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6902B1 -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지중송전선 연결기구 - Google Patents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지중송전선 연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6902B1
KR102236902B1 KR1020200105334A KR20200105334A KR102236902B1 KR 102236902 B1 KR102236902 B1 KR 102236902B1 KR 1020200105334 A KR1020200105334 A KR 1020200105334A KR 20200105334 A KR20200105334 A KR 20200105334A KR 102236902 B1 KR102236902 B1 KR 1022369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line
guide rail
connector
circumferential surface
movement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5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제현
Original Assignee
(주)원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원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원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001053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69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6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69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지중송전선 연결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가이드레일(20)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송전선(L)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해주는 커넥터(10); 바닥이나 벽면에 고정수단(예:앵커볼트)을 매개로 설치되어 커넥터(1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20); 가이드레일(20)의 상면에 설치되어 커넥터(10)의 이도을 감지해 이동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이동감지센서(30); 가이드레일(20)에 설치되어 이동감지센서(30)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위험신호를 송신기(50)로 출력하는 제어부(40); 가이드레일(20)에 설치되어 제어부(40)로부터 위험신호를 전달받아 외부로 송신하는 송신기(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이동감지센서와 제어부 및 송신기를 매개로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커넥터를 감지하여 이를 중앙통제실에 알려줄 수 있기 때문에 중앙통제실에 상주하고 있는 관리자는 접수받은 위험신호를 통해 송전선의 현재상태를 직감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관련된 필요한 조치를 신속하게 취할 수 있어 외력에 의한 송전선의 단선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지중송전선 연결기구{Underground transmission line connection device with various functions}
본 발명은 지중송전선 연결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중에 매설되는 송전선 간의 접속은 커넥터를 매개로 전기적으로 상호 접속되는데, 이렇게 송전선이 커넥터를 매개로 상호 접속된 상태에서 작업자의 실수나 혹은 외력이 가해지게 되면, 송전선이 당겨지면서 커넥터로부터 쉽게 분리되거나 송전선에 단선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종종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연구가 지금도 활발히 진행중이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83416호(2011.11.1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지중송전선의 과도한 이동을 감지해 관리자가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지중송전선의 단선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고, 지중송전선의 피복을 제거하지 않고도 설치 및 전기적인 연결이 가능해 작업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켜줄 수 있으며, 피침에 도선과 피복이 함께 구속되는 구조이므로 송전선의 이탈을 보다 확실하게 담보할 수 있으며, 피복이 관통된 피침을 감싸 줌에 따라 자연스럽게 실링되는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지중송전선 연결기구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반원형의 단면을 갖는 제1바디부와 제2바디부로 각각 분할형성되어 힌지를 매개로 상호 결합되되, 제1바디부에는 외주면으로부터 나란하게 돌출된 연장대가 일체로 형성되고, 연장대의 말단에는 슬라이드블록이 일체로 형성된 관형상의 절연케이스와,
양단을 통해 도선과 피복으로 구성된 송전선이 각각 삽입되어 케이스의 내부에 삽탈가능하게 수용되고, 양단 외주면에는 절연케이스의 양단에 각각 배치되는 원판형상의 플런지가 일체로 형성되며, 플런지 사이에는 외주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일렬배치되어 각각이 내부와 연통되는 관통홀이 상호 대향되게 형성된 절연재질의 전선수용구와,
절연케이스의 내면에 형성되는 탄성을 갖춘 실링패드와,
전선수용구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어 전선수용구와 실링패드 사이에 개입되되, 절연케이스의 가압에 의해 내주면은 전선수용구의 외주면에 밀착되고, 외주면은 실링패드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반원형의 단면을 갖는 호판, 호판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며 관통홀에 승강가능하게 끼워져 송전선의 피복을 관통해 도선에 꽂혀져 송전선을 물어 고정하는 피침으로 구성되어 송전선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는 전도성재질의 전선접속구와,
절연케이스에 설치되어 제1·2바디부의 회동을 단속하는 클램프로 이루어진 커넥터;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홈을 매개로 커넥터의 슬라이드블록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레일;
연장대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가이드레일의 상면에 각각 설치되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연장대에 의해 동작되어 이동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이동감지센서;
이동감지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위험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제어부로부터 위험신호를 전달받아 외부로 송신하는 송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이동감지센서와 제어부 및 송신기를 매개로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커넥터를 감지하여 이를 중앙통제실에 알려줄 수 있기 때문에 중앙통제실에 상주하고 있는 관리자는 접수받은 위험신호를 통해 송전선의 현재상태를 직감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관련된 필요한 조치를 신속하게 취할 수 있어 외력에 의한 송전선의 단선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커넥터의 피침이 송전선의 피복을 관통해 도선에 꽂히게(박히게) 됨에 따라 송전선에 외력(인장력)이 작용하더라도 외부로의 이탈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으며, 더욱이 피복이 피침과 함께 송전선의 이동을 제한하게 되므로 송전선의 이탈을 더욱더 억제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피침이 피복을 관통함에 있어 피침의 둘레면이 피복에 의해 자연스럽게 감싸지면서 실링하게 되는 부수적인 효과도 기대해 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송전선 연결기구의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송전선 연결기구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송전선 연결기구의 결합단면도.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송전선 연결기구를 이용해 송전선을 연결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송전선 연결기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송전선 연결기구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송전선 연결기구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송전선 연결기구의 결합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중송전선 연결기구는 커넥터(10)와 가이드레일(20), 이동감지센서(30), 제어부(40) 및 송신기(50)로 구성된 것으로서, 이에 의하면 지중송전선(L)의 과도한 이동을 감지할 수 있어 지중송전선(L)의 단선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고, 지중송전선(L)의 피복(Lb)을 제거하지 않고도 설치 및 전기적인 연결이 가능해 작업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켜줄 수 있으며, 피침(14b)에 도선(La)과 피복(Lb)이 함께 구속되는 구조이므로 송전선(L)의 이탈을 보다 확실하게 담보할 수 있으며, 피복(Lb)이 관통된 피침(14b)을 감싸 줌에 따라 자연스럽게 실링되는 기술적인 특징이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커넥터(10)는 절연케이스(11)와 전선수용구(12), 실링패드(13), 전선접속구(14) 및 클램프(15)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가이드레일(20)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송전선(L)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절연케이스(11)는 반원형의 단면을 갖는 제1바디부(11a)와 제2바디부(11b)로 각각 분할형성되어 힌지(미도시)를 매개로 상호 결합되며,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벌어지거나, 오므려져 관형상을 이루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제1바디부(11a)와 제2바디부(11b)의 양단 내주면에는 반원형의 플런지부(11c)가 중심을 향해 연장되어 있어 내측으로 수용되는 실링패드(13) 및 전선접속구(14)의 이탈을 제한한다.
그리고 상기 제1바디부(11a)의 외주면에는 나란하게 돌출된 연장대(11a-1)가 일체로 형성되고, 연장대(11a-1)의 말단에는 슬라이드블록(11a-2)이 일체로 형성되며, 본 실시 예의 경우 슬라이드블록(11a-2)을 매개로 가이드레일(2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전선수용구(12)는 내부 중간에 일체로 형성된 격판(12c)에 의해 공간이 분할되어 격판(12c)을 기준으로 양단으로 개구된 원통형상의 절연재질의 부재로서, 양단을 통해 내측으로 송전선(L)을 인입하더라도 격판(12c)으로 인해 전기적으로 서로 접촉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전선수용구(12)의 양단 외주면에는 원판형상의 플런지(12a)가 일체로 형성되고, 플런지(12a) 사이에는 외주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일렬배치되며, 각각이 내부와 연통되는 관통홀(12b)이 상호 대향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플런지(12a)는 절연케이스(11)의 양단에 마련된 플런지부(11c)의 외측으로 배치되어 절연케이스(11)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역할을 하고, 관통홀(12b)은 전선접속구(14)의 피침(14b)에 상하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실링패드(13)는 실리콘, 고무 등과 같이 소프트하면서도 탄성이 있는 부재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절연케이스(11)의 내면에 부착되며, 절연케이스(11)의 가압시 전선접속구(14)의 둘레면에 기밀하게 밀착되어 외부로부터 침투수가 유입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선접속구(14)는 호판(14a)과 피침(14b)으로 구성된 전도성재질의 부재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전선수용구(12)와 실링패드(13) 사이에 개입되며, 절연케이스(11)의 가압에 의해 이동되어 송전선(L)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면서 송전선(L)의 이탈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호판(14a)은 반원형의 단면을 갖는 부재로, 전선수용구(12)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어 전선수용구(12)와 실링패드(13) 사이에 개입되고, 이렇게 배치된 호판(14a)은 절연케이스(11)의 가압에 의해 내주면은 전선수용구(12)의 외주면에 밀착되고, 외주면은 실링패드(13)의 내주면에 밀착된다.
상기 피침(14b)은 원뿔형상의 부재로, 호판(14a)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관통홀(12b)에 승강가능하게 끼워지며, 절연케이스(11)의 가압에 의한 호판(14a)의 이동에 의해 함께 관통홀(12b)을 따라 이동되어 송전선(L)의 피복(Lb)을 관통해 도선(La)에 꽂힘(박힘)으로써 송전선(L)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면서 송전선(L)을 물어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일 예로, 상기 송전선(L)을 전선수용구(12)에 삽입한 상태에서 절연케이스(11)로 전선접속구(14)를 가압하게 되면, 절연케이스(11)의 가압에 의한 호판(14a)의 이동에 의해 피침(14b)이 자연스럽게 이동하게 되고, 피침(14b)은 관통홀(12b)을 따라 이동되어 송전선(L)의 피복(Lb)을 관통해 도선(La)에 꽂히게(박히게) 되며, 이에 따라 송전선(L)의 도선(La)은 피침(14b)과 호판(14a)을 매개로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된다.
또한, 상기 피침(14b)이 송전선(L)의 피복(Lb)을 관통해 도선(La)에 꽂히게(박히게) 됨에 따라 송전선(L)에 외력(인장력)이 작용하더라도 외부로의 이탈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으며, 더욱이 피복(Lb)이 피침(14b)과 함께 송전선(L)의 이동을 제한하게 되므로 송전선(L)의 이탈을 더욱더 억제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상기 피침(14b)이 피복(Lb)을 관통함에 있어 피침(14b)의 둘레면이 피복(Lb)에 의해 자연스럽게 감싸지면서 실링하게 되는 부수적인 효과도 기대해 볼 수 있다.
상기 클램프(15)는 제1·2바디부(11a,11b)의 회동을 단속하는 공지의 결합구로서, 제1바디부(11a)의 외주면에는 후크형상의 걸이부(15a)가 설치되고, 제2바디부(11b)의 외주면에는 체결부(15b)가 설치된다.
상기 클램프(15)는 이미 널리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계속해서, 상기 가이드레일(20)은 내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양단과 상면으로 개구된 부재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바닥이나 벽면에 고정수단(예:앵커볼트)을 매개로 설치되어 커넥터(1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이드레일(20)의 내측에는 슬라이드블록(11a-2)이 이동가능하게 수용되고,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홈(21)에는 연장대(11a-1)가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계속해서, 상기 이동감지센서(30)와 제어부(40) 및 송신기(50)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이동감지센서(30)는 공지의 리밋스위치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연장대(11a-1)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가이드레일(20)의 상면에 각각 설치되며, 가이드레일(20)의 가이드홈(21)을 따라 이동하는 연장대(11a-1)에 의해 동작되어 이동감지신호를 제어부(40)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어부(40)는 통상의 마이컴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가이드레일(20)에 설치되어 이동감지센서(30)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위험신호를 송신기(50)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송신기(50)는 가이드레일(20)에 설치되어 제어부(40)로부터 위험신호를 전달받아 외부로 송신하는 역할을 한다.
일 예로서, 상기 커넥터(10)를 매개로 송전선(L)이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 및 고정된 상태에서 송전선(L)에 외력(인장력)이 작용하게 되면, 외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송전선(L)이 이동하게 되면서 커넥터(10)는 가이드레일(20)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커넥터(10)를 구성하는 연장대(11a-1)가 이동감지센서(30)를 지나게 되면 이로 인해 이동감지센서(30)가 동작되면서 이동감지신호를 제어부(40)로 출력하게 되고, 이동감지센서(30)로부터 이동감지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40)는 위험신호를 송신기(50)로 출력하게 되며, 제어부(40)로부터 위험신호를 전달받은 송신기(50)는 위험신호를 관리자가 상주하고 있는 중앙통제실로 송신하게 된다.
그리고 중앙통제실에 상주하고 있는 관리자는 접수받은 위험신호를 통해 송전선(L)의 현재상태를 직감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관련된 필요한 조치를 신속하게 취할 수 있어 외력에 의한 송전선(L)의 단선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송전선 연결기구를 이용해 송전선을 연결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를 참조하면, 우선 도선(La)의 말단까지 피복(Lb)이 감싸진 송전선(L)을 전선수용구(12)의 양단을 통해 내측으로 밀어 넣어 준다.
도 4b 및 도 4c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전선수용구(12)에 송전선(L)이 삽입되면, 전선수용구(12)의 외주면으로 전선접속구(14)를 각각 배치하여 전선접속구(14)의 피침(14b)이 관통홀(12b)에 삽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절연케이스(11)를 구성하는 제1바디부(11a)의 내측으로 전선수용구(12)를 삽입한다.
상기와 같이 제1바디부(11a)의 내측으로 전선수용구(12)가 삽입되면, 개방되어 있던 제2바디부(11b)를 힌지를 매개로 회동시켜 전선접속구(14)를 가압한다.
이때, 상기 절연케이스(11)의 가압에 의한 호판(14a)이 이동하게 되고, 호판(14a)의 이동에 의해 피침(14b)도 함께 관통홀(12b)을 따라 이동되어 송전선(L)의 피복(Lb)을 관통해 도선(La)에 꽂히게(박히게) 되며, 이에 따라 송전선(L)의 도선(La)은 피침(14b)과 호판(14a)을 매개로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된다.
도 4d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말단이 서로 맞대어지면, 절연케이스(11)의 외주면에 형성된 걸이부(15a)와 체결부(15b)로 구성된 클램프(15)로 절연케이스(11)가 벌어지지 않게 고정하면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송전선 연결기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커넥터(10)를 매개로 송전선(L)이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 및 고정된 상태에서 송전선(L)에 외력(인장력)이 작용하게 되면, 외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송전선(L)이 이동하게 되면서 커넥터(10)는 가이드레일(20)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커넥터(10)를 구성하는 연장대(11a-1)가 이동감지센서(30)를 지나게 되면 이로 인해 이동감지센서(30)가 동작되면서 이동감지신호를 제어부(40)로 출력하게 되고, 이동감지센서(30)로부터 이동감지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40)는 위험신호를 송신기(50)로 출력하게 되며, 제어부(40)로부터 위험신호를 전달받은 송신기(50)는 위험신호를 관리자가 상주하고 있는 중앙통제실로 송신하게 된다.
그리고 중앙통제실에 상주하고 있는 관리자는 접수받은 위험신호를 통해 송전선(L)의 현재상태를 직감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관련된 필요한 조치를 신속하게 취할 수 있어 외력에 의한 송전선(L)의 단선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이동감지센서(30)와 제어부(40) 및 송신기(50)를 매개로 가이드레일(20)을 따라 이동하는 커넥터(10)를 감지하여 이를 중앙통제실에 알려줄 수 있기 때문에 중앙통제실에 상주하고 있는 관리자는 접수받은 위험신호를 통해 송전선(L)의 현재상태를 직감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관련된 필요한 조치를 신속하게 취할 수 있어 외력에 의한 송전선(L)의 단선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커넥터(10)의 피침(14b)이 송전선(L)의 피복(Lb)을 관통해 도선(La)에 꽂히게(박히게) 됨에 따라 송전선(L)에 외력(인장력)이 작용하더라도 외부로의 이탈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으며, 더욱이 피복(Lb)이 피침(14b)과 함께 송전선(L)의 이동을 제한하게 되므로 송전선(L)의 이탈을 더욱더 억제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상기 피침(14b)이 피복(Lb)을 관통함에 있어 피침(14b)의 둘레면이 피복(Lb)에 의해 자연스럽게 감싸지면서 실링하게 되는 부수적인 효과도 기대해 볼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커넥터 11: 절연케이스 11a: 제1바디부
11b: 제2바디부 12: 전선수용구 12a: 플런지
12b: 관통홀 12c: 격벽 13: 실링패드
14: 전선접속구 14a: 호판 14b: 피침
15: 클램프 15a: 걸이부 15b: 체결부
20: 가이드레일 21: 가이드홈 30: 이동감지센서
40: 제어부 50: 송신기

Claims (1)

  1. 반원형의 단면을 갖는 제1바디부(11a)와 제2바디부(11b)로 각각 분할형성되어 힌지를 매개로 상호 결합되되, 제1·2바디부(11a,11b)의 양단 내주면에는 반원형의 플런지부(11c)가 중심을 향해 연장되고, 제1바디부(11a)에는 외주면으로부터 나란하게 돌출된 연장대(11a-1)가 일체로 형성되며, 연장대(11a-1)의 말단에는 슬라이드블록(11a-2)이 일체로 형성된 관형상의 절연케이스(11)와,
    양단을 통해 도선(La)과 피복(Lb)으로 구성된 송전선(L)이 각각 삽입되어 케이스(11)의 내부에 삽탈가능하게 수용되고, 양단 외주면에는 절연케이스(11)의 양단에 각각 배치되는 원판형상의 플런지(12a)가 일체로 형성되며, 플런지(12a) 사이에는 외주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일렬배치되어 각각이 내부와 연통되는 관통홀(12b)이 상호 대향되게 형성된 절연재질의 전선수용구(12)와,
    절연케이스(11)의 내면에 형성되는 탄성을 갖춘 실링패드(13)와,
    전선수용구(12)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어 전선수용구(12)와 실링패드(13) 사이에 개입되되, 절연케이스(11)의 가압에 의해 내주면은 전선수용구(12)의 외주면에 밀착되고, 외주면은 실링패드(13)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반원형의 단면을 갖는 호판(14a), 호판(14a)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며 관통홀(12b)에 승강가능하게 끼워져 송전선(L)의 피복(Lb)을 관통해 도선(La)에 꽂혀져 송전선(L)을 물어 고정하는 피침(14b)으로 구성되어 송전선(L)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는 전도성재질의 전선접속구(14)와,
    절연케이스(11)에 설치되어 제1·2바디부(11a,11b)의 회동을 단속하는 클램프(15)로 이루어진 커넥터(10);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홈(21)을 매개로 커넥터(10)의 슬라이드블록(11a-2)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레일(20);
    연장대(11a-1)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가이드레일(20)의 상면에 각각 설치되며 가이드레일(20)을 따라 이동하는 연장대(11a-1)에 의해 동작되어 이동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이동감지센서(30);
    이동감지센서(30)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위험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40);
    제어부(40)로부터 위험신호를 전달받아 외부로 송신하는 송신기(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지중송전선 연결기구.
KR1020200105334A 2020-08-21 2020-08-21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지중송전선 연결기구 KR1022369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5334A KR102236902B1 (ko) 2020-08-21 2020-08-21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지중송전선 연결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5334A KR102236902B1 (ko) 2020-08-21 2020-08-21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지중송전선 연결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6902B1 true KR102236902B1 (ko) 2021-04-07

Family

ID=75469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5334A KR102236902B1 (ko) 2020-08-21 2020-08-21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지중송전선 연결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690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3416B1 (ko) 2011-09-15 2011-11-14 (주)우진엔지니어링 지중배전선 보호절연 커넥터
KR101920203B1 (ko) * 2018-07-04 2018-11-21 주식회사 동명전력 지중배전선 보호용 절연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3416B1 (ko) 2011-09-15 2011-11-14 (주)우진엔지니어링 지중배전선 보호절연 커넥터
KR101920203B1 (ko) * 2018-07-04 2018-11-21 주식회사 동명전력 지중배전선 보호용 절연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8113B1 (ko) 누전감지기능을 갖춘 지중배전라인 안전연결용 접속기구
US7029327B2 (en) Watertight device for connecting a transmission line connector to a signal source connector
AU3245500A (en) Test plug and cable for a glucose monitor
CA2390528A1 (en) Pothead with pressure energized lip seals
CA2348489A1 (en) Electrical connector system
CN113871958B (zh) 连接组件、连接装置和神经电刺激系统
CN107017512A (zh) 连接侧带笼式弹簧的连接器
KR102236902B1 (ko)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지중송전선 연결기구
CN113809593B (zh) 连接装置和神经电刺激系统
US20040025682A1 (en) Valve-controlled fluidic actuator system
US5280554A (en) Connecting arrangement with a connector and mating element and a cable with electrical and optical properties
CN110265805A (zh) 一种绝缘分支线夹及其分支线连接器
CN209963293U (zh) 一种绝缘分支线夹及其分支线连接器
CN210379652U (zh) 一种电子设备数据线插头结构
US6203023B1 (en) Cable inlet
ES2175639T3 (es) Conectador con perforacion de aislante.
CN218039812U (zh) 一种用于与导电线缆的导线快接的连接器
CN213602087U (zh) 一种快插式户外防水连接器
CN110544919B (zh) 防水电缆接头及电器用线束
CN217281384U (zh) 一种防水电转接件
RU2804943C1 (ru) Кабельный наконечник
CN218039813U (zh) 一种导电线缆的导线快接装置
CN214070395U (zh) 一种物联网终端兼容多种线缆和接口的可靠防水结构
CN209860170U (zh) 一种绝缘密封分支线连接器
WO2016024781A1 (ko) 이어폰 잭 분리 신호 발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