 이유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신속한 화재의 진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고자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857213호에는 배전기가 수용되는 지지몸체를 부력체를 사용하여 수위에 따라 승강됨을 유지하고는 있으나, 승강을 하는 가이드와 지지 몸체간 반복적인 승강으로 인해 가이드 또는 지지 몸체 자체가 파손되어 그 사이로 물이 침투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하여 이와 같이 침투된 물로 전기적인 쇼트 발생으로 인해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그 내부에서 즉시 화재를 진압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지중에 콘크리트로 이루어지고, 홀이 형성되는 홀 부; 상기 홀 부에 배치되며, 수배전반 본체가 수용되는 케이스; 상기 수배전반 본체와 연결되며, 일단이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되는 연결부; 상기 케이스를 부력을 통해 승강시키는 부력부; 상기 케이스의 하단과 상기 홀의 저면을 지지하여, 상기 홀 부 내부에 물이 채워짐에 따라 상기 부력부의 부력에 의해 승강되는 상기 케이스를 다단으로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케이스의 양측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홀의 저면에 설치되며, 승강되는 상기 케이스의 양측부를 구름 지지하여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 상기 홀의 저면을 통해 상기 지중에 설치되는 안내관; 상기 안내관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홀 부로 돌출되어 상단이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는 지중 전선; 및 상기 안내관의 내주와 상기 지중 전선의 사이를 밀폐하는 기밀부; 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는,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천공된 관통홀과, 상기 수배전반 본체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관통홀에 배치되는 제 1연결 부재와, 상기 관통홀의 내주와 상기 제 1연결 부재의 외주를 연결하는 주름관과, 상기 지중 전선의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제 1연결 부재와 탈착되는 제 2연결 부재와,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앙부가 상기 제 2연결 부재에 고정되고, 외측 테두리가 상기 관통홀을 에워싸는 상기 케이스의 일측 외측 둘레에 형성되는 끼움홈에 끼워져 결합되는 탄성 재질의 보호 캡을 구비하고, 상기 제 1연결 부재는, 상기 케이스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는 제 1연결바와, 상기 관통홀에 배치되는 제 1연결단과, 상기 제 1연결바의 단부와 상기 제 1연결단을 힌지 연결하여 상기 제 1연결단을 회전 가능하게 하는 힌지단을 구비하고, 상기 안내관의 상단에는, 중공 형상의 보조 안내관이 직립되어 설치되고, 상기 보조 안내관의 상단에는 지중 전선의 이동을 안내하는 롤러가 설치되고, 상기 보조 안내관의 내주 다수 위치에는 반구 형상의 설치홈들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홈들 각각에는 회전 안내 부재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지중 전선은, 상기 설치홈들 각각의 상기 회전 안내 부재를 통해 지그 재그 형상으로 안내되어 상기 보조 안내관의 상방으로 노출되고, 상기 회전 안내 부재는, 상기 지중 전선의 이동을 안내하며, 회전축이 형성되는 회전구와, 상기 설치홈들 각각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의 양단을 회전 지지하며 탄성적으로 다단으로 돌출되는 다단 파이프를 구비하되, 상기 다단의 파이프의 하단은 상기 회전축을 통해 상기 설치홀들 각각의 하단에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회전축에는 토션 스프링이 설치되어 상기 다단의 파이프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탄성적으로 안내하는 배전선로의 지중 전선 연결용 커넥터 설비."가 특허등록 제10-2007679호(2019.08.06. 공고)가 개시된바 있었다.
그러나 이런 종래 배전선로의 지중 전선 연결용 커넥터 설비는, 홀에 물이 채워짐에 따라 수배전반 본체가 승강되어 누전이나 감전의 위험을 낮출 수 있으나, 수배전반 본체의 승하강 높이가 매우 한정적이어서 물속에 잠길 우려가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001)(KR)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2007679(2019.08.06.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홀에 물이 채워짐에 따라 홀부의 수위에 따라서 수배전반 본체가 1차, 2차에 걸쳐서 종래에 대비하여 배 이상으로 승하강됨에 따라 누전이나 감전의 위험을 크게 낮출 수 있고 홀부의 침수시에도 역삼각경사부력승강체 본체보관요부의 저수공간으로 인해 최대한 수배전반 본체가 침수되는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는 변전소의 배전 설비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중에 콘크리트로 이루어지고 홀이 형성되는 홀부;
정단면이 "┏┓'형상으로 상면에는 상기 홀부의 홀에서 일정높이 이격되는 평면인 상부설치면을 갖고 상부설치면 좌우측단에는 하부로 수직절곡되어 연장되는 좌우측지지면을 각각 갖으며 좌우측지지면 하단에는 외측으로 수직절곡되어 고정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좌우측고정날개를 각각 갖고 상부설치면에는 승강통공을 갖는 바닥이격고정판;
누운 삼각기둥체로 상기 바닥이격고정판의 상부설치면에 위치되는 직사각형상의 바닥면을 갖고 바닥면 후방선단에서 직상부로 연장되는 수직면체인 후방수직면을 갖으며 후방수직면 상단에서 바닥면 전방선단으로 연장이음되는 전방경사면을 갖고 좌우측에는 직각삼각형상인 좌우측직각삼각면을 각각 갖으며 내부에는 부력공간부를 갖고 수직기립된 볼트체로 바닥이격고정판의 상부설치면 하부에 위치되어 상단부의 체결나사부가 승강통공을 관통하여 바닥면에 체결고정되어 부력에 의한 상승시 서서히 상승되고 하단부의 머리부에 의해 상승멈춤되는 부력승강장볼트를 갖으며 전방경사면 좌우측에는 요부형성되어 내측폭이 확장되는 걸림요부를 각각 갖는 좌우측승강가이드요부를 갖는 삼각경사부력체;
상기 삼각경사부력체의 전방경사면에 밀착되어 삼각경사부력체와 더불어 직육면체를 이루는 누운 삼각기둥체로 수평면인 상면을 갖고 상면 전방선단에서 하부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전방수직면을 갖으며 전방수직면 하단에서 상면 후방선단까지 연장이음되는 후방경사면을 갖고 좌우측에는 역직각사각형상인 좌우측역직각삼각면을 각각 갖으며 내부에는 부력공간부를 갖고 상면 전방측에는 직하부로 요부형성되어 직육면체인 수배전반 본체가 밀페되게 보관되는 본체보관요부를 갖되 본체보관요부 최하단부에는 저수공간을 갖고 저수공간 상측에는 다수개의 완충고무와 통공을 갖는 본체받침판이 수평으로 걸림고정되는 하부받침단턱을 갖으며 본체보관요부 상단부에는 밀폐링과 커버가 안착되는 상단커버단턱을 갖고 우측역직각삼각면에는 본체보관요부와 관통되는 연결공을 갖으며 후방경사면 좌우측에는 상기 삼각경사부력체 전방경사면의 걸림요부를 갖는 좌우측승강가이드요부에 각각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걸림돌부를 갖는 좌우측승강돌부를 갖고 부력에 의해 삼각경사부력체 상에서 상하강하는 역삼각경사부력승강체;
상기 역삼각경사부력승강체 우측역직각삼각면의 연결공에 삽입되는 부도체인 원형관체로 중심부에는 관통공을 갖고 일측단 외측에는 나사부를 갖으며 타측 외주연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링돌부를 갖고 링돌부에는 고무링이 결합되며 연결공에 삽입되어 너트에 의해 연결공에 밀폐되게 체결고정되는 연결관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의 관통공에 삽입되어 공회동되는 도체인 바로 일측에는 본체보관요부에서 수배전반 본체의 연결선이 고정결합되는 통전볼트가 볼트결합되는 일측볼트공을 갖고 타측에는 통전볼트가 볼트결합되는 타측볼트공을 갖는 통전바가 형성되는 통전연결구;
상기 홀을 관통하여 홀부에서 상기 역삼각경사부력승강체의 최대높이까지 수직기립되는 관체인 방수관; 및
상기 방수관의 내부에 위치되어 외부로 인출되어서 선단이 상기 통전연결구 통전바의 통전볼트에 고정결합되어 타측볼트공에 볼트결합되어 수배전반 본체와 통전연결되는 지중전선을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홀에 물이 채워짐에 따라 홀부의 수위에 따라서 수배전반 본체가 1차, 2차에 걸쳐서 종래에 대비하여 배 이상으로 승하강됨에 따라 누전이나 감전의 위험을 크게 낮출 수 있고 홀부의 침수시에도 역삼각경사부력승강체 본체보관요부의 저수공간으로 인해 최대한 수배전반 본체가 침수되는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변전소의 배전 설비구조의 체결모습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변전소의 배전 설비구조의 결합모습을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변전소의 배전 설비구조의 결합모습을 보인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변전소의 배전 설비구조의 빗물 유입시 부력에 의한 삼각경사부력체와 역삼각경사부력승강체의 상승모습을 보인 사용상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 예인 변전소의 배전 설비구조의 빗물 유입시 부력에 의한 역삼각경사부력승강체의 상승모습을 보인 사용상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 예인 변전소의 배전 설비구조의 통전연결구의 체결모습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 예인 변전소의 배전 설비구조의 통전연결구 결합모습을 보인 것으로 도 1의 A부분을 확대한 확대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아래 실시 예에서의 선택적인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변전소의 배전 설비구조는, 홀부(10)와, 바닥이격고정판(20)과, 삼각경사부력체(30)와, 역삼각경사부력승강체(40)와, 수배전반 본체(50)와, 통전연결구(60)와, 방수관(70)과, 지중전선(80)으로 구성된다.
상기 홀부(10)는, 지중에 콘크리트로 이루어지고 홀(11)이 형성된다.
상기 바닥이격고정판(20)은, 정단면이 "┏┓'형상으로 상면에는 상기 홀부(10)의 홀(11)에서 일정높이 이격되는 평면인 상부설치면(21)을 갖고 상부설치면(21) 좌우측단에는 하부로 수직절곡되어 연장되는 좌우측지지면(22,23)을 각각 갖으며 좌우측지지면(22,23) 하단에는 외측으로 수직절곡되어 고정볼트(22b,23b)에 의해 고정되는 좌우측고정날개(22a,23a)를 각각 갖고 상부설치면(21)에는 승강통공(21a)을 갖는다.
상기 삼각경사부력체(30)는, 누운 삼각기둥체로 상기 바닥이격고정판(20)의 상부설치면(21)에 위치되는 직사각형상의 바닥면(31)을 갖고 바닥면(31) 후방선단에서 직상부로 연장되는 수직면체인 후방수직면(32)을 갖으며 후방수직면(32) 상단에서 바닥면(31) 전방선단으로 연장이음되는 전방경사면(33)을 갖고 좌우측에는 직각삼각형상인 좌우측직각삼각면(34,35)을 각각 갖으며 내부에는 부력공간부(36)를 갖고 수직기립된 볼트체로 바닥이격고정판(20)의 상부설치면(21) 하부에 위치되어 상단부의 체결나사부(37a)가 승강통공(21)을 관통하여 바닥면(31)에 체결고정되어 부력에 의한 상승시 서서히 상승되고 하단부의 머리부(37b)에 의해 상승멈춤되는 부력승강장볼트(37)를 갖으며 전방경사면(33) 좌우측에는 요부형성되어 내측폭이 확장되는 걸림요부(33c,33d)를 각각 갖는 좌우측승강가이드요부(33a,33b)를 갖는다.
상기 역삼각경사부력승강체(40)는, 상기 삼각경사부력체(30)의 전방경사면(33)에 밀착되어 삼각경사부력체(30)와 더불어 직육면체를 이루는 누운 삼각기둥체로 수평면인 상면(41)을 갖고 상면(41) 전방선단에서 하부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전방수직면(42)을 갖으며 전방수직면(42) 하단에서 상면(41) 후방선단까지 연장이음되는 후방경사면(43)을 갖고 좌우측에는 역직각사각형상인 좌우측역직각삼각면(44,45)을 각각 갖으며 내부에는 부력공간부(46)를 갖고 상면(41) 전방측에는 직하부로 요부형성되어 직육면체인 수배전반 본체(50)가 밀페되게 보관되는 본체보관요부(41a)를 갖되 본체보관요부(41a) 최하단부에는 저수공간(41b)을 갖고 저수공간(41b) 상측에는 다수개의 완충고무(52b)와 통공(52a)을 갖는 본체받침판(52)이 수평으로 걸림고정되는 하부받침단턱(41c)을 갖으며 본체보관요부(41a) 상단부에는 밀폐링(53)과 커버(54)가 안착되어 본딩이나 볼트(도시않음)에 의해 고정되는 상단커버단턱(41d)을 갖고 우측역직각삼각면(45)에는 본체보관요부(41a)와 관통되는 연결공(45a)을 갖으며 후방경사면(43) 좌우측에는 상기 삼각경사부력체(30) 전방경사면(33)의 걸림요부(33c,33d)를 갖는 좌우측승강가이드요부(33a,33b)에 각각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걸림돌부(43c,43d)를 갖는 좌우측승강돌부(43a,43b)를 갖고 부력에 의해 삼각경사부력체(30) 상에서 상하강한다.
상기 통전연결구(60)는, 상기 역삼각경사부력승강체(40) 우측역직각삼각면(43)의 연결공(45a)에 삽입되는 부도체인 원형관체로 중심부에는 관통공(61a)을 갖고 일측단 외측에는 나사부(61b)를 갖으며 타측 외주연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링돌부(61c)를 갖고 링돌부(61c)에는 고무링(61d)이 결합되며 연결공(45a)에 삽입되어 너트(61e)에 의해 연결공(45a)에 밀폐되게 체결고정되는 연결관(61)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61)의 관통공(61a)에 삽입되어 공회동되는 도체인 바로 일측에는 본체보관요부(41a)에서 수배전반 본체(50)의 연결선(51)이 고정결합되는 통전볼트(62b)가 볼트결합되는 일측볼트공(62a)을 갖고 타측에는 통전볼트(62d)가 볼트결합되는 타측볼트공(62c)을 갖는 통전바(62)가 형성된다.
상기 방수관(70)은, 상기 홀(11)을 관통하여 홀부(10)에서 상기 역삼각경사부력승강체(40)의 최대높이까지 수직기립되는 관체이다.
상기 지중전선(80)은, 상기 방수관(70)의 내부에 위치되어 외부로 인출되어서 선단이 상기 통전연결구(60) 통전바(61)의 통전볼트(62d)에 고정결합되어 타측볼트공(62c)에 볼트결합되어 수배전반 본체(50)와 통전연결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홀부(10)에 물이 채워짐에 따라 홀부(10)의 수위에 따라서 수배전반 본체(50)가 삼각경사부력체(30)의 부력공간부(36)에 의한 부력으로 바닥이격고정판(20)에서 상부로 1차로 부력 상승하고, 수위에 따라 역삼각경사부력승강기(40)의 부력공간부(46)에 의한 부력으로 삼각경사부력체(30)에서 상부로 2차로 부력 상승하여 종래에 대비하여 수위에 따라 수배전반 본체(50)를 배 이상으로 승하강시킴에 따라 누전이나 감전의 위험을 크게 낮출 수 있고, 홀부(10)의 침수시에도 역삼각경사부력승강체(40) 본체보관요부(41a)의 저수공간(41b)으로 침수된 물이 서서히 고임으로 인해 최대한 수배전반 본체(50)가 침수되는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홀부
20 : 바닥이격고정판
30 : 사각경사부력체
40 : 역삼각경사부력승강체
50 : 수배전반 본체
60 : 통전연결구
70 : 방수관
80 : 지중전선

Claims (1)

  1. 지중에 콘크리트로 이루어지고 홀(11)이 형성되는 홀부(10)와, 정단면이 "┏┓'형상으로 상면에는 상기 홀부(10)의 홀(11)에서 일정높이 이격되는 평면인 상부설치면(21)을 갖고 상부설치면(21) 좌우측단에는 하부로 수직절곡되어 연장되는 좌우측지지면(22,23)을 각각 갖으며 좌우측지지면(22,23) 하단에는 외측으로 수직절곡되어 고정볼트(22b,23b)에 의해 고정되는 좌우측고정날개(22a,23a)를 각각 갖는 바닥이격고정판(20)과, 상기 바닥이격고정판(20)의 상부설치면(21)에 위치되는 직사각형상의 바닥면(31)을 갖고 바닥면(31) 후방선단에서 직상부로 연장되는 수직면체인 후방수직면(32)을 갖으며 내부에는 부력공간부(36)를 갖고 바닥이격고정판(20)의 상부설치면(21) 하부에 위치되어 부력에 의한 상승시 서서히 상승되는 삼각경사부력체(30)와, 내부에는 부력공간부(46)를 갖고 부력에 의해 삼각경사부력체(30) 상에서 상하승강하는 역삼각경사부력승강체(40)와, 역삼각경사부력승강체(40) 내부에 설치되는 직육면체인 수배전반 본체(50)와, 통전바(62)를 갖고 역삼각경사부력승강체(40)에 결합되는 통전연결구(60)와, 상기 홀(11)을 관통하여 홀부(10)에서 상기 역삼각경사부력승강체(40)의 최대높이까지 수직기립되는 관체인 방수관(70)과, 상기 방수관(70)의 내부에 위치되어 외부로 인출되어서 선단이 상기 통전연결구(60) 통전바(62)의 통전볼트(62d)에 고정결합되어 타측볼트공(62c)에 볼트결합되어 수배전반 본체(50)와 통전연결되는 지중전선(80)을 구비하는 변전소의 배전 설비구조에 있어서,
    상기 바닥이격고정판(20)의 상부설치면(21)에는, 승강통공(21a)이 형성되고;
    상기 삼각경사부력체(30)는, 누운 삼각기둥체로 후방수직면(32) 상단에서 바닥면(31) 전방선단으로 연장이음되는 전방경사면(33)을 갖고 좌우측에는 직각삼각형상인 좌우측직각삼각면(34,35)을 각각 갖으며 수직기립된 볼트체로 상단부의 체결나사부(37a)가 승강통공(21)을 관통하여 바닥면(31)에 체결고정되어 부력에 의한 상승시 서서히 상승되고 하단부의 머리부(37b)에 의해 상승멈춤되는 부력승강장볼트(37)를 갖으며 전방경사면(33) 좌우측에는 요부형성되어 내측폭이 확장되는 걸림요부(33c,33d)를 각각 갖는 좌우측승강가이드요부(33a,33b)를 갖으며;
    상기 역삼각경사부력승강체(40)는, 상기 삼각경사부력체(30)의 전방경사면(33)에 밀착되어 삼각경사부력체(30)와 더불어 직육면체를 이루는 누운 삼각기둥체로 수평면인 상면(41)을 갖고 상면(41) 전방선단에서 하부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전방수직면(42)을 갖으며 전방수직면(42) 하단에서 상면(41) 후방선단까지 연장이음되는 후방경사면(43)을 갖고 좌우측에는 역직각사각형상인 좌우측역직각삼각면(44,45)을 각각 갖으며 상면(41) 전방측에는 직하부로 요부형성되어 직육면체인 수배전반 본체(50)가 밀폐되게 보관되는 본체보관요부(41a)를 갖되 본체보관요부(41a) 최하단부에는 저수공간(41b)을 갖고 저수공간(41b) 상측에는 다수개의 완충고무(52b)와 통공(52a)을 갖는 본체받침판(52)이 수평으로 걸림고정되는 하부받침단턱(41c)을 갖으며 본체보관요부(41a) 상단부에는 밀폐링(53)과 커버(54)가 안착되는 상단커버단턱(41d)을 갖고 우측역직각삼각면(45)에는 본체보관요부(41a)와 관통되는 연결공(45a)을 갖으며 후방경사면(43) 좌우측에는 상기 삼각경사부력체(30) 전방경사면(33)의 걸림요부(33c,33d)를 갖는 좌우측승강가이드요부(33a,33b)에 각각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걸림돌부(43c,43d)를 갖는 좌우측승강돌부(43a,43b)가 형성되며;
    상기 통전연결구(60)는, 상기 역삼각경사부력승강체(40) 우측역직각삼각면(43)의 연결공(45a)에 삽입되는 부도체인 원형관체로 중심부에는 관통공(61a)을 갖고 일측단 외측에는 나사부(61b)를 갖으며 타측 외주연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링돌부(61c)를 갖고 링돌부(61c)에는 고무링(61d)이 결합되며 연결공(45a)에 삽입되어 너트(61e)에 의해 연결공(45a)에 밀폐되게 체결고정되는 연결관(61)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61)의 관통공(61a)에 삽입되어 공회동되는 도체인 바로 일측에는 본체보관요부(41a)에서 수배전반 본체(50)의 연결선(51)이 고정결합되는 통전볼트(62b)가 볼트결합되는 일측볼트공(62a)을 갖고 타측에는 통전볼트(62d)가 볼트결합되는 타측볼트공(62c)을 갖는 통전바(6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전소의 배전 설비구조.
KR1020200105895A 2020-08-24 2020-08-24 변전소의 배전 설비구조 KR102222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5895A KR102222702B1 (ko) 2020-08-24 2020-08-24 변전소의 배전 설비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5895A KR102222702B1 (ko) 2020-08-24 2020-08-24 변전소의 배전 설비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2702B1 true KR102222702B1 (ko) 2021-03-04

Family

ID=75174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5895A KR102222702B1 (ko) 2020-08-24 2020-08-24 변전소의 배전 설비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270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7920B1 (ko) * 2012-07-30 2012-08-30 (주)하나전력기술단 특별 고압 한전 배전 선로의 지중 전선 연결용 커넥터
KR101638508B1 (ko) * 2015-12-01 2016-07-11 주식회사 삼일엔지니어링 지중배전케이블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
KR102007679B1 (ko) 2019-04-05 2019-08-06 송영복 배전 선로의 지중 전선 연결용 커넥터 설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7920B1 (ko) * 2012-07-30 2012-08-30 (주)하나전력기술단 특별 고압 한전 배전 선로의 지중 전선 연결용 커넥터
KR101638508B1 (ko) * 2015-12-01 2016-07-11 주식회사 삼일엔지니어링 지중배전케이블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
KR102007679B1 (ko) 2019-04-05 2019-08-06 송영복 배전 선로의 지중 전선 연결용 커넥터 설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20645B2 (en) Outdoor electrical box
KR101894913B1 (ko) 특별고압 지중 배전선로의 지지대
US9377009B2 (en) Single piece electric assembly for connecting an off-shore wind turbine with an electric subsea cable, wind turbine, wind turbine cluster and method for mounting such an electric assembly to a wind turbine tower
KR102007679B1 (ko) 배전 선로의 지중 전선 연결용 커넥터 설비
KR102243941B1 (ko) 지중배전라인의 안정적인 연결을 위한 기초대
KR100780081B1 (ko) 송배전 변전소 부식방지를 위한 분전반
JP2006009596A (ja) 変電開閉設備を内蔵した風力発電装置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1271746B1 (ko) 배전용 지중전선 접속 브래킷
FI67902C (fi) Servisanordning saerskilt foer fartyg vid en kajanlaeggning
KR100947101B1 (ko) 지하 매설식 전기 설비 컨테이너 시스템
KR102222702B1 (ko) 변전소의 배전 설비구조
US9653900B2 (en) Outdoor electrical box
KR101177920B1 (ko) 특별 고압 한전 배전 선로의 지중 전선 연결용 커넥터
US10738431B2 (en) Connection structure for a marine installation, marine installation and method of erecting a marine installation
KR102299388B1 (ko) 지중 배전케이블의 누수방지 커넥터
NO344439B1 (en) Method of installing an offshore transformer assembly
KR101542610B1 (ko) 변전용 변압기의 설치구조
CN208401357U (zh) 一种景观型地埋式箱式变电站
KR100817591B1 (ko) 바지선의 전선케이블 보호장치
KR101466137B1 (ko) 인입형 특고압 전력케이블의 변전소 설치형 절연트레이
KR102357043B1 (ko) 수배전반의 지지 구조체
KR100890103B1 (ko) 천정 출몰형 콘센트
CN111371005B (zh) 一种预装板、拼装机构、及户外预装式变电站
KR101954841B1 (ko) 지중배전선 접속전용 커넥터
KR101543014B1 (ko) 송배전선로의 역섬락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