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6054B1 - 누전감지형 가공배전선 지지기구 - Google Patents

누전감지형 가공배전선 지지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6054B1
KR102586054B1 KR1020230029116A KR20230029116A KR102586054B1 KR 102586054 B1 KR102586054 B1 KR 102586054B1 KR 1020230029116 A KR1020230029116 A KR 1020230029116A KR 20230029116 A KR20230029116 A KR 20230029116A KR 102586054 B1 KR102586054 B1 KR 102586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distribution line
pole
opening
earth lea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9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금연
Original Assignee
이연기술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연기술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연기술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29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60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6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60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2Testing for short-circuits, leakage current or ground faul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누전감지형 가공배전선 지지기구에 관한 것으로, 메인 가공배전선(L1)을 지지하도록 전신주(P)의 완금(A)에 설치되는 LP 애자(IN); 상기 메인 가공배전선(L1)에서 서브 가공배전선(L2)을 분기하도록 메인 가공배전선에 설치되는 분기슬리브(D); 상기 서브 가공배전선(L2)을 단전하도록 서브 가공배전선(L2)에 설치되는 컷아웃 스위치(S); 상기 서브 가공배전선(L2)을 흐르는 고전압 전류를 저전압으로 변압하는 주상변압기(T); 주상변압기(T)의 표면에 설치되어서 주상변압기(T)의 누전을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발신하는 누전감지기(61)와, 주상변압기(T)를 받쳐 지지하도록 전신주(P)에 설치된 받침(F) 저면에 장착되며 누전감지기(61)의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발광하는 경관등(62)과, 받침(F) 저면에 장착되며 누전감지기(61)의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경고음을 출력하는 스피커(63)를 갖춘 누전감지장치(60); 서로 이웃하는 전신주(P)를 서로 잇도록 양단이 전신주(P)에 연결되는 조가선(V); 상기 주상변압기(T)에서 인출되어 저전압 전류가 흐르는 저전압 배전선(L3)을 조가선(V)과 분리해서 수요지점까지 수용해 배선하는 분기선 가이드(G);를 포함하되, 상기 분기선 가이드(G)는, 밴드 브래킷(10)과 본체(20)과 연장체(30)와 행거(40)와 개폐도어(5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누전감지형 가공배전선 지지기구{ELECTRIC LEAKAGE DETECTION TYPE PROCESSED}
본 발명은 누전감지형 가공배전선 지지기구에 관한 것이다.
가공배전선은 수요자에게 전력을 배전하기 위한 설비이므로 전력이송에 있어 비교적 말단에 위치한다. 그런데 전력을 공급받는 수많은 수요자가 분산해 위치하므로, 가공배전선 또한 이에 맞춰 수회 이상 분기되어야 하고, 이 과정에서 가공배전선은 매우 혼잡한 배선 상태를 이루게 된다.
특히 수요자가 밀집되어 있는 도심지의 경우에는 비교적 작은 규격의 배전선이 분기되어서 전신주 등에 복잡하게 혼재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배전선 간에 얽힘이 있을 수 있고 심지어 단락에 의한 감전 및 합선 사고 등이 발행하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전신주에는 가공배전선과 더불어 각종 통신선이 연결되므로, 혼재한 전선들에 의해 전신주 인근이 난잡하고 흉한 외관을 보이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복수 개의 가공배전선 및 가공배전선을 지지하는 배전기구 등은 서로 간에 인접하게 배치되므로, 가공배전선 또는 배전기구 등에서 누전이 발생하면 이웃하는 다른 가공배전선 및 배전기구 등에 영향을 미치므로, 누전 발생에 대한 신속한 대응이 이루어져야 했다.
한편, 수요자로의 전력 공급을 위해 변압기에서 인출된 저전압 배전선(분기선)의 경우 통신선과 같이 고전압 배전선(가공배전선)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규격이므로,외력 및 온도 등에 의해 쉽게 흔들리거나 늘어져서 위험이 있을 수 있었다. 따라서 서로 이웃하는 전신주를 강선 재질의 조가선으로 연결하고, 저전압 배전선과 통신선 등을 조가선에 걸어 지지되도록 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조가선은 통신선과 저전압 배전선이 혼재되어 깔끔하지 못한 외관 모습을 보였고, 특히 전신주와 전신주 사이에 위치한 수요자로의 공급을 위해 전신주에서 인출된 저전압 배전선이 조가선을 따라 배선된 후 인출될 경우에는 가공에서 전선이 난잡한 배선 모습을 이루므로 이 또한 개선해야 할 문제였다.
선행기술문헌 1. 특허등록번호 제10-2318980호(2021.11.02 공고)
이에 본 발명은 복잡하게 얽힌 복수 개의 가공배전선 및 배전기구 등의 누전을 신속히 확인해서 대응할 수 있도록 하고, 가공배전선의 혼재를 최소로 해서 미려한 외관을 지향하고 전력을 수요자에게 공급하기 위해 분기된 저전압 배전선을 통신선과 분리해서 현장 관리의 편의를 개선한 누전감지형 가공배전선 지지기구의 제공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메인 가공배전선(L1)을 지지하도록 전신주(P)의 완금(A)에 설치되는 LP 애자(IN); 상기 메인 가공배전선(L1)에서 서브 가공배전선(L2)을 분기하도록 메인 가공배전선에 설치되는 분기슬리브(D); 상기 서브 가공배전선(L2)을 단전하도록 서브 가공배전선(L2)에 설치되는 컷아웃 스위치(S); 상기 서브 가공배전선(L2)을 흐르는 고전압 전류를 저전압으로 변압하는 주상변압기(T); 주상변압기(T)의 표면에 설치되어서 주상변압기(T)의 누전을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발신하는 누전감지기(61)와, 주상변압기(T)를 받쳐 지지하도록 전신주(P)에 설치된 받침(F) 저면에 장착되며 누전감지기(61)의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발광하는 경관등(62)과, 받침(F) 저면에 장착되며 누전감지기(61)의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경고음을 출력하는 스피커(63)를 갖춘 누전감지장치(60); 서로 이웃하는 전신주(P)를 서로 잇도록 양단이 전신주(P)에 연결되는 조가선(V); 상기 주상변압기(T)에서 인출되어 저전압 전류가 흐르는 저전압 배전선(L3)을 조가선(V)과 분리해서 수요지점까지 수용해 배선하는 분기선 가이드(G);를 포함하되,
상기 분기선 가이드(G)는,
상기 전신주(P)를 감싸며 연결되는 밴드부(11)와, 상기 밴드부(11)에서 전신주(P)와 이격하게 상향 돌출된 돌기(12)를 갖춘 밴드 브래킷(10);
일측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개구라인(211)이 수직하게 형성된 수직관부(21)와, 일단이 상기 수직관부(21)와 중공이 연통하도록 연결되며 상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개구라인(211)과 이어지는 제2개구라인(221)이 형성되고 말단에서 중공이 협소해지도록 중공 내면(222)이 경사지되 경사진 내면(222)의 최저점에는 배수홀(223)이 형성된 메인 수평관부(22)와, 상기 돌기(12)에 걸려 맞물리는 걸이부(23)와, 상기 수직관부(21)와 대향하게 하향 돌출되어서 밴드부(11)와 접합하며 수평관부(22)의 기울어짐을 저지하는 보강돌부(24)를 갖춘 본체(20);
상기 수평관부(22)의 중공에서 인,입출이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2개구라인(221)과 이어지는 제3개구라인(311)이 형성되고 말단에서 중공이 협소해지도록 중공 내면(312)이 경사진 구조로 된 복수 개의 연장관부(31)를 갖추되, 복수 개의 상기 연장관부(31)는 순차적으로 서로 다른 횡단폭을 이루므로 연장관부(31) 각각이 다단으로 수용되어 신축되는 연장체(30);
일단이 복수 개의 상기 연장관부(31) 중 하나에 연결되는 사슬(41)과, 상기 사슬(41)의 타단에 연결되며 사슬(41)을 이루는 고리(411)에 걸리는 후크(42)를 갖춘 행거(40); 및
복수 개의 연장관부(31) 중 하나 이상의 제3개구라인(311)과, 상기 본체(20)의 제1개구라인(211) 및 제2개구라인(221)을 각각 여닫이 형태로 개폐하도록, 힌지 스프링을 매개로 상기 제1개구라인(211) 내지 제3개구라인(311) 각각의 양측 선단에 서로 마주하게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판체(51, 51')와, 상기 판체(51, 51')의 선단을 따라 이루는 복수 개의 요부(52) 및 철부(53)를 갖추되, 한 쌍의 판체(51, 51') 중 하나의 철부(53)가 다른 하나의 판체(51')의 철부(53')와 교차해서 요부(52')에 삽입되고 말단부가 판체(51')에 걸리도록, 한 쌍의 판체(51, 51') 각각의 요부(52) 및 철부(53)가 서로 엇갈리게 배치된 개폐도어(50);
를 포함하는 누전감지형 가공배전선 지지기구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복잡하게 얽힌 복수 개의 가공배전선 및 배전기구 등의 누전을 신속히 확인해서 대응할 수 있도록 하고, 가공배전선의 혼재를 최소로 해서 미려한 외관을 지향하고 전력을 수요자에게 공급하기 위해 분기된 저전압 배전선을 통신선과 분리해서 현장 관리의 편의를 개선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 지지기구의 구성이 전신주에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 지지기구에서 주상변압기를 개략적으로 확대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 지지기구의 분기선 가이드가 전신주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 지지기구의 분기선 가이드의 일부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전신주에 설치된 상기 분기선 가이드의 동작 모습을 도시한 정단면도이고,
도 6은 상기 분기선 가이드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정단면도이고,
도 7은 상기 분기선 가이드가 조가선에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 부분 측면도이고,
도 8은 상기 분기선 가이드에 구성된 본체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한 본체의 부분 측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본체에 구성된 개폐도어의 동작 모습을 도시한 부분 측면도이다.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내용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 지지기구의 구성이 전신주에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 지지기구에서 주상변압기를 개략적으로 확대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 지지기구는, 메인 가공배전선(L1)을 지지하도록 전신주(P)의 완금(A)에 설치되는 LP 애자(IN); 상기 메인 가공배전선(L1)에서 서브 가공배전선(L2)을 분기하도록 메인 가공배전선에 설치되는 분기슬리브(D); 상기 서브 가공배전선(L2)을 단전하도록 서브 가공배전선(L2)에 설치되는 컷아웃 스위치(S); 상기 서브 가공배전선(L2)을 흐르는 고전압 전류를 저전압으로 변압하는 주상변압기(T); 주상변압기(T)의 표면에 설치되어서 주상변압기(T)의 누전을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발신하는 누전감지기(61)와, 주상변압기(T)를 받쳐 지지하도록 전신주(P)에 설치된 받침(F) 저면에 장착되며 누전감지기(61)의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발광하는 경관등(62)과, 받침(F) 저면에 장착되며 누전감지기(61)의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경고음을 출력하는 스피커(63)를 갖춘 누전감지장치(60); 서로 이웃하는 전신주(P)를 서로 잇도록 양단이 전신주(P)에 연결되는 조가선(V); 상기 주상변압기(T)에서 인출되어서 저전압 전류가 흐르는 저전압 배전선(L3)을 조가선(V)과 분리해서 수요지점까지 수용해 배선하는 분기선 가이드(G);를 포함한다.
LP 애자(IN)는 현수 애자와는 달리 메인 가공배전선(L1)을 단선 없이 단순히 얹어 지지하기 위한 애자이며, 직립 애자로도 불린다.
분기슬리브(D)는 수요자에게 전력을 배전하기 위해서 메인 가공배전선에서 서브 가공배전선(L2)으로 전력을 분기하는 기구이다. 분기슬리브(D)는 메인 가공배전선(L1)과 서브 가공배전선(L2)을 통전이 가능하도록 서로 기계적으로 연결한다. 절연을 위한 커버가 추가될 수 있다.
컷아웃 스위치(S)는 서브 가공배전선(L2)으로 유입되는 전기의 전압, 전류 상태를 확인해서 기계적으로 전력을 차단한다. 이를 통해 주상변압기(T)의 파손을 방지한다.
주상변압기(T)는 서브 가공배전선(L2)을 흐르는 고전압 전류를 저전압으로 변압한다. 일반적으로 메인 가공배전선(L1)에 인가된 3,300V 또는 6,600V의 전압을 가정에서 사용하는 110V 또는 220V로 변압한다.
누전감지장치(60)는 누전감지기(61)와 경관등(62)과 스피커(63)를 포함한다. 누전감지기(61)는 주상변압기(T)의 표면에 설치되어서 주상변압기(T)의 누전을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발신한다. 경관등(62)은 주상변압기(T)를 받쳐 지지하도록 전신주(P)에 설치된 받침(F) 저면에 장착되며 누전감지기(61)의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발광한다. 경관등(62)이 받침(F) 저면에 위치하므로, 관리자는 물론 일반 보행자도 경관등(62)의 구동을 시각적으로 손쉽게 인지하고 신고할 수 있다. 스피커(63)는 받침(F) 저면에 장착되며 누전감지기(61)의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경고음을 출력한다. 스피커(63)는 단순 경고음 뿐만 아니라 안내음도 출력하므로, 유사시 인근 보행자의 통행을 제한하고 관공서 신고를 재촉할 수도 있다.
조가선(V)은 서로 이웃하는 전신주(P)를 서로 잇도록 양단이 전신주(P)에 연결되므로, 조가선(V)을 이용해서 저전압 배저선(L3) 또는 통신선(L4)을 일정한 높이로 수평하게 유지한다. 일반적으로 저전압 배저선(L3) 또는 통신선(L4)은 드로퍼(LK) 또는 행거 등에 의해 조가선(V)에 연결된다.
분기선 가이드(G)는 주상변압기(T)에서 인출되어 저전압 전류가 흐르는 저전압 배전선(L3)을 조가선(V)과 분리해서 수요지점까지 수용해 배선한다. 분기선 가이드(G)는 수요지점이 이웃하는 전신주(P) 사이에 위치하더라도 저전압 배전선(L3)을 지지 및 안내하기 위한 조가선(V)을 필수적으로 구축할 필요 없이 선로를 생성해서 저전압 배전선(L3)을 수요지점까지 안내할 수 있다.
분기선 가이드(G)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아래에서 한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 지지기구의 분기선 가이드가 전신주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 지지기구의 분기선 가이드의 일부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을 참조하면, 분기선 가이드(G)는 밴드 브래킷(10)과 본체(20)와 연장체(30)와 행거(40)와 개폐도어(50)로 구성된다.
밴드 브래킷(10)은 전신주(P)를 감싸며 연결되는 밴드부(11)와, 밴드부(11)에서 전신주(P)와 이격하게 상향 돌출된 돌기(12)를 갖춘다.
밴드부(11)는 전신주(P)와 탈착이 가능한 형태이며, 분기선 가이드(G)의 최초 설치 시에 저전압 배전선(L3)의 배선 방향을 고려해서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밴드부(11)는 단단한 결속력 확보를 위해 금속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나, 용이한 탈착을 위해 가요성 벨트 타입일 수도 있다.
돌기(12)는 밴드부(11)에서 상향 돌출되어 본체(20)의 걸이부(23)가 걸리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돌기(12)는 걸이부(23)의 단부가 삽입 가능하도록 전신주(P)와 이격하게 배치된다. 돌기(12)는 본체(20)와 연장부(30)와 행거(40) 및 개폐도어(60)의 하중을 지탱하기에 충분한 강철재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밴드부(11)가 금속재질인 경우, 돌기(12)는 밴드부(11)에 일체로 형성해서 밴드부(11)와 단단히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전신주에 설치된 상기 분기선 가이드의 동작 모습을 도시한 정단면도이고, 도 6는 상기 분기선 가이드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를 참조하면, 본체(20)는, 일측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개구라인(211)이 수직하게 형성된 수직관부(21)와, 일단이 수직관부(21)와 중공이 연통하도록 연결되며 상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개구라인(211)과 이어지는 제2개구라인(221)이 형성되고 말단에서 중공이 협소해지도록 중공 내면(222)이 경사지되 경사진 내면(222)의 최저점에는 배수홀(223)이 형성된 메인 수평관부(22)와, 돌기에 걸려 맞물리는 걸이부(23)와, 수직관부(21)와 대향하게 하향 돌출되어서 밴드부(11)와 접합하며 수평관부(22)의 기울어짐을 저지하는 보강돌부(24)를 갖춘다.
본체(20)는 수직관부(21)와 수평관부(22)가 서로 이어지는 'ㄴ' 형상의 관이므로, 위쪽의 주상변압기(T)에서 인출된 저전압 배전선(L3)을 수직관부(21)에서 수용하고 수평관부(22)로 수평하게 배선해서 수요지점까지 안내한다.
분기선 가이드(G)는 필요에 의해 현장에 설치되어서 저전압 배전선(L3)을 수용해 안내해야 하므로, 작업자가 손쉽게 저전압 배전선(L3)을 본체(20)에 삽입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제1개구라인(211)과 제2개구라인(221)이 형성된다. 그런데 제1개구라인(211)과 제2개구라인(221)이 형성되면 우수가 유입되어서 본체(10)에 저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원활한 배수를 위해서 본체(20)는 말단에서 중공이 협소해지도록 내면(222)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경사진 내면(222)의 최저점에는 배수홀(223)이 형성된다. 결국, 본체(20)의 중공에 유입된 우수는 경사진 내면(222)을 타고 흘러서 전신주(P)와 인접한 배수홀(223)을 통해 배수가 이루어진다.
한편, 본체(20)의 걸이부(23)는 수평관부(22)와는 대향한 밴드 브래킷(10)의 돌기(12)에 걸려 맞물린다. 따라서 수평관부(22)가 전신주(P)에서 돌출된 형태로 고정된다.
보강돌부(24)는 걸이부(23)에 의해 본체(20)가 돌기(12)에 걸려 있는 상태에서 수평관부(22)의 기울어짐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보강돌부(24)는 수직관부(21)와 대향하게 하향 돌출되어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보강돌부(24)는 밴드부(11)와 접합하며 수평관부(22)의 기울어짐을 저지한다. 보강돌부(24)의 접합 이후, 보강돌부(24)와 밴드부(11)를 피스 또는 나사를 이용해 체결해서, 밴드 브래킷(10)과 본체(20) 간의 체결성을 강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본 발명에 따른 분기선 가이드(G)의 연장체(30)는, 수평관부(22)의 중공에서 인,입출이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2개구라인(221)과 이어지는 제3개구라인(311)이 형성되고 말단에서 중공이 협소해지도록 중공 내면(312)이 경사진 구조로 된 복수 개의 연장관부(31)를 갖추되, 복수 개의 상기 연장관부(31)는 순차적으로 서로 다른 횡단폭을 이루므로 연장관부(31) 각각이 다단으로 수용되어 신축된다.
연장관부(31)는 순차적으로 서로 다른 횡단폭을 이루므로 복수 개의 연장관부(31, 31', 31")가 다단으로 수용되면서 자체적으로 신축이 가능하다. 또한, 연장관부(31)는 수평관부(22)에도 인입출 가능하게 삽입된다.
연장관부(31)는 수평관부(22)와 동일하게 제3개구라인(311)이 형성되어서, 저전압 배전선(L3)의 삽입이 용이하다. 또한, 제3개구라인(311)이 형성되며 발생하는 우수 유입을 극복하기 위해서 수평관부(22)의 내면(222)과 같이, 연장관부(31)의 내면(312) 또한, 경사진 형태를 이룬다. 참고로, 도 6와 같이 수평관부(22)의 내면(222)은 말단으로 갈수록 두께 't12'가 't11' 보다 두꺼워지고, 연장관부(31) 또한 말단으로 갈수록 두께 't22'가 't21' 보다 두꺼워진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수평관부(22) 및 연장관부(31) 각각의 내면(222, 312)이 경사짐은 물론 수평관부(22)와 연장관부(31)가 길어질수록 인접한 관부(22, 31, 31', 31") 간의 조임이 높아져서 연장 상태가 더욱 안정화 된다.
한편, 수평관부(22)에 설치된 연장관부(31, 31', 31")가 인접한 관부(22, 31, 31', 31")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수평관부(22)의 말단과 연장관부(31, 31', 31")의 양단에는 각각 걸림턱(F1, F2)이 형성된다. 수평관부(22)의 걸림턱(F1)은 말단 내면에 돌출된다. 연장관부(31, 31', 31") 일단의 걸림턱(F1)은 연장관부(31, 31', 31")의 외면에 돌출되고, 연장관부(31, 31', 31") 말단의 걸림턱(F2)은 연장관부(31, 31', 31")의 외면에 돌출된다.
본 실시 예에서 연장체(30)는 3개의 연장관부(31)가 다단으로 구성되어서, 수평관부(22)의 4배까지 길이 연장이 가능하도록 했다. 하지만, 연장관부(31)의 구성 개수는 현장에 맞춰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도 7은 상기 분기선 가이드가 조가선에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 부분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분기선 가이드(G)의 행거(40)는, 일단이 복수 개의 상기 연장관부(31) 중 하나에 연결되는 사슬(41)과, 상기 사슬(41)의 타단에 연결되며 사슬(41)을 이루는 고리(411)에 걸리는 후크(42)를 갖춘다.
연장체(30)의 연장관부(31, 31', 31")가 수평관체(22)에서 인출될수록, 분기선 가이드(G)의 무게중심이 편향되어서 전신주(P)에 대한 고정 안정성이 약화될 수 있다. 따라서 연장체(30)의 말단은 조가선(V)에 연결하여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사슬(41)은 복수 개의 고리(411)가 서로 이어져 라인을 형성하고, 후크(42)는 사슬(41)의 말단에 배치되어서 복수 개의 고리(411) 중 하나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사슬(41)의 일단은 연장관부(31, 31', 31")의 말단에 고정된다. 이를 위해 본 실시 예에서 최말단의 연장관부(31")의 말단에 걸이(32)를 형성해서 사슬(41)의 일단을 연결해 고정한다.
본 실시 예에서 복수 개의 연장관부(31, 31', 31")가 수평관부(22)에서 인출되면, 최말단의 연장관부(31")에 연결된 행거(40)에서 사슬(41)로 조가선(V)의 둘레를 감싸고, 후크(42)를 이용해서 사슬(41)의 고리(411)를 걸어 고정한다. 사슬(41)은 복수 개의 고리(411)가 서로 연결되어 이루므로, 후크(42)는 현장 상황에 맞춰 연결할 고리(411)를 작업자가 선택한다.
도 8은 상기 분기선 가이드에 구성된 본체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고, 도 9은 도 8에 도시한 본체의 부분 측면도이고, 도 10는 도 9의 본체에 구성된 개폐도어의 동작 모습을 도시한 부분 측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분기선 가이드(G)의 개폐도어(50)는, 복수 개의 연장관부(31) 중 하나 이상의 제3개구라인(311)과, 상기 본체(20)의 제1개구라인(211) 및 제2개구라인(221)을 각각 여닫이 형태로 개폐하도록, 힌지 스프링을 매개로 상기 제1개구라인(211) 내지 제3개구라인(311) 각각의 양측 선단에 서로 마주하게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판체(51, 51')와, 상기 판체(51, 51')의 선단을 따라 이루는 복수 개의 요부(52) 및 철부(53)를 갖추되, 한 쌍의 판체(51, 51') 중 하나의 철부(53)가 다른 하나의 판체(51')의 철부(53')와 교차해서 요부(52')에 삽입되고 말단부가 판체(51')에 걸리도록, 한 쌍의 판체(51, 51') 각각의 요부(52) 및 철부(53)가 서로 엇갈리게 배치된다.
도 9과 같이 수직관부(21) 및 수평관부(22)는 물론 연장체(30)의 연장관부(31)의 중공에는 각각 하나 이상의 저전압 배전선(L3)이 수용된다. 그런데 수직관부(21), 수평관부(22) 및 복수 개의 연장관부(31, 31', 31")에는 각각 제1개구라인(211) 내지 제3개구라인(311)이 구성되므로, 중공에 수용된 저전압 배전선(L3)이 제1개구라인(211) 내지 제3개구라인(311)을 통해 이탈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제1개구라인(211) 내지 제3개구라인(311)을 통해 본체(20) 및 연장체(30)의 중공에 손쉽게 삽입하면서도, 일단 삽입된 저전압 배전선(L3)이 제1개구라인(211) 내지 제3개구라인(311)을 통해 재이탈하지 않도록 개폐도어(50)를 제1개구라인(211) 내지 제3개구라인(311)의 선단에 설치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폐도어(50, 50')는 제1개구라인(211) 내지 제3개구라인(311)의 폭을 고려해서, 한 쌍이 서로 마주하게 설치된다. 또한, 개폐도어(50, 50')는 하나의 판체(51, 51')에 선단을 따라 복수 개의 요부(52) 및 철부(53)가 교대로 형성된다. 이때, 서로 마주하는 개폐도어(50, 50')의 요부(52, 52') 및 철부(53, 53')는 서로 엇갈리게 형성되어서, 도 9과 같이 한 쌍의 철부(53, 53')가 상대 개폐도어(50, 50')의 요부(52, 52")에 삽입되어서 서로 크로스로 교차하게 배치되도록 한다.
결국, 도 10의 (a)도면과 같이 저전압 배전선(L3)이 제2개구라인(221) 및 제3개구라인(311)에 삽입 시, 도 10의 (b)도면 및 (c)도면과 같이 한 쌍의 개폐도어(50, 50')가 하향으로 눌려 회전하며 벌어지고, 저전압 배전선(L3)이 중공에 수용되면, 힌지 스프링에 의해 힌지 연결된 개폐도어(50, 50')는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각각의 요부(52, 52') 및 철부(53, 53')의 걸림으로 열림 없이 제2개구라인(221) 및 제3개구라인(312)을 닫는다.
개폐도어(50, 50')는 제1개구라인(211) 및 제2개구라인(221)은 물론 복수 개의 연장관부(31, 31', 31") 중 최말단에 위치한 연장관부(31")의 제3개구라인(311)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본 실시 예에서 수평관부(22)에 힌지 연결되는 개폐도어(50, 50')가 인접한 다른 연장관부(31)에 간섭하지 않도록 수평관부(22)의 제2개구라인(221)의 횡폭이 제3개구라인(311)의 횡폭보다 좁게 해서 개구라인 간의 선단이 단차지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해 설명했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밴드 브래킷 11; 밴드부 12; 돌기
20; 본체 21; 수직관부 211; 제1개구라인
22; 수평관부 221; 제2개구라인 ` 23; 걸이부
24; 보강돌부 30; 연장체 31, 31', 31"; 연장관부
32; 걸이 40; 행거 41; 사슬
411; 고리 42; 후크 50, 50'; 개폐도어
51, 51'; 판체 52, 52'; 요부 53, 53'; 철부
60; 누전감지장치 61; 누전감지기 62; 경관등
63; 스피커
A; 완금 D; 분기슬리브 G; 분기선 가이드
IN; LP 애자 L1; 메인 가공배전선 L2; 서브 가공배전선
L3; 저전압 배전선 L4; 통신선 P; 전신주
S; 컷아웃 스위치 T; 주상변압기 V; 조가선

Claims (1)

  1. 메인 가공배전선(L1)을 지지하도록 전신주(P)의 완금(A)에 설치되는 LP 애자(IN); 상기 메인 가공배전선(L1)에서 서브 가공배전선(L2)을 분기하도록 메인 가공배전선에 설치되는 분기슬리브(D); 상기 서브 가공배전선(L2)을 단전하도록 서브 가공배전선(L2)에 설치되는 컷아웃 스위치(S); 상기 서브 가공배전선(L2)을 흐르는 고전압 전류를 저전압으로 변압하는 주상변압기(T); 주상변압기(T)의 표면에 설치되어서 주상변압기(T)의 누전을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발신하는 누전감지기(61)와, 주상변압기(T)를 받쳐 지지하도록 전신주(P)에 설치된 받침(F) 저면에 장착되며 누전감지기(61)의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발광하는 경관등(62)과, 받침(F) 저면에 장착되며 누전감지기(61)의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경고음을 출력하는 스피커(63)를 갖춘 누전감지장치(60); 서로 이웃하는 전신주(P)를 서로 잇도록 양단이 전신주(P)에 연결되는 조가선(V); 상기 주상변압기(T)에서 인출되어 저전압 전류가 흐르는 저전압 배전선(L3)을 조가선(V)과 분리해서 수요지점까지 수용해 배선하는 분기선 가이드(G);를 포함하되,
    상기 분기선 가이드(G)는,
    상기 전신주(P)를 감싸며 연결되는 밴드부(11)와, 상기 밴드부(11)에서 전신주(P)와 이격하게 상향 돌출된 돌기(12)를 갖춘 밴드 브래킷(10);
    일측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개구라인(211)이 수직하게 형성된 수직관부(21)와, 일단이 상기 수직관부(21)와 중공이 연통하도록 연결되며 상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개구라인(211)과 이어지는 제2개구라인(221)이 형성되고 말단에서 중공이 협소해지도록 중공 내면(222)이 경사지되 경사진 내면(222)의 최저점에는 배수홀(223)이 형성된 메인 수평관부(22)와, 상기 돌기(12)에 걸려 맞물리는 걸이부(23)와, 상기 수직관부(21)와 대향하게 하향 돌출되어서 밴드부(11)와 접합하며 수평관부(22)의 기울어짐을 저지하는 보강돌부(24)를 갖춘 본체(20);
    상기 수평관부(22)의 중공에서 인,입출이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2개구라인(221)과 이어지는 제3개구라인(311)이 형성되고 말단에서 중공이 협소해지도록 중공 내면(312)이 경사진 구조로 된 복수 개의 연장관부(31)를 갖추되, 복수 개의 상기 연장관부(31)는 순차적으로 서로 다른 횡단폭을 이루므로 연장관부(31) 각각이 다단으로 수용되어 신축되는 연장체(30);
    일단이 복수 개의 상기 연장관부(31) 중 하나에 연결되는 사슬(41)과, 상기 사슬(41)의 타단에 연결되며 사슬(41)을 이루는 고리(411)에 걸리는 후크(42)를 갖춘 행거(40); 및
    복수 개의 연장관부(31) 중 하나 이상의 제3개구라인(311)과, 상기 본체(20)의 제1개구라인(211) 및 제2개구라인(221)을 각각 여닫이 형태로 개폐하도록, 힌지 스프링을 매개로 상기 제1개구라인(211) 내지 제3개구라인(311) 각각의 양측 선단에 서로 마주하게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판체(51, 51')와, 상기 판체(51, 51')의 선단을 따라 이루는 복수 개의 요부(52) 및 철부(53)를 갖추되, 한 쌍의 판체(51, 51') 중 하나의 철부(53)가 다른 하나의 판체(51')의 철부(53')와 교차해서 요부(52')에 삽입되고 말단부가 판체(51')에 걸리도록, 한 쌍의 판체(51, 51') 각각의 요부(52) 및 철부(53)가 서로 엇갈리게 배치된 개폐도어(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감지형 가공배전선 지지기구.
KR1020230029116A 2023-03-06 2023-03-06 누전감지형 가공배전선 지지기구 KR102586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9116A KR102586054B1 (ko) 2023-03-06 2023-03-06 누전감지형 가공배전선 지지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9116A KR102586054B1 (ko) 2023-03-06 2023-03-06 누전감지형 가공배전선 지지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6054B1 true KR102586054B1 (ko) 2023-10-10

Family

ID=88291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9116A KR102586054B1 (ko) 2023-03-06 2023-03-06 누전감지형 가공배전선 지지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605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6142B1 (ko) * 2015-09-17 2016-05-31 서천전기공사(주) 배전의 안정성을 향상시킨 배전선로 장치 구조
KR102153677B1 (ko) * 2020-04-22 2020-09-08 권순매 가공배전라인용 안전성 향상 분기슬리브
KR102238113B1 (ko) * 2020-08-25 2021-04-09 (주)투-에스 누전감지기능을 갖춘 지중배전라인 안전연결용 접속기구
KR102318980B1 (ko) 2021-04-14 2021-11-02 재성전력 (주) 도시 주택밀집지역 가공배전선로 안정화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6142B1 (ko) * 2015-09-17 2016-05-31 서천전기공사(주) 배전의 안정성을 향상시킨 배전선로 장치 구조
KR102153677B1 (ko) * 2020-04-22 2020-09-08 권순매 가공배전라인용 안전성 향상 분기슬리브
KR102238113B1 (ko) * 2020-08-25 2021-04-09 (주)투-에스 누전감지기능을 갖춘 지중배전라인 안전연결용 접속기구
KR102318980B1 (ko) 2021-04-14 2021-11-02 재성전력 (주) 도시 주택밀집지역 가공배전선로 안정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164668A (en) Terminal pedestal for buried wiring systems
US7765770B2 (en) Service line distribution base
US7059096B2 (en) Multifunction utility pole
US2006024676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lectrically and mechanically connecting and disconnecting a power line
KR102586056B1 (ko) 안전한 전력 배전이 가능한 가공배전선 분기장치
KR100914851B1 (ko) 지중배전선로의 지지구
US4627675A (en) Wiring system with quick connect wire terminals
KR200480703Y1 (ko) 전선 접속용 분기슬리브 커버
KR102586054B1 (ko) 누전감지형 가공배전선 지지기구
KR101616204B1 (ko) 케이블 지지용 행거
KR102586057B1 (ko) 누전발생 확인이 가능한 가공배전선 고정 클램프 장치
US3309456A (en) Above ground terminal tap enclosure for subterranean cables
US3431349A (en) Cable terminal enclosure with grounding cross bar
KR102661346B1 (ko) 조류 퇴치기능을 탑재한 가공배전설비
US487865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wire routing for buildings
USRE31134E (en) Ground level transformer unit
EP2381550B1 (en) Cable conduit
US562312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rvice cable disconnection
KR101183198B1 (ko) 통신전주용 보조전주
KR102088057B1 (ko) 전신주 고정밴드
KR200446267Y1 (ko) 전선케이블 연결을 위한 경완금 연결장치
KR200214666Y1 (ko) 전신주 상부에 조류집 짓기 방지를 위한 오뚜기형상의구조물
KR200379712Y1 (ko) 이상 장력 이탈형 조가선 밴드기구
JP3237305U (ja) 高圧受電装置
KR100495559B1 (ko) 전선 케이블용 경완금 연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