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8299B1 - 고정 강도 향상을 통한 선택적 부착 기능을 구비하는 뎁스 메저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고정 강도 향상을 통한 선택적 부착 기능을 구비하는 뎁스 메저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8299B1
KR102238299B1 KR1020200115234A KR20200115234A KR102238299B1 KR 102238299 B1 KR102238299 B1 KR 102238299B1 KR 1020200115234 A KR1020200115234 A KR 1020200115234A KR 20200115234 A KR20200115234 A KR 20200115234A KR 102238299 B1 KR102238299 B1 KR 1022382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external measuring
measuring unit
barrier
exte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5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성철
Original Assignee
더본테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본테크(주) filed Critical 더본테크(주)
Priority to KR1020200115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82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8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82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18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ept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02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 G01B3/04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rigid
    • G01B3/08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rigid extensib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002Arrangements for supporting, fixing or guiding the measuring instrument or the object to be measur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고정 강도 향상을 통한 선택적 부착 기능을 구비하는 뎁스 메저링 시스템은 장방향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외주면에 제공되는 스케일을 통해 맨홀의 깊이를 메저링 하도록 하는 익스터널 메저링 유닛; 익스터널 메저링 유닛의 내부공간 내에 제공되며, 익스터널 메저링 유닛의 내부로부터 연장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인터널 익스텐션 유닛; 및 선택적으로 마그네틱 성질을 구비하며, 익스터널 메저링 유닛에 선택적으로 탈부착되며 맨홀의 내주면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인디케이트 디테처블 유닛을 포함하는 기술적 사상을 개시한다.

Description

고정 강도 향상을 통한 선택적 부착 기능을 구비하는 뎁스 메저링 시스템 {Depth measuring system by improving fixation capacity equipped with function for selective adhesion}
본 발명은 고정 강도가 향상된 탈부착 가능하도록 하는 뎁스 메저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익스터널 메저링 유닛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인터레이스부와 인디케이트 디테처블 유닛의 자중과 인력으로 인하여 고정 강도가 향상되고 선택적 부착을 통하여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고정 강도 향상을 통한 선택적 부착 기능을 구비하는 뎁스 메저링 시스템이다.
맨홀은 하수관로 내의 점검, 청소, 장해물의 제거, 보수 등을 위한 장비 및 사람의 출입을 가능하게 하고, 악취 및 부패성 가스의 환기 등을 위해 필요할 뿐만 아니라 하수관로의 기점, 합류점, 지름과 방향 구배가 변하는 곳 등의 중간 점에 설치되는 하수도 시설물이다.
맨홀은 지하로 매설됨에 따라 시공 후 맨홀 내로 들어가 조사를 해야 하는 불편과 번거로움 및 밀폐공간에서의 안전에 대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유인 작업의 경우, 안전성과 보수 작업에 대한 시간에 따른 비용이 소요됨으로 인한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사람이 내부의 밀폐공간으로 들어가 작업해야 하는 상황을 최소화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기술적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선행 특허문헌 "지상에서 작업 가능한 하수관 측정자(등록번호 제10-1163116호, 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한다.)"가 존재한다.
특허문헌1에 따른 특허발명의 경우, 지상에서 작업 가능한 하수관경 측정자에 관한 것으로서, 지상과 수직으로 하강하여 하수관 내부의 높이를 측정하는 내부틀; 상기 내부틀의 외측 둘레를 감싸고 있으며 일측면에 눈금표시가 구비된 외부틀; 및 하수관 상부의 지면과 수평으로 밀착되어 상기 외부틀을 고정시키는 고정대를 포함한다.
특허문헌1의 경우, 내부틀 하단에 하수관경 측정자를 연결함으로써, 작업자가 직접 하수관으로 들어가지 않고 하수관 깊이를 측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수관의 폭 및 하수관을 관통하는 파이프의 관경을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선행 특허문헌으로서 "하수관 검사장치 및 방법(등록번호 제10-0893728호, 이하 특허문헌 2라 한다.)"가 존재한다.
특허문헌 2에 따른 발명은 하수관 검사시 L자 스타프를 이용하여 하수관의 관저고와 관경을 효과적으로 측정하는 하수관 검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하수관의 관저고, 관경 등의 측정시 관의 상단측 및 하단측과 정확히 직각을 유지하면서 측정을 할 수 있는 L자 스타프를 이용하여 관경은 물론 관저고 등을 효율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측정수단을 구현함으로써, 하수관의 각종 상태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으며, 검사작업을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한편, 하수관의 내부 촬영을 위한 카메라, 깊이 측정을 위한 레이저 장비, 수평 확인을 위한 수평계, 토사량 확인을 위한 심도측정기 등과 같은 부속장비를 구비함으로써, 하수관에 대한 보다 다양한 정보 데이터를 얻을 수 있는 하수관 검사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아울러, 선행 특허문헌으로서 "맨홀에 연결되는 상ㆍ하수관 측정장치 및 그 운용방법(공개번호 제10-2016-0066819호, 이하 특허문헌 3이라 한다.)"가 존재한다.
특허문헌 3의 경우, 맨홀에 연결되는 상ㆍ하수관 측정장치로 수직프레임; 수직프레임의 상단부에 직각을 이루며 결합되는 상측프레임; 수직프레임의 하단부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는 총심도측정프레임; 상측프레임의 하방에서 상측프레임에 평행하게 수직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는 토피거리측정프레임; 토피거리측정프레임의 하방에서 토피거리측정프레임에 평행하게 수직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는 상측내경프레임; 상측내경프레임의 하방에서 상측내경프레임에 평행하게 수직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측내경프레임; 수직프레임 또는 상측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어 측정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재; 상측프레임의 단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는 상측연장프레임; 상측내경프레임의 단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는 상측내경연장프레임; 및 하측내경프레임의 단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측내경연장프레임을 포함하며 버니어캘리퍼스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허문헌 3의 경우, 맨홀의 토피거리, 변실크기, 총심도를 측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맨홀로부터 분기되어 설치되는 하수관의 직경, 관상고, 관분기 방향 등을 측정하거나 표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등록번호 제10-1163116호 등록번호 제10-0893728호 공개번호 제10-2016-0066819호
본 발명에 따른 고정 강도 향상을 통한 선택적 부착 기능을 구비하는 뎁스 메저링 시스템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제시한다.
첫째, 맨홀의 깊이 방향으로 연장됨으로 통해 맨홀의 깊이가 측정되도록 하며, 깊이 방향 측정 장치와 직교하는 측정장치를 구비하여 관로의 측정도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둘째, 직교하는 측정장치가 외부의 힘에 의해 고정력을 잃지 않도록 하며, 외부의 힘에 대하여 이탈되지 않을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셋째, 깊이 방향 측정 장치와 직교하는 측정장치 사이에 인력을 통해 고정이 유지되도록 하며, 인력과 함께 물리적인 고정력에 의하여 결속력을 유지하도록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 강도 향상을 통한 선택적 부착 기능을 구비하는 뎁스 메저링 시스템은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 강도 향상을 통한 선택적 부착 기능을 구비하는 뎁스 메저링 시스템은 장방향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외주면에 제공되는 스케일을 통해 맨홀의 깊이를 메저링(measuring)하도록 하는 익스터널 메저링 유닛; 상기 익스터널 메저링 유닛의 상기 내부공간 내에 제공되며, 상기 익스터널 메저링 유닛의 내부로부터 연장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인터널 익스텐션 유닛; 및 선택적으로 마그네틱 성질을 구비하며, 상기 익스터널 메저링 유닛에 선택적으로 탈부착되며 상기 맨홀의 내주면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인디케이트 디테처블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 강도 향상을 통한 선택적 부착 기능을 구비하는 뎁스 메저링 시스템의 상기 익스터널 메저링 유닛은, 상단에 개구를 형성하여 상기 내부공간 내에 구비된 상기 인터널 익스텐션 유닛이 상기 개구로부터 선택적으로 슬라이딩되어 연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 강도 향상을 통한 선택적 부착 기능을 구비하는 뎁스 메저링 시스템의 상기 익스터널 메저링 유닛은, 상기 익스터널 메저링 유닛의 하부에 제공되며, 상기 익스터널 메저링 유닛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인디케이트 디테처블 유닛을 수용하고 선택적으로 고정하도록 하는 인터레이스(interlace)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 강도 향상을 통한 선택적 부착 기능을 구비하는 뎁스 메저링 시스템의 상기 인터레이스부는, 상기 익스터널 메저링 유닛의 타측에 제공되며, 상기 익스터널 메저링 유닛과 평행하도록 형성되는 베리어부; 상기 익스터널 메저링 유닛의 타측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익스터널 메저링 유닛과 상기 베리어부를 상호 연결하도록 하는 브릿지부; 및 상기 익스터널 메저링 유닛의 타측과 상기 베리어부의 일측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는 트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 강도 향상을 통한 선택적 부착 기능을 구비하는 뎁스 메저링 시스템의 상기 인터레이스부는, 상기 베리어부의 하부에 제공되며, 상기 익스터널 메저링 유닛의 하단의 타측으로부터 돌출형성되며, 상기 베리어부의 하단의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하이드 인시스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 강도 향상을 통한 선택적 부착 기능을 구비하는 뎁스 메저링 시스템의 상기 인디케이트 디테처블 유닛은, 일측이 상기 베리어부의 타측과 접촉하며 일측에 마그네틱 성질을 구비하여 상기 베이어부의 타측과 인력을 형성하도록 하는 인사이드 월부; 상기 인사이드 월부의 상측과 연결되어 제공되며, 하측이 상기 베리어부의 상측과 접촉하여 상기 베리어부의 상측을 가압하도록 하는 프레싱부; 상기 프레싱부의 일측에 제공되어 상기 트랩부에 선택적으로 출입하도록 하여 상기 트랩부의 내측에 걸리도록 하는 후크부; 및 상기 인사이드 월부의 하측에 제공되어 상기 인사이드 월부의 일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상기 하이드 인시스트부에 배치되어 상기 브릿지부의 타단과 접촉하여 인력을 형성하도록 하는 인터렉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 강도 향상을 통한 선택적 부착 기능을 구비하는 뎁스 메저링 시스템의 상기 인디케이트 디테처블 유닛은, 상기 인사이드 월부의 일측과 상기 베리어부의 타측이 인력을 형성하고, 상기 인터렉션부의 상단이 상기 베리어부의 하단과 인력을 형성하고, 상기 인터렉션부의 일측이 상기 브릿지부의 타측과 인력을 형성하고, 상기 프레싱부의 하단이 상기 베리어부의 상단과 인력을 형성하여 상기 익스터널 메저링 유닛으로부터 상기 인디케이트 디테처블 유닛의 결속력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 강도 향상을 통한 선택적 부착 기능을 구비하는 뎁스 메저링 시스템의 상기 인디케이트 디테처블 유닛은, 상기 인디케이트 디테처블 유닛의 자중에 의해 상기 프레싱부가 상기 베리어부의 상단을 가압하여 상기 익스터널 메저링 유닛으로부터 상기 인디케이트 디테처블 유닛의 결속력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 강도 향상을 통한 선택적 부착 기능을 구비하는 뎁스 메저링 시스템의 상기 인디케이트 디테처블 유닛은, 상기 자중과 상기 인력의 합산으로 외력으로부터 상기 익스터널 메저링 유닛과의 접촉을 유지하며 상기 인디케이트 디테처블 유닛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 강도 향상을 통한 선택적 부착 기능을 구비하는 뎁스 메저링 시스템의 상기 인디케이트 디테처블 유닛은, 타측에 와이어(wire)를 구비하여 상기 인디케이트 디테처블 유닛으로부터 상기 맨홀의 내주면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익스터널 와이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고정 강도 향상을 통한 선택적 부착 기능을 구비하는 뎁스 메저링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익스터널 메저링 유닛으로부터 연장되는 인터널 익스텐션 유닛을 구비하여 슬라이딩을 통한 깊이 방향 연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둘째, 익스터널 메저링 유닛에 인터레이스부가 형성되어 인터레이스부를 통한 인디케이트 디테처블 유닛의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셋째, 인디케이트 디테처블 유닛과 인터레이스부 사이에 인력이 발생되도록 인디케이트 디테처블 유닛에 선택적으로 마그네틱을 구비할 수 있도록 한다.
넷째, 인디케이트 디테처블 유닛의 마그네틱을 통한 인력과 더불어 물리적 걸림과 자중에 의한 가압을 통하여 외부의 힘으로부터 인디케이트 디테처블 유닛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강도 향상을 통한 선택적 부착 기능을 구비하는 뎁스 메저링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강도 향상을 통한 선택적 부착 기능을 구비하는 뎁스 메저링 시스템의 인터레이스부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강도 향상을 통한 선택적 부착 기능을 구비하는 뎁스 메저링 시스템의 인디케이트 디테처블 유닛이 인터레이스부와의 인력이 형성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강도 향상을 통한 선택적 부착 기능을 구비하는 뎁스 메저링 시스템의 인디케이트 디테처블 유닛이 물리적 고정과 인력에 의하여 인터레이스부와 결합되어 고정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강도 향상을 통한 선택적 부착 기능을 구비하는 뎁스 메저링 시스템이 맨홀에 장입되어 맨홀의 깊이와 관경의 높낮이를 측정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 강도 향상을 통한 선택적 부착 기능을 구비하는 뎁스 메저링 시스템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강도 향상을 통한 선택적 부착 기능을 구비하는 뎁스 메저링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강도 향상을 통한 선택적 부착 기능을 구비하는 뎁스 메저링 시스템의 인터레이스부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강도 향상을 통한 선택적 부착 기능을 구비하는 뎁스 메저링 시스템의 인디케이트 디테처블 유닛이 인터레이스부와의 인력이 형성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강도 향상을 통한 선택적 부착 기능을 구비하는 뎁스 메저링 시스템의 인디케이트 디테처블 유닛이 물리적 고정과 인력에 의하여 인터레이스부와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강도 향상을 통한 선택적 부착 기능을 구비하는 뎁스 메저링 시스템이 맨홀에 장입되어 맨홀의 깊이와 관경의 높낮이를 측정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 강도 향상을 통한 선택적 부착 기능을 구비하는 뎁스 메저링 시스템의 경우, 익스터널 메저링 유닛(100), 인터널 익스텐션 유닛(200), 인디케이트 디테처블 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
익스터널 메저링 유닛(100)의 경우, 장방향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외주면에 제공되는 스케일을 통해 맨홀의 깊이를 메저링(measuring)할 수 있다.
익스터널 메저링 유닛(100)은 장방향의 길이 방향으로 맨홀 내부로 장입되며, 맨홀의 깊이를 측정하기 위하여 외주면의 스케일을 통해 맨홀의 깊이를 확인할 수 있다.
스케일은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깊이를 측정하기 위한 눈금이 표시되어져 너비 혹은 깊이의 측정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맨홀의 깊이에 따라 익스터널 메저링 유닛(100)의 내부공간으로부터 인터널 익스텐션 유닛(200)이 연장되어 질 수 있다.
인터널 익스텐션 유닛(200)은, 익스터널 메저링 유닛(100)의 내부공간 내에 제공되며, 인터널 익스텐션 유닛(200)의 내부로부터 연장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익스터널 메저링 유닛(100)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인터널 익스텐션 유닛(200)을 수납하고 있다가 맨홀의 깊이 방향에 따라서 인터널 익스텐션 유닛(200)이 연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장되는 인터널 익스텐션 유닛(200)의 경우, 익스터널 메저링 유닛(100)의 내주면으로부터 슬라이딩 되면서 연장된다.
인터널 익스텐션 유닛(200)은 각각의 내주면에 후속되는 인터널 익스텐션 유닛(200)의 외주면과 접촉하며 수납되어 있으며, 줄어듬과 늘어남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인디케이트 디테처블 유닛(300)의 경우, 선택적으로 마그네틱 성질을 구비하며, 익스터널 메저링 유닛(100)에 선택적으로 탈부착되며 맨홀의 내주면을 향해 돌출 형성되도록 형성된다.
인디케이트 디테처블 유닛(300)은, 익스터널 메저링 유닛(100)에 선택적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제공되며, 인디케이트 디테처블 유닛(300)의 소정의 위치에 마그네틱 성질을 선택적으로 구비함으로 익스터널 메저링 유닛(100)과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디케이트 디테처블 유닛(300)의 탈부착에 대하여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 강도 향상을 통한 선택적 부착 기능을 구비하는 뎁스 메저링 시스템의 익스터널 메저링 유닛(100)의 경우, 상단에 개구를 형성하여 내부공간 내에 구비된 익스터널 메저링 유닛(100)이 개구로부터 선택적으로 슬라이딩되어 연장되도록 할 수 있다.
익스터널 메저링 유닛(100)은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내부에 인터널 익스텐션 유닛(200)을 내포하며 인터널 익스텐션 유닛(200)이 슬라이딩되어 연장되도록 할 수 있는데, 이는 익스터널 메저링 유닛(100)의 상단을 통해 연장되도록 할 수 있다.
익스터널 메저링 유닛(100)은 상단에 개구를 형성하는데, 상단의 개구는 인터널 익스텐션 유닛(200)이 인출되는 개구에 해당하며 개구를 통하여 인터널 익스텐션 유닛(200)은 익스터널 메저링 유닛(100)의 상단으로만 인출되어 연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익스터널 메저링 유닛(100)에 표시된 스케일이 인터널 익스텐션 유닛(200)에도 연장되어 표시되어질 수 있으며 인터널 익스텐션 유닛(200)에 연장되어 표시된 스케일을 통해 맨홀의 깊이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 강도 향상을 통한 선택적 부착 기능을 구비하는 뎁스 메저링 시스템의 익스터널 메저링 유닛(100)의 경우, 익스터널 메저링 유닛(100)의 하부에 제공되며, 익스터널 메저링 유닛(10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인디케이트 디테처블 유닛(300)을 수용하고 선택적으로 고정하도록 하는 인터레이스(interlace)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레이스부(110)의 경우, 도1내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익스터널 메저링 유닛(100)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도록 제공되어진다.
인터레이스부(110)의 경우, 익스터널 메저링 유닛(100)의 하부에 제공되어질 수 있으며, 도1내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에 제공되어 질 수 있으며, 하단의 소정의 공간에 제공되어질 수도 있다.
인터레이스부(110)는 익스터널 메저링 유닛(100)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어지면서 돌출된 인터레이스부(110)에 인디케이트 디테처블 유닛(300)을 수용하며 고정할 수 있는데, 인디케이트 디테처블 유닛(300)가 돌출 형성된 인터레이스부(110)에 끼워지며 수용할 수 있다.
아울러, 인터레이스부(110)는 그 재질이 강자성체에 해당하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강자성체 금속에 해당하는 철, 니켈과 같은 재질로 구비되어 마그네틱과 인력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앞서 서술한 인디케이트 디테처블 유닛(300)의 마그네틱 성질에 의하여 인터레이스부(110)과 고정되질 수 있으며 고정을 유지할 수 있다.
고정된 인디케이트 디테처블 유닛(300)은 맨홀에 장입되어지면서 맨홀에 연결된 관로의 높낮이 측정이 가능하며, 익스터널 메저링 유닛(100)으부터 고정되어 외부의 힘에 의해 익스터널 메저링 유닛(10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 강도 향상을 통한 선택적 부착 기능을 구비하는 뎁스 메저링 시스템의 익스터널 메저링 유닛(100)의 경우, 베리어부(111), 브릿지부(112), 트랩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베리어부(111)의 경우, 익스터널 메저링 유닛(100)의 타측에 제공되며, 익스터널 메저링 유닛(100)과 평행하게 제공된다.
베리어부(111)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익스터널 메저링 유닛(100)과 평행하게 형성되며, 익스터널 메저링 유닛(100)으로부터 소정 이격되어 형성되어 진다.
브릿지부(112)의 경우, 익스터널 메저링 유닛(100)의 타측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익스터널 메저링 유닛(100)과 베리어부(111)를 상호 연결하도록 할 수 있다.
브릿지부(112)는 베리어부(111)와 익스터널 메저링 유닛(100)을 연결하며, 인터레이스부(110)가 익스터널 메저링 유닛(100)의 하단에 형성되는 경우, 하단에서 베리어부(111)를 받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브릿지부(112)는 인디케이트 디테처블 유닛(300)이 체결되어 고정되는 경우, 인디케이트 디테처블 유닛(300)이 아래로부터 위로 이탈되려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트랩부(113)의 경우, 익스터널 메저링 유닛(100)의 타측과 베리어부(111)의 일측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소정의 공간은 베리어부(111)와 익스터널 메저링 유닛(100)의 타측 사이의 거리에 해당하며 트랩부(113)의 하단에는 브릿지부(11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트랩부(113)는 공간을 형성하여 인디케이트 디테처블 유닛(300)의 걸림이 가능하도록 하며, 트랩부(113)의 공간은 익스터널 메저링 유닛(100)으로부터 타단에 형성되는 베리어부(111)의 이격된 정도로 트랩부(113)의 공간에 대한 정도가 형성될 수 있다.
트랩부(113)는 이후 걸림이 형성되어질 인디케이트 디테처블 유닛(300)이 충분히 걸림을 유지할 수 있을 정도의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트랩부(113)의 소정의 공간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는 비어 있어 걸림이 가능하도록 하며, 하부는 브릿지부(112)를 통해 막혀 있도록 형성되어 있어 상단에서의 걸림이 가능하도록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 강도 향상을 통한 선택적 부착 기능을 구비하는 뎁스 메저링 시스템의 인터레이스부(110)의 경우, 베리어부(111)의 하부에 제공되며, 익스터널 메저링 유닛(100)의 하단의 타측으로부터 돌출형성되며, 베리어부(111)의 하단의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하이드 인시스트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하이드 인시스트부(114)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릿지부(112)의 하부에 형성되며, 브릿지부(112)의 하측에 형성되어 질 수 있다.
또한, 브릿지부(112)의 일부분이 소실된 형태로 형성되어 질 수도 있는데 이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릿지부(112)의 하부가 일부 소실된 것으로 보여질수도 있다.
즉, 하이드 인시스트부(114)의 경우, 베리어부(111)의 하단에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며, 브릿지부(112)의 타단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리어부(111)의 하단과 브릿지부(112)의 타단에 소정의 공간으로 형성되는 하이드 인시스트부(114)는 이후 고정되어질 인디케이트 디테처블 유닛(300)이 하이드 인시스트부(114)의 소정의 공간으로 들어와 끼워지며 결합되어 고정되어짐에 따라 단단한 고정력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 강도 향상을 통한 선택적 부착 기능을 구비하는 뎁스 메저링 시스템의 인디케이트 디테처블 유닛(300)의 경우,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사이드 월부(310), 프레싱부(320), 후크부(330), 인터렉션부(340)을 포함할 수 있다.
인사이드 월부(310)의 경우, 일측이 베리어부(111)의 타측과 접촉하며, 일측에 마그네틱 성질을 구비하여 베이어부(111)의 타측과 인력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인사이드 월부(310)는 베리어부(111)와 접촉하는 일측에 마그네틱을 구비하며, 마그네틱으로 인하여 베리어부(111)와의 인력을 형성하여 접촉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인사이드 월부(310)에 형성되는 마그네틱은 인사이드 월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질 수도 있으며 인사이드월부(310)의 일측에 전체적으로 형성되어 질 수도 있다.
인사이드 월부(31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디케이트 디테처블 유닛(300)의 일측에 형성되며, 일측에서 베리어부(111)와의 접촉을 유지하도록 하는 벽과 같이 형성될 수 있다.
프레싱부(320)의 경우, 인사이드 월부(310)의 상측과 연결되어 제공되며, 하측이 베리어부(111)의 상측과 접촉하여 베리어부(111)의 상측을 가압하도록 할 수 있다.
프레싱부(320)의 경우, 인사이드 월부(310)로부터 상측에 형성되며 상측에서 일정 간격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프레싱부(320)는 베리어부(111)의 상측의 너비에 따라 그 길이가 형성되며, 베리어부(111)의 상측과 프레싱부(320)의 하측이 접촉하도록 하며, 프레싱부(320)가 베리어부(111)의 상측을 자중으로 압박함을 통해 인디케이트 디테처블 유닛(300)이 고정되어지도록 할 수 있다.
후크부(330)의 경우, 프레싱부(320)의 일측에 제공되어 트랩부(113)에 선택적으로 출입하도록 하여 트랩부(113)의 내측에 걸리도록 제공될 수 있다.
후크부(33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싱부(320)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프레싱부(320)의 일측에 형성되어 갈고리와 같이 형성되며, 인사이드 월부(310)와 평행하도록 형성되어 질 수 있다.
후크부(330)는 트랩부(113)에 걸림이 유지되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프레싱부(320)의 일측에 형성되는 것이며, 트랩부(113)에 물리적으로 걸림을 통해 인터레이스부(110)에 인디케이트 디테처블 유닛(300)이 물리적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후크부(330)의 물리적 고정을 통하여 외력에 의한 인디케이트 디테처블 유닛(300)의 이탈을 방지하는데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인터렉션부(340)의 경우, 인사이드 월부(310)의 하측에 제공되어 인사이드 월부(310)의 일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하이드 인시스트부(114)에 배치되어 브릿지부(112)의 타단과 접촉하여 인력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인터렉션부(340)는 인사이드 월부(310)의 하측에서 일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인디케이트 디테처블 유닛(300)이 인터레이스부(110)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경우, 하이드 인시스트부(114)에 제공됨으로 배치되어 질 수 있다.
인터렉션부(340)의 상단과 일단에는 마그네틱 성질을 구비하여 브릿지부(112)의 타단과 베리어부(111)의 하단과의 인력을 형성하며 접촉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 강도 향상을 통한 선택적 부착 기능을 구비하는 뎁스 메저링 시스템의 인디케이트 디테처블 유닛(300)의 경우, 인사이드 월부(310)의 일측과 베리어부(111)의 타측이 인력을 형성하고, 인터렉션부(340)의 일측이 브릿지부(112)의 타측과 인력을 형성하고, 프레싱부(320)의 하단이 베리어부(111)의 상단과 인력을 형성하여 익스터널 메저링 유닛(100)으로부터 인디케이트 디테처블 유닛(300)의 결속력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인력은 인디케이트 디테처블 유닛(300)에 형성되는 마그네틱 성질과 인터레이스부(110)에 형성된 강자성체에 의한 인력에 해당하며, 서로의 인력으로 인하여 결속력이 유지될 수 있다.
인디케이트 디테처블 유닛(300)에 형성되는 마그네틱 성질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적으로 형성되어지는데, 인사이드 월부(310)의 일측, 인터렉션부(340)의 일측과 상단, 프레싱부(320)의 하단에 형성되어질 수 있다.
마그네틱 성질이 선택적으로 형성된 인디케이트 디테처블 유닛(300)은 인터레이스부(110)의 일정거리 내에 도달하면 마그네틱 성질에 의하여 인력이 형성되며, 결합되어 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 강도 향상을 통한 선택적 부착 기능을 구비하는 뎁스 메저링 시스템의 인디케이트 디테처블 유닛(300)의 경우, 인디케이트 디테처블 유닛(300)의 자중에 의해 프레싱부(320)가 베리어부(111)의 상단을 가압하여 익스터널 메저링 유닛(100)으로부터 인디케이트 디테처블 유닛(300)의 결속력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인디케이트 디테처블 유닛(300)이 인터레이스부(110)에 결합되어진 경우, 인디케이트 디테처블 유닛(300)의 자중에 의하여 프레싱부(320)는 베리어부(111)를 압박하게 되며, 압박에 의하여 외력으로부터 인디케이트 디테처블 유닛(30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인디케이트 디테처블 유닛(300)의 경우 맨홀에 연결된 관경의 높낮이를 측정하기 위하여 돌출되는 형상을 구비하는데, 돌출된 형상에 의하여 걸림이 발생할 수 있으며 걸림을 통한 인디케이트 디테처블 유닛(300)의 이탈이 발생될 수 있다.
예컨대, 인디케이트 디테처블 유닛(300)의 이탈이 발생되어질 경우, 인력이 맨홀의 내부로 들어가 인디케이트 디테처블 유닛(300)과 익스터널 메저링 유닛(100)을 고정하거나 인디케이트 디테처블 유닛(300)을 회수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되어 짐으로 인하여 무인력으로 측정이 가능하도록 하기위한 발명의 목적을 거스르게 될 수 있다.
인디케이트 디테처블 유닛(300)의 이탈 방지를 위하여 자성에 의한 인력뿐만 아니라 물리적인 걸림과 자중에 의한 압박을 가하여 인디케이트 디테처블 유닛(300)을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 강도 향상을 통한 선택적 부착 기능을 구비하는 뎁스 메저링 시스템의 인디케이트 디테처블 유닛(300)의 경우, 자중과 인력의 합산으로 외력으로부터 익스터널 메저링 유닛(100)과의 접촉을 유지하며 인디케이트 디테처블 유닛(3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인디케이트 디테처블 유닛(300)이 자중에 의하여 프레싱부(320)가 베리어부(111)의 상단을 가압하는 힘과 선택적으로 구비된 마그네틱을 통하여 인터레이스부(110)와 인력을 형성하는 힘이 합산되어 작용될 수 있다.
예컨대, 인디케이트 디테처블 유닛(300)이 마그네틱에 의한 인력으로만 고정이 되었다면 인력이 약해지는 등의 문제점에 대응하지 못하고 고정력이 떨어질 수 있는데 인력뿐만 아니라 자중에 의한 가압 능력으로 인하여 물리적인 고정이 가능하며 자중의 누르는 힘에 의하여 고정력이 향상되어 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 강도 향상을 통한 선택적 부착 기능을 구비하는 뎁스 메저링 시스템의 인디케이트 디테처블 유닛(300)은, 타측에 와이어(wire)를 구비하여 인디케이트 디테처블 유닛(300)로부터 맨홀의 내주면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익스터널 와이어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익스터널 와이어부(350)는 인사이드 월부(310)의 타단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익스터널 메저링 유닛(100)과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질 수 있다.
익스터널 메저링 유닛(100)이 맨홀에 장입되면 인스터널 메저링 유닛(100)의 타측에 고정된 인디케이트 디테처블 유닛(300)은 하단부에 함께 장입되며, 인디케이트 디테처블 유닛(300)은 지면과의 평행을 유지하며 맨홀로 장입되어 질 수 있다.
인디케이트 디테처블 유닛(300)는 익스터널 와이어부(350)로 인하여 예컨대, 익스터널 와이어부(350)과 관경이나 이물질 등에 대한 외부의 힘에 따라 인디케이트 디테처블 유닛(300)의 이탈이 발생될 수 있는데 이러한 외부의 힘에 대한 인디케이트 디테처블 유닛(300)의 이탈 방지를 위하여 고정 능력이 향상되어진 것으로 마그네틱에 의한 인력과 인디케이트 디테처블 유닛(300)의 스스로의 자중, 후크부(330)가 트랩부(113)에 끼워짐으로 발생하는 물리적 고정력에 의하여 이탈의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맨홀의 상황에 따라 익스터널 메저링 유닛(100)에 고정되는 인디케이트 디테처블 유닛(300)은 선택적으로 탈부착 될 수 있으며, 선택적 탈부착을 통하여 고정력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도록 물리적으로 끼워져 고정되어짐과 자중에 의한 압박을 통한 고정력이 더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결정되며, 특허 청구범위에 사용된 괄호는 선택적 한정을 위해 기재된 것이 아니라, 명확한 구성요소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괄호 내의 기재도 필수적 구성요소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익스터널 메저링 유닛
110: 인터레이스부
111: 베리어부
112: 브릿지부
113: 트랩부
114: 하이드 인시스트부
200: 인터널 익스텐션 유닛
300: 인디케이트 디테처블 유닛
310: 인사이드 월부
320: 프레싱부
330: 후크부
340: 인터렉션부
350: 익스터널 와이어부

Claims (10)

  1. 장방향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외주면에 제공되는 스케일을 통해 맨홀의 깊이를 메저링(measuring)하도록 하는 익스터널 메저링 유닛;
    상기 익스터널 메저링 유닛의 상기 내부공간 내에 제공되며, 상기 익스터널 메저링 유닛의 내부로부터 연장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인터널 익스텐션 유닛; 및
    선택적으로 마그네틱 성질을 구비하며, 상기 익스터널 메저링 유닛에 선택적으로 탈부착되며 상기 맨홀의 내주면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인디케이트 디테처블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익스터널 메저링 유닛은,
    상기 익스터널 메저링 유닛의 하부에 제공되며, 상기 익스터널 메저링 유닛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인디케이트 디테처블 유닛을 수용하고 선택적으로 고정하도록 하는 인터레이스(interlace)부를 포함하며,
    상기 인터레이스부는,
    상기 익스터널 메저링 유닛의 타측에 제공되며, 상기 익스터널 메저링 유닛과 평행하도록 형성되는 베리어부;
    상기 익스터널 메저링 유닛의 타측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익스터널 메저링 유닛과 상기 베리어부를 상호 연결하도록 하는 브릿지부; 및
    상기 익스터널 메저링 유닛의 타측과 상기 베리어부의 일측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는 트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강도 향상을 통한 선택적 부착 기능을 구비하는 뎁스 메저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익스터널 메저링 유닛은,
    상단에 개구를 형성하여 상기 내부공간 내에 구비된 상기 인터널 익스텐션 유닛이 상기 개구로부터 선택적으로 슬라이딩되어 연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강도 향상을 통한 선택적 부착 기능을 구비하는 뎁스 메저링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레이스부는,
    상기 베리어부의 하부에 제공되며, 상기 익스터널 메저링 유닛의 하단의 타측으로부터 돌출형성되며, 상기 베리어부의 하단의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하이드 인시스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강도 향상을 통한 선택적 부착 기능을 구비하는 뎁스 메저링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트 디테처블 유닛은,
    일측이 상기 베리어부의 타측과 접촉하며, 일측에 마그네틱 성질을 구비하여 상기 베리어부의 타측과 인력을 형성하도록 하는 인사이드 월부;
    상기 인사이드 월부의 상측과 연결되어 제공되며, 하측이 상기 베리어부의 상측과 접촉하여 상기 베리어부의 상측을 가압하도록 하는 프레싱부;
    상기 프레싱부의 일측에 제공되어 상기 트랩부에 선택적으로 출입하도록 하여 상기 트랩부의 내측에 걸리도록 하는 후크부; 및
    상기 인사이드 월부의 하측에 제공되어 상기 인사이드 월부의 일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상기 하이드 인시스트부에 배치되어 상기 브릿지부의 타단과 접촉하여 인력을 형성하도록 하는 인터렉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강도 향상을 통한 선택적 부착 기능을 구비하는 뎁스 메저링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트 디테처블 유닛은,
    상기 인사이드 월부의 일측과 상기 베리어부의 타측이 인력을 형성하고, 상기 인터렉션부의 상단이 상기 베리어부의 하단과 인력을 형성하고, 상기 인터렉션부의 일측이 상기 브릿지부의 타측과 인력을 형성하고, 상기 프레싱부의 하단이 상기 베리어부의 상단과 인력을 형성하여 상기 익스터널 메저링 유닛으로부터 상기 인디케이트 디테처블 유닛의 결속력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강도 향상을 통한 선택적 부착 기능을 구비하는 뎁스 메저링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트 디테처블 유닛은,
    상기 인디케이트 디테처블 유닛의 자중에 의해 상기 프레싱부가 상기 베리어부의 상단을 가압하여 상기 익스터널 메저링 유닛으로부터 상기 인디케이트 디테처블 유닛의 결속력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강도 향상을 통한 선택적 부착 기능을 구비하는 뎁스 메저링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트 디테처블 유닛은,
    상기 자중과 상기 인력의 합산으로 외력으로부터 상기 익스터널 메저링 유닛과의 접촉을 유지하며 상기 인디케이트 디테처블 유닛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강도 향상을 통한 선택적 부착 기능을 구비하는 뎁스 메저링 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트 디테처블 유닛은,
    타측에 와이어(wire)를 구비하여 상기 인디케이트 디테처블 유닛으로부터 상기 맨홀의 내주면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익스터널 와이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강도 향상을 통한 선택적 부착 기능을 구비하는 뎁스 메저링 시스템.



KR1020200115234A 2020-09-09 2020-09-09 고정 강도 향상을 통한 선택적 부착 기능을 구비하는 뎁스 메저링 시스템 KR1022382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5234A KR102238299B1 (ko) 2020-09-09 2020-09-09 고정 강도 향상을 통한 선택적 부착 기능을 구비하는 뎁스 메저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5234A KR102238299B1 (ko) 2020-09-09 2020-09-09 고정 강도 향상을 통한 선택적 부착 기능을 구비하는 뎁스 메저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8299B1 true KR102238299B1 (ko) 2021-04-09

Family

ID=75444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5234A KR102238299B1 (ko) 2020-09-09 2020-09-09 고정 강도 향상을 통한 선택적 부착 기능을 구비하는 뎁스 메저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829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4503A (ja) * 1997-09-22 1999-04-09 Kokusai Kogyo Co Ltd 深さ測定器
KR100893728B1 (ko) 2008-05-16 2009-04-17 김규현 하수관 검사장치 및 방법
KR101163116B1 (ko) 2012-01-18 2012-07-06 한진정보통신(주) 지상에서 작업 가능한 하수관 측정자
KR20160066819A (ko) 2014-12-03 2016-06-13 (주)미르 맨홀에 연결되는 상ㆍ하수관 측정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200484969Y1 (ko) * 2017-06-15 2017-11-14 이용백 선반 조립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4503A (ja) * 1997-09-22 1999-04-09 Kokusai Kogyo Co Ltd 深さ測定器
KR100893728B1 (ko) 2008-05-16 2009-04-17 김규현 하수관 검사장치 및 방법
KR101163116B1 (ko) 2012-01-18 2012-07-06 한진정보통신(주) 지상에서 작업 가능한 하수관 측정자
KR20160066819A (ko) 2014-12-03 2016-06-13 (주)미르 맨홀에 연결되는 상ㆍ하수관 측정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200484969Y1 (ko) * 2017-06-15 2017-11-14 이용백 선반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70222C (zh) 桥梁挠度和位移的监测装置及监测方法
JP5735329B2 (ja) 沈下量測定装置、それを用いた軟弱地盤の改良工法、盛土構造物が造成される地盤の動態把握方法、及び地下埋設物が埋設される地盤の動態把握方法
KR102051904B1 (ko) 토목 및 건축 구조물의 토사침하 센싱모듈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11040A (ko) 수심별 수환경 변화 연속 관측 장치
KR102238299B1 (ko) 고정 강도 향상을 통한 선택적 부착 기능을 구비하는 뎁스 메저링 시스템
KR101306882B1 (ko) 지하 매설물에 대한 정보 획득 방법 및 장치
KR20210028031A (ko) 수질샘플 채수를 위한 드론용 채수장치
KR20180058241A (ko) 전주 진단장비
KR102387581B1 (ko) 선택적 배치에 따른 독립적 주파수 조사를 통한 맨홀 내부 메저링 시스템
KR100607456B1 (ko) 교량상부시설의 처짐측정용 안전진단장치
KR102112281B1 (ko) 지중배전라인 지지가 용이한 지중배전선 지지장치
KR102232861B1 (ko) 길이 연장 조절을 통한 내부 관경 측정 시스템
KR100577847B1 (ko) 하수관거 누수탐지장치
KR101796078B1 (ko) 항만시설용 침하 및 재해 감시 설비
KR102232580B1 (ko) 텐션을 통한 틸팅 각도 조절을 제공하는 관경 측정 시스템
KR102151530B1 (ko) 강관파일 수직도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강관파일 수직도 측정방법
KR102460155B1 (ko) 스마트 밸브실
KR101491294B1 (ko) 준설용 맨홀 점검장치
CN108222213A (zh) 分析强排系统接河分布的方法及系统
KR101198828B1 (ko) 광케이블접속함체의 이동장치
US20020028109A1 (en) Outside leakage detection system for landfill liner
JP3692200B2 (ja) 水圧センサ
KR102185274B1 (ko) 선택적 수평 라디안 조절이 가능한 초음파 유량 시스템
EP1353015A2 (en) Covering and marking device for an underground pipe
KR101114757B1 (ko) 지하수 관측정 보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