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2861B1 - 지중배전용 케이블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지중배전용 케이블 보호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22861B1 KR102022861B1 KR1020190047683A KR20190047683A KR102022861B1 KR 102022861 B1 KR102022861 B1 KR 102022861B1 KR 1020190047683 A KR1020190047683 A KR 1020190047683A KR 20190047683 A KR20190047683 A KR 20190047683A KR 102022861 B1 KR102022861 B1 KR 10202286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nection terminal
- electrically connected
- bar
- coupling
- lower bod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1/00—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by detecting changes in 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 G01H11/06—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by detecting changes in 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by electric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에 매설된 케이블이 포크레인과 같은 중장비를 이용한 공사나, 토사의 압력으로 인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지중배전용 케이블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특징적인 구성은, 지중에 매설되는 케이블의 상면을 덮도록 하단에 반원형의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면 양측부에는 연결공을 갖는 설치공간이 형성되며, 상면에는 스프링이 결합되는 복수개의 안착홈이 형성된 하부몸체; 상기 하부몸체의 상면을 감싸는 박스 형상으로, 내측 하단에는 상기 안착홈과 대응되는 복수개의 결합홈이 형성된 결합공간이 형성되고, 외측 테두리에는 상기 결합공간과 연통되는 한 쌍의 관통공이 상기 설치공간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면 테두리와 인접한 위치에는 상기 결합공간과 연통되며 내경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의 제1접속단자 및 제2접속단자가 구비된 한 쌍의 가이드공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공의 사이에는 상기 제1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개의 램프가 상면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공과 인접한 위치에는 상기 제2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기가 구비된 상부몸체; 상기 연결공과 대응되는 결합공이 일단에 구비되고 타단이 상기 하부몸체의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며 연장 형성되는 바 형상으로, 상기 결합공에 체결되는 볼트를 통하여 상기 연결공에 일단이 회전되게 결합되고, 연장되는 단부의 상면에는 탄성판이 구비되어 상기 하부몸체의 설치공간에 대향되게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유동바; 및 상기 가이드공에 삽입되는 원통형의 바 형상으로, 길이 방향의 양측 부에는 상기 제1접속단자 및 제2접속단자와 접촉 가능하게 복수개의 연결단자가 구비되고, 상부에는 상기 연결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램프가 구비된 승강바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몸체와 하부몸체 간 결합 시, 상기 승강바의 하단이 상기 설치공간에 위치된 유동바의 하단에 밀착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유동바의 조절에 따라, 상기 가이드공의 길이 방향으로 승강바가 유동되어 상기 제1접속단자 및 제2접속단자가 연결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구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지중배전용 케이블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지중에 매설된 케이블이 포크레인과 같은 중장비를 이용한 공사나, 토사의 압력으로 인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지중배전용 케이블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중케이블이란, 지하에 매설되어 공장이나 대규모 아파트 단지 등으로 전기케이블, 통신케이블을 연결할 수 있도록 포설되는 케이블을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지중케이블은 지중에 형성된 전력구에서 공장이나 대규모 아파트 단지 등으로 포설되는 것이 일반적으로 이는, 지상에 설치되는 각종 시설물이나 도로망에 의하여 지중케이블을 지상에 포설하기 어려운 문제를 개선하고, 지중케이블이 외부 환경이나 충격에 의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지중에 포설되는 지중케이블은 지중에 매설되는 위치적 한계로 인하여 지중케이블의 위치를 지상에서는 용이하게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어, 지중에 매설된 케이블이 포크레인과 같은 중장비의 공사과정에서 강한 압력을 전달받아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 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위와 같은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문헌(1)에서와 같이, 지중에 매설되는 지중케이블의 외부를 감싸는 형태의 방호판을 설치하여 지중에 매설된 지중케이블이 외부 충격에 의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문헌(1)과 같은 방호판은 지중에 매설된 지중케이블의 위치를 공사를 진행하는 작업자에게 알려 공사를 멈추도록 할 수는 있으나, 이를 위한 구성으로 광신호송신기와, 광신호수신기를 구비하여 광케이블로 전달되는 광신호가 전달되지 못하는 경우에만 지중케이블이 위치된 장소를 작업자에게 알릴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지중케이블이 매설된 위치를 작업자에게 신속히 알리기는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문헌(1)과 같은 종래의 방호판은 지중케이블의 위치를 작업자에게 알리고자 작동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방호판의 구성이 손상된 경우에만 국한되므로, 작동이 이루어진 방호판을 새로이 교체해야 함으로써, 불필요한 방호판의 교체와 재 설치비용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중에 매설된 지중케이블의 위치를 공사현장의 작업자에게 신속하게 알릴 수 있도록 한다.
둘째, 날씨가 흐리거나 비가 내리는 경우에도 구비된 복수개의 램프를 점등시켜, 지중에 매설된 지중케이블의 위치를 공사현장의 작업자가 신속히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보호장치로 직접적인 압력이 전달되지 않는 경우에도 제어기와 연결되는 복수개의 진동세서 구성을 통하여 지중케이블이 매설된 장소에서 공사가 진행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넷째, 제어기의 배터리가 제1접속단자 및 제2접속단자가 연결단자와 접촉되는 경우에만 사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여,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에도 효율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따른 불필요한 교체비용이나 재설치비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다섯째, 설치하여 사용하는 중에 어느 하나의 구성이 손상되는 경우에도 손상된 부위만을 교체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어 설치비용에 비하여 높은 경제적 효율성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지중에 매설되는 케이블의 상면을 덮도록 하단에 반원형의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면 양측부에는 연결공을 갖는 설치공간이 형성되며, 상면에는 스프링이 결합되는 복수개의 안착홈이 형성된 하부몸체; 상기 하부몸체의 상면을 감싸는 박스 형상으로, 내측 하단에는 상기 안착홈과 대응되는 복수개의 결합홈이 형성된 결합공간이 형성되고, 외측 테두리에는 상기 결합공간과 연통되는 한 쌍의 관통공이 상기 설치공간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면 테두리와 인접한 위치에는 상기 결합공간과 연통되며 내경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의 제1접속단자 및 제2접속단자가 구비된 한 쌍의 가이드공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공의 사이에는 상기 제1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개의 램프가 상면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공과 인접한 위치에는 상기 제2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기가 구비된 상부몸체; 상기 연결공과 대응되는 결합공이 일단에 구비되고 타단이 상기 하부몸체의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며 연장 형성되는 바 형상으로, 상기 결합공에 체결되는 볼트를 통하여 상기 연결공에 일단이 회전되게 결합되고, 연장되는 단부의 상면에는 탄성판이 구비되어 상기 하부몸체의 설치공간에 대향되게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유동바; 및 상기 가이드공에 삽입되는 원통형의 바 형상으로, 길이 방향의 양측 부에는 상기 제1접속단자 및 제2접속단자와 접촉 가능하게 복수개의 연결단자가 구비되고, 상부에는 상기 연결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램프가 구비된 승강바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몸체와 하부몸체 간 결합 시, 상기 승강바의 하단이 상기 설치공간에 위치된 유동바의 하단에 밀착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유동바의 조절에 따라, 상기 가이드공의 길이 방향으로 승강바가 유동되어 상기 제1접속단자 및 제2접속단자가 연결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기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접속단자 및 제2접속단자가 연결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시, 상기 상부몸체에 구비된 램프와, 승강바에 구비된 램프로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기에는 지중에 매설되게 설치되어 감지되는 진동신호를 상기 제어모듈로 전달하는 복수개의 진동센서가 전기적으로 더 연결되고, 상기 상부몸체의 상면에는 상기 제어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진동센서의 신호에 따라 점등되는 복수개의 진동감지램프가 더 설치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지중에 매설된 지중케이블의 위치를 공사현장의 작업자에게 신속하게 알릴 수 있다.
둘째, 날씨가 흐리거나 비가 내리는 경우에도 구비된 복수개의 램프를 점등시켜, 지중에 매설된 지중케이블의 위치를 공사현장의 작업자가 신속히 인식할 수 있다.
셋째, 보호장치로 직접적인 압력이 전달되지 않는 경우에도 제어기와 연결되는 복수개의 진동세서 구성을 통하여 지중케이블이 매설된 장소에서 공사가 진행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넷째, 제어기의 배터리가 제1접속단자 및 제2접속단자가 연결단자와 접촉되는 경우에만 사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여,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에도 효율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따른 불필요한 교체비용이나 재설치비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섯째, 설치하여 사용하는 중에 어느 하나의 구성이 손상되는 경우에도 손상된 부위만을 교체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어 설치비용에 비하여 높은 경제적 효율성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지중배전용 케이블 보호장치의 결합 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인 지중배전용 케이블 보호장치의 결합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지중배전용 케이블 보호장치의 유동바 작동상태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지중배전용 케이블 보호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지중배전용 케이블 보호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지중배전용 케이블 보호장치의 다른 작동상태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인 지중배전용 케이블 보호장치의 결합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지중배전용 케이블 보호장치의 유동바 작동상태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지중배전용 케이블 보호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지중배전용 케이블 보호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지중배전용 케이블 보호장치의 다른 작동상태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지중(G)에 매설되는 케이블(1)의 상면을 덮도록 하단에 반원형의 안착홈(11)이 형성되고, 상면 양측부에는 연결공(12a)을 갖는 설치공간(12)이 형성되며, 상면에는 스프링(S)이 결합되는 복수개의 안착홈(13)이 형성된 하부몸체(10); 상기 하부몸체(10)의 상면을 감싸는 박스 형상으로, 내측 하단에는 상기 안착홈(13)과 대응되는 복수개의 결합홈(21a)이 형성된 결합공간(21)이 형성되고, 외측 테두리에는 상기 결합공간(21)과 연통되는 한 쌍의 관통공(22)이 상기 설치공간(12)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면 테두리와 인접한 위치에는 상기 결합공간(21)과 연통되며 내경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의 제1접속단자(23a) 및 제2접속단자(23b)가 구비된 한 쌍의 가이드공(23)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공(23)의 사이에는 상기 제1접속단자(23a)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개의 램프(24)가 상면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공(23)과 인접한 위치에는 상기 제2접속단자(23b)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기(25)가 구비된 상부몸체(20); 상기 연결공(12a)과 대응되는 결합공(31)이 일단에 구비되고 타단이 상기 하부몸체의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며 연장 형성되는 바 형상으로, 상기 결합공(31)에 체결되는 볼트(P)를 통하여 상기 연결공(12a)에 일단이 회전되게 결합되고, 연장되는 단부의 상면에는 탄성판(32)이 구비되어 상기 하부몸체(10)의 설치공간(12)에 대향되게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유동바(30); 및 상기 가이드공(23)에 삽입되는 원통형의 바 형상으로, 길이 방향의 양측 부에는 상기 제1접속단자(23a) 및 제2접속단자(23b)와 접촉 가능하게 복수개의 연결단자(40a)가 구비되고, 상부에는 상기 연결단자(40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램프(41)가 구비된 승강바(40)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몸체(20)와 하부몸체(20) 간 결합 시, 상기 승강바(40)의 하단이 상기 설치공간(12)에 위치된 유동바(30)의 하단에 밀착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유동바(30)의 조절에 따라, 상기 가이드공(23)의 길이 방향으로 승강바(40)가 유동되어 상기 제1접속단자(23a) 및 제2접속단자(23b)가 연결단자(40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하부몸체(10)는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하면에 반원형의 안착홈(11)이 형성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며, 상면 양측부에는 연결공(12a)을 갖는 설치공간(12)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몸체(10)의 상면에는 스프링(S)이 결합되는 복수개의 안착홈(13)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안착홈(11)은 도 1에서와 같이, 하부몸체(10)의 하면에 형성되는 것이며, 도시한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지중(G)에 매설되는 케이블(1)이 상기 안착홈(11)에 삽입된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즉, 상기 하부몸체(10)가 지중(G)에 매설된 케이블(1)의 상부를 감싸도록 위치되어 케이블(1)의 상부로 외부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설치공간(12)은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할 유동바(30)가 상기 연결공(12a)에 결합되어 도 3에서와 같이, 연결공(12a)을 중심으로 유동바(30)가 회전을 이룰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며,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하부몸체(10)와 상부몸체(20)가 결합을 이룬 후, 상기 설치공간(12)의 연결공(12a)으로 유동바(30)가 결합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안착홈(13)은 상기 하부몸체(10)의 상면에 복수개 형성되어 하부몸체(10)와 상부몸체(10) 간 결합 시, 상기 안착홈(13)에 결합되는 스프링(S)이 상부몸체(10)의 하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몸체(20)는 상기 하부몸체(10)의 상면을 감쌀 수 있는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 2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하부몸체(10)의 상부에 결합되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몸체(20)의 내측 하단으로는 상기 안착홈(13)과 대응되는 복수개의 결합홈(21a)이 형성된 결합공간(21)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몸체(10)와 상부몸체(20) 간 결합 시, 상기 안착홈(13)에 결합되는 스프링(S)이 상기 결합홈(21a)에 안착 결합되어 하부몸체(10)의 상부로 상부몸체(10)가 탄성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관통공(22)은 상기 하부몸체(10)의 설치공(12)과 대응되는 위치를 이루도록 상부몸체(20)의 외측 테두리에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하부몸체(10)의 상부로 상부몸체(20)를 결합한 후에 상부몸체(20)의 관통공(22)으로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할 유동바(30)를 삽입하여 하부몸체(20)의 연결공(12a)에 유동바(30)의 단부가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부몸체(20)의 상면 테두리와 인접한 위치에는 상기 결합공(21)과 연통되며, 내경 길이 방향으로는 복수개의 제1접속단자(23a) 및 제2접속단자(23b)가 구비된 한 쌍의 가이드공(23)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공(23)은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상부몸체(20)의 상면 중심부위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 되게 형성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공(23)에 구비되는 제1접속단자(23a) 및 제2접속단자(23b)는 상기 상부몸체(20)의 상면 중심부위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 되게 구비되어 구성된다.
또한,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가이드공(23)의 사이를 이루는 상부몸체(20)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램프(24)가 구비되어 구성되며, 상기 램프(24)는 상기 제1접속단자(23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공(23)과 인접한 위치에는 상기 제2접속단자(23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제어기(25)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위와 같은 구성은 상기 제어기(25)의 구성을 통하여 상기 램프(24)가 점등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이러한, 경우에도 상기 제1접속단자(23a)와 제2접속단자(23b)의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만, 상기 램프(24)가 제어기(25)를 통하여 점등되게 구성되는 것이다.
이는 즉, 상기 연결공(12a)에 일단이 회전되게 결합되는 유동바(30)가 상기 가이드공(23)에 삽입되는 승강바(40)의 구성을 통하여 상기 제1접속단자(23a)와 제2접속단자(23b)에 전기적인 연결이 제어되게 구성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유동바(30)는 상기 연결공(12a)과 대응되는 결합공(31)이 일단에 구비되고, 타단이 상기 하부몸체의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게 연장 형성되는 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상기 결합공(31)에 체결이 이루어지는 볼트(P)를 통하여 상기 연결공(12a)에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일단이 회전되게 결합되고, 상기 하부몸체(10)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이 이루어지는 부위의 단부 상면에는 탄성판(32)이 구비되어 상기 하부몸체(10)의 설치공간(12)에 대향 되게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바(40)는 상기 가이드공(23)에 삽입되는 원통의 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길이 방향의 양측부에는 상기 제1접속단자(23a) 및 제2접속단자(23b)와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는 복수개의 연결단자(40a)가 구비되어 구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연결단자(40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램프(41)가 상단에 구비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도 1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가이드공(23)으로 승강바(40)가 삽입을 이루도록 구성하되, 승강바(40)의 하단이 하부몸체(10)의 설치공간(12)에 위치되는 유동바(30)의 하단에 밀착되도록 결합되게 구성함으로써, 도 3 및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유동바(30)의 조절에 따라 가이드공(23)의 길이 방향으로 승강바(40)의 상,하 이동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이드공(23)에 삽입된 승강바(40)가 도 3 및 도 5에서와 같이, 이동을 이루는 경우에는 상기 승강바(40)의 길이 방향 양측부에 구비된 연결단자(40a)가 상부몸체(20)의 가이드공(23) 내측에 구비되는 제1접속단자(23a) 및 제2접속단자(23b)와 접촉을 이루게 되어 제1접속단자(23a)와 제2접속단자(23b)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는, 상기 승강바(40)의 위치 이동에 의하여 상기 제1접속단자(23a)와 제2접속단자(23b)가 전기적인 연결을 이루게 됨에 따라, 상기 제2접속단자(23b)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기(25)가 상부몸체(20)의 상면에 위치된 복수개의 램프(24)를 점등시키게 되는 것이며, 상기 승강바(40)의 상부에 구비된 램프(41) 또한, 제어기(25)의 조절에 따라 점등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즉, 지중(G)에 매설된 하부몸체(10)와 상부몸체(20)의 방향으로 도 5에서와 같이, 포크레인과 같은 중장비가 작업을 이루는 경우에는, 중장비의 기구가 상기 유동바(30)와 접촉되어 유동바(30)를 가압함으로써, 도 5에서와 같이, 유동바(30)의 위치가 조절되게 되고, 이에 따른, 상기 유동바(30)의 위치 변화에 따라 상기 승강바(40)의 위치가 조절되게 구성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램프(24,41)를 점등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승강바(40)에 구비된 램프(41)는 포크레인과 같은 중장비가 접촉되는 경우에도 손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지 위하여 강화유리 또는 강화플라스틱로 외피를 형성한 후에 강화유리의 내측으로 램프(41)가 구비되게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동바(30)는 본 발명에서 상기 하부몸체(10)의 외측 방향으로 설치되어 포크레인과 같은 중장비의 접촉이 발생되는 경우, 승강바(40)를 이동시키게 도시하여 설명하였지만,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하부몸체(10)의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하여 포크레인과 같은 중장비가 하부몸체(10)의 하단에 위치된 케이블(1)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유동바(30)에 구비된 탄성판(32)은 탄성을 갖는 고무재로 구성하여 포크레인과 같은 중장비의 접촉으로 인하여 유동바(30)가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기(25)를 통하여 상부몸체(20)의 램프(24)와, 승강바(40)의 램프(41)를 점등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어기(25)는 배터리(25a)와, 상기 배터리(25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접속단자(23a) 및 제2접속단자(23b)가 연결단자(40a)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시, 상기 상부몸체(20)에 구비된 램프(24)와, 승강바(40)에 구비된 램프(41)로 배터리(25a)의 전원을 공급하는 제어모듈(25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배터리(25a)는 외부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배터리(25a)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외부 전원을 공급받는 배터리의 연결선이 끊어지거나 손상되는 경우에는 배터리 본연의 기능을 이룰 수 없기 때문에, 건전지와 같은 배터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때, 상기 배터리(25a)를 건전지와 같은 형태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상기 상부몸체(20)의 가이드공(23)에 구비된 제1접속단자(23a)와 제2접속단자(23b)가 승강바(40)의 연결단자(40a)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에만, 배터리(25a)의 사용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배터리(25a)를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에도 효율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어기(25)에는 도시한 도 6에서와 같이, 지중(G)에 매설되게 설치되어 감지되는 진동신호를 상기 제어모듈(25b)로 전달하는 복수개의 진동센서(51)가 전기적으로 더 연결되게 구성되고, 상기 상부몸체(20)의 상면에는 상기 제어모듈(25b)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진동센서(51)의 신호에 따라 점등되는 복수개의 진동감지램프(52)가 더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본 발명인 지중배전용 케이블 보호장치를 지중(G)에 매설되게 설치하는 경우, 상기 승강바(40)로 포크레인과 같은 중장비가 접촉을 이루지 않고도 케이블 보호장치가 설치된 지중(G)의 진동을 진동센서(51)가 감지하도록 구성하고, 이러한 진동센서(51)의 구성에 따라 진동센서(51)가 진동을 감지하는 경우에는 상기 진동감지램프(52)가 점등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진동센서(51)는 설치를 이루고자 하는 위치에 따라 지면과 인접한 위치에 설치하여 본 발명인 지중배전용 케이블 보호장치가 설치된 지면(G)에 진동이 발생 되는 것을 미리 감지하여 중장비를 이용한 공사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복수개의 진동센서(51)가 상부몸체(20)의 상측과 외측을 감싸도록 설치하여, 상기 상부몸체(20)의 주위에서 발생하는 진동에 따라 상기 진동감지램프(52)가 점등되게 함으로써, 상부몸체(20)가 중장비 등으로 인하여 충격받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하부몸체(10), 상부몸체(20), 유동바(30), 승강바(40)의 구성을 통하여 본 발명인 지중배전용 케이블 보호장치가 설치된 위치를 작업자가 신속히 파악하여 공사를 멈추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하부몸체(10)로 전달되는 충격을 방지하여 지중(G)에 매설되는 케이블(1)의 보호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요지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케이블 10: 하부몸체
11: 안착홈 12: 설치공간
12a: 연결공 13: 안착홈
20: 상부몸체 21: 결합공간
21a: 결합홈 22: 관통공
23: 가이드공 23a: 제1접속단자
23b: 제2접속단자 24,41: 램프
25: 제어기 25a: 배터리
25b: 제어모듈 30: 유동바
31: 결합공 32: 탄성판
40: 승강바 40a: 연결단자
51: 진동센서 52: 진동감지램프
60: 포크레인 G: 지중
S: 스프링
11: 안착홈 12: 설치공간
12a: 연결공 13: 안착홈
20: 상부몸체 21: 결합공간
21a: 결합홈 22: 관통공
23: 가이드공 23a: 제1접속단자
23b: 제2접속단자 24,41: 램프
25: 제어기 25a: 배터리
25b: 제어모듈 30: 유동바
31: 결합공 32: 탄성판
40: 승강바 40a: 연결단자
51: 진동센서 52: 진동감지램프
60: 포크레인 G: 지중
S: 스프링
Claims (3)
- 지중(G)에 매설되는 케이블(1)의 상면을 덮도록 하단에 반원형의 안착홈(11)이 형성되고, 상면 양측부에는 연결공(12a)을 갖는 설치공간(12)이 형성되며, 상면에는 스프링(S)이 결합되는 복수개의 안착홈(13)이 형성된 하부몸체(10);
상기 하부몸체(10)의 상면을 감싸는 박스 형상으로, 내측 하단에는 상기 안착홈(13)과 대응되는 복수개의 결합홈(21a)이 형성된 결합공간(21)이 형성되고, 외측 테두리에는 상기 결합공간(21)과 연통되는 한 쌍의 관통공(22)이 상기 설치공간(12)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면 테두리와 인접한 위치에는 상기 결합공간(21)과 연통되며 내경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의 제1접속단자(23a) 및 제2접속단자(23b)가 구비된 한 쌍의 가이드공(23)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공(23)의 사이에는 상기 제1접속단자(23a)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개의 램프(24)가 상면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공(23)과 인접한 위치에는 상기 제2접속단자(23b)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기(25)가 구비된 상부몸체(20);
상기 연결공(12a)과 대응되는 결합공(31)이 일단에 구비되고 타단이 상기 하부몸체의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며 연장 형성되는 바 형상으로, 상기 결합공(31)에 체결되는 볼트(P)를 통하여 상기 연결공(12a)에 일단이 회전되게 결합되고, 연장되는 단부의 상면에는 탄성판(32)이 구비되어 상기 하부몸체(10)의 설치공간(12)에 대향되게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유동바(30); 및
상기 가이드공(23)에 삽입되는 원통형의 바 형상으로, 길이 방향의 양측 부에는 상기 제1접속단자(23a) 및 제2접속단자(23b)와 접촉 가능하게 복수개의 연결단자(40a)가 구비되고, 상부에는 상기 연결단자(40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램프(41)가 구비된 승강바(40)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몸체(20)와 하부몸체(20) 간 결합 시, 상기 승강바(40)의 하단이 상기 설치공간(12)에 위치된 유동바(30)의 하단에 밀착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유동바(30)의 조절에 따라, 상기 가이드공(23)의 길이 방향으로 승강바(40)가 유동되어 상기 제1접속단자(23a) 및 제2접속단자(23b)가 연결단자(40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제어기(25)는
배터리(25a)와,
상기 배터리(25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접속단자(23a) 및 제2접속단자(23b)가 연결단자(40a)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시, 상기 상부몸체(20)에 구비된 램프(24)와, 승강바(40)에 구비된 램프(41)로 배터리(25a)의 전원을 공급하는 제어모듈(25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배전용 케이블 보호장치.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25)에는
지중에 매설되게 설치되어 감지되는 진동신호를 상기 제어모듈(25b)로 전달하는 복수개의 진동센서(51)가 전기적으로 더 연결되고,
상기 상부몸체(20)의 상면에는 상기 제어모듈(25b)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진동센서(51)의 신호에 따라 점등되는 복수개의 진동감지램프(52)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배전용 케이블 보호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47683A KR102022861B1 (ko) | 2019-04-24 | 2019-04-24 | 지중배전용 케이블 보호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47683A KR102022861B1 (ko) | 2019-04-24 | 2019-04-24 | 지중배전용 케이블 보호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22861B1 true KR102022861B1 (ko) | 2019-09-19 |
Family
ID=68067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47683A KR102022861B1 (ko) | 2019-04-24 | 2019-04-24 | 지중배전용 케이블 보호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22861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02270B1 (ko) | 2020-08-28 | 2021-01-13 | (주)사성기술단 | 배전용 지중 케이블 보호장치 구조물 |
KR20210038032A (ko) * | 2019-09-30 | 2021-04-07 | 대구시설공단 | 지중선로 충격 알림 장치 |
KR102269202B1 (ko) * | 2020-12-28 | 2021-06-28 | 주식회사 승원이엔지 | 지중배전용 케이블 방호장치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20211B1 (ko) | 2008-01-12 | 2008-04-08 | 박혜숙 | 지중배전용 케이블 방호판 |
KR101032711B1 (ko) * | 2010-12-20 | 2011-05-06 | (유)남양기술단 | 지중배전용 케이블 방호장치 |
KR101795791B1 (ko) * | 2017-06-05 | 2017-11-08 | 이호기술단(주) | 지중송전선로의 전선보호관 |
-
2019
- 2019-04-24 KR KR1020190047683A patent/KR10202286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20211B1 (ko) | 2008-01-12 | 2008-04-08 | 박혜숙 | 지중배전용 케이블 방호판 |
KR101032711B1 (ko) * | 2010-12-20 | 2011-05-06 | (유)남양기술단 | 지중배전용 케이블 방호장치 |
KR101795791B1 (ko) * | 2017-06-05 | 2017-11-08 | 이호기술단(주) | 지중송전선로의 전선보호관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38032A (ko) * | 2019-09-30 | 2021-04-07 | 대구시설공단 | 지중선로 충격 알림 장치 |
KR102339572B1 (ko) * | 2019-09-30 | 2021-12-16 | 대구시설공단 | 지중선로 충격 알림 장치 |
KR102202270B1 (ko) | 2020-08-28 | 2021-01-13 | (주)사성기술단 | 배전용 지중 케이블 보호장치 구조물 |
KR102269202B1 (ko) * | 2020-12-28 | 2021-06-28 | 주식회사 승원이엔지 | 지중배전용 케이블 방호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22861B1 (ko) | 지중배전용 케이블 보호장치 | |
KR102045848B1 (ko) | 누전확인이 가능한 지중배전선 이탈방지용 고정장치 | |
KR101771074B1 (ko) | 지중 매설형 배전선 연결 장치 | |
KR101638508B1 (ko) | 지중배전케이블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 | |
KR101399045B1 (ko) | 지중전선의 배전선로 보호패널 | |
US11101692B2 (en) | Method for producing a system for inductively transmitting energy to a mobile part, and device for carrying out the method | |
KR101039358B1 (ko) | 배전용 지중전선 접속 브래킷 | |
KR101038748B1 (ko) | 지중배전선 접속전용 커넥터 | |
KR102269202B1 (ko) | 지중배전용 케이블 방호장치 | |
KR100808968B1 (ko) | 가로등 케이블 및 가로등 시설물 이상 실시간 자동 통보시스템 | |
KR101116185B1 (ko) | 지중배전선 보호용 절연전선관 | |
KR101987084B1 (ko) | 지중배전용 케이블 방호장치 | |
KR20210140864A (ko) | 스마트 맨홀 덮개 | |
KR101271746B1 (ko) | 배전용 지중전선 접속 브래킷 | |
KR100945293B1 (ko) | 인터넷 및 전화통신 매개용 지중 광케이블 커넥터 | |
WO2018184068A1 (en) | Underground utilities enclosures | |
KR101447198B1 (ko) | 신설작업이 용이한 지중 배전선로의 기초대 | |
CN105655940A (zh) | 新型安全电缆桥架 | |
KR101091116B1 (ko) | 지중배전선 절연탑재용 보호파이프 | |
KR101645519B1 (ko) | 배전선로의 고장지점 탐지시스템 | |
KR100820211B1 (ko) | 지중배전용 케이블 방호판 | |
KR101706697B1 (ko) | 배전 및 변전용 피뢰기의 마운팅 브라켓 높이 조절장치 | |
KR102247225B1 (ko) | 지중 배전선로의 실시간 원격진단 시스템 | |
KR102056171B1 (ko) | 특고압 배전선로 전선관장치 | |
KR100933936B1 (ko) | 가공배전선용 절연형 배전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