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9884B1 - 안정적 송전이 가능한 지중송전라인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안정적 송전이 가능한 지중송전라인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9884B1
KR102029884B1 KR1020190084210A KR20190084210A KR102029884B1 KR 102029884 B1 KR102029884 B1 KR 102029884B1 KR 1020190084210 A KR1020190084210 A KR 1020190084210A KR 20190084210 A KR20190084210 A KR 20190084210A KR 102029884 B1 KR102029884 B1 KR 1020298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transmission line
electrode
power transmission
lin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4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문기
이태언
Original Assignee
티엘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엘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티엘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190084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98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9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98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정적 송전이 가능한 지중송전라인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호케이스(10)와; 보호케이스(10)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내설되며, 보호케이스(10)의 내측으로 인입된 송전선(L)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송전선연결유닛(20)과; 송전선연결유닛(20)에 각각 설치된 송전선(L)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는 가변전극(30)과; 보호케이스(10)에 내설되어 활선상태에서 가변전극(30)의 교체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송전선(L)이 설치된 한 쌍의 송전선연결유닛(20)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면서 송전선연결유닛(20)과 가변전극(30) 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끊어주는 전극교체용 유닛(40)와; 보호케이스(10)에 설치되어 송전선연결유닛(20)과 함께 이동하는 단자접속구(45)를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감지센서(50)와; 감지센서(50)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경고신호를 출력하도록 된 제어부(60)와; 제어부(60)로부터 경고신호를 전달받아 외부로 송신하는 송신기(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송전선의 전기를 차단하지 않고도 활선상태에서 가변전극의 교체작업을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이 매우 편리해짐은 물론 안정적인 전기공급이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고, 송전선의 이탈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안정적 송전이 가능한 지중송전라인 연결장치{Equipment for connecting a underground power transmission cable}
본 발명은 안정적 송전이 가능한 지중송전라인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중매설형 송전선로는 지중에 매설된 지중관로의 내부에 설치되며, 지중관로의 내부에 구비된 전선연결대에 연결되어 연장되거나 분기되어, 각 건물 또는 주택으로 연결되어 전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송전선로는 충분한 용량의 전기를 송전할 수 있는 전선을 이용한다.
이와 같이 송전선로를 연결하는 전선연결대는 송전선이 매설되는 지중관로의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지지프레임과, 도전체인 구리바 등으로 구성되며 양단에는 송전선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기구가 구비되며 금속프레임에 절연되도록 설치되는 전극으로 이루어져, 상기 전극의 양단에 송전선을 고정함으로써 송전선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송전선을 분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종래의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28142호가 있으며, 여기에는 송전선을 쉽고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 기술의 경우 송전선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는 가변전극이 노후 또는 손상될 경우 송전선을 따라 흐르는 전기를 차단한 상태에서 가변전극을 교체해야 했던 번거로움이 있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28142호(2011.04.0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전기를 차단하지 않고도 활선상태에서 전극의 교체작업을 진행할 수 있고, 인장력에 의한 송전선의 이탈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안정적 송전이 가능한 지중송전라인 연결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공간부가 마련된 내측으로 양단을 통해 송전선이 인입되고, 내부 양단부에는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며 상호 대향되게 돌출된 가이드바가 일체로 형성되며, 전면에는 내부와 연통되는 개구부가 마련된 케이스본체와, 케이스본체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와, 케이스본체에 설치되어 도어의 개폐를 단속하는 잠금쇠로 구성된 절연재질의 보호케이스;
일단부에 형성되는 끼움공을 갖추고서 케이스본체의 내부에 상호 대향되게 이격배치되어 가이드바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절연재질의 무빙플레이트와,
무빙플레이트에 체결수단을 매개로 고정되며 케이스본체의 양단을 통해 내측으로 인입된 송전선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고정단자와,
끼움공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전극설치단자와,
축핀을 매개로 무빙플레이트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고정단자와 전극설치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회동단자와,
회동단자를 일 방향으로 탄발지지하는 스프링과,
무빙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스프링을 지지하는 지지구와,
고정단자의 상부에 배치되게 무빙플레이트에 설치되며 안내공을 구비하는 브라켓으로 구성된 송전선연결유닛;
양단부가 송전선연결유닛의 전극설치단자에 각각 설치되어 송전선연결유닛에 각각 설치된 송전선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는 탄성을 갖춘 가변전극;
케이스본체의 상면에 끼움결합되는 베어링과,
베어링에 회전가능하게 압입고정되며 외주면에 핸들이 마련된 너트관과,
너트관에 체결되는 볼트를 갖추고서 케이스본체에 내설되어 너트관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절연재질의 승강블록과,
승강블록을 수평으로 관통하며 승강블록과 일체형을 이루는 도전성재질의 연결관과,
연결관의 양단을 통해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며 연결관의 내면에 탄발접촉되는 탄발편이 일단에 마련된 신장바, 신장바의 타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브라켓의 안내공에 끼워지되, 하강시 회동단자의 일단부와 고정단자 사이로 개입되어 고정단자와 회동단자를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면서 축핀을 중심으로 회동단자를 회전시켜 회동단자의 타단부와 전극설치단자를 서로 이격시키는 단자접속봉을 갖춘 도전성재질의 단자접속구로 구성된 전극교체용 유닛;
보호케이스에 설치되어 송전선연결유닛과 함께 이동하는 단자접속구를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감지센서;
감지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경고신호를 출력하도록 된 제어부;
제어부로부터 경고신호를 전달받아 외부로 송신하는 송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송전선의 전기를 차단하지 않고도 활선상태에서 가변전극의 교체작업을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이 매우 편리해짐은 물론 안정적인 전기공급이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송전선에 인장력 발생시 이에 의해 이동되는 단자접속구의 이동을 감지하여 이를 작업자에게 신속하게 알려줄 수 있기 때문에 인장력에 의한 송전선의 이탈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정적 송전이 가능한 지중송전라인 연결장치의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정적 송전이 가능한 지중송전라인 연결장치의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정적 송전이 가능한 지중송전라인 연결장치의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정적 송전이 가능한 지중송전라인 연결장치의 요부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정적 송전이 가능한 지중송전라인 연결장치의 요부 분해사시도.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정적 송전이 가능한 지중송전라인 연결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정적 송전이 가능한 지중송전라인 연결장치의 다른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정적 송전이 가능한 지중송전라인 연결장치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정적 송전이 가능한 지중송전라인 연결장치의 정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정적 송전이 가능한 지중송전라인 연결장치의 평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정적 송전이 가능한 지중송전라인 연결장치의 요부확대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정적 송전이 가능한 지중송전라인 연결장치의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1a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중송전라인 연결장치는, 보호케이스(10)와 한 쌍의 송전선연결유닛(20), 가변전극(30), 전극교체용 유닛(40), 감지센서(50), 제어부(60) 및 송신부(70)로 구성된 것으로, 이에 의하면 전기를 차단하지 않고도 활선상태에서 전극의 교체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며, 또한 인장력에 의한 송전선(L)의 이탈을 예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1a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보호케이스(10)는 케이스본체(11)와 도어(12) 및 잠금쇠(13)로 구성된 절연재질의 부재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지중에 매설된 전력구에 내설되어 내부에 설치되는 송전선연결유닛(20)과 가변전극(30) 및 전극교체용 유닛(40)을 감싸 외력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케이스본체(11)는 직사각형상의 함으로, 내부에는 송전선연결유닛(20)과 가변전극(30) 및 전극교체용 유닛(40)이 설치될 수 있도록 공간부가 마련되고, 내부 양단부에는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며 상호 대향되게 돌출된 가이드바(11a)가 일체로 형성되며, 전면에는 내부와 연통되는 개구부가 마련된다.
상기 도어(12)는 힌지를 매개로 케이스본체(11)에 설치되어 케이스본체(11)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잠금쇠(13)는 케이스본체(11)의 전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도어(12)의 개폐를 단속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보호케이스(10)는 양단을 통해 송전선(L)이 각각 인입되며, 인입된 송전선(L)은 한 쌍의 송전선연결유닛(20)과 가변전극(30) 또는 한 쌍의 송전선연결유닛(20)과 전극교체용 유닛(4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1b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한 쌍의 송전선연결유닛(20)은 무빙플레이트(21)와 고정단자(22), 전극설치단자(23), 회동단자(24), 스프링(25), 지지구(26) 및 브라켓(27)으로 구성된 것으로, 본 실시 예의 경우 보호케이스(10)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내설되며, 보호케이스(10)의 내측으로 인입된 송전선(L)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무빙플레이트(21)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절연재질의 판으로, 케이스본체(11)의 바닥면과 가이드바(11a) 사이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끼워진다.
또한, 상기 무빙플레이트(21)의 일단부에는 내부가 단차지게 형성된 끼움공(21a)이 마련되며, 이 끼움공(21a)에는 전극설치단자(23)가 삽탈가능하게 끼워진다.
상기 고정단자(22)는 도전성재질의 블록으로, 본 실시 예의 경우 무빙플레이트(21)의 타단부 상면 즉, 끼움공(21a)의 반대편 상면에 배치되어 체결수단(나사볼트)을 매개로 고정된다.
상기 전극설치단자(23)는 가변전극(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도전성재질의 부재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무빙플레이트(21)의 끼움공(21a)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진다.
특히, 상기 끼움공(21a)에 삽입되는 부분의 외주면에는 외향으로 확장된 단턱부(23a)가 일체로 형성되는데, 이 단턱부(23a)에 의해 전극설치단자(23)의 삽입깊이가 제한된다.
또한, 상기 회동단자(24)의 타단부에 마련된 반원형의 홈(도 5 참조)에 전극설치단자(23)의 외주면이 맞대어질 경우 단턱부(23a)가 회동단자(24)의 하면에 걸리기 때문에 전극설치단자(23)가 끼움공(21a)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회동단자(24)는 직육면체형상의 도전성재질의 블록으로, 본 실시 예의 경우 축핀(P)을 매개로 무빙플레이트(21)의 상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고정단자(22)와 전극설치단자(23)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스위치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회동단자(24)의 일단부는 고정단자(22)의 일면에 맞대어지고, 타단부의 일면에는 반원형의 홈(도 5 참조)이 마련되어 전극설치단자(23)의 외주면에 맞대어진다.
특히, 상기 고정단자(22)와 회동단자(24)가 서로 맞대어지는 면과 상면에는 깔때기모양의 홈(도 5 및 도 6b 참조)이 각각 마련되는데, 이는 이후에 설명되는 전극교체용 유닛의 단자접속봉(45b)이 고정단자(22)와 회동단자(24) 사이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스프링(25)은 코일스프링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무빙플레이트(21)의 상면에 배치되어 회동단자(23)의 타단부와 전극설치단자(23)가 서로 맞대어지면서 밀착되도록 회동단자(23)의 타단부를 전극설치단자(23)를 향해 일 방향으로 탄발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구(26)는 무빙플레이트(21)에 설치되어 스프링(25)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브라켓(27)은 대략‘ㄷ’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부재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고정단자(22)의 상부에 배치되게 무빙플레이트(21)에 체결수단(나사볼트)를 매개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브라켓(27)의 상면에는 상하로 관통된 안내공(27a)이 마련되며, 이 안내공(27a)에는 이후에 설명되는 전극교체용 유닛(40)의 단자접속봉(45b)이 승강가능하게 끼워진다.
한편, 상기 안내공(27a)의 형상을 원형(진원)이 아닌 단자접속봉(45b)의 하단부 단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제작하게 되면 단자접속봉(45b)이 하강하는 과정에 단차진 부분이 브라켓(27)의 상면에 걸리게 되므로 단자접속봉(45b)의 과도한 하강을 제한할 수 있어 안전하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가변전극(30)은 탄성을 갖는 도전성재질의 부재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양단부가 송전선연결유닛(20)의 전극설치단자(23)에 체결수단(나사볼트)를 매개로 각각 설치되어 송전선연결유닛(20)에 각각 설치된 송전선(L)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가변전극(30)은 반원형의 요철로 이루어져 있어 송전선(L)에 인장력이 가해져 송전선연결유닛(20)이 좌우로 각각 이동될 경우 가변전극(30)의 길이가 늘어나면서 이를 수용하므로 인장력으로 인해 송전선(L)이 송전선연결유닛(20)으로부터 이탈되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도 1b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전극교체용 유닛(40)은 베어링(41)과 너트관(42), 승강블록(43), 연결관(44) 및 단자접속구(45)로 구성된 것으로, 본 실시 예의 경우 보호케이스(10)에 내설되어 활선상태에서 가변전극(30)의 교체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송전선(L)이 설치된 한 쌍의 송전선연결유닛(20)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면서 송전선연결유닛(20)과 가변전극(30) 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끊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베어링(41)은 케이스본체(11)의 상면에 압입고정된다.
상기 너트관(42)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부재로, 외주면에는 작업자가 너트관(42)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핸들(42a)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본 실시 예의 경우 너트관(42)은 절연재질로 제작하였다.
상기 승강블록(43)은 케이스본체(11)에 내설되는 절연재질의 부재로, 상면에는 너트관(42)에 체결되는 볼트(43a)가 일체로 형성되고, 너트관(42)의 회전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며, 본 실시 예의 경우 볼트(43a)는 절연재질로 제작하였다.
상기 연결관(44)은 단자접속구(45)의 신장바(45a)를 가이드하는 도전성재질의 부재로, 승강블록(43)에 관통되게 끼워져 수평하게 배치된다.
한편, 상기 승강블록(43)과 연결관(44)은 인서트성형을 통해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고, 승강블록(43)에 연결관(44)이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수단(나사볼트)을 매개로 상호 고정되도록 하여 일체형 구조를 이루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단자접속구(45)는 신장바(45a)와 단자접속봉(45b)으로 구성된 도전성재질의 부재로, 연결관(44)의 양단을 통해 이동가능하게 끼워져 연결관(44)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신장바(45a)는 연결관(44)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져 일단에 마련된 탄발편(45a-1)을 매개로 연결관(44)의 내면에 탄발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단자접속봉(45b)은 신장바(45a)의 타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브라켓(27)의 안내공(27a)에 끼워진다.
특히, 상기 단자접속봉(45b)은 하강시 회동단자(24)의 일단부와 고정단자(22) 사이로 개입되어 고정단자(22)와 회동단자(24)를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면서 회동단자(24)를 축핀(P)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회동단자(24)의 타단부와 전극설치단자(23)를 서로 이격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단자접속봉(45b)의 하단부는 고정단자(22)와 회동단자(24) 사이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게 테이퍼져있다.
그리고 상기 단자접속봉(45b)은 고정단자(22)에 삽입되는 부분과 회동단자(24)에 삽입되는 부분의 크기가 서로 상이한데, 이는 고정단자(22)와 회동단자(24) 사이로 삽입되는 과정에 직경의 확장을 통한 회동단자(24)의 회전을 원활하게 유도하여 전극설치단자(23)로부터 회동단자(24)가 서로 이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1a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감지센서(50)는 광센서로, 본 실시 예의 경우 보호케이스(10)에 설치되어 송전선연결유닛(20)과 함께 이동하는 단자접속구(45)를 감지하여 신호를 제어부(60)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일 예로, 상기 감지센서(50)는 단자접속봉(45b)를 사이에 두고, 수광부와 발광부가 각각 배치되며, 수광부와 발광부 사이로 단자접속구(45)가 진입하면 감지신호를 제어부(500)로 출력하게 된다.
도 1a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60)는 통상의 컨트롤러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케이스본체(11)에 설치되며 감지센서(50)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경고신호를 송신기(70)로 출력하는 기능을 한다.
도 1a를 참조하면, 상기 송신기(70)는 케이스본체(11)에 설치되어 제어부(60)로부터 경고신호를 전달받아 외부(관리자가 상주하고 있는 관리실)로 송신하며, 경고신호를 전달받은 관리자는 즉시 현장으로 출동하여 신속하게 후속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필요에 따라, 상기 송신기(70)는 지중이 아닌 지상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정적 송전이 가능한 지중송전라인 연결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케이스(10)의 양단을 통해 내측으로 인입된 송전선(L)은 각각 보호케이스(10)의 내부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한 쌍의 송전선연결유닛(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송전선연결유닛(20)은 가변전극(30)을 매개로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됨에 따라 송전선(L)은 자연스럽게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와 같이 연결된 상태에서 가변전극(30)의 노후 및 손상으로 인해 가변전극(30)을 교체하고 할 경우, 도 6a 및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핸들(42a)을 매개로 너트관(42)을 회전시키게 되면 너트관(42)에 체결된 볼트(43a)를 매개로 승강블록(43)이 하강하게 되고, 승강블록(43)이 하강함에 따라 자연스럽게 연결관(44)이 하강하게 되며, 연결관(44)의 하강으로 인해 연결관(44)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단자접속구(45)가 하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단자접속구(45)의 단잡접속봉(45b)은 브라켓(27)을 관통해 고정단자(22)와 회동단자(24) 사이로 인입되고, 인입되는 과정에 단자접속봉(45b)의 직경이 확장됨에 따라 회동단자(24)는 축핀(P)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며, 회동단자(24)의 회전으로 인해 전극설치단자(23)와 맞대어져 있던 회동단자(24)의 타단부는 전극설치단자(23)로부터 자연스럽게 이격된다.
또한, 상기 회동단자(24)의 회전으로 인해 스프링(25)은 압축된다.
한편, 상기 고정단자(22)와 회동단자(24) 사이로 인입된 단자접속구(45)를 매개로 송전선(L)을 전기적으로 연결한 상태에서 작업자는 보호케이스(10)의 도어(12:도 1 참조)를 개방하고, 전극설치단자(23) 및 손상된 가변전극(30)을 외부로 인출한 다음 새로운 전극설치단자(23) 및 가변전극(30)으로 교체하며, 도어(12)를 닫아 폐쇄한다.
그 다음 작업자는 핸들(42a)을 매개로 너트관(42)을 회전시켜 승강블록(43)이 상승되도록 하여 고정단자(22)와 회동단자(24) 사이로 인입된 단자접속구(45)가 승강시켜 준다.
상기 단자접속구(45)가 승강함에 따라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25)이 복원되면서 회동단자(24)를 밀어 회전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고정단자(22)와 전극설치단자(23)는 회동단자(24)를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한 쌍의 송전선연결유닛(20)이 가변전극(30)을 매개로 전기적으로 됨에 따라 송전선(L)은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송전선(L)의 전기를 차단하지 않고도 활선상태에서 가변전극(30)의 교체작업을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이 매우 편리해지는 이점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정적 송전이 가능한 지중송전라인 연결장치의 다른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와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송전선(L)에 인장력이 가해지게 되면, 송전선(L)이 연결된 각각의 송전선연결유닛(20)이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고, 이때 송전선연결유닛(20)의 브라켓(27)에 끼워진 전극교체용 유닛(40)의 단자접속구(45) 역시 함께 이동하게 되므로 단자접속봉(45b)은 그 위치가 변하지 않기 때문에 정확하게 고정단자(22)와 회동단자(24) 사이에 삽입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단자접속구(45)가 이동되어 감지센서(50)로 진입하게 되면, 감지센서(50)는 즉시 감지신호를 제어부(60)로 출력하게 되고, 제어부(60)는 감지센서(50)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경고신호를 송신기(70)로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송신기(70)는 제어부(60)로부터 경고신호를 전달받아 외부(관리자가 상주하고 있는 관리실)로 송신하며, 경고신호를 전달받은 관리자는 즉시 현장으로 출동하여 신속하게 후속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송전선(L)에 인장력 발생시 이에 의해 이동되는 단자접속구(45b)의 이동을 감지하여 이를 작업자에게 신속하게 알려줄 수 있기 때문에 인장력에 의한 송전선(L)의 이탈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보호케이스 11: 케이스본체 11a: 가이드바
12: 도어 13: 잠금쇠 20: 송전선연결유닛
21: 무빙플레이트 22: 고정단자 23: 전극선치단자
24: 회동단자 25: 스프링 26: 지지구
27: 브라켓 30: 가변전극 40: 전극교체용 유닛
41: 베어링 42: 너트관 43: 승강블록
44: 연결관 45: 단자접속구 45a: 신장바
45b: 단자접속봉 50: 감지센서 60: 제어부
70: 송신부

Claims (1)

  1. 공간부가 마련된 내측으로 양단을 통해 송전선(L)이 인입되고, 내부 양단부에는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며 상호 대향되게 돌출된 가이드바(11a)가 일체로 형성되며, 전면에는 내부와 연통되는 개구부가 마련된 케이스본체(11)와, 케이스본체(11)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12)와, 케이스본체(11)에 설치되어 도어(12)의 개폐를 단속하는 잠금쇠(13)로 구성된 절연재질의 보호케이스(10);
    일단부에 형성되는 끼움공(21a)을 갖추고서 케이스본체(11)의 내부에 상호 대향되게 이격배치되어 가이드바(11a)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절연재질의 무빙플레이트(21)와,
    무빙플레이트(21)에 체결수단을 매개로 고정되며 케이스본체(11)의 양단을 통해 내측으로 인입된 송전선(L)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고정단자(22)와,
    끼움공(21a)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전극설치단자(23)와,
    축핀(P)을 매개로 무빙플레이트(2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고정단자(22)와 전극설치단자(23)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회동단자(24)와,
    회동단자(23)를 일 방향으로 탄발지지하는 스프링(25)과,
    무빙플레이트(21)에 설치되어 스프링(25)을 지지하는 지지구(26)와,
    고정단자(22)의 상부에 배치되게 무빙플레이트(21)에 설치되며 안내공(27a)을 구비하는 브라켓(27)으로 구성된 송전선연결유닛(20);
    양단부가 송전선연결유닛(20)의 전극설치단자(23)에 각각 설치되어 송전선연결유닛(20)에 각각 설치된 송전선(L)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는 탄성을 갖춘 가변전극(30);
    케이스본체(11)의 상면에 끼움결합되는 베어링(41)과,
    베어링(41)에 회전가능하게 압입고정되며 외주면에 핸들(42a)이 마련된 절연재질의 너트관(42)과,
    너트관(42)에 체결되는 절연재질의 볼트(43a)를 갖추고서 케이스본체(11)에 내설되어 너트관(42)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절연재질의 승강블록(43)과,
    승강블록(43)을 수평으로 관통하며 승강블록(43)과 일체형을 이루는 도전성재질의 연결관(44)과,
    연결관(44)의 양단을 통해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며 연결관(44)의 내면에 탄발접촉되는 탄발편(45a-1)이 일단에 마련된 신장바(45a), 신장바(45a)의 타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브라켓(27)의 안내공(27a)에 끼워지되, 하강시 회동단자(24)의 일단부와 고정단자(22) 사이로 개입되어 고정단자(22)와 회동단자(24)를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면서 축핀(P)을 중심으로 회동단자(24)를 회전시켜 회동단자(24)의 타단부와 전극설치단자(23)를 서로 이격시키는 단자접속봉(45b)을 갖춘 도전성재질의 단자접속구(45)로 구성된 전극교체용 유닛(40);
    보호케이스(10)에 설치되어 송전선연결유닛(20)과 함께 이동하는 단자접속구(45)를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감지센서(50);
    감지센서(50)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경고신호를 출력하도록 된 제어부(60);
    제어부(60)로부터 경고신호를 전달받아 외부로 송신하는 송신기(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적 송전이 가능한 지중송전라인 연결장치.
KR1020190084210A 2019-07-12 2019-07-12 안정적 송전이 가능한 지중송전라인 연결장치 KR1020298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4210A KR102029884B1 (ko) 2019-07-12 2019-07-12 안정적 송전이 가능한 지중송전라인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4210A KR102029884B1 (ko) 2019-07-12 2019-07-12 안정적 송전이 가능한 지중송전라인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9884B1 true KR102029884B1 (ko) 2019-10-08

Family

ID=68208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4210A KR102029884B1 (ko) 2019-07-12 2019-07-12 안정적 송전이 가능한 지중송전라인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988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8142B1 (ko) 2010-11-30 2011-04-08 (유)전일기술단 지중 매설용 송전선로의 전선연결대
KR101185178B1 (ko) * 2012-06-12 2012-09-24 율삼엔지니어링(주) 매설용 지중송전 커넥터
KR101562258B1 (ko) * 2015-02-06 2015-10-26 (주)대창전력 154kV 초고압변전소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케이블헤드챔버용 수직 승하강식 도체분리장치
KR20170053857A (ko) * 2015-11-07 2017-05-17 이경용 속도조절 의료용 구동장치
KR101823311B1 (ko) * 2017-12-08 2018-01-29 홍기곤 내진구조와 위치가변이 가능한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8142B1 (ko) 2010-11-30 2011-04-08 (유)전일기술단 지중 매설용 송전선로의 전선연결대
KR101185178B1 (ko) * 2012-06-12 2012-09-24 율삼엔지니어링(주) 매설용 지중송전 커넥터
KR101562258B1 (ko) * 2015-02-06 2015-10-26 (주)대창전력 154kV 초고압변전소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케이블헤드챔버용 수직 승하강식 도체분리장치
KR20170053857A (ko) * 2015-11-07 2017-05-17 이경용 속도조절 의료용 구동장치
KR101823311B1 (ko) * 2017-12-08 2018-01-29 홍기곤 내진구조와 위치가변이 가능한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9881B1 (ko) 지중송전라인 안정적 연결용 접속장치
KR102045759B1 (ko) 배전 및 변전용 케이블 보호기구
KR102024670B1 (ko) 안정적 배전이 가능한 지중배전라인 연결장치
KR100909263B1 (ko) 지중배전선의 인입출 배전안내형 접속함
KR102261503B1 (ko) 지중배전선 접속용 감전방지형 배전함
KR101627142B1 (ko) 지중배전선로 전선 연결대의 안전장치
KR102434501B1 (ko) 모니터링이 가능한 가공배전라인 연결기기
KR102343417B1 (ko) 전주 고정형 가공배전라인용 지지기구
KR102024668B1 (ko)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지중송전선 연결기구
KR101293720B1 (ko) 지중전선용 배전관 연결 차단장치
CN106936030B (zh) 用于电子设备的接地端子
US5367251A (en) Tool for grasping and piercing insulated electrical cable for determining whether conductor of cable is energized
KR100877123B1 (ko) 가공전선 연결형 배전함
KR102029884B1 (ko) 안정적 송전이 가능한 지중송전라인 연결장치
KR101319935B1 (ko) 감전사고 방지를 위한 가공 배전선 절연체
KR101440799B1 (ko) 지중 매설용 절연형 배전반
KR101540112B1 (ko) 구간 배전선로 차단 장치
KR101706697B1 (ko) 배전 및 변전용 피뢰기의 마운팅 브라켓 높이 조절장치
KR102459033B1 (ko) 가공배전라인의 안정적 지지가 가능한 가공배전선 고정 클램프 장치
KR101629732B1 (ko) 지중배전선의 합선 방지용 배선패널
KR101882189B1 (ko) 건축물에 배선된 배전케이블의 누전 차단형 트레이장치
EP3109954A1 (en) A voice splitter
CN213845562U (zh) 用于接地线的短路保护用挂钩
CZ20011983A3 (cs) Způsob monitorování přítomnosti uzemňovacích svěrek manuálně a přechodně připevněných na vysokonapě»ových vodičích a poskytnutí výstrahy upozorňující na přítomnost těchto uzemňovacích svěrek, systém k provádění tohoto způsobu, výstraľné zařízení a vodičový prostředek zahrnutý v tomto systému
KR101989357B1 (ko) 특고압 송배전선의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