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2281B1 - 지중배전라인 지지가 용이한 지중배전선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지중배전라인 지지가 용이한 지중배전선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2281B1
KR102112281B1 KR1020190159689A KR20190159689A KR102112281B1 KR 102112281 B1 KR102112281 B1 KR 102112281B1 KR 1020190159689 A KR1020190159689 A KR 1020190159689A KR 20190159689 A KR20190159689 A KR 20190159689A KR 102112281 B1 KR102112281 B1 KR 1021122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ion line
fluid
wire
underground distribution
water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9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해민
임채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원감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원감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원감리
Priority to KR1020190159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22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2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22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1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cable chambers, e.g. in manhole or in handhole

Landscapes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배전라인 지지가 용이한 지중배전선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력구의 벽면(W)에 고정되며 배수구(120)와 걸고리고정부(130)을 구비하는 지지대(100); 지지대(100)의 배수구(120)와 상호 연결되어 배수구(120)를 통해 배수되는 유체를 집수하는 유체유도관(200); 유체유도관(200)에 내설되어 지지대(100)에 거치되는 지중배전선(L)을 가압고정하는 전선고정유닛(300); 집수된 유체의 수위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부력체감지센서(400); 부력체감지센서(400)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비상신호를 송신부(600)로 출력하고, 경광부(700)를 동작제어하는 제어부(500); 제어부(500)로부터 비상신호를 전달받아 외부로 송신하는 송신부(600); 제어부(50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외부로 불빛을 방출하는 경광부(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지중배전선을 쉽고 간편하게 거치 및 고정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고, 결로와 같은 유체 발생시 이를 집수 및 감지하여 관리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신속한 유지보수를 통한 전기합선과 사고로부터 지중배전선을 보호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중배전라인 지지가 용이한 지중배전선 지지장치{Underground distribution line support device}
본 발명은 지중배전라인 지지가 용이한 지중배전선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변전소에서 변전된 전력은 가공 또는 지중을 통해 배전이 이루어지는데, 이중 지중을 통한 지중배전선 시공방법은 직접 매설하는 방식과, 관로를 만든 후 관로에 지중배전선을 수용하는 관로식, 지하에 동도를 파고 동도에 지중배전선을 포설하는 전력구식이 있다.
특히, 전력구식의 경우 지중에 매설된 지중배전선이 맨홀 내부로 노출되고 맨홀 내부에서 지중배전선이 상호 연결되는데, 전력구의 내부의 높은 습도 및 잦은 결로로 인해 유체가 지중배전선의 연결부에서 누전이 일으키기 쉬운 문제가 있으며, 이와 같은 유체의 발생시 이를 관리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시설물관리자가 자주 현장을 점검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87515호(2016.01.21)
본 발명은 지중배전선을 쉽고 간편하게 거치 및 고정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고, 결로에 의한 유체 또는 외부로부터의 침투수에 유입시 이를 집수 및 감지하여 관리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신속한 유지보수를 통한 전기합선과 사고로부터 지중배전선을 보호할 수 있는 지중배전라인 지지가 용이한 지중배전선 지지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력구의 벽면에 고정되며 상면에 지중배전선이 안착될 수 있도록 전선안착부가 마련된 바디와, 전선안착부를 기준으로 일측 상면에 형성되며 내부가 상방으로 개구된 반구형상의 집수부, 집수부를 향해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며 집수부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유도부, 집수부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배수라인으로 구성된 배수구와, 전선안착부를 기준으로 타측 상면에 형성되며 내부가 상방으로 개구된 출입구, 출입구와 상호 연통되고 상부가 폐쇄되며 일측에 하향으로 돌출된 걸림턱이 마련된 수용부로 이루어진 걸고리고정부로 구성된 지지대;
배수라인에 연통되게 끼워지는 연결부와, 연결부로부터 벽면을 향해 하향경사지게 연장된 경사부와, 경사부의 말단에 형성되어 유체를 집수하는 집수탱크와, 집수탱크에 내설되어 유입되는 유체에 의해 부양되는 부력체로 구성된 유체유도관;
걸고리고정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걸고리와, 걸고리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유체유도관에 수용되며, 걸고리에 의해 외부로 인출되어 지중배전선을 가압고정하는 와이어와, 양단이 유체유도관과 와이어의 타단에 각각 고정되도록 유체유도관에 내설되어 와이어를 잡아당기는 스프링으로 구성된 전선고정유닛;
집수탱크에 설치되어 부력체를 감지해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부력체감지센서;
부력체감지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비상신호를 송신부로 출력하고, 경광부를 동작제어하는 제어부;
제어부로부터 비상신호를 전달받아 외부로 송신하는 송신부;
제어부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주변으로 불빛을 방출하는 경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지중배전선을 쉽고 간편하게 거치 및 고정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고, 결로에 의한 유체 또는 외부로부터의 침투수에 유입시 이를 집수 및 감지하여 관리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신속한 유지보수를 통한 전기합선과 사고로부터 지중배전선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지지대의 상면으로 돌출된 부분이 전혀 없기 때문에 지중배전선을 횡 방향(지지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더라도 간섭되는 않으며, 이에 따라 지중배전선의 설치 및 해체작업이 편리해지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선 지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선 지지장치의 일부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정단면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선 지지장치의 사용상태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선 지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선 지지장치의 일부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정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선 지지장치는 지지대(100)와 유체유도관(200), 전선고정유닛(300), 부력체감지센서(400), 제어부(500), 송신부(600) 및 경광부(700)로 구성된 것으로서, 이에 의하면 지중배전선(L)을 쉽고 간편하게 거치 및 고정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고, 결로에 의한 유체 또는 외부로부터의 침투수에 유입시 이를 집수 및 감지하여 관리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신속한 유지보수를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100)는 바디(110)와 배수구(120) 및 걸고리고정부(130)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전력구의 벽면(W)에 고정수단(앵커볼트)을 매개로 설치되어 거치되는 지중배전선(L)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바디(110)는 직육면체를 형상의 부재로, 상면에는 내부가 상방으로 개구되며 내측으로 지중배전선(L)이 삽입되어 얹혀지는 전선안착부(111)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배수구(120)는 전선안착부(111)를 기준으로 일측에 형성되어 결로에 의한 유체 또는 외부로부터의 침투수에 유입시 이를 모아 배출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배수구(120)는 바디(110)의 상면에 형성되며 내부가 상방으로 개구된 반구형상의 집수부(121)와, 집수부(121)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며 집수부(121)를 향해 하향경사지게 형성된 유도부(122), 및 집수부(121)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일단이 집수부(121)와 연통되고 타단이 바디(110)의 하면으로 개구되는 배수라인(123)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집수부(121)에는 걸고리(310)가 삽탈가능하게 인입되고, 걸고리(310)와 연결된 와이어(320)는 배수라인(123)에 이동가능하게 수용된다.
또한, 상기 유도부(122)는 집수부(121)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 유체를 용이하게 집수부(121)로 유도할 수 있다.
상기 걸고리고정부(130)는 전선안착부(111)를 기준으로 타측에 형성되며 걸고리(31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걸고리고정부(130)는 전선안착부(111)를 기준으로 바디(110)의 타측 상면에 형성되며 내부가 상방으로 개구된 출입구(131)와, 출입구(131)와 상호 연통되고 상부가 폐쇄되며 일측에 하향으로 돌출된 걸림턱(132a)이 마련된 수용부(132)로 구성된다.
일 예로, 상기 출입구(131)를 통해 인입된 걸고리(310)를 슬라이드 이동시켜 수용부(132)로 인입해 주면, 인입된 걸고리(310)의 일측이 수용부(132)의 걸림턱(132a)에 걸림에 따라 외력에 의한 걸고리(310)의 이탈을 최소화시켜 줄 수 있기 때문에 고정성을 보다 확실하게 담보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유체유도관(200)은 일단이 배수라인(123)에 끼워지고, 타단이 전력구의 벽면(W)에 맞대어져 지지대(100)가 처지지 않도록 지지하면서 배수구(120)로부터 유체를 전달받아 집수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유체유도관(200)은 일단이 개구되고 타단이 막힌 부재로서, 배수라인(123)에 연통되게 끼워지는 연결부(210)와, 연결부(210)의 하단으로부터 벽면(W)를 향해 하향경사지게 연장된 경사부(220), 경사부(220)의 말단에 형성되어 유체를 집수하도록 된 집수탱크(230), 및 집수탱크(230)에 내설되어 유입되는 유체에 의해 부양되는 부력체(240)로 구성된다.
일 예로, 상기 배수구(120)를 통해 배수된 유체는 연결부(210)로 유입되어 경사부(220)를 따라 흐르다가 경사부(220)의 말단에 형성된 집수탱크(230)에 집수되며, 집수탱크(230)로 유입되는 유체에 의해 부력체(240)가 부양하게 된다.
여기서, 부력체(240)는 유체에 쉽게 뜨는 스티로폼이며, 이 부력체(240)의 부양은 집수탱크(230)에 설치되는 부력체감지센서(400)에 의해 감지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전선고정유닛(300)은 걸고리(310)와 와이어(320) 및 스프링(330)으로 구성된 것으로, 본 실시 예의 경우 일단부가 유체유도관(200)에 내설되어 고정되고, 타단부가 배수구(120)에 노출되게 배치되며, 걸고리고정부(13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전선안착부(111)에 안착된 지중배전선(L)을 가압해 고정하거나 해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걸고리(310)는‘ㅜ’형상의 부재로, 배수구(120)를 구성하는 집수부(121)에 삽탈가능하게 수용되되, 집수부(121)로부터 돌출되지 않게 수용되며, 이에 따라 지지대(100)의 상면으로 돌출된 부분이 전혀 없기 때문에 지중배전선(L)을 횡방향(지지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더라도 간섭되는 것이 전혀 없기 때문에 이동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와이어(320)는 배수라인(123) 및 유체유도관(200)에 내설되되, 일단이 걸고리(310)에 고정되고, 타단이 유체유도관(200)에 내설된 스프링(330)의 일단에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와이어(320)는 걸고리(310)에 의해 외부로 인출되어 전선안착부(111)에 얹혀진 지중배전선(L)의 외주면을 가압해 고정한다.
상기 스프링(330)은 유체유도관(200)에 내설되되, 일단이 와이어(320)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집수탱크(230)의 내면에 고정되어 탄성력을 매개로 와이어(320) 및 걸고리(310)를 잡아당겨 걸고리(310)가 걸고리고정부(130)에 걸려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항시 배수구(120)의 집수부(121)에 수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일 예로, 상기 지지대(100)의 전선안착부(111)에 지중배전선(L)이 안착된 상태에서 걸고리(310)를 집수부(121)로부터 인출하게 되면, 걸고리(310)와 연결된 와이어(320)가 서서히 외부로 인출되고, 이와 더불어 와이어(320)와 연결된 스프링(330)이 유체유도관(200) 내에서 인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중배전선(L)을 가로질러 걸고리(310)를 걸고리고정부(130)에 끼워 걸어주게 되면, 와이어(320)는 지중배전선(L)의 외주면에 맞대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와이어(320)는 스프링(33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당겨지고, 당겨지는 와이어(320)가 지중배전선(L)의 외주면을 강하게 압박함에 따라 지중배전선(L)은 전선안착부(111)에 자연스럽게 고정된다.
한편, 상기 걸고리고정부(130)에 끼워진 걸고리(310)의 경우 수용부(132)의 걸림턱(132a)에 걸림에 따라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외력에 의한 걸고리(310)의 이탈을 최소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확실한 고정성을 담보할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부력체감지센서(400)는 비접촉식센서로, 본 실시 예의 경우 집수탱크(230)에 관통되게 설치되어 부력체(240)를 감지해 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500)는 부력체감지센서(400)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비상신호를 송신부(600)로 출력하고, 경광부(700)를 동작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송신부(600)는 유무선방식의 통신수단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제어부(500)로부터 비상신호를 전달받아 외부로 송신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경광부(700)는 램프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제어부(50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주변으로 불빛을 방출해 시각적으로 경고하는 역할을 한다.
일 예로, 배수구(120)를 통해 유체가 유입되어 배수되면, 배수된 유체는 연결부(210)로 유입되어 경사부(220)를 따라 흘러 집수탱크(230)에 집수된다.
이때, 유입된 유체에 의해 부력체(240)가 부양되는데, 부양된 부력체(240)를 부력체감지센서(400)가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제어부(500)로 출력하게 되고, 제어부(500)는 부력체감지센서(400)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비상신호를 송신부(600)로 출력하면서 주변에 있는 관리자가 시각적으로 현 상태를 인지할 수 있게 경광부(700)를 동작제어하게 된다.
한편, 비상신호를 전달받은 송신부(600)는 유무선방식에 의해 작업자가 상주하고 있는 중앙통제실로 비상신호를 송신하며, 작업자는 수신받은 비상신호를 통해 현재 상태를 직감적으로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하게 후속 대응을 통해 전기합선과 같은 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선 지지장치의 사용상태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선 지지장치에 지중배전선(L)을 거치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지지대(100)의 상면에 지중배전선(L)을 배치한 다음, 지중배전선(L)을 지지대(100)의 상면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전선안착부(111)에 수용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전선안착부(111)에 지중배전선(L)이 수용되면, 전선고정유닛(300)을 구성하는 걸고리(310)를 배수구(120)로부터 인출하며, 이때 걸고리(310)와 연결된 와이어(320)가 서서히 외부로 인출되고, 이와 더불어 와이어(320)와 연결된 스프링(330)이 유체유도관(200) 내에서 인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걸고리(310)를 지중배전선(L)의 상부를 가로질러 걸고리고정부(130)에 끼워 걸어주게 되면, 와이어(320)는 지중배전선(L)의 외주면에 맞대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걸고리(310)와 와이어(320)는 스프링(33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당겨지게 되는데, 당겨진 걸고리(310)는 수용부(132) 내에서 상방으로 상승되어 걸림턱(132a)에 걸리게 되고, 와이어(320)는 지중배전선(L)의 외주면을 압박해 고정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지중배전선(L)이 설치된 상태에서 결로에 의한 유체 또는 외부로부터 침투수가 유입되는 경우, 유체는 배수구(120)로 유도된다.
이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배수구(120)를 통해 유체가 유입되어 배수되면, 배수된 유체는 연결부(210)로 유입되어 경사부(220)를 따라 흘러 집수탱크(230)에 집수된다.
이때, 유입된 유체에 의해 부력체(240)가 부양되는데, 부양된 부력체(240)를 부력체감지센서(400)가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제어부(500)로 출력하게 되고, 제어부(500)는 부력체감지센서(400)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비상신호를 송신부(600)로 출력하면서 주변에 있는 관리자가 시각적으로 현 상태를 인지할 수 있게 경광부(700)를 동작제어하게 된다.
한편, 비상신호를 전달받은 송신부(600)는 유무선방식에 의해 작업자가 상주하고 있는 중앙통제실로 비상신호를 송신하며, 작업자는 수신받은 비상신호를 통해 현재 상태를 직감적으로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하게 후속 대응을 통해 전기합선과 같은 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지중배전선(L)을 쉽고 간편하게 거치 및 고정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고, 결로에 의한 유체 또는 외부로부터의 침투수에 유입시 이를 집수 및 감지하여 관리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신속한 유지보수를 통한 전기합선과 사고로부터 지중배전선(L)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지지대(100)의 상면으로 돌출된 부분이 전혀 없기 때문에 지중배전선(L)을 횡 방향(지지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더라도 간섭되는 않으며, 이에 따라 지중배전선(L)의 설치 및 해체작업이 편리해지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지지대 110: 바디 111: 전선안착부
120: 배수구 121: 집수부 122: 유도부
123: 배수라인 130: 걸고리고정부 131: 출입구
132: 수용부 132a: 걸림턱 200: 유체유도관
210: 연결부 220: 경사부 230: 집수탱크
240: 부력체 300: 전선고정유닛 310: 걸고리
320: 와이어 330: 스프링 400: 부력체감지센서
500: 제어부 600: 송신부 700: 경광부

Claims (1)

  1. 전력구의 벽면(W)에 고정되며 상면에 지중배전선(L)이 안착될 수 있도록 전선안착부(111)가 마련된 바디(110)와, 전선안착부(111)를 기준으로 일측 상면에 형성되며 내부가 상방으로 개구된 반구형상의 집수부(121), 집수부(121)를 향해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며 집수부(121)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유도부(122), 집수부(121)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배수라인(123)으로 구성된 배수구(120)와, 전선안착부(111)를 기준으로 타측 상면에 형성되며 내부가 상방으로 개구된 출입구(131), 출입구(131)와 상호 연통되고 상부가 폐쇄되며 일측에 하향으로 돌출된 걸림턱(132a)이 마련된 수용부(132)로 이루어진 걸고리고정부(130)로 구성된 지지대(100);
    배수라인(123)에 연통되게 끼워지는 연결부(210)와, 연결부(210)로부터 벽면(W)를 향해 하향경사지게 연장된 경사부(220)와, 경사부(220)의 말단에 형성되어 유체를 집수하는 집수탱크(230)와, 집수탱크(230)에 내설되어 유입되는 유체에 의해 부양되는 부력체(240)로 구성된 유체유도관(200);
    걸고리고정부(13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걸고리(310)와, 걸고리(310)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유체유도관(200)에 수용되며, 걸고리(310)에 의해 외부로 인출되어 지중배전선(L)을 가압고정하는 와이어(320)와, 양단이 유체유도관(200)과 와이어(320)의 타단에 각각 고정되도록 유체유도관(200)에 내설되어 와이어(320)를 잡아당기는 스프링(330)으로 구성된 전선고정유닛(300);
    집수탱크(230)에 설치되어 부력체(240)를 감지해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부력체감지센서(400);
    부력체감지센서(400)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비상신호를 송신부(600)로 출력하고, 경광부(700)를 동작제어하는 제어부(500);
    제어부(500)로부터 비상신호를 전달받아 외부로 송신하는 송신부(600);
    제어부(50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주변으로 불빛을 방출하는 경광부(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배전선 지지장치.
KR1020190159689A 2019-12-04 2019-12-04 지중배전라인 지지가 용이한 지중배전선 지지장치 KR1021122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9689A KR102112281B1 (ko) 2019-12-04 2019-12-04 지중배전라인 지지가 용이한 지중배전선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9689A KR102112281B1 (ko) 2019-12-04 2019-12-04 지중배전라인 지지가 용이한 지중배전선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2281B1 true KR102112281B1 (ko) 2020-05-18

Family

ID=70912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9689A KR102112281B1 (ko) 2019-12-04 2019-12-04 지중배전라인 지지가 용이한 지중배전선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22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3698B1 (ko) * 2023-02-28 2024-03-06 세연전력기술단주식회사 지중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검출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0700Y1 (ko) * 2006-04-17 2006-07-06 (주)일광종합기술단 송,배전 케이블의 지지장치
KR100808401B1 (ko) * 2007-09-17 2008-02-29 (주)상일전설 종류별 배전선 설치가 가능한 지중전력구 배전선로
KR101587515B1 (ko) 2015-07-29 2016-01-21 이수이엔지 주식회사 지중배전선의 안정적 설치가 가능한 지중배전선 설치대
KR101732161B1 (ko) * 2016-08-12 2017-05-04 이수기술단(주) 소방배관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
KR101791968B1 (ko) * 2017-04-26 2017-11-01 주식회사 영진기술단 전력구 내 안정적 배전을 위한 지중배전선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0700Y1 (ko) * 2006-04-17 2006-07-06 (주)일광종합기술단 송,배전 케이블의 지지장치
KR100808401B1 (ko) * 2007-09-17 2008-02-29 (주)상일전설 종류별 배전선 설치가 가능한 지중전력구 배전선로
KR101587515B1 (ko) 2015-07-29 2016-01-21 이수이엔지 주식회사 지중배전선의 안정적 설치가 가능한 지중배전선 설치대
KR101732161B1 (ko) * 2016-08-12 2017-05-04 이수기술단(주) 소방배관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
KR101791968B1 (ko) * 2017-04-26 2017-11-01 주식회사 영진기술단 전력구 내 안정적 배전을 위한 지중배전선 연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3698B1 (ko) * 2023-02-28 2024-03-06 세연전력기술단주식회사 지중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검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2805B1 (ko) 안정적 지중배전을 위한 지중배전라인 연결기구
KR102112281B1 (ko) 지중배전라인 지지가 용이한 지중배전선 지지장치
KR102163322B1 (ko) 맨홀 내 유해가스 감지 및 배출 시스템
KR102131877B1 (ko) 누전확인이 가능한 지중배전라인 지지장치
CN110335446A (zh) 一种自动排水防汛预警方法、装置及系统
US9422137B2 (en) Device and method for lifting and lowering a load
KR102153715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지중배전선 배치 트레이장치
KR102452846B1 (ko) 맨홀 내 작업자 안전을 위한 점검차량
KR102433351B1 (ko) 스마트 콘크리트 맨홀 및 그의 관리 운영 시스템
KR101188986B1 (ko) 안전 발판부가 구비된 지하매설 작업탱크용 진입커버
KR101198828B1 (ko) 광케이블접속함체의 이동장치
KR20160038362A (ko) 콘크리트 매트리스 리프팅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매트리스 설치 시스템
KR101943042B1 (ko) 검전 접지장치
KR102119115B1 (ko) 배전용 케이블 단락 보강장치
JP2005249453A (ja) 水位計測装置
KR102238299B1 (ko) 고정 강도 향상을 통한 선택적 부착 기능을 구비하는 뎁스 메저링 시스템
KR102549595B1 (ko) 누전확인 기능을 갖춘 지중송전선 이탈방지용 고정장치
KR102072114B1 (ko) 수질관측 지하수 상부보호공
KR101132390B1 (ko) 누전방지형 지중배전선 보호관
CN112525287A (zh) 一种变电站水位检测装置
KR100772147B1 (ko) 지하에 매설되는 지중배전선 연결관
CN108983831A (zh) 一种监测电缆管廊水位的预警装置
KR102375840B1 (ko) 변전기와 연결되는 지중 송전선로의 안전장치 설치방법
KR102549598B1 (ko) 지중배전 및 송전을 위한 전선접속형 지지장치
KR102643698B1 (ko) 지중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검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