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7847B1 - 하수관거 누수탐지장치 - Google Patents

하수관거 누수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7847B1
KR100577847B1 KR1020050097609A KR20050097609A KR100577847B1 KR 100577847 B1 KR100577847 B1 KR 100577847B1 KR 1020050097609 A KR1020050097609 A KR 1020050097609A KR 20050097609 A KR20050097609 A KR 20050097609A KR 100577847 B1 KR100577847 B1 KR 1005778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wire
sewage pipe
pipe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7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남원건설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남원건설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남원건설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50097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78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7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78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024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 F16L1/06Accessories therefor, e.g. anchors
    • F16L1/11Accessories therefor, e.g. anchors for the detection or protection of pipes in the grou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5/00Protection or supervision of installations
    • F17D5/02Preventing, monitoring, or locating loss
    • F17D5/06Preventing, monitoring, or locating loss using electric or acoust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1/00Uses or applications of pigs or moles
    • F16L2101/30Inspecting, measuring or testing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관거 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간단한 기구물을 이용하여 하수관거의 특정 영역에서의 누수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거 탐지장치는, 하수관거의 하수에 부유 및 하수의 흐름에 따라 이동하게 설치되고 상기 하수관거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다수의 부구와; 상기 하수관거의 상면에 설치되고 가이드장공이 구비된 가이드블록, 상기 가이드블록을 상기 하수관거에 고정하는 덮개, 상기 덮개의 상부에 노면을 향해 형성되며 내부에 와이어가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와이어 유도부, 상기 가이드블록에 상기 하수의 흐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부구와 연결로드로 연결되어 상기 부구의 이동에 의해 슬라이딩하는 한 쌍의 슬라이더, 상기 와이어 유도부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 상태에서 양단부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꺽여 상기 한 쌍의 슬라이더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와 슬라이더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부구가 원상태로 복귀되도록 하는 탄성력을 갖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탐지부와; 상기 와이어 유도부의 도중에 노면을 향해 개방 형성된 표시창 및 상기 와이어의 도중에 표시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에 따라 상기 표시창에 표시되는 눈금으로 구성된 표시부를 포함한다.
하수관거, 누수, 탐지, 유속, 부구

Description

하수관거 누수탐지장치{Sewer drainage canal leakage-of-water detection equipme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거 누수탐지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하수관거 누수탐지장치의 작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부구, 20 : 탐지부
21 : 가이드블록, 22 : 덮개
23 : 와이어 유도부, 24 : 연결로드
25 : 슬라이더, 26 : 와이어
27 : 코일스프링, 30 : 표시부
31 : 표시창, 32 : 눈금
본 발명은 하수관거 누수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표를 개복하지 않고 간단한 구조의 기구물을 이용하여 지중에 매립된 하수관거의 특정 지역에서의 누수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하수관거 누수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라 함은 가정과 공장에서 사용후 배출되는 오ㅇ폐수와 빗물 등을 말한다.
그리고, 이러한 하수를 모으는 하수도는 하수관로 시설과 하수 처리시설 및 슬러지 처리시설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하수관로시설은 크게 하수관거와 펌프장으로 구성되며 하수관로는 관거, 오수받이, 우수받이, 맨홀, 우수토실, 토구 및 연결관 등을 포함하는 시설의 총칭으로 주택, 상업 및 공업지역 등에서 배출되는 오폐수나 우수를 모아 처리장 또는 방류수역까지 유하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하수관로는 시공되는 위치의 토질(경질토, 보통토, 연질토, 극연질토로 구분)에 따라 실제로는 관부식과 부등침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각각의 기초(모래 또는 쇄석 그리고 콘크리트 기초)를 달리 조합하여 시공한다. 즉, 터파기된 지반 내에 토질의 상태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모래 또는 쇄석을 깔거나 기초받침 PC콘크리트를 연접 설치한 후 이 상부에 관거를 이음 연결하고, 다시 되메우기하여 시공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하수관거에 관하여, 오수받이 등과 같이 정상적인 개구부를 통해 발생하수가 흘러 들어오는 것이 정상이나, 하수관거에 생긴 균열 등을 통해 지하수 등이 하수관거에 흘러 들어오는 것을 침입(infiltration)이라고 하며, 하수관거를 흘러야할 하수가 상기 균열 등을 통해 외부로 새어 나가는 것을 누출(exfiltration, 혹은 누수)이라고 한다.
하수관거의 증설, 유지보수의 필요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상기 발생하수, 침 입 및 유출되는 양을 측정해야 하고, 이 중 특히 침입수 및 누수는 하수관거에 문제가 발생된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매우 중요한 가치를 가지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지표들은, 이론적으로는 정량적으로 검출하여 보수의 필요성 등에 관한 객관적인 자료로 사용되어야 할 것이나, 종래에는 이와 같은 지표들을 정량적으로 검출하지 못하고 있었다.
즉, 종래에는 육안조사, 폐쇄회로 TV 조사, 염료추적조사, 연막조사 등의 방법에 의하고 있다.
이 중 육안조사는 맨홀 등을 통해 하수관거의 내부로 들어가 그 하수관거에 균열 등이 있는지 육안으로 검사하는 것으로서 사람의 육감에 의존하게 되므로 정밀성/신뢰성이 떨어지게 되고, 폐쇄회로 TV 조사 방법은 하수관거의 내부에 폐쇄회로 TV를 투입하여 이를 통한 촬영영상을 통해 검사하는 것이나 이 역시 궁극적으로는 사람의 육감에 의존하게 된다.
염료추적조사는 통상 하수관거 단구간에서 수행됨으로써 전체유역의 부실도 판정이 곤란하고, 연막조사는 하수관거 단구간의 오접위치 판단에 주로 활용되는 것으로서 누수를 검출하기 힘들다.
이러한 종래에 의한 하수관거의 상태조사방법으로는 특정 지역에서의 누수를 정확히 검출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수관거의 특정 지역에서 발생되는 누수를 탐지할 수 있는 하수관거 누수탐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 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거 누수탐지장치는, 하수관거 내부에 하수에 의해 부유 및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부구와, 상기 부구의 이동에 따라 동작하는 탐지부와, 상기 탐지부의 동작을 통해 하수관거 내의 하수의 유속을 표시하는 표시부로 이루어져,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눈금을 비교하여 눈금의 차이가 있는 특정 하수관거에 누수가 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한 하수관거 누수탐지장치는, 하수관거(1)의 내부에 부유하며 하수의 흐름에 따라 이동하게 설치되며 하수관거(1)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다수의 부구(10)와, 각각의 부구(10)의 이동에 의해 누수를 탐지하는 탐지부(20)와; 탐지부(20)에 의한 탐지값을 표시하는 표시부(30)로 구성된다.
부구(10)는 하수에 부유할 수 있는 비중의 몸체이며 전후 양측이 유선형으로 형성되어 후술하는 연결로드(24)에 승강 가능하게 연결되어 연결로드(24)를 따라 승강하면서 하수에 부유하며 하수의 흐름에 의해 전후 양측으로 이동한다.
탐지부(20)는 하수관거(1)의 상면 일부를 개방하여 이 개방부에 설치되는 가이드블록(21), 가이드블록(21)을 하수관거(1)에 고정하는 덮개(22), 덮개(22)에 노면을 향해 곡선형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와이어가 수용되는 와이어 유도부(23), 가이드블록(21)에 하수의 흐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부구(10)와 연결로드(24)로 연결되어 부구(10)의 이동에 의해 슬라이딩하는 한 쌍의 슬라이더(25) 및 양단부가 한 쌍의 슬라이더(25)에 각각 연결되며 슬라이더(25)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는 와이어(26)로 이루어진다.
가이드블록(21)은 장방형 판상이며, 상하로 관통하는 가이드장공(21a)이 구비된다.
덮개(22)는 슬라이더(25)의 설치공간을 마련하기 위한 구조물이며, 좌우 양측에 각각 커버(22a)가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와이어 유도부(23)는 양측이 개구된 관형으로서 와이어(26)의 이동이 자유롭도록 곡선형으로 형성되어 양측 개구부가 덮개(22)를 관통하여 하부(하수관거(1)측)를 향하도록 설치된다.
연결로드(24)는 부구(10)의 이동을 슬라이더(25)에 전달 및 부구(10)의 부유(승강)를 안내하며, 하단부에는 부구(10)의 원활한 이동을 위하여 바퀴(24a)가 각각 설치된다.
슬라이더(25)는 연결로드(24)와 연결되어 연결로드(24)의 이동에 따라 덮개(22)의 저면(또는 가이드블록(21)의 상면)을 따라 슬라이딩된다.
와이어(26)는 와이어 유도부(23)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양측이 와 이어 유도부(23)의 개구부를 통해 빠져 나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꺽인 상태를 유지하면서 슬라이더(25)가 각각 결합된다. 와이어(26)의 꺽임부(26a)와 슬라이더(25)의 사이에는 코일스프링(27)이 각각 설치된다. 코일스프링(27)은 슬라이더(25)의 이동시 압축 또는 팽창되며, 하수의 유속이 느려지게 되면 탄성력에 의해 부구(10)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한다.
표시부(30)는 와이어 유도부(23)의 도중에 노면을 향해 개방 형성된 표시창(31) 및 와이어(26)의 도중에 표시되어 슬라이더(25)의 이동에 따라 표시창(31)에 표시되는 눈금(32)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하수관거 누수탐지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2를 기준 상태로 예를 들어 설명하면, 도 2의 상태에서 하수의 양이 증가하면 도 3에서처럼, 부구(10)가 연결로드(24)를 따라 상승하면서 하수에 부유하며 이와 동시에 하수의 흐름에 의해 일방향(도 3기준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부구(10)의 이동에 의해 연결로드(24)가 함께 이동하여 한 쌍의 슬라이더(25)가 동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슬라이더(25)의 이동에 따라 슬라이더(25)에 연결된 와이어(26)가 이동하여 표시부(30)의 표시창(31)에는 눈금(32)의 변화가 발생된다. 즉, 지하에 매립된 하수의 흐름을 노면에 설치된 표시부(30)를 통해 지하에 들어가지 않고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표시부(30)의 눈금은 하수의 유속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한 라인의 하 수관로 상의 하수관거들의 하수 유속은 동일할 것이므로 여러 장소에 설치된 표시부(30)의 눈금(32)을 비교하여 다른 구간보다 유속이 낮은 하수관거(1)에 누수가 발생됨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3의 상태에서 하수의 양이 감소되면 부구(10)는 연결로드(24)의 안내를 받아 하강한다. 한편, 이때는 하수의 유속이 느려지게 되어 코일스프링(27)의 복원력이 부구(10)의 이동력보다 크기 때문에 부구(10)가 원상태 즉 도 2의 상태로 복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거 누수탐지장치에 의하면, 간단한 기구물을 이용하여 하수관거 상의 특정한 구역 내에 누수가 발생됨을 탐지할 수 있으므로 초기 투자비용 및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

  1. 하수관거 탐지장치에 있어서,
    하수관거의 하수에 부유 및 하수의 흐름에 따라 이동하게 설치되고 상기 하수관거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다수의 부구와;
    상기 하수관거의 상면에 설치되고 가이드장공이 구비된 가이드블록, 상기 가이드블록을 상기 하수관거에 고정하는 덮개, 상기 덮개의 상부에 노면을 향해 형성되며 내부에 와이어가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와이어 유도부, 상기 가이드블록에 상기 하수의 흐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부구와 연결로드로 연결되어 상기 부구의 이동에 의해 슬라이딩하는 한 쌍의 슬라이더, 상기 와이어 유도부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 상태에서 양단부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꺽여 상기 한 쌍의 슬라이더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와 슬라이더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부구가 원상태로 복귀되도록 하는 탄성력을 갖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탐지부와;
    상기 와이어 유도부의 도중에 노면을 향해 개방 형성된 표시창 및 상기 와이어의 도중에 표시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에 따라 상기 표시창에 표시되는 눈금으로 구성된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거 누수탐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구는 상기 연결로드에 승강 가능하게 연결되어 승강하면서 하수에 부유하며, 상기 연결로드의 하단부에는 상기 하수관거의 바닥면을 따라 구르는 바퀴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거 누수탐지장치.
KR1020050097609A 2005-10-17 2005-10-17 하수관거 누수탐지장치 KR1005778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7609A KR100577847B1 (ko) 2005-10-17 2005-10-17 하수관거 누수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7609A KR100577847B1 (ko) 2005-10-17 2005-10-17 하수관거 누수탐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7847B1 true KR100577847B1 (ko) 2006-05-10

Family

ID=37181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7609A KR100577847B1 (ko) 2005-10-17 2005-10-17 하수관거 누수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784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1684B1 (ko) 2006-12-05 2008-02-11 이성우 감지수단이 구비된 분류식 하수관거
CN108644531A (zh) * 2018-07-06 2018-10-12 郑州大学 轨道式排水管道检测设备及使用其检测排水管道的方法
CN113391361A (zh) * 2021-07-07 2021-09-14 徐州市勘察测绘研究院有限公司 一种基于浮标信号增强和动态探测的污水管定位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1684B1 (ko) 2006-12-05 2008-02-11 이성우 감지수단이 구비된 분류식 하수관거
CN108644531A (zh) * 2018-07-06 2018-10-12 郑州大学 轨道式排水管道检测设备及使用其检测排水管道的方法
CN108644531B (zh) * 2018-07-06 2023-10-20 郑州大学 轨道式排水管道检测设备及使用其检测排水管道的方法
CN113391361A (zh) * 2021-07-07 2021-09-14 徐州市勘察测绘研究院有限公司 一种基于浮标信号增强和动态探测的污水管定位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68866B2 (en) Micro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KR100577847B1 (ko) 하수관거 누수탐지장치
JP2011231568A (ja) 間隙水圧測定装置、それを用いた軟弱地盤の改良工法、地下埋設物が埋設される地盤の動態把握方法、及び盛土構造物が造成される地盤の動態把握方法
WO2018138786A1 (ja) 予兆検知方法、予兆検知システム、及び予兆検知プログラム
Gokhale et al. A new development in locating leaks in sanitary sewers
JP3175722U (ja) 止水装置用警報システム
JP6806357B2 (ja) 下水量計測システム
CN111089646A (zh) 一种用分布式光纤探测管道外水进入埋地管道或暗涵的位置的方法
KR101819496B1 (ko) 부유체를 구비하는 하수관의 침전물센서 및 이를 이용한 침전물의 모니터링 시스템
Romanova et al. Sewer inspection and comparison of acoustic and CCTV methods
KR20140086507A (ko) 하수관거의 도통과 탐사 시스템
US1064167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cing sewer connections with RFID PIT tags
KR101659310B1 (ko) 하수관 관리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0801684B1 (ko) 감지수단이 구비된 분류식 하수관거
US10094100B2 (en) Water backup prevention system
CN210487976U (zh) 地下空间工程渗漏声纳检测装置
KR102263963B1 (ko) 재난 방지 복합형 예고 시스템
CN101169483B (zh) 地质灾害降雨监测预警仪
Panasiuk et al. Identifying sources of infiltration and inflow in sanitary sewers in a northern community: comparative assessment of selected methods
JP3848948B2 (ja) パイプラインの流体漏洩探査システムとその探査方法
CN111141416A (zh) 一种用布里渊光时域分析技术探测管道外水进入埋地管道或暗涵的位置的方法
Hunaidi et al. Detecting leaks in water distribution pipes
KR101531566B1 (ko) 한계류를 확인할 수 있는 플륨 유량계
KR100937976B1 (ko) 지하수위 관측장치
Wang Application and evaluation of non-destructive testing methods for buried pip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