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7043B1 - 수배전반의 지지 구조체 - Google Patents

수배전반의 지지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7043B1
KR102357043B1 KR1020210079611A KR20210079611A KR102357043B1 KR 102357043 B1 KR102357043 B1 KR 102357043B1 KR 1020210079611 A KR1020210079611 A KR 1020210079611A KR 20210079611 A KR20210079611 A KR 20210079611A KR 102357043 B1 KR102357043 B1 KR 102357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support structure
switchgear
motor control
switch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9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태현
Original Assignee
동영전력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영전력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영전력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79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70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7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70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4Anti-seismic devices or install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2Permanent magnets [PM]
    • H01F7/0231Magnetic circuits with PM for power or force generation
    • H01F7/0242Magnetic drives, magnetic coupl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50Pedestal- or pad-mounted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은 수배전반 또는 전동기제어반으로 저면을 지지하는 내진용 하부 지지 구조체로써, 상기 수배전반 또는 전동기제어반의 하부에 배치되되 상기 수배전반 또는 전동기제어반의 저면과 결합되는 제1 블록, 상기 제1 블록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블록, 상기 제2 블록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 상기 제1 블록, 제2 블록과 탄성부재를 순차적으로 관통하는 수직 가이드바 및 상기 제1 블록과 제2 블록의 적어도 일측에는 스크류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너트부재를 포함하는 수배전반의 지지 구조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수배전반의 지지 구조체{SUPPORT STRUCTURE FOR DISTRIBUTING BOARD}
본 발명은 수평 조절이 가능한 수배전반의 지지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이나 사무실 및 대규모의 공장 등에서 사용되는 전기는 각 지역별로 설비되어 있는 변전소를 통해 전기를 공급받게 되는데, 이러한 변전소는 전압이나 전류의 변성 및 전력의 배분을 목적으로 설치된다.
상기 변전소에서 상용전력으로 변환된 전력선은 통상 각 가정으로 전원을 분지 시키는 배전반에 연결된다. 한편 상기 배전반의 경우 계단형 아파트 등에서는 계단 측에 설치되지만, 공동주택 또는 건축구조물의 주차공단 등지에서는 대부분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구석지고 협소한 장소의 폐쇄공간 내부 또는 옥외에 설치되고 있다.
한편, 기상청 등의 통계에 의하면 우리나라도 지진의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최근에는 경주에서 지진 관측을 시작한 이래로 역대 최대 규모의 지진이 발생함으로써 많은 재산상 피해와 인명 피해를 야기하였다. 이에 따라, 건축 구조물의 내진 설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그 기준 또한 강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관련하여, 수배전반과 전동기제어반은 전기의 공급을 위해 각종 건물이나 산업시설에 필수적으로 설치되고, 그 내부에 변압기, 차단기, 누전 검출기 등 다양한 전기장치가 구비되기 때문에 진동과 충격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지진 등으로 수배전반에 강한 진동이나 충격이 인가되면 전기 공급이 차단되거나 화재가 발생하여 자칫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주로 외부에 설치되는 수배전반의 경우에 다양한 설치 환경에 따라 수배전반의 설치가 곤란하거나 안정적으로 지지되지 못하여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55995호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수배전반의 바닥면에 결합되어 외부 진동은 물론 가변적으로 수평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내충격성이 우수하고 다양한 설치 환경에도 적용이 가능한 수배전반의 지지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의 지지 구조체는, 수배전반 또는 전동기제어반으로 저면을 지지하는 내진용 하부 지지 구조체로써,
상기 수배전반 또는 전동기제어반의 하부에 배치되되 상기 수배전반 또는 전동기제어반의 저면과 결합되는 제1 블록;
상기 제1 블록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블록;
상기 제2 블록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
상기 제1 블록, 제2 블록과 탄성부재를 순차적으로 관통하는 수직 가이드바; 및
상기 제1 블록과 제2 블록의 적어도 일측에는 스크류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너트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직 로드의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제1 블록과 상기 제2 블록 중 적어도 하나가 수직 상하 방향으로 승하강 이동이 가능하도록 나사선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부재는 직사면체 또는 원형의 볼(Ball)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탄성부재는 중공형의 금속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블록에는 볼 형상의 상기 탄성부재가 이탈되지 않도록 만곡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상기 제2 블록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유동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동볼트는 복수의 상기 제2 블록의 양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 블록은 상기 유동볼트의 회전에 의하여 상호 이격 또는 근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동볼트의 적어도 일부는, 수평 단면상 상기 제2 블록의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동볼트는 복수의 상기 제2 블록의 양측 단부에 형성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는 상기 유동볼트가 상하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탄성 스프링;이 개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직 로드는 축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블록의 일측에는 바닥면에 볼팅 결합을 안내하는 고정 연장바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배전반 또는 전동기제어반의 개폐수단에는 야간에도 시각적으로 확인 가능한 형광소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배전반 또는 전동기제어반이 설치되는, 바닥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블록이 제2 블록의 상부에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어 적층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직 로드의 적어도 일부는, 수평 단면상, 상부측의 일부가 상기 제1 블록의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직 로드의 하부에는 상기 너트부재가 삽입되고, 상기 제2 블록의 하부에는 상기 너트부재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직 로드는 외부에서 공구를 사용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단면이 다각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블록은 상기 수배전반 또는 전동기제어반의 하부에 고정부재에 의하여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블록에는 상기 고정부재가 소정의 거리로 이동 가능하도록 슬라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슬라이드 홈은 단면이 타원형 또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블록이 형성되는 상기 수배전반 또는 전동기제어반의 내면에는 소정의 자력을 제공하는 마그네트(magnet)가 개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직 로드의 외주면에는 외부에서 관찰 가능하도록 눈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블록은 상기 수배전반 또는 전동기제어반 내부의 하부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블록은 상기 수배전반 또는 전동기제어반 내부의 하부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배전반 또는 전동기제어반의 내면에는 상기 제1 블록과 스크류 결합되는 판상의 고정 플레이트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의 지지 구조체는, 수배전반 또는 전동기제어반으로 하부를 지지하는 내진용 하부 지지 구조체로써,
상기 수배전반 또는 전동기제어반의 하부에 배치되되 상기 수배전반 또는 전동기제어반의 하부와 측부의 적어도 일부에 밀착되도록 수직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의 제1 블록;
상기 제1 블록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블록;
상기 제2 블록 사이에 개재되는 직사면체 또는 볼(ball) 형상의 탄성부재;
상기 제2 블록에 일측이 결합된 상태로 제2 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직 로드; 및
복수의 상기 제2 블록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유동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블록은 상기 수배전반 또는 전동기제어반의 하부와 측부에 스크류 결합 또는 자력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의 지지 구조체는, 수배전반의 바닥면에 결합되어 외부 진동은 물론 가변적으로 수평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내충격성이 우수하고 다양한 설치 환경에도 적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배전반의 지지 구조체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배전반의 지지 구조체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배전반의 지지 구조체의 단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수배전반의 지지 구조체의 사용 상태도들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도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배전반의 지지 구조체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배전반의 지지 구조체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배전반의 지지 구조체의 단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수배전반의 지지 구조체의 사용 상태도들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의 지지 구조체(100)는, 수배전반의 하측 부위를 지지하는 내진용 하부 지지 구조체로써, 수배전반 케이스(10)의 하측 부위에 배치되되, 수배전반(10)의 하부와 결합되는 제1 블록(120), 제1 블록(120)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블록(130), 제2 블록(130)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S), 제1 블록(120), 제2 블록(130)과 탄성부재(S)를 순차적으로 관통하는 수직 로드(150) 및 제1 블록(120)과 제2 블록(130)의 일측에는 스크류 결합되는 너트부재(N)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수배전반 케이스(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제1 블록(120)과 볼트(B)에 의하여 스크류 결합되는 고정 브라켓(110)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 브라켓(110)은 생략된 상태로 제1 블록(120)이 수배전반 케이스(10)의 하부에 직접 스크류 체결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 지지 구조체(100)는 수배전반 케이스(10)의 하측 부위, 즉 4측의 모서리 부위를 지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수배전반 지지 구조체(100)는 수배전반 케이스(10)의 하측 부위에 외부로부터 용이하게 설치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수배전반의 수평조절은 물론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점에 특징이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 지지 구조체(100)는 수배전반 케이스(10)가 설치되는 어두운 환경을 고려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미도시) 부위에 형광테이프(50)가 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배전반 지지 구조체(100)은 제1 블록(120), 한 쌍의 제2 블록(130), 제2 블록(130)의 사이에 개재되어 소정의 탄성력으로 외부 진동을 제어하는 탄성부재(S)가, 지면을 기준으로 상측 바향으로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다. 여기서, 수직 로드(150)는 원통형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수직 로드(150)의 일부에는 나사선(151)이 형성되고,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수직 로드(150)의 일측은 지면을 지지한 상태로 제1 블록(120), 제2 블록(130), 탄성부재(S)를 수직 관통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 수직 로드(150)의 하측에는 지면을 지지하면서 회전 가능하도록 너트(N)가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수직 로드(150)는 일측에 너트(N)가 고정된 상태로 제자리에서 회전 가능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수직 로드(150)의 외주면에는 수배전반 케이스(10)의 경사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소정의 간격으로 수평 눈금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블록(120)은 수직 로드(150)가 수직 관통되도록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되고, 수배전반 케이스(10)의 하부측을 지지하는 판상의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경우에 따라서, 제1 블록(120)에는 볼트(B)가 기 결정된 거리만큼 이동 가능하도록 슬라이드 홈(12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드 홈(125)는,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블록(120)의 볼트(B)가 삽입되는 관통홀을 중심으로 교차되는 형상으로 '+' 형성되어 볼트(B)가 체결된 상태에서 외부 진동에 대응하여 슬라이드 홈(125)를 따라 소정의 거리로 유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드 홈(125)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소정의 유격을 두어 볼트(B)가 이동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또, 한 쌍의 제2 블록(130)은 수직 로드(150)가 수직 관통되도록 관통홀(미도시)가 형성되어 있고, 지면을 지지하도록 판상의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제2 블록(130) 중 지면에 대면하도록 배치되는 제2 블록(130)의 상기 관통홀 주위에는 너트(N)가 안착 가능하도록 안착홈(133)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지면에 배치되는 제2 블록(130)의 일측에는 상기 지면과 볼트(B)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고정 연장바(131)가 형성되어 있다.
또, 한 쌍의 제2 블록(130)의 사이에는 소정의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부재(S)가 개재되어 있다. 따라서, 탄성부재(S)가 한 쌍의 제2 블록(130)에 개재되어 있으므로, 외부 진동이 발생되는 경우에 소정의 탄성력을 충격을 흡수하고 제2 블록(130)의 상호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블록(130)의 상부면에는, 별도의 너트(N)가 수직 로드(150)의 나사선(151)이 형성된 부위에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전술한 고정 브라켓(110)과 대면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제1 블록(120)이 일정한 거리로 이격된 상태로 수직 로드(150) 상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수직 로드(150)가 제자리에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제1 블록(120)이 상하 방향으로 승강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수직 로드(150)의 외주면은 단면이 단각형으로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별도의 공구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회전시킴으로써, 제1 블록(120)이 상하 방향으로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수직 로드(150)의 외주에 나사선(151)이 형성되고, 나사선(151)에 너트(N)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하여 너트(N)의 회전을 통하여 제1 블록(120)이 상하 방향으로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수직 로드(150)의 회전에 의하여 수배전반 케이스(10)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1 블록(120)이 승하강이 가능한 구조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공지된 기술이 채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 지지 구조체(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배전반의 하측 부위를 지지하는 내진용 하부 지지 구조체로써, 수배전반 케이스(10)의 하측 부위에 배치되되, 수배전반(10)의 하부와 결합되는 제1 블록(120), 제1 블록(120)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블록(130), 제2 블록(130) 사이에 개재되는 볼(ball) 형상의 탄성부재(S), 제2 블록(130)에 일측이 결합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하되는 수직 로드(150) 및 복수의 제2 블록(130)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유동볼트(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수배전반 케이스(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제1 블록(120)과 볼트(B)에 의하여 스크류 결합되는 고정 브라켓(110)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 브라켓(110)은 생략된 상태로 제1 블록(120)이 수배전반 케이스(10)의 하부에 직접 볼트에 의한 스크류 체결되는 방식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수배전반 지지 구조체(100)는 제1 블록(120), 한 쌍의 제2 블록(130), 제2 블록(130)의 사이에 개재되어 소정의 탄성력으로 외부 진동을 제어하는 볼(ball) 형상의 탄성부재(S)가 지면을 기준으로 상측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다. 탄성부재(S)는 소정의 탄성으로 회복 가능한 구조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고무소재 또는 중공형의 금속 볼일 수 있다.
수직 로드(150)는,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원통형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이 제2 블록(130)에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또, 수직 로드(150)의 상부측에는 제1 블록(120) 및 고정 브라켓(110)기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즉, 마찬가지로, 전술한 고정 브라켓(110)과 대면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제1 블록(120)이 일정한 거리로 이격된 상태로 수직 로드(150) 상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수직 로드(150)가 제자리에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제1 블록(120)이 상하 방향으로 승강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의 제2 블록(130)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고 이러한 이격 부위에 볼(ball) 형상의 탄성부재(S)가 개재되어 있다. 즉, 한 쌍의 제2 블록(130)에는 볼 형상의 탄성부재(S)가 안정적으로 개재되도록 만곡홈(131)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제2 블록(130)의 양단부 부위에는 수직 관통하는 한 쌍의 유동볼트(30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유동볼트(300)는 한 쌍의 제2 블록(130)의 양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 블록(130) 중 상측에 배치된 하나는 유동볼트(300)의 회전에 의하여 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유동볼트(300)의 상측 일부는 상부측에 배치되는 제2 블록(130)의 최상단 부위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유동볼트(300)의 회전에 의하여 상측에 배치된 제2 블록(130)은 상기 돌출된 높이의 거리로 승하강이 이루어짐으로써, 제2 블록(130)에 일측이 결합된 상태로 회전되는 수직 로드(150)에 의하여 제1 블록(120)가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승하강이 가능할 수 있다.
이 때, 전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2 블록(130) 사이에는 볼 형상의 탄성부재(S)가 개재되어 있으므로, 제1 블록(120) 및 제2 블록(130)은 탄성적으로 승하강이 가능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블록(120) 및 제2 블록(130)의 탄성적인 승하강에 따라 수배전반 케이스(10)가 안정적으로 수평 지지될 뿐만 아니라, 볼 형상의 탄성부재(S)가 소정의 탄성력을 갖고 외형이 변형 및 복원되면서 외력에 의한 외부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배전반 지지 구조체(100)의 한 쌍의 유동볼트(300)는 한 상의 제2 블록(130)의 양측 단부에 또 다른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는 유동볼트(300)가 상하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탄성 스프링(T)이 개재될 수 있다. 즉, 유동볼트(300)는 일측이 지면을 지지하는 제2 블록(1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한 쌍의 제2 블록(130) 중, 지면을 기준으로, 상측 부위에 배치되는 제2 블록(130)의 상기 관통홀에 삽입 돌출되어 있다. 이 때, 상측에 배치되는 제2 블록(130)의 상기 관통홀에는 탄성 스프링(T)이 개재되어 있으므로, 유동볼트(300)의 상기 타측 부위가 탄성 스프링(T)의 탄성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승하강이 이루어지면서 제1 블록(120)이 연동되어 승하강이 이루어질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제1 블록(120)은 단면이 'ㄴ' 형상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배전반 케이스(10)의 하부측을 지지하는 제1 블록(120)에 수배전반 케이스(10)의 측면 부위에 밀착되는 수직 연장바(121)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배전반 케이스(10)의 외부에서도 용이하게 볼팅 체결 방식으로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 지지 구조체(100)를 설치할 수 있다.
나아가, 수배전반 케이스(10)의 내측면 부위에, 도 6에 되시된 별도의 자력을 제공하는 마그네트(20)를 추가로 배치시켜 수배전반 지지 구조체(100)과 수배전반 케이스(10)의 상호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술한 일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진다고 할 것이다.
10: 수배전반 케이스 20: 마그네트
50: 형광 스티커 100: 지지 구조체
110: 고정 브라켓 120: 제1 블록
130: 제2 블록 131: 고정 연장바
132: 만곡홈 150: 수직 로드
151: 나사선 300: 유동볼트
301: 나사선 B: 볼트
N: 너트 S: 탄성부재
T: 탄성 스프링

Claims (23)

  1. 수배전반 또는 전동기제어반으로 하부를 지지하는 내진용 하부 지지 구조체로써,
    상기 수배전반 또는 전동기제어반의 하부에 배치되되 상기 수배전반 또는 전동기제어반의 하부와 결합되는 제1 블록;
    상기 제1 블록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블록;
    상기 제2 블록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
    상기 제1 블록, 제2 블록과 탄성부재를 순차적으로 관통하는 수직 로드;
    상기 제1 블록과 제2 블록의 적어도 일측에는 스크류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너트부재; 및
    상기 제2 블록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유동볼트;를 포함하는 수배전반의 지지 구조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로드의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제1 블록과 상기 제2 블록 중 적어도 하나가 수직 상하 방향으로 승하강 이동이 가능하도록 나사선이 형성되는 수배전반의 지지 구조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직사면체 또는 원형의 볼(Ball) 형상으로 형성되는 수배전반의 지지 구조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블록에는 볼 형상의 상기 탄성부재가 이탈되지 않도록 만곡홈이 형성되는 수배전반의 지지 구조체.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볼트는 복수의 상기 제2 블록의 양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 블록은 상기 유동볼트의 회전에 의하여 상호 이격 또는 근접되는 수배전반의 지지 구조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볼트의 적어도 일부는, 수평 단면상 상기 제2 블록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수배전반의 지지 구조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볼트는 복수의 상기 제2 블록의 양측 단부에 형성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는 상기 유동볼트가 상하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탄성 스프링;이 개재되는 수배전반의 지지 구조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로드는 축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수배전반의 지지 구조체.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블록의 일측에는 바닥면에 볼팅 결합을 안내하는 고정 연장바가 형성되는 수배전반의 지지 구조체.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배전반 또는 전동기제어반의 개폐수단에는 야간에도 시각적으로 확인 가능한 형광소재가 형성되는 수배전반의 지지 구조체.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배전반 또는 전동기제어반이 설치되는, 바닥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블록이 제2 블록의 상부에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어 적층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수배전반의 지지 구조체.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로드의 적어도 일부는, 수평 단면상, 상부측의 일부가 상기 제1 블록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수배전반의 지지 구조체.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로드의 하부에는 상기 너트부재가 삽입되고, 상기 제2 블록의 하부에는 상기 너트부재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수배전반의 지지 구조체.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로드는 외부에서 공구를 사용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단면이 다각형 구조로 형성되는 수배전반의 지지 구조체.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록은 상기 수배전반 또는 전동기제어반의 하부에 고정부재에 의하여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블록에는 상기 고정부재가 소정의 거리로 이동 가능하도록 슬라이드 홈이 형성되는 수배전반의 지지 구조체.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홈은 단면이 타원형 또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수배전반의 지지 구조체.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록이 형성되는 상기 수배전반 또는 전동기제어반의 내면에는 소정의 자력을 제공하는 마그네트(magnet)가 개재되는 수배전반의 지지 구조체.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로드의 외주면에는 외부에서 관찰 가능하도록 눈금이 형성되는 수배전반의 지지 구조체.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록은 상기 수배전반 또는 전동기제어반 내부의 하부면에 배치되는 수배전반의 지지 구조체.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배전반 또는 전동기제어반의 내면에는 상기 제1 블록과 스크류 결합되는 판상의 고정 플레이트가 배치되는 수배전반의 지지 구조체.
  22. 수배전반 또는 전동기제어반으로 하부를 지지하는 내진용 하부 지지 구조체로써,
    상기 수배전반 또는 전동기제어반의 하부에 배치되되 상기 수배전반 또는 전동기제어반의 하부와 측부의 적어도 일부에 밀착되도록 수직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의 제1 블록;
    상기 제1 블록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블록;
    상기 제2 블록 사이에 개재되는 직사면체 또는 볼(ball) 형상의 탄성부재;
    상기 제2 블록에 일측이 결합된 상태로 제2 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직 로드; 및
    복수의 상기 제2 블록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유동볼트;를 포함하는 수배전반의 지지 구조체.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록은 상기 수배전반 또는 전동기제어반의 하부와 측부에 스크류 결합 또는 자력에 의하여 결합되는 수배전반의 지지 구조체.
KR1020210079611A 2021-06-18 2021-06-18 수배전반의 지지 구조체 KR1023570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9611A KR102357043B1 (ko) 2021-06-18 2021-06-18 수배전반의 지지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9611A KR102357043B1 (ko) 2021-06-18 2021-06-18 수배전반의 지지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7043B1 true KR102357043B1 (ko) 2022-02-08

Family

ID=80252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9611A KR102357043B1 (ko) 2021-06-18 2021-06-18 수배전반의 지지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70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6908B1 (ko) * 2022-11-07 2023-03-07 (주)은성엔지니어링 방진 장치 일체형 슬라이드 구조 내진 스토퍼를 갖춘 배전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1571B1 (ko) * 2011-04-20 2011-11-08 진영이티에스 (주) 내진스프링을 이용한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KR101155995B1 (ko) 2011-10-21 2012-06-18 주식회사 일산전기 내진장치를 구비한 배전반(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mcc)
KR101624550B1 (ko) * 2014-12-30 2016-05-27 주식회사 삼정일렉텍 계전기 제어반의 내진장치
KR101740966B1 (ko) * 2016-11-30 2017-05-29 이덕화 3차원 유동 내진 구조를 갖는 수배전반
KR101886698B1 (ko) * 2018-02-13 2018-08-08 주식회사 엔피산업전기 내진성이 향상되는 원추형 내진 모듈장치
KR102155297B1 (ko) * 2020-04-06 2020-09-11 주식회사 스마트파워 분배전반, 태양광 접속반, 모터 제어반의 스마트 내진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1571B1 (ko) * 2011-04-20 2011-11-08 진영이티에스 (주) 내진스프링을 이용한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KR101155995B1 (ko) 2011-10-21 2012-06-18 주식회사 일산전기 내진장치를 구비한 배전반(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mcc)
KR101624550B1 (ko) * 2014-12-30 2016-05-27 주식회사 삼정일렉텍 계전기 제어반의 내진장치
KR101740966B1 (ko) * 2016-11-30 2017-05-29 이덕화 3차원 유동 내진 구조를 갖는 수배전반
KR101886698B1 (ko) * 2018-02-13 2018-08-08 주식회사 엔피산업전기 내진성이 향상되는 원추형 내진 모듈장치
KR102155297B1 (ko) * 2020-04-06 2020-09-11 주식회사 스마트파워 분배전반, 태양광 접속반, 모터 제어반의 스마트 내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6908B1 (ko) * 2022-11-07 2023-03-07 (주)은성엔지니어링 방진 장치 일체형 슬라이드 구조 내진 스토퍼를 갖춘 배전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7706B1 (ko) 내진기능 및 수평조절이 가능한 수배전반
KR101702349B1 (ko) 평상시 사용성이 개선된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KR101495094B1 (ko) 배전설비용 내진 장치
KR101568162B1 (ko) 수직 및 수평조절이 가능한 내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배전반
KR101598434B1 (ko) 내진용 배전반
KR102070608B1 (ko) 진동 감쇠 기능을 가지는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KR101913068B1 (ko) 배전반용 내진 구조물
KR101100147B1 (ko) 수배전반용 방진구
KR101959200B1 (ko) 배전반용 내진모듈
KR101894976B1 (ko) 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
KR101515791B1 (ko) 내진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KR102357043B1 (ko) 수배전반의 지지 구조체
KR102067244B1 (ko) 내진 구조물
KR102106768B1 (ko) 조립식 전기 컨트롤박스
KR102030958B1 (ko) 내진 기능을 가지는 전기 제어 함체
JP2010537129A (ja) 耐震補強部品を有する装置
KR20140142512A (ko) 풍하중 저항부재가 구비된 면진 장치
KR102291357B1 (ko)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KR100939576B1 (ko) 내진용 수배전반
KR101754352B1 (ko) 면진 및 내진 기능이 구비된 수배전반(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mcc)
KR100514720B1 (ko) 송전 가공 선로용 상간 스페이스
KR102106523B1 (ko) 스틸볼을 이용한 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고압반, 저압반, 전동기 제어반, 분전반)
KR102273249B1 (ko) 내진 및 누전 방지기능을 갖는 공동주택 단지용 전기 맨홀 구조체
CN110943424A (zh) 一种工地用防雷装置的固定安装架
KR102183834B1 (ko) 내진용 자기에어스프링 유닛이 내장된 수배전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